연역추론과 귀납추론의 차이

연역추론과 귀납추론의 차이

작성일 2012.06.2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연역추론과 귀납추론의 차이를 자세히 좀 설명해 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연역 추론은 하나의 전제를 통해 그것으로 결론을 추론해 내는 방식입니다. 반면에 귀납 추론은 지금까지의 사례에 의거하여 일반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방식입니다.

 

즉, 전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결론을 유추하면 연역 추론, 경험을 통해 결론을 유추하면 귀납 추론입니다. 그리고 연역 추론에서는 전제가 모두 참이면 결론이 반드시 참이지만, 귀납 추론에서는 전제가 모두 참이라 해서 결론이 반드시 참인 것은 아닙니다. 이런 것은 말보다는 직접 예로 보는 게 이해가 빠를 것입니다.

 

<귀납 추론의 예>

  • 무림맹 옷을 입은 한 사람이 혼천교 옷을 입은 사람을 공격하였다. 그런데 무림맹 옷을 입은 또 다른 사람도 역시 혼천교 옷을 입은 사람을 공격하였다. 내가 지금껏 본 무림맹 옷을 입은 사람은 모두 혼천교 옷을 입은 사람을 공격하였다. 그러므로 무림맹 옷을 입은 사람은 모두 혼천교 옷을 입은 사람을 공격한다.
  • 갑 의원은 여당의 정책에 반대하였다. 을 의원도 그랬고, 병 의원과 정 의원도 그랬다. 갑, 을, 병, 정 의원은 모두 야당 의원이다. 그렇기 때문에 야당 의원은 모두 여당의 정책에 반대한다.
  • 아침 7시 20분에 빵집이 문을 여는 것을 지금껏 볼 때마다 보아 왔다. 그러므로 그 빵집은 항상 아침 7시 20분에 문을 연다.

 

<연역 추론의 예>

  • 사람은 음식을 먹어야 살 수 있다. 나 역시 사람이므로 나 또한 음식을 먹어야 살 수 있다.
  • 당신이 훔친 물건이 사탕이라면 당신은 꾸지람만 들을 것이며, 당신이 훔친 물건이 보석이라면 당신은 감옥에 갈 것이다. 당신이 훔친 물건이 사탕이거나 보석이므로 당신은 꾸지람만 듣거나 감옥에 갈 것이다.
  • 양소유가 선한 사람이거나 진서연이 악한 사람이거나 둘 중 하나는 맞는 말이다. 그런데 양소유가 선한 사람이 아니다. 따라서 진서연은 악한 사람이다.

 

조금 더 자세한 비교를 위하여 제가 제 블로그에 써 둔 글을 걸어 두겠습니다.

 

http://blog.naver.com/mginu/110133776761 

 

연역 추론과 귀납 추론에 대한 설명을 써 둔 포스트입니다.(렉이나 이상한 창이나 배경음 같은 거 안 뜨니가 안심하고 들어가셔도 좋아요. ㅎㅎ)

연역추론과 귀납추론의 차이

연역추론과 귀납추론의 차이를 자세히 좀 설명해 주세요 연역 추론은 하나의 전제를 통해 그것으로 결론을 추론해 내는 방식입니다. 반면에 귀납 추론은 지금까지의 사례에...

논리학 연역추론/귀납추론 구분

결론이 전제에 벗어나지 않으면 연역, 그렇지 않으면 귀납으로 알고 있는데 확실히... 그렇다면 전제 밖의 상황이 연출 될 수 있다면 그건 연역추론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예시)...

귀납추론이랑 연역추론 문젠데 답좀 알

... 제가 쓰긴 했는데 헷갈려서요 ㅜㅜ 귀납추론연역추론은 논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각각의 정의와 예시를 아래에 설명드리겠습니다. 귀납추론(inductive...

귀납추론연역추론의 종합 가능성이

... 연역논증과 귀납논증의 차이는 역역추론 [전제] 물은 항상 아래로 떨어진다 [결론] 그러므로 물은 항상 아래로 떨어진다. 귀납추론 [실험을 통해 임의로 만들어진 전제]...

연역추론, 귀납추론 구분 좀...

... 제가 멍청한가라는 생각까지 드네요 ...흐 단순히 연역추론은 일반적인 논거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주장을 하는 방식이고 귀납추론은 구체적인 논거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연역추론과 귀납추론에 대해 자세한 설명...

지금 연역추론과 귀납추론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근데 그것과 관련해서 분석진술과 종합진술도 같이 배우고 있는데 그 두개 개념을 같이 배우다 보니까 머리가 복잡해져서요ㅜ....

연역추론, 귀납추론, 귀추 예시

연역추론의 예시 귀납추론의 예시 귀추의 예시 외우기 쉬운걸로 하나씩만 알려주세요ㅜㅠ [디렉토리를 안내하여 드립니다 ] 이곳으로 질문하시면 좋은...

연역추론인지 귀납추론인지 모르겠어요

... [라 메트리, <인간 기계론>/ 스티븐 바커, <논리학의 기초>, 최세만 이재희 역(서울:서광사, 1986), 298쪽 재인용] 연역추론인지 귀납추론인지 판정하는 문제의 예시인데요 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