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모든생물들이 죽으면 맨처음 생겨났을때의 지구의 질량과 부피가...

지구의 모든생물들이 죽으면 맨처음 생겨났을때의 지구의 질량과 부피가...

작성일 2004.03.09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맨 처음 지구가 생겼을때는..

단세포 생물 밖에 없었겠죠??

그러다가 단세포 생물들이 진화해서.. 다른 단세포들을 잡아먹고..

물속에 작은 생물이 되고.. 물속에 작은 생물들은 계속 영양분을 먹으면서 늘어나고..

물고기들은 이런 물속 생물들을 게속 잡아 먹고..

또 그쯤 동물들도 생겼겠죠?? 동물도 다른 영양분들을 먹은 생물을 잡아 먹으면서.. 계속 자랐겠죠??..

이렇게 과일.고기.물고기..
식물 >> 초식동물 >> 육식동물 >> 사람

이렇게 될라면.. 식물들이 엄청나게 지구의 영양분을 빨아먹어야 된다는 말인데..

그럼 계속 영양분이 빠지면서.. 지구의 부피는 계속 줄어 들고 있다는 말인가요??

식물이 생겨날려면.. 그정도 부피의 영양분들이 뭉쳐져야 되잖아요..

지구의 영양분도 조금의 질량이 있을텐데.. 사람과 동물.. 식물.. 등을 만들수 잇을 크기정도의 영양분(?)들이 계속 지구에서 빠져 나가면..

지구상의 모든 생물이 죽고 지구에 쌓이면..

맨처음 생겨났을때의 지구의 질량과 부피가 비슷해 지나요??



어의 없으시겠지만;; 제가 몇일전부터 궁금했었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짧고 이해하기 쉽게 말씀해드리죠.^^
좋은 호기심입니다.

질문자님 말처럼 지금 질문자님이 제 글 3줄을 읽는 동안도 40명의 사람이 태어나고
또 약 39명의 사람이 죽어갑니다. 동물로 치자면 그 수는 더 늘어나죠.
이렇게 자꾸 쓰는데 지구의 질량과 부피는 줄까요?

결과는 아닙니다 입니다.

첫번째, 인간과 동물은 신이 창조했다 하나 냉철하게 생각해보면 모든 생명체는
그 뿌리가 지구입니다. 지구의 일부가 변해서 박테리아가되고... 진화해 지금이
된거죠.
즉/ 모든 생명체의 재료는 지구이니 그 질량이 변하지 않습니다.

두번째, 지구 상에서 지표에 있는 모든 생명체와 건물등을 다 합쳐봤자
지구 전체 무게의 백만분의 1도 되지 않습니다. 아주 작다는 의미죠.
즉 변화가 있더라고 무시될만큼의 변화입니다.
마치 태양의 질량은 계속 줄지만 꺼지려면 아직 멀었다는것처럼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모든것이 못죽습니다.

박테리아 는..살아 남씀니다...

그리고..

모든생물체가..죽으면

다른 박테리아 끼리.. 결합헤서..

다른.생물체가 만들어 질것이고..

비가 내리면..

이끼 나.... 바다가.생깁니다..

그리고.... 바다 에 .. 핵 분자와... 박테리아 와 결합해서

또다른.생물체가..만들어 질것이고..

그러다 점차 점차... 이상한..생물체..즉..진화를..하는것이죠...

점차 점차 진화하다가...

마지막이..바로. 인간입니다 ...

그럼..-_-;;;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허접하나마 아는데로 적어드리겠습니다 ^^;

우선 님께서 질문하신게 ...


지구의 영양분도 조금의 질량이 있을텐데.. 사람과 동물.. 식물.. 등을 만들수 잇을 크기정도의 영양분(?)들이 계속 지구에서 빠져 나가면..

지구상의 모든 생물이 죽고 지구에 쌓이면..

맨처음 생겨났을때의 지구의 질량과 부피가 비슷해 지나요??


이거지요? ^^;

여기서 틀린점이 있습니다..님께선 지구의 영양분이라고 하셨는데요..
지구의 영양분은 물과 토양등이 전부입니다;
나머지는 식물들의 광합성과, 동물들의 배설과 시체등..
풀어서 말하자면..
맨처음 식물들이 땅에 뿌리를 박고 땅속에 있는 영양분과 물을 먹고
햇볕을 받으며 광합성을 해서 점점 커요..그러면 약육강식에 의해서
초식동물들이, 그식물들 먹고 또 커요.. 그러다 자신보다 쌘 육식 동물에게
잡아 먹혀요..그 육식동물은 또 자신보다 더 쌘놈에게 먹히겠죠..
그러는동안 그 동물들은 먹은 음식을 배설도 하고.. 여러가지 병에 걸려 죽기도
하고.. 그러면서.. 토양에 자연산 비료를 주는거지요..
그러면서 대지는 더욱 풍요로워지고.. 동식물들은 공존을 하며 살아 가는거지요^^;

그런데 그사이에 인간들이 끼면서, 그 공존은 점점 무너저 가고 있는것이구요 ;
님꼐서 만약 지구에 잇는 모든생물들이 죽으면이라고 하셨죠?
예컨데 지구에 모든생명이 죽는날..아니 모든 인간이 죽는날.. 지구는 이 우주상에
존재 하지 않을것입니다; 인간은 적응하는 동물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아무것도 없는 북극에 인간을 갔다 놓아도 인간은 잘만 삽니다..
그러니 , 지구가 터져버리지 않는한..아니면 오존층이 다 없어지지 않는한or지구상에
잇는핵이 전부 터지지 않는한; 인간은 어떻게 해서든 살아 갈것입니다;

이상 허접한 답변이었습니다 ^^;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단순하게 생각합시다

절대로 아니지요

원시지구는 순전히 먼지와 가스와 운석들이 뭉쳐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모든 것이 죽고 모든 생물이 사라져도 지구는 원래부터 마그마가 생기면서

무게는 자꾸자꾸 늘어나요. 계속 말이지요. 그리고 우주에서 오는것도 생각해 보면

아니라고 님도 생각이 들 겁니다.

지구의 모든생물들이 죽으면 맨처음...

... 지구상의 모든 생물이 죽고 지구에 쌓이면.. 맨처음 생겨났을때의 지구의 질량과 부피가 비슷해 지나요?? 어의... 님꼐서 만약 지구에 잇는 모든생물들이 죽으면이라고...

[질문] 지구의 무게변화가 궁금합니다.

... 다시 사람이 죽으면 다시 토양으로 돌아가고... 화장을... 찬물보다 부피가 큽니다. 질량은 같지만. 태양에너지를 받는 지구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태양으로부터...

지구의 특징 (중2수준으로......)

... 1억㎢, 부피 약 1조㎦, 질량 약 6조 톤의 10억배... 따라서 지오이드상의 모든 곳에서 중력측정이 행해지면... 기권과 수권은 지구의 특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생물이 생겨...

지구의 특징을 가르쳐주세요

... 1억㎢, 부피 약 1조㎦, 질량 약 6조톤의 10억배, 평균 밀도는 약 5.5g/㎤이다. 지구의 탄생은 약50억년 정도이며...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전 우주에서 고등 생물이 서식하는...

5학년7단원지구의특징

... 1억㎢, 부피 약 1조㎦, 질량 약 6조톤의 10억배, 평균 밀도는 약 5.5g/㎤이다. 지구의 탄생은 약50억년 정도이며...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전 우주에서 고등 생물이 서식하는...

태양계 행성들 크기,부피, 질량 등...

... 하늘에 빛나는 모든 천체 중에서 태양과 달 다음으로... 계절의 변화 짐작되는 것 같은 변화와 고등 생물이 만든... 정도이고, 부피지구의 약 6분의 1이며 질량지구의...

물이 4도일때 왜 부피가 최소일까?

... 따라서 동일한 질량일 경우 액체가 고체보다 부피가... 거의 모든 액체는 온도가 올라가면 밀도가 떨어지고... 물의 밀도가 4도씨에서 최소인 것과 지구의...

태양과 지구의 특징을 알려 주세혀!!

... 1억㎢, 부피 약 1조㎦, 질량 약 6조톤의 10억배, 평균 밀도는 약 5.5g/㎤이다. 지구의 탄생은 약50억년 정도이며...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전 우주에서 고등 생물이 서식하는...

지구는...

... 2.지구가 죽을 지구의 부피질량이 커지나요? 3.지구가 죽으면 어떤 현상이...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근본적으로 지구를 터전으로 삼고 사는데 지구가 없다면 어떻게...

우주에 관련된 모든

... 그 외에도 지구의 남극, 북극과 비슷하게 화성에는 극관이라는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시간이 지날 마다 모양이... 그 외에도 토성은 밀도(질량/부피)가 가장 작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