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찍고 한 장의 사진이 되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사진을 찍고 한 장의 사진이 되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작성일 2015.12.10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사진사들이 사진을 찍은 뒤에 인화되어 전시장에 걸리기까지의 과정이 궁금합니다.
보아하니 작업이 꽤 많은 것 같은데, 이에 관하여 지식이 있으신 분들에게 한 번 사진을 찍고 한 장의 사진으로 나오기 까지의 과정을 듣고싶습니다.
가능한 한 자세히 부탁드리겠습니다.


#사진을 찍고 #사진을 찍고 싶어 #내 사진을 찍고 싶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요즘은 디지털이 많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 기준으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대부분의 사진작가들은 RAW파일로 촬영을 진행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포맷은 JPEG 이긴 합니다만 JPEG 자체가 압축 포멧이기 때문에
보정을 거치게 되면 화질손실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RAW파일로 촬영후 디지털 현상 과정을 거치게 되는거죠. 디지털 현상은 일반적으로 보정이라 합니다. 필름에서 촬영후 필름 현상을 진행 한다면 디지털은 라이트룸 캡쳐원 같은 보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현상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라이트룸 , 포토샵에서 지원되는 ACR(Adobe Camera Raw) , 캡쳐원 프로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RAW파일에서 1차적으로 색감을 잡은뒤 컨버팅을 합니다. 그 이후 포토샵으로 넘어가 레이어가 필요한 작업들을 진행하게되죠.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RAW 컨버팅 입니다. 컨버팅에서 만지는 항목들은 Size , Resolution , Color Space , Depth 등이 있습니다.

Size와 Resolution 내가 얼마만큼의 작품을 프린트 할것인지에 따라서 결정됩니다. 두가지 항목이 커질수록 큰 사이즈의 프린트가 가능합니다. 단 이 설정 값은 무조건 무한대로 키울수 있는 것은 아니구요. 촬영한 카메라에서 지원되는 부분까지만 키우셔야 됩니다.

그 다음 Color Space 색공간의 경우 일반적으로 SRGB를 많이 사용하구요. 프린팅 시에 Adobe RGB를 사용 하기도 합니다. SRGB보다 Adobe RGB가 더 넓은 색영역을 표현하기 때문에 작품 프린트를 하는경우에는 Adobe RGB가 효과적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에 SRGB와 Adobe RGB를 검색해보시면 잘 나와있습니다.

Depth의 경우는 색상과 계조의 깊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8비트와 16비트가 있는데
8비트는 256 계조단계와 16,777,216 가지의 색상을 표현할수 있다면
16비트는 65,536 계조단계와 281,474,976,710,656 가지의 색상을 표현할수 있습니다.

RAW파일은 14비트 까지 지원되며 16비트를 전부 지원하지 않더라도 16비트로 컨버팅 해주시는것이
더 많은 계조와 색상을 표현할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Color Space 와 Depth 2가지는 모니터가 상당히 중요하며 모니터에서 Adobe RGB 지원 및 10비트를 지원하는 모니터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그래픽 카드도 Quadro 나 FirePro 같은 워크스테이션 용 카드를 이용하셔야 되구요.

RAW파일 컨버팅이 끝났다면 보정이 진행 되고 그 다음 프린팅이 진행 되어지죠.
작품용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Pigment 프린트 즉 안료잉크를 사용한 잉크젯 프린팅을 진행하구요
일반적으로 인화샵에서 인화하는 은염 인화 방식이랑은 다릅니다.

은염보다 잉크젯이 더 많은 색상 표현 및 디테일한 프린팅이 가능하구요. 잉크젯 프린트를 하기 위해서는 프린팅 전문 샵에 가서 진행하셔야 됩니다.

가정용 잉크는 염료 잉크에 4~6색의 잉크를 사용한다면 , 프린트 샵에서 사용하는 잉크는 안료잉크에 8~12색에 을 사용합니다. 색상표현만 놓고본다면 염료가 좋으나 보존성에 있어서는 안료가 탁월 합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잉크 색상수가 많을수록 좋습니다. 안료라고 해도 8~12색이기 때문에 일반 염료 프린트 보다 훨씬더 좋은 퀄리티로 인쇄가 가능하구요.

인쇄 준비가 되었다면 어떠한 페이퍼에 프린트 할것인지 결정 해야됩니다. 광택 , 고광택 , 반광택 , 매트지 , 캔버스 , 펄 , 텍스쳐 , 웜톤 등등 인쇄할수있는 페이퍼는 다양하며 페이퍼마다 질감이나 이미지 표현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같은 광택이라고 해도 용지 제조회사 마다도 차이가 있구요.

처음에는 어떠한 종이가 좋은지 잘 모르기 때문에 샵에서 제공해주는 샘플북을 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샘플북으로 보고 용지 몇개를 고른뒤 각각 A4사이즈에 자신의 사진 여러장을 인쇄해서 미리 테스트를 해본후 용지가 확정되면 최종적으로 프린트가 진행됩니다. 

프린트가 완료되면 마지막 액자 제작에 들어갑니다. 액자는 프린트 샵에서 제작이 가능한곳도 있고 제작이 안되는 곳도 있습니다. 제작이 안되는곳은 액자 업체를 따로 알아보신후 프린트 물을 맡기시면 액자제작이 됩니다.

액자는 보통 원목이나 MDF 디아섹 등이 있습니다.

원목은 테두리가 있고 프레임 몰딩이 원목으로 제작되어 있습니다. 
MDF의 경우 육안상 원목액자와 차이가 없지만 재질의 차이가 있습니다. MDF는 나무 섬유질에 화학첨가물을 첨가하여 프레임을 만듭니다. 원목이 나무라면 MDF는 나무를 흉내낸 액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MDF는원목에 비해서 단가가 많이 저렴하고 훨씬 더 가볍습니다. 다만 내구성이 약해서 쉽게 파손될수 있습니다.

그 다음 디아섹이라는 액자가 있습니다. 프레임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아크릴로 덮여 상당히 깔끔한 액자입니다. 일반인들에게도 인기가 많으며 디아섹을 만드는 업체에서는 각 업체마다 고유 브랜드를 만들어 이름을 붙여 놓습니다만 통틀어서 디아섹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음 캔버스 액자 , 캔버스는 미술 회화에서 사용하는 캔버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잉크젯 전용 캔버스 용지가 나와 그곳에 프린트하여 제작합니다. 실제로 미술쪽에서 작품 프린팅을 할때 많이 사용됩니다.

그외에도 다른 종류의 액자들이 있지만 많이 하는 액자들로 적어봤습니다.

주저리 쓰다보니 글이 너무 길어져서 이정도만 쓰구요.
더 궁금하신점 있으시면 아이디 클릭후 쪽지나 메일 주시면 답변해드릴게요.

답변확정해주시면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요즘은디지틀화되어 간단히사진을찍고뽑을수있지만

옛날이나지금도 필름으로사진을찍으면

1.우선사진촬영.

2.필름현상과정,

   1.발색현상2.표백.3.정착.4수세.5.안정액,6.드라이건조.이러면필름현상이다된것이지요.

3.사진확대.

   필름을확대기에넣고크게인화지에노광을줍니다.

4.노광된인화지는인화현상을하지요,

   1,발색현상.2,표백정착,3.수세.4.건조.  이걱으로사진이다되엇읍니다.

5.사진을액자에넣어 전시하게됩니다.

이것이사진을찍고 한장의사진이되는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자세한 과정이라

작업이 많다고 생각 하시는데

간단합니다.


촬영 > 보정 > 인화 > 전시


촬영 > 피사체를 카메라를 통해 담는 과정이지요

          빛 과 구도 변화를 가지고 최적의 사진을 담게됩니다.


보정 > 요즘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  아날로그 필름은 현상 과정이 보정작업이 됩니다.)

          라이트룸, 포토샵등등을 가지고 찍어온 사진의 최적화 작업을 하게됩니다.

          색감 / 화벨 등등의 작업을 거치게되지요 명부 조정을 하게된다던가

          실제 찍힌거보다 보정 작업을 통해 최적의 사진을 건질수 있습니다.


인화 > 보정작업 까지 마무리 된 사진을 인화를 하게됩니다.

          인화지에 따른 느낌이 천차만별의 결과물을 가져옵니다.

         일본의 작가는 한지를 이용하여 사진인화를 해서 센세이션을 일으키기도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확정 부탁드립니다.

초상권침해및 명예훼손에 대해 궁금합니다.

... 세분사진을 캡처해서 한장의 사진으로 편집해서 공카에... 안되는걸보고 다시 복구한다고 하다가 이미 적혈에서도 스샷찍고 고소할거라 글 남기고 몇시간동안 계정복구하고...

GTQ학원 질문드립니다

...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평소에... 열심히 사진을 찍고 독학으로도 포토샵을 배우다가 결국... 30살이 되는 나이었어요. 그래서 내가 좋아하고 취미를...

야경 사진을찍고 싶어요

... 그런 과정 없이 있는 그대로의 영상을 보기 때문입니다 보통 야경을 찍는 경우엔 붉은 가로등이 주 조명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사진을 찍으면 전체적으로 붉은...

두피관리후 머리빠짐이 심해요

... 사진은 틈틈히 계속찍고있습니다..이런분들도있나요? 두피관리받고 안좋아지는 케이스도있는지 궁금합니다 ...... 좋아지는 과정이라 할 수 없지않을까요? 모발이 모두...

자동차 자차보험에 관하여 질문입니다

... 얼마나 되는궁금합니다~~!!! 지금가지 아무생각없이 보험을가입하다보니 생각도... 사진을 찍어서 메일로 보내는 것은 간단한 과정입니다.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