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1970년대의문학

1950~1970년대의문학

작성일 2006.06.2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950년대~1970년대의 문학의경향(시.소설의사조.대표적양식)

조사점해주세요ㅠㅠ

오늘안으로좀해주시면;;;감사하겠음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50년대 전반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생존 그 자체가 급선무였던 시기이며, 후반은 전 후 복구와 앞으로의 민족적 지향성(정통성)을 확립하는 것이 과제였던 시기였다.▶문총구국대-6.25동란이 발발하자 문인들은 이에 격시를 쓰고,피난길에 를 편 성 활약함▶ 1930 1951 오늘날주지주의.이미지즘-김기림,정지용,김광균,장만영 후반기 동인초현실주의.심리주의-이상 (부산 피난지)모더니즘 신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동인-1951년 피난지 부산에서 조직됨. 1930년대 모더니즘의 감각과 기법을 보 다 직접적으로 받아들임.·작가-박인환.조향.이봉래.김차영.김규동(김기림제자.50년대 모더니즘 시운동)·김규동의 모더니즘 시론은 청록팔류의 보수적이며 정태적인 서정시에 대한 정면 비판 -3-으로 시사적의의→논리와 자가당착적인 면을 보인 것은 한계였다.▶박재삼-김소월(누님)과 김영랑(춘향)을 이어주고 자기만의 독특한 시세계(恨의 정서.남평 윤씨). 대표작은 「울음이 타는 가을강」*韓國文學은 (여인의) 恨의 정서의 문학이다. 패미니즘도 恨의 정서.▶50년대 중반을 전후한 중요한 정치적 사건-사사오입개헌(54),「대구매일신문」피습사건 (55),장면부통령 저격사건(56),보안법 파동(58),「경향신문」폐간(59)그리고 3.15부정선거(60) 등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독재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일련의 사건들로서 급기야 4.19혁명을 촉발하는 계기가 된다.⊙1960年代 ▶순수·참여와 다극화시대▶썩은 정치에의 반발(4.19-60年, 5.16-61年).▶60년대의 의미-좌·우이데올로기의 격심한 대립으로 극도의 혼란을 빚었던 해방공간과 6.25의 비극적 체험을 겪고난 뒤, 사회역사적 현실을 정신사적으로,문화적으로 다양하고 심도있게 극복해가는 자리에 60년대 시가 놓여 있었음을 의미. ①참여냐 순수냐의 갈등·작가는 영원한 아웃사이더.(관찰자)②난해시의 등장-소위 모더니즘 계열의 시들(30년대 모더니즘에 비해 매우 난해)③갖가지 실험을 시도④시조문학의 전성기⑤작가의 전성시대(숫적으로)▶참여시 또는 민중시의 전개·우리나라는 특성상 참여시가 민중시의 경향·참여시-어떤 목적을 위해서 쓰여진 시민중시-노동자,농민(프로레타리아계급들),민중의 생활과 관점으로 쓰여진 시·문학성은 미흡·신동문「아 神話같이 다비데群들」-희랍神話中 나오는 무리.십자군 비슷한·신동엽「껍데기는 가라」-4.19정신↘60년대 중반 이후-산업사회로 접어들며, 시인들이 소외계층에 눈을 뜸·김광섭「성북동비둘기」-소외된 소시민의 애환·이성부「이빨」「벼」-민중의 의지와 자기긍정세계를 노래「전라도」-피해받고 굶주린 전라도인을 한국 전체의 소외계층으로 확대-새로운 참여시의 대표작으로 평가·신경림-「農舞」계열의 농민시를 예고-「파장」참여시는 참여시인데 시로서도 성공한 작품(대개의 참여시가 시적인 형 상을 이루지 못한데 반하여)▶언어실험과 순수시·김구용의 「三曲」(64)-이미지의 자유연상적 결합,서술자의 기이한 체험들,대담한 성적 묘사등으로 장시를 실험.순수시의 지배적 경향인를 전형적으로 보여줌.·김춘수「처용단장」(69현대시학창간호) 무의미시의 탐구→이승훈에게로 계 -4-승된다(관념 무의식)·현대시 동인-허만하, 주문돈,김규태,마종기,김영태,이승훈,박의상,이수익,오세영등은 수수 께기, 가짜의 모호성,부정직함의 비난과 좌시를 받으며 70년대에 극복의 주된대상이 됨.·정현종-60년대의 대표적인 언어파 시인(연대 국문과)⊙1970年代 ▶70년대의 한국시▶1970年代 詩 ·김수영류의 참여시(리얼리즘)-신경림.이성부 →①·김춘수류의 무의미시, 비대상시(모더니즘)-이승훈. 오규원 →②①민중적 감수성(참여)②도시적 감수성(순수)③전통적 감수성(서정주,박목월류-전통지속)·①, ②, ③의 토대(내용,주제)에는 산업사회가 밑바탕에 깔림.▶70年代 시의 민중적 감수성(김수영류의 참여시)·김지하-민요와 풍자정신의 결합(「五賊」),나아가 비판적 감수성대표작:「저문강에 삽을 씻고」-시를 위한 데모. 문학성도 뛰어남·작가:이시영(69)김지하(69)정희성(70)김준태(69)양성우(70)→감옥살이 많이함▶70年代 시의 도시적 감수성(김춘수류)·민중적 감수성(김수영류의 참여시)을 보여주는 새세대 시인들이 민중이데올로기, 곧 소 시민적 한계자각,민중적토대지향, 반민중적 세력에의 공격이라는 이데올로기에 지나치게 지배당하는데 반해 도시적감수성류(김춘수류)는 그런 이데올로기로부터 한결 자유로운 상태에서 산업시대의 모순을 형상화 한다.·작가:감태준(72)정호승(72)김승희(73)이하석(71)김광규(75)이성복(77)최승호(77)장석주(75)▶70年代 시의 전통적 감수성·보수적인 경향. 변혁의 의지보다 계승하려는 의지의 작가들 ·작가:김화영(66)박정만(68,고인)신대철(68)강은교(68)조정권(70)이성선(70)나태주(71)권달 웅(75)


⊙1950年代 ▶전쟁체험과 50년대 소설
▶배경-제반내용과 구조는 6.25의 체험과 영향의 삼투적 성격과 기능을 배제할 수 없다. 그만큼 50년대는 파괴와 폭력이 편재하는 전쟁의 군신 마르즈(희랍신화)의 시대 였으며, 소설의 상상력 역시 이런 전쟁의 두려운 인위적인 재난으로서의 ①파괴성에 의한 피해를 묘사하거나②결여된 인간적인 따사로움의 휴머니티(동정적인)와 평화주의를 고양하는 두 개의 측면이 두드러짐.
*한국전쟁을 떼어 놓을 수 없음. 해방된지 4년여만에 전쟁일어남.작가들은 이를 예민하게 들어내며 증언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사회적 수습단계(폐허로 인한)의 문예지
·문예지-「文藝」「文學과 藝術」「現代文學」「自由文學」
·종합지-「新天地」「思想界」「새벽」
▶1950년대 소설의 양상-전쟁을 고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진정한 휴머니즘을 나타냄.
1.신분과 계급구조의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을 작품화. 정한숙「古家」
2.전쟁으로 인해서 신체적 훼손을 입거나 정신적인 피해와 상처를 입은 사람들을 대표적 인 주인공으로 입상화. 손창섭「血書」오상원「백지의 기록」
3.전쟁을 겁탈이나 기아와 등가화하는 경향. 장용학「圓形의 傳說」오상원「황색지대」
원형의 전설-두 이데올로기의 사생아(한국/북한)를 상징적 서술
4.성장소설(어린이나 젊은이를 주인공삼아 시련을 겪으며 성숙화의 과정을 보여주는 소설)
·1,2,3,4→휴머니즘을 지향(네가옳냐 내가옳냐가 아니라)
·1,2,3→주인공이 전쟁체험의 주체
·4→전쟁시 소년·소녀들이었던 者들이 주로 주인공(성장해가며 겪는 일들)
▶황순원의「학」은 전쟁 소재 작품이면서도 인간의 가치가 얼마나 큰가하는 휴머니즘을 서 술→60년대 최인훈의「광장」으로 이어짐
▶전쟁문학의 대표적인 제재-실향과 집 없음.

-9-
⊙1960年代 ▶새세대의 충격과 60년대 소설
▶신인의 대거 등장
1.모더니즘적 경향-김승옥, 이청준, 최인호
2.리얼리즘적 경향-신상웅, 이문구, 정을병 /정통적인 사실적수법(시대 의식을 강조)
·최인훈의「廣場」-이명준이란 의 삶의 궤적에서 민족의 비극을 이끌어 내며, 4.19열풍후의 시대의식의 반영.기교주의와 사실주의 두측면모두에서 중요한 작품.

▶도시소시민의 삶
·이호철「서울은 만원이다」(인기작품.문고판)
·전광용「꺼삐딴 리」혹자:패미니즘소설의 출발. 비극을 역으로 풍자
▶농민의 문제
·이문구「長恨夢」산업화로인한 인간성말살에 대한 대응책의 일환으로 농민소설.
(민족작가협의회회장.지금도 활동.)
▶신세대 작가
·김승옥-「무진기행」(64 10) 신세대의 선두주자
·이청준-「병신과 머저리」심리주의적 성향 강함.30년대 이상을 연상케 함.
▶기타
·안수길「북간도」(61.1∼63.1)-이시기 역사소설의 역작으로 평가
·황순원「나무들 비탈에 서다」(60.1∼7)이시대 젊은이들의 감각과 의식을 치밀하게 묘파
·50년대작가가 60년대 이어진 작가-김동리, 오영수
·여류작가-박옥인, 박경리, 강신재,손장순,박순녀등

⊙1970年代 ▶70년대 소설의 몇 갈래
▶의식이 깨어있는 자들을 더욱 고통속으로 몰아갔던 背景史-유신시대(군-관-민)
억압정치와 고속의 경제성장이 함께했던 시기.
▶대중적 인기를 얻었던 통속소설의 전성기
최인호「별들의 고향」(73)「바보들의 행진」(74)조선작「영자의 전성시대」
▶뿌리 뽑힌자-사회에서 추방된 이들(제3세계문학 언급시)물질적인 면에서 뿌리가 드러나버 린 사람들
·비인간적 대우를 받고 있는 노동자를 그린 작품-황석영「객지」「삼포 가는 길」조세 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달동네로 밀려난 사람들을 그린 작품-이문구 「冠村隨筆」
·도시소설-박완서「휘청거리는 오후」
·을 주인공-윤흥길「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전쟁문학(6.25)의 작자들-소년기에 전쟁을 겪은 작가들에 의해 주도.회상의 시점과 증언의 포즈를 통해 전쟁의 의미 보다는 실상을 건저내려 함.
·전상국, 윤흥길, 김원일, 이동하, 조정래, 김용성, 김문수, 현기영, 오탁번등
▶기본적으로 리얼리즘을 표방한 다수 70년대 작가들은 도시영세민, 농민, 노동자 그 누구를 주인공으로 설정했던지 간에 거의 한결같이자>를 연민이나 흥분에 찬 눈으로 부각 시키는 데 주력하였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wjehdlrj tnwpsep rkatkgTMrpTtmqslek

1950~1970년대의문학

1950년대~1970년대의 문학의경향(시.소설의사조.대표적양식) 조사점해주세요ㅠㅠ 오늘안으로좀해주시면;;;감사하겠음니다 <시> ⊙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

1950~60년대 문학 작품

1950년대 문학 작품하고 1960년대 문학작품에 대해 더 정확히 말하자면... 시 조지훈... 이들은 197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대두된 민중시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ㄴ....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소설좀 각각알려주세요 ⊙1945∼1950年 ▶민족문학 수립의 모색기 ▶해방기문학/해방공간/암흑기(문학작품은 없고 사상논쟁이 주류)...

1950년대 한국문학(소설과 시, 수필)의...

5시30분까지 1950년대 한국문학(소설과 시, 수필)의 시대적 특징과 배경 에 대해서... 이들은 197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대두된 민중시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ㄴ. 대상에...

일본영화-1950~1970년대 배경으로 한...

... 04 감독 : 후루하타 야스오 출연 : 다카쿠라 켄, 코바야시 넨지, 오타케 시노부, 히로스에 료코 일본에서 140만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이자, 권위있는 문학상인 나오키상...

[내공100] 광복직후 , 1970년대...

... ※ 1970년대 소설 소개좀해주세요. ( 개화기, 1920년대 , 1930년대 , 1950년대 , 1960년대 빼고) 다시한번 말하지만 ..... 광복 직후(1945~1949)의 소설의 특징 1) 문학적 특징 (1) 귀향...

광복직후 1960년대 참여시 1970년대 민중시

... 현대문학의 흐름 중3 6단원 광복직후 1960년ㄷ 1970년대 시 그러니까 1960년대 참여시... 효풍 1950년대 전시소설 전후소설 #전시소설 황순원 - 학 #전후소설 황순원...

1950년대 소설과 1960년대,1970년대...

... 1950년대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작가들은 정신적 충격과 상처, 공동화 현상을 겪게 됩니다. 전쟁의 비극적 체험과 상처는 삶의 허무감과 한계 상황에 대한 인식을 문학에...

근대 문학?

... 이때부터 1950년대 말까지의 문학은 주로 ‘전쟁문학’의 테두리에 포함되며, 1953년... 그러므로 1960~1970년대의 문학의 주류는 참여문학이면서 계속 순수문학과의 논쟁이...

문학작품에서

... 한때, 문예영화라 해서 황순원, 김동리 등 쟁쟁한 우리 문학의 원로 작품들은 거의 대부분 영화화되었고,(1950~1970년대), 이후에는 이청준, 이문열, 김성종, 박영한 등의 중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