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자함은 어떤 것이 있고 역할은 무엇인가요?

단자함은 어떤 것이 있고 역할은 무엇인가요?

작성일 2016.04.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IDF, UTP 와 관련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상세히!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2 절 시설기준

 

 [주장비실내 시스템 구성]

  ① 장비랙 시설

    1. 설치위치

      아파트 구내 MDF실에 시설함을 원칙으로 한다.

      , MDF실내 상면부족 등으로 인하여 시설이 불가능할 경우 MDF실 과 인접하면서 케이블 포설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별도의 장소에 시 설한다.

    2. 시설규격

     시건장치가 부착된 19인치 가입자용 옥내용표준랙(C-TYPE:전면 철판,후면 밀폐) 1800mm이상 설치를 원칙으로 하되, 랙 높이는 경제성, 향후 확장성, 현장 시설여건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높이로 시설한다.

      , MDF실 외 별도의 장소(동 지하 등)에 시설하는 경우는 랙받침대가 있는 벽취부형랙(H:700mm)을 고려하여 시설한다.

 

  L3 Switch 시설

    1. 시설기준

      아파트 단지당 1대 시설을 원칙으로 한다.

      , L3 Switch 1대당 사용(예정) 포트수가 20개 포트를 초과할 경우 해당지사 영업부서와 협의하여 추가시설 여부를 결정한다.

    2. 모듈구성

      L3 Switch 모듈구성은 Link 제공수를 고려하여 최소수량으로 시설한다.

      동간 시설되는 스위치(L3~L2, L2~L2)간 링크는 광케이블을 사용해야 하며, 동일 동내 시설된 스위치간 링크는 UTP를 이용한 구성이 가능하다.

     

  ③ 광분배함(OFD) 시설

    1. 시설기준

       아파트 단지내 L3, L2 Switch의 시설량 및 향후 확장성 등을 고려하여 시설수량을 정한다.

    2. 시설규격

       19인치 표준랙에 실장이 가능하며, 광심선 12C를 수용할 수 있는 규격을 사용한다.

 

 [동장비함 시스템 구성]

  ① 장비랙 시설

    1. 설치위치

      각동 지하시설을 원칙으로 하며, 시설위치 선정시 아래사항을 고려한다.      

. UTP 서비스 Covergae

     . 환경적 요인 (먼지, 항온, 항습, 침수 등 고려)

     . 유지보수 용이성(출입 등)

     . 장비보안

     . UTP 케이블 포설 경제성

    2. 시설규격

       시건장치가 부착된 19인치 벽취부형 랙(H: 500mm) 시설을 기본으로 하되, 랙 높이는 각 동의 세대수 및 향후 확장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높이로 시설한다.

  L2 Switch 시설

    1. 시설기준

       각 동당 1식 시설을 원칙으로 하며, Coverage는 동당 90세대 기준 27%를 기준으로 한다.

      , 아래사항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 소규모 세대 동의 경우 인근 동장비함 L2 Switch에서 UTP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방안이 경제적일 경우 L2 Switch 시설 지양

     . 가입자 증가에 의해 해당 장비의 Port 용량(80%)을 초과하였을 경우 L2 Switch를 추가 증설

    2. 모듈구성

       L2 Switch 모듈구성은 1FX, 24TX를 기본구성으로 한다.

  ③ 장비간 Topology : 성형 구조

    1. L3 Switch ~ L2 Switch

       성형구조를 원칙으로 한다.

    2. L2 Switch ~ L2 Switch

     . 1개 동장비함내 가입자 증가에 의해 L2 Switch 증설시에는 UTP에 의한 성형 구조로 구성한다.

     . L3 Switch ~ 가입자 PC간 최대 L2 Switch2(hop) 이하로 한다.

  ④ 광분배함(OFD) 시설

    1. 시설기준

      동장비함내 1대 시설을 원칙으로 한다.

    2. 시설규격

      19인치 표준랙에 실장이 가능하며, 광심선 12C를 수용할 수 있는 규격을 선정하되, 최종 단말 위치의 경우 가입자단말용 광분배함을 사용한다.

 

 [케이블 구성]

  ① 주장비실(MDF) ~ 동장비함

   1. 주장비실 ~ 동장비함간은 광케이블을 시설하여 구성한다.

      , “동일 동내”에 시설된 L3~L2간 거리가 100M이내인 경우는 UTP케이블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UTP케이블의 규격은 난연성, Category5급을 사용한다.

   2. 광케이블 설계시 최소거리 포설방안(Topology, 접속점 최소화 등)에 대하여 충분한 검토를 통해 최소 비용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3. 광케이블은 단조장 재고 케이블 사용을 우선한다.

   4. 선로시설 경로는 구내배관 또는 트레이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5. 광케이블의 경우 광분배함과의 접속을 위한 충분한 여장길이를 확보하며, 만곡부분의 곡율 반경은 케이블 외경의 20배 이상이 되도록 정리한다.

  ② 동장비함 ~ Main IDF

   1. Category 5.이상 규격의 UTP케이블 시설을 원칙으로 한다.

     , 옥외에 시설하는 경우는 UV코팅된 규격제품을 사용한다.

   2. UTP케이블 시설용량은 각 동의 세대수를 고려하여 옥내시설의 경우 전체 세대수의 70%이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며, 옥외시설의 경우 동장비함~옥외단자함간은 전체세대수의 50%이내, 옥외단자함~각세대간은 1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3. IDF에 성단된 UTP케이블 용량을 초과하여 가입자가 발생할 경우 해당 IDFUTP케이블을 추가로 시설한다.

   4. 동장비함 ~ IDF까지 케이블 구성시 하층에서 상층으로 수직 배선함을

     원칙으로 한다.

   5. UTP케이블 시설은 층간 케이블트레이나 관로를 사용하여야 하며, 관로가 포화된 경우 아파트외벽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 아파트 관리사무소측과 사전 협의하여 민원이 발생치 않도록 조치한다.

   6. UTP케이블 포설시 인터넷서비스 속도 등을 고려하여 최단거리의 경로로 포설되어야 하며, Switch에서 가입자댁내 PC간 최대 120m를 초과하여서는 않도록 한다. (권고기준 : 100m 이내)

 

 

 

 

 [장치시설]

  ① 랙내 장비배치

   1. MDF

      장비 배치는 아래와 같이 상단부터 ① OFD,L3 Switch,L2 Switch,Patch Pannel 순서로 시설하고, Hub아파트인 경우 ? 정류기 ? 축전지를 추가한다.

 

  <MDF실 내 시설시>                  <MDF실 외 시설시>

 

 

  

   2. 동장비함

      장비 배치는 아래와 같이 상단부터 ① OFD,L2 Switch,Patch  Pannel 순으로 시설한다.

        

 

 

 

② 장치설치

   1. 소요공구 및 소요자재

    . 장치설치 주요 소요공구 내역

    공 구 명

용 도

진공청소기

전기드릴

수평계

배열표시용 필기구

 각종 먼지제거용

 볼트 고정홀 파기용

 각종 기기 레벨링용

 각종 마킹 및 표시용



 

    . 주장비실 장치설치용 주요 소요자재

   자 재 명

 

광분배함(12C)

케이블 가이드

 장비 실장용

 광케이블과 장치연결을 위한 접속자재

 광점퍼코드 및 UTP케이블 여장 처리용



 

    . 동장비함 설치용 주요 소요자재

 자 재 명

 

동장비함

광분배함(OFD 12C 또는 FDF 2C)

Patch panel

케이블 가이드

 장비 실장용 RACK

 광케이블과 장치연결을 위한 접속자재

 UTP케이블과 장치연결을 위한 접속자재

 광점퍼코드 및 UTP케이블 여장 처리용



 

 

   2. 주장비실 장비설치

    . 랙 설치

      1) 설치위치는 MDF실내 설치를 원칙으로 하며, 설치공간이 협소할  경우는 케이블링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별도의 장소에 설치 할 수 있다.

      2) 장비의 설치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장치랙의 설치 위치를 사전에   확인하고 필기구를 사용하여 장치랙이 설치될 위치를 표시한다.

      3) 바닥고정은 기초가대를 사용하지 않고 랙에 부착된 바닥지지대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4) 바닥지지대에는 절연물이 있어 바닥과 랙 간에는 절연되어야 한다.

      5) 랙은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 19인치 표준랙에 적합하여야 한다.

         - ,후면은 시건장치가 있어야 한다.

         - ,후면 문은 철문이어야 한다.

         - 전면 문과 장치 사이에는 10Cm 이상 공간이 있어야 한다.

    . 장비(L3 Switch) 실장

        각 사별 장치 취급설명서를 참조한다.

    . 광분배함(OFD) 설치

      1) 아파트 단지내 모든 동장비함과 연결할 수 있도록 충분한 포트수 를 가진 광분배함을 19인치 랙에 설치한다.

      2) 광케이블의 접속 및 여장처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3) 각 포트와 연결된 동장비함을 표시하기 위하여 광분배함의 포트에  선번표시를 한다.

    . 케이블 가이드 설치

      1) 광분배함과 장치를 연결할 광점퍼코드의 여장처리를 위하여 1U 크기의 케이블 가이드를 설치한다.

      2) 아래의 그림과 같이 광점퍼코드는 케이블가이드에 여장처리를 하 여 광분배함과 장치에 연결하되, 향후 유지보수 등을 고려하여 장치교체시 광점퍼코드가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여 여장처리를 한다.

 

 

   3. 동장비함 설치

    . 장비함 설치

     1) 장비의 설치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함체의 설치 위치를 확인하고 필  기구를 사용하여 함체가 설치될 위치를 표시한다.

     2) 벽취부형 장비함 설치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바닥으로부터

        1.2m~1.5m 높이의 벽면에  수평하게 시설함을 원칙으로 한다.

        , 아파트관리소측 요청시 요청된 높이에 시설할 수 있다.

     3) 장비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함체를 벽면에 안전하게 부   착한다.

     4) 함체는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 장치 및 Patch panel을 실장하기 위한 19인치 설치 가이드가 있어야  한다.

       - 장비함은 잠금장치가 있어야 한다.

       - 전면 문과 장치 사이에는 10Cm 이상 공간이 있어야 한다.

    . L2 Switch 실장

        각 사별 장치 취급설명서를 참조한다.

    . 광분배함(OFD) 설치

     1) 주장비실과 연결할 광분배함을 19인치 랙에 장착한다.

     2) 광케이블의 접속 및 여장처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3) 각 포트와 연결된 주장비실 및 동장비함을 표시하기 위하여 광분배함의 포트에 선번표시를 한다.

    . 케이블 가이드 설치

     1) Patch panel과 장치를 연결할 광점퍼코드의 여장처리를 위하여 1U

       크기의 케이블 가이드를 설치한다.

     2) 아래의 그림과 같이 광점퍼코드와 UTP케이블은 케이블가이드에 여장처리를 하여 광분배함과 Patch panel, 장치 등에 연결하되, 향후 유지보수 등을 고려하여 장치 교체시 광점퍼코드나 UTP케이블이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여 여장처리를 한다.

  

      . 동장비함 선번장 관리

         동장비함내에 적정한 위치(문 내부부착 등)를 선정하여 L2 SwitchPatch panel과 가입자(호수)간의 선번장을 작성하여 항시 비치하도록 하고, 선번 변경시(포트변경 등) 즉시 업데이트 한다.

         (붙임#2 참조)

 

 [전원 및 접지시설]

  ① 전원시설

   1. Hub아파트인 경우 구내 정전을 대비하여 비상전원 공급장치를 설치

     한다. (전원 공급장치 시설기준은 6?항 참조)

   2. 장비랙에 공급하는 전원은 인근 가장 인접한 전원분전반에서 분기하여 구성하며, 이 때 전원분전반의 여유단자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3. AC 전원선은 3.5/3C이상 규격의 케이블트레이용 난연 전력케이블(TFR-CV, F-CV)을 사용하며, 1가닥은 반드시 접지선으로 활용하여 접지되어야 한다.

   4. DC 전원선(주로 정류기의 출력 부하 전선)3.5/3C+, -, G

     구성하여 배선한다.

   5. 전원선의 케이블트레이 포설 또는 바닥 배선시에서 가요전선관(후렉시블)전선을 보호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AC용의 콘센트는 반드시 접지형 콘센트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6. 전원 분전반측은 전원차단기, 랙측은 2구접지형 콘센트를 이용하여

     멀티 6구 이상의 산업용 멀티콘센트(가정용 멀티콘센트 금지)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7. 차단기 설치관련

     . 습기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로서 인축사고가 예상되는 곳은 누전차

        단기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 적산전력량계를 사용할 경우

        적산전력량계 전단의 연결은 분전반의 동버스에 연결을 권장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분전반 누전차단기 2차측에서 적산전력량계를

        연결한다.

     . 적산전력량계를 사용하지 아니할 경우

        아파트측 분전반의 누전차단기를 활용하거나, 아파트측의 분전반 

        내 누전차단기가 없는 경우에는 당사 랙내 누전차단기를 설치한다.

     . 정류기를 설치할 경우

        AC 입력전원의 연결은 아파트측 분전반(MDF) 직접 동버스에

        연결하거나, 아파트측의 동의가 불가할 경우에는 당사 랙내 누전차

        단기를 설치한다.

 

   8. 전기사용신청 및 적산전력량계 설치

    . 전기사용은 유지관리 및 경제성을 검토하여 한전 또는 관리소측으로부터 수전을 받도록 한다.

      1) 아파트 관리소측에 신청시

         아파트 관리소측에 수전신청을 하며, 이 때 시설하는 적산전력량계는 단지별 2대 이하(L3, L21개소) 시설을 원칙으로 한다.

      2) 한전에 신청시 : 소규모 아파트단지의 경우 유리

         아파트관리소측의 동의(변압기공동이용각서)를 받아 한전에 수전신청을 한다. (이 경우, 1단지 1개의 적산전력계가 지급되며, 적산전력계로부터 각 동간 구내전원케이블 시설작업 수반)

    

    . 적산전력량계 설치시 MDF실 또는 지하동 외벽의 적정한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하되 반드시 아파트 관리소측과 사전협의를 통하여 향후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6. 아파트 구내에 인위적 정전장애 예방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안내문 스티커를 반드시 부착하여야 하며, 관리사무소측과 긴밀한 협의를 통하여 구내정전작업에 대한 사전통보 및 ISP와 고객에게 통보가 가능토록 한다.

    . 구내분전반 전면

 

 

    . 구내분전반 내부

 

 

  ② 접지시설

   1. 낙뢰 및 Surge 등으로부터 설비를 보호하고 설비운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통신용 접지시설과 시스템간 상호 간섭으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통접지방식을 답변확정한다.

   2. 통신접지(단지내 메인접지 ~ 랙간)MDF실의 통신 메인접지판에 연결하여 구성하며, 접지선은 GV 5.5/1C이상의 규격으로 KS 또는 이와 동등이상으로 인정되는 제품을 사용하고 터미널 러그는 2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현장여건을 고려 O자형 1(U자형 러그 사용 금지)을 사용할 수 있다.

   3. MDF실 외의 통신 메인접지판이 없는 경우(동장비함) 케이블 트레이나 건축물 구조체 철근을 이용하여 접지를 구성하되, 접지선 접속시 반드시 터미널 러그를 이용한다.

   4. 전원접지는 전원분전반의 접지바와 랙내 전원콘센트 간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5. 장비접지는 랙과 장비(L2/L3Switch)간에 연결하여 구성하며, 접지선은  GV 3.5/1C의 규격으로 KS 또는 이와 동등이상으로 인정되는 제품을 사용한다.

 

 [광케이블 시설]

   광케이블 시설은 선로업무지침에 준하여 시설한다.

 

 [UTP 케이블 시설]

  ① 공통사항

   1. 장치간 케이블 접속용 주요 소요공구

 공 구 명

  

 사다리

 케이블랙 작업시 사용

 케이블 박피용 칼

 케이블 박피용

 케이블 절단용 가위

 케이블 심선 절단용

 스트리퍼

 케이블 심선 외피 탈피용

 포박침

 케이블 포설 포박용

 가위

 케이블 외피 절단용

 광섬유 접속기

 광섬유 접속용

 임펙트툴(5페어, 1페어)

 UTP 성단/접속용



 

   2. 장치간 케이블 접속용 주요 소요자재 내역

 자 재 명

  

광점퍼코드

광분배함(OFD)과 장비에 적합한 콘넥터가 양측에 부착되어야 한다.

UTP케이블(Cat5)

Ethernet 라인용(동장비함-IDF)

광케이블

주장비실과 동장비함 연결용

케이블 타이랩

케이블 고정용



  

 

2. 동장비함 ~ 메인IDF간 구성

    . 기본구성

     1) 각 동장비함에서 각동 메인IDF까지 UTP 케이블 50P이상을 포설한다., 세대수가 적은 경우 또는 배관내 시설공간이 부족한 경우는 UTP케이블 25P 또는 4P 여러 조를 포설할 수 있다.

     2) 각 동장비함에는 Patch Panel 24Port를 설치하여 UTP 케이블을 성단하고, 각동 메인IDF에는 110블럭 50P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3) UTP케이블 50P를 이용하여 Patch panel 24Port에 수용할 수 있도록 1Port2P만을 성단한다.

    . Patch Panel 시설 및 UTP케이블 성단

     1) Patch PanelEnhanced Category 5등급 이상을 사용하여야 하며, 19"RackMounting Hole 간격에 맞추어 Screw를 이용하여 장착한다. 

     2) UTP케이블 50P를 여유있게 포설하고 Patch Panel에서 1~24Port까지 길이에 맞추어 충분한 여장을 두고 자른다.

     3) 24Port Patch PanelUTP 케이블 50P24Port를 구성하므로, 1Port2P만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4) 25 페어 케이블의 페어 구분 칼라 링을 참고하여 각각의 위치에 맞게 포트별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다.

 

     5) 케이블 컨넥션은 50P 케이블 순번을 준수하여 순서대로 110 컨넥팅 Block에 등색과 녹색만을 연결하고, 나머지 갈색과 청색은 비워둔다.

 

     6) 접속방법에서는 T568AT568B가 있으며 이 중 T568B 방식을 답변확정하여 모든 케이블의 접속에 적용하며, 접속 방식이 중간에 변경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7) 각각의 케이블을 칼라위치에 맞추어 와이어가 빠지지 않을 정도까지 끼운 다음 임펙트툴을 이용하여 접속한다.

     8) Patch Panel의 제작사에 따라 약간의 상이함이 있으나, 접속 방법은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한다. (색상표 주의)

     9) 랙에 Patch Panel을 설치하고 하단에 케이블가이드를 설치하여 UTP Patch Cord 연결시 케이블이 외관에서 보이지 않고 깔끔하게 정돈될 수 있도록 한다.   

     10) Patch Panel을 랙에 설치한 후 아래와 같이 식별표를 제작하여 부착하여야 한다.

 

 

    . 110블럭 시설 및 UTP케이블 성단

     1) 메인IDF내에 110 블럭을 견고하게 설치한다. 이때 설치전 케이블의 인입, 인출의 방향에 맞추어 케이블의 충분한 굴곡 반경을 고려한다

     2) 인입 케이블의 길이는 곡률반경 및 접속여장을 고려하여 절단하고, 커넥팅 블럭의 길이에 맞게 케이블을 탈피한다.(각각의 페어도 곡률반경을 고려한다.)

     3) 케이블의 칼라링 코드에 맞게 각각의 케이블을 커넥팅 블럭의 레이스 웨이에 알맞게 설치한다.

     4) 커넥팅 블럭에 케이블의 위치를 확인하고 110C 5P 커넥터를 끼우고 펀칭툴을 이용하여 접속하며, 펀칭툴은 5페어를 한번에 펀칭하는 것이 좋다.

     5) 각각의 110C형 커넥터를 조립하고, 케이블의 잘려진 스크랩을 정리한다. (스크랩으로 인하여 타 선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6) 인출되는 케이블을 케이블의 여장 및 굴곡반경을 주의하여 컷팅 및 탈피한다.

     7) 탈피된 케이블을 각각의 칼라코딩이 인입케이블과 맞게 110C의 레이스 웨이에 빠지지 않도록 끼운 다음 5 페어형 펀칭툴을 이용하여 각각 컷팅 및 펀칭하여 마무리한다.(5페어용 펀칭툴을 없는 경우 1심형 펀칭툴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8) 110블럭에 성단이 마무리되면 IDF 함체에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고, 케이블에 식별표를 부착하여 용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 UTP 케이블 포설

     1) UTP 케이블 포설은 아파트 환경에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포설을 하되, 표준 공법을 준수하여 포설한다.

     2) 케이블의 보호를 위하여 배관 및 보호 자재를 활용, 케이블이 손상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한다.

 

   3. 메인IDF ~IDF간 구성

    . 기본구성

     1) 각동 메인IDF에서 중간층 층IDF까지 UTP 케이블 25P를 포설한다.

     2) 각동 메인IDF50P110블럭에 성단하여 구성하고, 중간층 층IDF측에는 25P110블럭에 UTP 케이블을 성단하여 구성한다.

     3) 각동 메인IDF 및 중간층 층IDF에서 근접한 각 층IDF까지는 케이블 4P?2회선을 시설하여 구성하며, 각 층IDF에는 10P110블럭에 케이블을 성단하여 구성한다.

     4) 층간 배관내의 만공 및 노후화로 시설공간이 부족할 경우 메인IDF에서 각 층IDF까지 4P?2회선을 직접 시설하여 구성할 수 있다.

 

    . 메인IDF110블럭에 UTP 케이블 성단 방법

     1) 단자함에 UTP 케이블을 성단하는 순서는 가장 인접한 층부터 순서대로 성단한다. (동장비함이 지층에 있을 경우 하층부터 상층 순으로 하며, 메인 IDF는 주로 1층에 위치한다.)

     2) 각 케이블을 110블럭의 순서를 맞추어 삽입한 다음 임펙트툴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접속 및 컷팅한다.

     3) 110블럭에 각 포트의 용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라벨에 기재하여 레이스 웨이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4) UTP케이블의 종단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케이블에 식별표를 부착 한다.

     5) UTP케이블의 심선번호 순서는 4P인 경우 “백청→청→백등→등→백녹→녹→백갈→갈” 순서로 하며, 25P인 경우 색상 순서표를 참조하여 순서대로 구성한다.

     6). 성단된 110블럭은 단자함의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고, 케이블에 식별표를 부착하여 용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IDF110블럭에 UTP 케이블 성단 방법

     1) UTP 케이블 4P*2를 포설하는 층단자함의 종단에 110블럭 10P용을 설치하여 종단 처리한다.

     2) IDFUTP케이블의 정렬 순서는 메인IDF에서 접속한 케이블의 색 배열과 반드시 일치하게 구성하여야 한다.

     3) 각호와 연결되는 UTP 케이블은 2P만을 연결하므로 선번 기재 시 2P 단위로 선번을 부여한다.

     4) 성단된 110블럭을 IDF 단자함의 여유공간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케이블에 식별표를 부착하여 용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1. 다이렉트 케이블

      L2 Switch ~ 가입자 PCUTP 케이블은 다이렉트(1:1) 케이블로 구성한다.

    . 케이블 제작시에는 줄무늬, 단색(진한색)의 순으로 배열한다.

    . HUB(Switch)PCUTP케이블의 색상배열은 동일하게 한다.

 

   2. UTP케이블 제작 절차

    . 케이블을 원하는 길이에 맞게 절단한다. 이 때 사용하는 케이블의 규격은 Cat 5 이상을 사용한다.

    . 스트리퍼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양쪽 끝부분을 벗겨낸다. (RJ-45 CAP을 사용하려면 벗겨내기 전에 미리 넣어둔다.)

    . 케이블의 양쪽 끝을 색상별로 꼬여 있는 것을 푼다.

    . 케이블의 한쪽끝을 색상을 맞게 배열 및 규정대로 다시 재배치 한다.

       (흰주, 주황, 흰녹, 파랑, 흰파,, 흰갈, 갈색)

    . 가지런히 한 후 피복에서 엄지손톱 정도로 니퍼를 사용하며, -모양으로 잘라낸다.

    . 흐트러짐 없이 가지런히 RJ-45에 삽입한다.

    . RJ-45에 삽입한 UTP케이블이 빠지지 않게 잘 잡은 후 UTP Tool에 삽입한 후 꽉 집어준다., 이때 케이블의 종류는 다이렉트 케이블을 사용한다.

    . UTP케이블은 1,2(흰주,주황)Tx, 3,6(흰녹,)Rx 이며, 전체 4P2P(4개선)만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이 때 규정된 기준에 따라 색상배열을 정확히 맞추어 제작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색상별로 꼬임수가 틀리고, 그 꼬임수에 따라 저항값이 틀려 좋은 효율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UTP케이블 제작후 핀배열과 색상 : EIA/TIA T568B 표준 준수

            

      핀번호

1

2

3

4

5

6

7

8

색깔

/

/

/

/



 

 

 

 [시험개요 및 관련근거]

  ① 시험개요

     아파트 광LAN 공사후 UTP케이블에 대한 링크성능 시험은 케이블 특성, 접속자재, 패치코드, cross-connect wiring, 전체 접속점의 수, 설치 및 유지보수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항목을 시험한다.

  ② 관련근거

   . 주거용 건물에 대한 구내통신선로설비의 기술표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3.12)

      . TIA/EIA-568-B.1, TIA/EIA-568-B.2의 기술표준    

 

 [시험방법 및 구성]

  ① 성능시험은 단자함(IDF)의 패치패널 측에 현장시험기를 설치하고 그 선로의 종단이 되는 인출구에 리모트(remote) 현장시험기를 설치하여 현장에 시설된 케이블링의 전송특성을 측정한다. 

  ② 시험구성도

 

 

 [시험항목]

  ① 자재규격 확인

    1. 대상 : UTP케이블, Patch panel, 110블럭

    2. 규격 : Category 5e  

 

  ② 선번 확인시험(와이어 맵)

      각 구간의 정확한 배선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으로, 배선의 단선이나 뒤바뀜이 없어야 한다.

 

  ③ 배선구간의 길이 측정(Length)

     구간배선 구간(Patch panel~세대단자함)의 길이를 측정했을때 패치코드를 포함한 동선로 구간의 길이는 90m를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③ 전기적 특성시험

   1. 특성임피던스 : 생략가능

      1Mhz ~ 16Mhz의 주파수 영역에서 구내배선 구간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의 허용오차는 공칭 임피던스의 ±15Ω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UTP케이블은 보통 100Ω으로 매겨지는데 이 값은 케이블의 전 대역폭에 일률적이어야 한다.

 

   2. 반사손실

      한쪽 끈에서 다른쪽 끝으로 신호가 지나갈 때, 일종의 장애물에 의해

     서 모든 신호가 다 지나가지 못하고 일부는 튕겨나와서 시작점으로

     되돌아 가다가 손실되는데, 이렇게 튕겨 나와서 손실되는 신호의 세기

     를 나타낸다.

      주파수(MHz)

1

16

100

최소반사손실(dB)

17

17

10



 

 

   3. 최대 삽입손실(감쇠)

      모든 신호는 Source로부터 멀리 전달됨에 따라 점점 약해지며, 케이블링을 따라 흐르는 LAN신호도 예외는 아니다. 멀어짐에 따라 신호 레벨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말한다.

      주파수(MHz)

1

16

100

최대감쇠(dB)

2.2

9.2

24.0



 

   4. 누화손실

      서로다른 전송 선로상의 신호가 정전결합, 전자결합 등 전기적 결합에 의하여 다른 회선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말한다.

      주파수(MHz)

1

16

100

최소근단누화 손실(dB)

60.0

43.6

30.1



 

 

   5. 전력합 누화손실

      2개의 페어간에 발생되어지는 불필요한 신호의 간섭과 혼선에 대하여 감쇠의 정도를 의미하지만 멀티 페어에서는 일대 다수의 영향력에 대한 ELFEXT갑이 네트웍의 신뢰성 정도를 가늠하게 된다., 하나의 페어에 나머지 모든 페어들이 동시에 감쇠와 간섭을 끼치는 값이다.

      주파수(MHz)

1

16

100

최소 전력합 누화손실(dB)

57.0

40.6

27.1



 

 

   6. ELFEXT PSELFEXT

    . ELFEXT (Equal Level Far End Crosstalk)

        반대편의 입력 측에서 발생하는 출력 신호에 대한 감쇠와 간섭이 발생하게 될 때 그 값의 차이를 말하며 일종의 ACR(Attenuation To CrossTalk Ratio,신호와 노이즈와의 관계를 감쇠와 근단누화의 차이를 값으로 표현한것)이라 할수 있다.     

    . PSELFEXT (Power Sum Equal Level Far End Crosstalk)

        2개의 페어간(Pair to pair)에 발생되어지는 불필요한 신호의 간섭과 혼선에 대하여 감쇠의 정도를 의미하지만 멀티 페어에서는 일대 다수의 영향력에 대한 ELFEXT값이 네트워크의 신뢰성 정도를 가늠하게 된다., 하나의 페어에 나머지 모든 페어들이 동시에 감쇠와 간섭을 끼치는 값이다 

      주파수(MHz)

1

16

100

최소 ELFEXT

57.4

33.3

17.4

최소 PSELFEXT

54.4

30.3

14.4



 

 

   7. 전파지연(Propagation Delay / Delay Skew )

    . Propagation Delay : UTP케이블의 꼬임 차이로 Pair간의 실제길이는 서로 다르며 신호의 전달 속도도 차이가 발생된다.  이때 UTP 4Pair 모두의 신호가 전달되는 전달시간을 말한다.

    . Delay Skew : UTP 케이블의 가장 빠른 페어와 가장 느린 페어의 전파지연 사이의 차이이다. 각 페어의 Propagation Delay가 다를 때, 가장 빨리 도달한 페어를 기준으로 각 페어의 도달 시간차를 나타내는 것이 Delay Skew이다.

      주파수(MHz)

1

10

16

100

Propagation Delay(ns)

555

555

555

555

Delay Skew(ns)

50

50

50

50



 

 

 

 

[붙임1] 준공검사시 착안사항

 주장비실 장치시설

 주장비실 장치시설

 주장비실 장치시설

 주장비실 장치시설

 주장비실 장치시설

 주장비실 장치시설

 동장비함 장치시설

 동장비함 장치시설

 동장비함 장치시설

 동장비함 장치시설

 동장비함 장치시설

 동장비함 장치시설

 전원/접지 시설

 전원/접지 시설

 전원/접지 시설

   - 아파트관리소에 신청시

 전원/접지 시설

 전원/접지 시설

 전원/접지 시설

 전원/접지 시설

 전원/접지 시설

 광케이블 포설

 광케이블 포설

 UTP 포설

 UTP 포설

 UTP 포설

 UTP 포설

 UTP 포설

개통시험

개통시험

구분

착안사항

비 고

 랙내 장비배치

 OFD→장치(L2,3 Switch)Patch Pannel 순서 확인

 

 주장비실 장치시설

 MDF실 시설여부 (MDF실 외 시설시 사유확인)

 

 랙 바닥 고정상태

 

 랙 표준규격 시설여부 (19인치, 시건장치, 문개폐 용이여부, 지정지입자재 사용여부)

 

 L3스위치 시설상태 확인

 

 광분배함 시설 및 광코아 여장정리 상태, 선번표기 여부

 

 광케이블 시설 및 광케이블 여장정리 상태, 명찰부착 여부

 

 케이블 가이드 시설 및 정리상태

 

 동장비함 장치시설

 시설위치에 대한 적정성 (유지보수, Corverage, 환경 등 고려)

 

 벽취부 상태 (안정성, 시설높이 1.2m~1.5m)

 

 랙 표준규격 시설여부 (19인치, 시건장치, 문개폐 용이여부)

 

 L2Switch 장비 시설상태 확인

 

 광분배함 시설 및 광케이블 여장처리 상태

 

 광분배한 광케이블 APT 구내망 선번표시 상태

 

 케이블 가이드 시설 및 정리상태

 

 전원/접지 시설

 전원선 규격 확인 (3.5/3C 난연전력케이블(TFR-CV,F-CV))

 

 랙측 산업용 멀티콘센트 사용여부(가정용 콘센트 금지)

 

 누전차단기 시설여부 (중복사용 여부 확인, 단말측과 근접위치 시설)

 

 적산전력계 설치 상태 (2개소/단지, L3,L2 Switch1 )

 

 정전주의 스티커 부착 상태 (2개소, 구내분전반 외부/내부)

 

 MDF실 통신접지 상태 (메인 접지판 이용, GV 5.5/1C 이상의 KS규격 사용)

 

 MDF실 외 통신접지 상태 ( 케이블트레이 이용, 접지저항 확인필)

 

 전원접지 상태(전원분전반 접지바~랙 멀티콘센트간)

 

 장비접지 상태 (GV 3.5/1CKS규격 사용)

 

 광케이블 포설

 포설 루트 최적 여부 및 거리 확인

 

 케이블 명찰 부착 상태

 

 취약개소 확인

 

 UTP 포설

 UTP 배선기준 준수 여부 (동장비함~메인IDF: 50P/25P, 메인IDF~IDF: 25P/4P)

 

 Patch panelUTP성단 상태 확인 및 식별표 부착여부

 

 UTP 케이블 표시찰 부착여부 (Patch panel 및 각 IDF/종단점)

 

 UTP 케이블 여장 처리상태

 

 IDF110블럭 고정 상태

 

 구간별 UTP케이블 배선연결(선번) 여부 확인

 

개통시험

 인터넷 속도 측정(상향, 하향)

 

 경로 품질측정 및 장비간 품질측정 (HFC 설비업무지침 참조)

 

 UTP케이블에 대한 링크성능 시험

 



 

[붙임2] 동장비함 선번장 양식 (작성예)

 

L2 Switch 선번장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1

101

102

301

201

501

601

701

702

103

104

304

203

706

705

604

704

703

1003

1103

1304

1704

1804

1301

#2

2

801

 

1705

 

 

1703

 

 

불량

 

 

 

 

 

 

1206

 

 

 

 

1703

 

 

 

3

802

 

 

 

 

 

 

 

 

 

 

 

 

 

 

 

 

 

 

 

 

 

 

 

4

 

 

 

 

 

 

 

 

 

 

 

 

 

 

 

 

 

 

 

 

 

 

 

 

5

 

 

 

 

 

 

 

 

 

 

 

 

 

 

 

 

 

 

 

 

 

 

 

 

6

 

 

 

 

 

 

 

 

 

 

 

 

 

 

 

 

 

 

 

 

 

 

 

 

7

 

 

 

 

 

 

 

 

 

 

 

 

 

 

 

 

 

 

 

 

 

 

 

 

#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1

1702

1801

1706

1806

1306

1005

1105

206

106

306

105

405

505

606

403

503

302

402

1001

1102

 

 

 

#1

2

 

 

 

 

 

704

 

 

 

502

 

 

 

 

 

103

 

 

 

 

 

 

 

 

3

 

 

 

 

 

803

 

 

 

 

 

 

 

 

 

1303

 

 

 

 

 

 

 

 

4

 

 

 

 

 

 

 

 

 

 

 

 

 

 

 

 

 

 

 

 

 

 

 

 

5

 

 

 

 

 

 

 

 

 

 

 

 

 

 

 

 

 

 

 

 

 

 

 

 

6

 

 

 

 

 

 

 

 

 

 

 

 

 

 

 

 

 

 

 

 

 

 

 

 

7

 

 

 

 

 

 

 

 

 

 

 

 

 

 

 

 

 

 

 

 

 

 

 

 



 

Patch Pannel

#1

#2

#3

#1

○○층~△△층

○○층~△△층

○○층~△△층

○○층~△△층

○○층~△△층

○○층~△△층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1

101

102

301

201

402

501

601

 

701

702

801

 

1001

1102

 

 

1301

 

 

 

1702

1801

 

 

2

 

 

302

 

 

 

 

 

 

 

802

 

 

 

 

 

 

 

 

 

 

 

 

 

3

 

 

 

 

 

 

 

 

 

 

 

 

 

 

 

 

 

 

 

 

 

 

 

 

#2

○○층~△△층

○○층~△△층

○○층~△△층

○○층~△△층

○○층~△△층

○○층~△△층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1

103

104

304

203

403

503

604

 

704

703

 

 

1003

1103

 

 

1304

1303

 

 

1704

1804

 

 

2

 

 

 

 

 

502

 

 

803

 

 

 

 

 

 

 

 

 

 

 

1703

 

 

 

3

 

 

 

 

 

 

 

 

 

 

 

 

 

 

 

 

 

 

 

 

 

 

 

 

#3

○○층~△△층

○○층~△△층

○○층~△△층

○○층~△△층

○○층~△△층

○○층~△△층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1

106

105

306

206

405

505

606

 

706

705

 

 

1005

1105

 

 

1306

 

 

 

1706

1806

 

 

2

 

 

 

 

 

 

 

 

 

 

 

 

1206

 

 

 

 

 

 

 

1705

 

 

 

3

 

 

 

 

 

 

 

 

 

 

 

 

 

 

 

 

 

 

 

 

 

 

 

 



 

 

※ 작성시 주의사항

   ○ 현장여건상 해당 선번장 지우고/쓰기가 어려움에 따라, 변경사항만 수기로

      기록하여, 최하위단 기록된 내용이 해당 Port 선번으로 인식

   ○ 기재 내역이 양식을 넘을 경우 신규 양식으로 변경

   ○ 본 양식은 현장여건에 따라 일부 변경이 가능하나, L2 Switch, Patch Pannel

      Port 선번 식별은 가능하여야 함

 

단자함은 어떤 것이 있고 역할은...

... 동장비함~옥외단자함간은 전체세대수의 50%이내, 옥외단자함~각세대간은 100%를... 메인IDF의 110블럭에 UTP 케이블 성단 방법 1) 단자함에 UTP 케이블을 성단하는...

아파트 통신망(구조), 단자함,원텐블럭...

... 도대체 어떤 용도 인 건가요? 3. 원텐블럭에 씌워진... 좀 있고, 층간단자함은 한줄이던데, 각각 역할은 뭔가요? 너무 어렵게 생각하시는 같습니다. ***** "그냥 쉽게...

아파트 단자함 장비 질문

... 장비의 역할입니다. 우선 케이블부터 보면, 회색 UTP... 위해서는 어떤 장비를 어떻게 교체해야하는지, 결선을... 일단 세대내 단자함에 전원도 있고, 기가비트 들어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