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공50+]리눅스를 제가 사용할 용도로 설치하고 이것저것 만져보고 싶은...

[내공50+]리눅스를 제가 사용할 용도로 설치하고 이것저것 만져보고 싶은...

작성일 2003.09.08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리눅스 사용 경력이 채 일주일도 안되어서 -_-; 모르는게 많습니다.

고수분들의 자문을 구해봅니다.

========================================================================================

1. TV카드

sigma tv II를 가지고 있습니다.

bt878칩셋이구요..

리눅스용 TV프로그램이 있다면 시청이 가능할까요?

가능하다면 가능한 리눅스 버전이나 이름과 필요한 프로그램좀 가르쳐주세요.

(1)

윈도우ME모드.;;

시그마컴 홈페이지에서 받은 프로그램으로 보면 오버레이 안되는 그래픽카드에서 보듯이 버벅댑니다.

근데 미디어 플레이어 클래식으로 보면 진짜 TV와 똑같이 화면이 자연스럽게 나옵니다.소리가 안납니다.

오디오에서는 선택 가능한게 없습니다. -_-;

이 증상은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컴퓨터가 너무 꼬져서...이건 아닌거같습니다.

프로그램의 어떤 문제같은데....

2. 인터넷

그리고 리눅스에서 '무선'인터넷도 가능할까요?

한국통신 네스팟...-_-;

(1)가능할때

http://onair.co.to/

여기와 같은 곳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로 TV를 보여주는데...리눅스에서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3. 리눅스 설치

옛~~날에 하드문제로 리눅스 깔았을때 본건데 무슨 추가 프로그램이나 게임 같은거도 많이 있던데..-_-;

TV보고 '무선'인터넷하고 하는데만 지장이 없어야 할때 꼭 필요한 설치 프로그램이나 패키지들좀 가르쳐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리고...이정도 스펙이라면 리눅스 깔고 그놈;;;? 설치해도 별로 무리가 없을까요?


펜티엄 200mhz (클래식, 프로 이런거 모르겠습니다-_-;)

아수스 p/ixp@#$&보드

matrox mystique pci 2mb

etherlink III 3com 랜카드 isa

도대체 알수없는 isa카드

128mb 72핀램들

2.1GB quantum 골치아픈 하드

16X 엘지시디롬

250W세븐팀파워-_-


질문이 너무 많네요..;;

이 많은 것들을 성심성의껏 열심히 답변해 주신 분께 내공 50(혹은 그 이상) 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리눅스에서 TV보기

1. 위 사이트 가서 리눅스에서 TV보는 방법 확인해 보세요.
요즘은 대부분 TV를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위 사이트는 제가 예전에
근무했던 회사입니다. 제가 만든 문서가 별도로 있는데 찾지를 못하겠네요. ㅜ_ㅡ
한컴리눅스 뿐만 아니라 타 리눅스에서도 7.x 계열 이상의 리눅스라면 BT878 칩셋은 무난하게
지원하므로 큰 어려움 없이 설정 후 TV 시청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1-(1) 의 내용은 별도의 해결 방법이 없을 듯 합니다. H/W 자체 문제인 듯...

2. 무선인터넷 지원하지 않으므로 답변은 X

3. 요즘 나오는 리눅스의 설치 용량과 질문을 올리신 분이 사용하려는 PC사양을 볼때
일반적인 게임과 X윈도즈, 그리고 TV 시청기능까지 포함되려면 글쎄요...
하드 공간이 부족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울러 저 PC 사양에서 돌아가기에는 조금 버벅임과 설정의 어려움이 찾아올 듯 하네요.
X윈도를 띄우고 기본적인 오락과 리눅스 활용을 하고자 한다면 6.4GB 정도의 HDD가
적당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럼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선 무선인테넷 됩니다
내스팟 당근 되고여
좀 설정이 복잡해서 그렇지
우선 커널은 최신 커널이어여합니다

여기여 수정하기 삭제
hys545 (2003-09-01 09:27 작성)


넷스팟(nespot) 무선랜 사용하기,,RedHat8.0에서
글쓴이 : Myung Hwan, Park (2003년 02월 17일 오후 10:13) 읽은수: 1,973 [ 네트워크 ]
RedHat 8.0
2.4.18-14커널 버전에서
NESPOT사용하기

Copyleft by Myung hwan, Park
South Korea
email : [email protected]

누구나 이 메뉴얼(?)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다른 곳에 이 글을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내용 전체를 복사해서 사용해 주길 바랍니다.
의문점은 언제나 환영이니 메일 주세요.

먼저..존칭 생략합니다 :)
먼저 이 메뉴얼을 만든 동기는 3일 꼬박 밤을 새며 작업해서 겨우 성공한 내용을 그냥 두기 아까워서이며, 또한 많은 리눅서들이 아직도 wireless landcard(Intersil chip)을 잡지 못해 리눅스에서 무선랜을 사용 못한다는 안타까움에서 이다.
원어(영어)사이트를 돌아다니면서 3일 만에 성공한 내용을 이렇게 정리한다. 물론 한국 유저 분들의 실행방법들도 여기에 들어 있다.
많은 사람들이 그것도 못했냐 라고 물을 수 있지만, 아직 성공하지 못한 분들을 위해 이 메뉴얼을 작성한다.
또한, 한국통신 직원의 무지 함을 참다 못해 이 메뉴얼을 작성한다.(물론 모두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필자가 상담한 직원이다)
어떤 직원은 NESPOT 관련 직원이면서 MAC ID 인증방식과 프로그램(계정) 접속 방식을 바꿀 수 있는 메뉴가 http://www.nespot.com 홈페이지에 존재 한다는 것 조차도 모르고 있다.

필자의 pcmcia wireless lancard는 한국통신 NESPOT가입으로 제공 받은 것이다.
홈페이지에서 확인 결과 Intersil chip을 사용한다.

모든 과정은 root권한으로 실행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root권한이 필요 없는 부분도 있겠으나 편의상 그렇게 하기로 한다.

#####################################################
#. 준비물(?)
1. 먼저 http://www.nespot.com에 접속하여 자기 정보 변경 부분에 간다.
2. 비밀번호 변경을 클릭한다.
3. 왼쪽 메뉴에 보면 ID 정보변경 메뉴가 있다. 클릭한다.
이 메뉴의 용도는 사용자가
One Click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즉 계정을 사용하여 NESPOT을 사용할 것인가
아니면 MAC ID를 이용하여 별도의 접속 프로그램 없이 접속 할 것인가
를 정하는 메뉴이다.
MAC ID는 wireless lancard 뒷면에 적혀 있다.
MAC ID 라는 부분을 찾으라. 글씨가 작다면 돋보기를 쓰자 =)
사용자가 언제 든지 원할 때 변경 시킬 수 있으므로 걱정하지 말자.
4.MAC ID 넣는 부분에 자기 wireless lancard의 MAC ID를 적어 넣자.
확인 클릭.
이제 완료 되었다.
만약을 위해 무선랜을 쓰기 원하는 컴퓨터를 재부팅 하자.
One Click 프로그램 실행(계정접속)없이 인터넷이 된다면
성공이다.
다시 프로그램(One Click, 계정) 접속을 하고 싶다면
홈페이지에 들어서 다시 1, 2, 3번을 반복한다.
물론 3번 처럼 MAC ID를 다시 입력 시킬 필요는 없다.
그저 확인만 클릭하라.
5. gateway, broadcast 주소를 적어 놓자.
하나 더 SSID를 적어 놓자.(아마 NESPOT일 것이다)
또 하나 Channel을 적어 놓자.
6. PCMCIA를 사용 할 수 있게 커널을 설정하고 컴파일을 하자

이제 준비는 끝난거 같다.

#####################################################
#. pcmcia 설정 in kernel
커널 컴파일 시에 설정해 줘야한다.
필자의 설정을 보자

*General Setup -> PCMCIA/CardBus support
(m) PCMCIA/CardBus support
(y) CardBus support
(y) Databook TCIC host bridge support
(y) i82092 compatible bridge support
(y) i82365 compatible bridge support

*Network Device support -> PCMCIA network device support
(y) PCMCIA network device support
(m)....
(m)....
.
.
(m)....
(y) Pcmcia Wireless LAN
(m)....
(m)....

단지 wireless lancard for NESPOT을 위한 필자의 커널 설정이다.
이 설정이 이상하더라도 잘 랜카드는 잘 잡힌다는 것을 알아 달라.
다시 한번 언급하기는 초보자를 위한 메뉴얼이다.

과감하게 커널 컴파일에 들어가라.
커널 컴파일 부분은 kldp, lug, 등등 을 통해 터득할 수 있다.
http://www.kldp.org
http://www.lug.or.kr
게으른 필자를 욕하지 말기를..

######################################################
#. 드라이브 인스톨 부분.

1. kernel compile
모든 커널 소스가 깔려 있어야 한다.
한번 커널을 컴파일 해야한다.
2. http://www.linux-wlan.com/ 에 가서 최신 드라이브를 다운 받는다.
Intersil chip을 지원하는 드라이브를 받기 위해 이 사이트를 택했다.
(여기서는 linux-wlan-ng-0.1.16-pre9.tar.gz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3. tar명령으로 압축을 푼다.(필자는 /tmp 디렉토리에 다운받아서 풀었다.)
tar zxvf linux-wlan-ng-0.1.16-pre9.tar.gz
4. /tmp/linux-wlan-ng-0.1.16-pre9에 압축일 풀린다. 폴더 안으로 이동한다.
5. make config 실행
실행 내용이다.(필자의 실행 내용이다)

Build Prism2.x PCMCIA Card Services (_cs) driver? (y/n) [y]: y
-pcmcia 카드를 설치 원하면 y를 누른다.
Build Prism2 PLX9052 based PCI (_plx) adapter driver? (y/n) [y]: n
Build Prism2.5 native PCI (_pci) driver? (y/n) [y]: n
Build Prism2.5 USB (_usb) driver? (y/n) [y]: n
Linux source directory [/usr/src/linux]: /usr/src/linux-2.4.18-14
-이 부분은 커널 소스가 설치 되어 있는 경로를 지정해 줘야 한다.
틀리다면 필자와 같이 자기 소스가 설치 되어 있는 곳을 지정해 준다.
대부분 /usr/src 디렉토리안에 있는 디렉토리 중 하나이다.
*참고로 링크된 디렉토리가 아닌 실제 소스가 설치된 경로여야 한다.
linux-2.4 linux-2.4.18-14 redhat
pcmcia-cs source dir [/usr/src/pcmcia-cs-3.1.29]:
-처음 설치시에는 이 메뉴는 나오지 않았다. 필자의 경우
PCMCIA script directory [/etc/pcmcia]:
-그냥 이 부분은 enter를 쳐 준다.
만약 자신의 pcmcia설정 디렉토리가 틀리다면 그 곳으로 설정을 해 줘야한다.
Alternate target install root directory on host []:
-이 부분도 그냥 enter
Module install directory [/lib/modules/2.2.20]: /lib/modules/2.4.18-14custom
-이 부분은 자신의 리눅스의 모듈이 설치된 곳의 경로를 설정해 줘야 한다.
Prefix for build host compiler? (rarely needed) []:
-보시다 시피 거의 필요가 없다고 영어로 나온다 ^^;
그냥 enter 쳐 준다
Build for debugging (see doc/config.debug) (y/n) [y]: y
이곳까지 컴파일과 설치를 위한 설정부분이다.
6. make all 실행
필자는 이 부분에서 몇가지 warning과 오류를 보았다.
폐기된 함수를 호출하는 등등.. 다른 대체 함수로 바꿔주라는 말이 나오면 그것들을 찾아서 바꿔 주라.
그리구 다시 컴파일(make all)한다. =)
7. make install 실행
자신의 모듈이 설치된 디렉토리에 가 보자.
필자는 /lib/modules/2.4.18-14custom으로 갔다.
여러가지 디렉토리가 있지만 그 안에 있는 pcmcia디렉토리(/lib/modules/2.4.18-14custom/pcmcia)로 가보자.
prism2_cs.o가 있어야 된다.

#######################################################
#. pcmcia를 새로 시작한다.
/etc/rc.d/init.d/pcmcia restart (엔터)

#######################################################
#. 이제 pcmcia카드를 장착한다.
이 때, 삑~ 삑~ 고음의 삑 소리가 두번 나면 똑바로 잡힌 것이다.
만일 저음의 소리 삑이 난다면 잡히지 않은 것이다.
cat /var/lib/pcmcia 해서 보면 unsupported card라고 나올 것이다.

#######################################################
#. 이제 만일 저음 빼엑~ 소라가 났을 때의 설정법이다. (잡히지 않았을 때)
tail /var/log/message (엔터)
그 부분에 보면 unsupproted card라고 있는 부분이 있다.
밑으로 보면
cardmgr[1204]: unsupported card in socket 0
cardmgr[1204]: product info: "MMC Technology", "WAVECAST MW1000PCM", "", ""
cardmgr[1204]: manfid: 0x000b, 0x7300 function: 6 (network)
이런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을 활용해서
/etc/pcmcia/config 안에 한 부분에 디바이스를 등록한다.
예를 들면
#added by user
device "prism2_cs"
class "wlan-ng" module "prism2_cs"
# added by user
card "nespot wireless lancard"
version "MMC Technology", "WAVECAST MW1000PCM", "", ""
manfid 0x000b, 0x7300
bind "prism2_cs"
정확하게 위의 형식으로 하면 문제 없을 것이다..
똑같은 랜카드라면 말이다. ^^;

########################################################
#. 이제 다시 wireless 랜카드를 뺐다가 장착한다.
삑 삑 명쾌한 고음의 소리가 2번 나면 성공.

########################################################
#. 이제 ifconfig, iwconfig를 실행해 본다.
ifconfig wlan0 (엔터)
하면 정보가 쭉 나온다.
필자의 화면이다.
[root@psychometrer pcmcia]# ifconfig wlan0
wlan0 Link encap:Ethernet HWaddr 00:30:0D:04:F8:3B
BROADCAST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100
RX bytes:0 (0.0 b) TX bytes:0 (0.0 b)
Interrupt:3 Base address:0x100
이런 식으로.. =) 구럼 랜카드 잡힌 것이다.
iwconfig (엔터) 해보자.
필자의 화면이다.
lo no wireless extensions.

wlan0 IEEE 802.11-b ESSID:"NESPOT" Nickname:"NESPOT"
Mode:Managed Frequency:2.447GHz Access Point: 00:30:0D:03:4B:CF
Bit Rate:2Mb/s Tx-Power:2346 dBm
Retry min limit:8 RTS thr:off Fragment thr:off
Encryption key:off
Link Quality:92/92 Signal level:-40 dBm Noise level:-98 dBm
Rx invalid nwid:0 Rx invalid crypt:0 Rx invalid frag:0
Tx excessive retries:0 Invalid misc:0 Missed beacon:0
이렇게 나온다.

혹시 모르니 이부분에서 잘 안된다면 리부팅 후 이 부분 부터 다시 해 보라.


#######################################################
#. 필자의 경우 랜카드 wlan0가 iwconfig, ifconfig로 있다는 것은 나오지만
xwindow에서 네트워크 설정판에서는 장치를 찾아 볼 수 없었다.
물론 device목록에 있지도 않았다.
정말 난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생각 끝에 이런 방법은 어떨까 하고 생각해 보았다.
결국 성공했다.
어쩌면 참 무식한 방법인지도 모르겠다.
1. /etc/sysconfig/networking 로 간다
2. ifcfg-lo 라는 파일을 devices/ 안으로 복사해서 ifcfg-wlan0라는 파일로 만든다.
cp ifcfg-lo ./device/ifcfg-wlan0
3. ifcfg-wlan0 를 설정한다. 원래 있던부분을 바꾼다.
그 내용이다
DEVICE=wlan0
ONBOOT=yes
BOOTPROTO=dhcp
IPADDR=
NETMASK=255.255.255.0
GATEWAY=220.122.8.1
TYPE=Wireless
USERCTL=no
PEERDNS=yes
NETWORK=220.122.8.0
BROADCAST=220.122.8.255

*중요한 것은 윈도우에서 미리 gateway, broadcast 주소를 알아 놔야 한다.
4. 이제 xwindow에서 랜카드 설정을 하자.
지금까지 잘 따라 왔다면 /usr/bin/neat를 콘솔에서 실행하자.
메뉴에 어디 어디에 있다고 말 할 수는 있지만
서로 다른 환경을 생각해서 콘솔에서 실행 할 것을 추천한다.
필자의 RedHat 그놈 환경의 메뉴에서는 시스템설정 -> 네트워크 이다.
분명 비활성화 상태의 Wireless 장치가 보일 것이다.
보이는가? 보이는가?
neat 실행 이전에 하나님께 기도를 드려도 좋다.
효과가 아주 뛰어나다.
이제 모든 것은 끝났다.
왼쪽 프로파일 부분에 v체크를 해준다.
그리고 편집을 누르자.
이제 우리가 설정 할 부분은 일반, 무선 설정 부분이다.
*일반에서..
기본으로 dhcp가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호스트명(선택사항)에 http://www.nespot.com을 넣자.
*무선설정에서...
모드(Mode)는 Auto를 해도 잘 작동한다.
네트웍명(SSID)는 NESPOT 이다.
채널(Channel)을 적어 넣자. 준비물에 적어 두라고 일렀었다.
송신률은 Auto나 11M을 선택하자.
*정말 중요한 것..
마지막에 "적용"을 꼭 눌러 주라.
그리고 활성화를 클릭해 보라.
활성화가 됐다면.. 닫기 클릭.

모든 설정은 끝났다.

########################################################
#. 마지막으로 부팅 중에 랜카드 인식을 위해서는 pcmcia카드가 network인식보다 먼저 되야 한다.
/etc/rc.d/rc3.d 에 가보자
K15httpd, S17keytable 등등 많은 것들이 있을 것이다.
보시다 시피.. K다음에 있는 숫자를 유심히 보라!
물론.. S다음에 있는 숫자도.
그것은 바로 실행 순서인 것이다 ^_^
S부분에 보면 pcmcia와 network가 있을 것이다.
pcmcia가 network보다 번호가 크다면 부팅중 pcmcia 랜카드 인식이 안된다.
필자는 S10network, S54pcmcia였지만 바꿨다.
그래서 S09pcmcia, S10network로 만들었다.
순서를 바꾸는 방법은 너무 쉽다.
network보다 앞에 숫자 중에 사용되지 않는 것이 있다면(필자는 09번이 사용되지 않았었다)
mv S54pcmcia S09pcmcia (엔터)
저렇게만 실행 해 주면 부팅중에 랜카드 인식이 된다.

#########################################################
#. 혹시 여기까지 모두 성공했고 ip까지 할당 돼었는데도 인터넷이 안된다면 이렇게 해 보라
1, 2 중에 하나를 골라 해 보라.
1. 재부팅한다.
재부팅 후에 ifconfig를 하면 wlan0가 없을 것이다.
그냥 ifconfig wlan0 up 해 주면 된다.
2. PCMCIA 카드를 빼고 pcmcia를 재 실행 시킨다.
/etc/rc.d/init.d/pcmcia restart (엔터)
다시 PCMCIA카드를 꼽는다 삑 삑 소리가 날 것이다.
ifconfig wlan0 up 해 준다.
3. 또 하나의 방법은 부팅시에 랜카드 인식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부팅후 ifup wlan0라고 하면 몇가지 에러가 뜨긴 하지만
역시 IP 할당이 된다.

이제는 잘 될 것이다.

I hope you really enjoy your swimming in the linux world the free world.
Take courage! There is nothing to worry about.
God bless you so much tons!
[수정]

궁금한게 있으,면 bbs.kldp.org여기다거 물어보세여 여기 리녹스 고수들이 모인곳이져




내용출처 - http://kltp.kldp.org/stories.php?story=03/02/17/7635401

(내공有)니콘D90렌즈 최종확정을 위한...

... 렌즈 더 주는 패키지로 구입하려다가 제가 처음사용하... 제가 연습하려고 이것저것 만져보고 찍어 보는거... 왜냐면 조금 쓰다보면 자신의 용도에 맞게 바꾸고 싶은...

컴공과 진학해서 정보보안전문가가...

... 정보보안전문가가 되고싶은 고1 여학생입니다. 어릴 때 부터 컴퓨터가 좋아서 만져보고 배우다가 점점 흥미를... 쓰여지고, 내공50%를 돌려받으실수 있습니다) 아래...

프로그래머에 관해서 [내공100] !!!

... 많아져서, 이것저것 고민하고있어요.. 좀많지만... 제가볼땐 내공따려고 그런말 하신듯 한데요 거짓정보를... 주로 사용하였던 윈도 대신 리눅스가 대체되고 있는 형편이어서...

노트북 사려는데 봐주세요ㅜㅜ

... 뭐 이것저것 싼거 찾아도옵션다하면 비싸지더라구요. 그래서 솔직히 가격대도 잘 못정하겠어요. ... 50만원대의 제품은 그냥 일상적인 복합용도로 사용하는...

DSLR 구입에 관한 고수님들의 도움이~~

... 된다면 이것저것 걸리는게 있더라구요...^^ 나중에는 캐넌 5D 나 니콘 D300 제품으로 가보고 싶은 맘이 있어서요...근데 못갈수도 있죠..ㅜㅜ 위에서 설명했듯, 사용자가...

리듬게임추천 ( 내공 : 100 )

... 다운로드, 설치, 사용, 옵션 설정 등 여러가지로 개인... 설정까지 만져보실 수 있습니다. 상용 리듬게임 못지... 것이라든지 이것저것 물어보고 싶은 것이 있다면...

제로보드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전혀...

... 내공 40 겁니다!! 안녕하세요. 제로보드 처음에 무척이나 난감할 것입니다. 설치 전에 체크해야할 내용도... 작업할 컴퓨터의 운영체제가 리눅스인 경우: zb4pl8.utf8.tar.gz...

익스프레션좀 정리해주세요 ^^..(내공50)

... 알아보고 설치방법과 사용법을 구체적인 예제를...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할테지만 리눅스에서도... 자바의 import 명령어를 이용하여 사용하고 싶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