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급함....최대내공검...컴퓨터잘아시는분만보세요

엄청급함....최대내공검...컴퓨터잘아시는분만보세요

작성일 2005.02.27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컴퓨터사려고하는데컴퓨터사양에

CPU
메인보드
메모리
그래픽카드
하드디스크
ROM/RW
사운드카드
랜[LAN]
파워
케이스

이러한것들이있네요...
1.이것들이무엇이고
2.이것들이좋으면어떤게좋아지는가
알려주세요....
무쟈~~게급함....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cpu : 사람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의 모든 연산을 처리 하는 것. 이것이 좋아야 컴퓨터가 빠름

메모리 : 임시적으로 정보를 저장 하는 장소. 모든 자료를 하드에 저장 했다 불렀다 하면 너무 늦기 때문에 메모리가 이 역할을 한다.

그래픽카드 : 말 그대로 그래픽을 담당하는 장치. 게임을 하는데는 이것이 필수 다. 3D 를 지원 해야 하는것은 기본

하드디스크 : 저장장치 모든 자료는 이곳에 영구히 보존된다.

Rom/Rw : 롬은 씨디롬을 말함. CD를 집어 넣고 읽는 장치
RW는 씨디를 읽거나 쓸 수 있는장치.

사운드 카드 : 소리를 낼 수 있게 하는 장치

랜 : 인터넷 연결을 할 수 있게 하는 것

파워 :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케이스 : 컴퓨터의 껍질. 우리가 보는 컴퓨터 본체의 모양이 바로 케이스

어떤 컴퓨터가 좋은가 하면. 보통
CPU 가 높은것(ex : 팬티엄4)
메모리가 높은것 (ex : 512 Ram)
그래픽 카드가 좋은것 (지포스 2)

그 이외에 옵션으로 R/W 가 달려 있으면 좋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답변입니다.

1번에 대한 답변은제가 쓴 노하우를 붙이겠습니다.

질문을 보니까 PC를 조립하시려는 것 같은데요.

가격대와 용도를 쪽지나 메일로 말씀해 주시면 견적을 뽑아드리겠습니다.^^

1. CPU

CPU라는 것은 인간에 뇌에 해당 하는 것입니다.(대부분 알고 계십니다.)

이 CPU라는 것이 좋으면 좋은데 다른 부품들도 이에 맞춰서 해줘야 합니다.

이게 비싸면 다른 것들도 비싸집니다.

회사는 대표적으로 AMD와 인텔이 있습니다.

AMD는 하이퍼 트랜스 포트™라고 FSB 버스가 1Ghz(1024Mhz)입니다.

이것도 좋다고 쳐준다고 합니다.

그리고 3D now!™가 3D 게임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리고 64Bit와 32Bit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4월 29일에 나올 Windows XP 64비트 에디션에 좋습니다.

그 대신 한꺼번에 여러 개를 틀어 놓는 데는

아주 조금 안 좋은 면이 있습니다.

별 상관 없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여러 개 한꺼번에 많이 하시는 분들 께는 비추천합니다.

인텔은 노스우드 C 버전 CPU부터 하이퍼-쓰레딩 기술을 지원합니다.

이것은 가상의 CPU를 하나 또 두는 것이나 마찬가지인데요.

별 다른 좋은 게 없다고 하지만 실제 성능은

최대 8배 까지도 나온다고 합니다.

여러 개 한꺼번에 하는 분들께 좋습니다.

그리고 AMD가 3D 더 좋다고 하시는 데 인텔 프레스캇이 더 잘 나온다고 합니다.

그리고 AMD의 64비트에 맞서 인텔 프레스캇 6XX기종이 나왔습니다.

이것은 5XX기종의 32비트가 아닌 64비트를 쓰고

L2캐쉬가 2메가로 올랐습니다.

FSB 800Mhz라는 것은 그냥 200Mhz를 4배 뻥튀긴 거라고 합니다.

5XX기종도 분명히 64비트 파이프가 있다고 하는데

그 기능을 Enabled 모드로 만드는 법은 나중에 나올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5XX기종에는 J가 붙은 버전도 있는데 J 좋습니다. 정품쿨러로도 충분합니다.

인텔 펜티엄 4 익스트림 에디션이라는 것도 있는데 비쌉니다.

이것은 프레스캇 7XX로 6XX보다 먼저 나왔는데 L3캐쉬도 있는데

무지 비쌉니다. 당연히 64비트 지원되고요.

저는 개인적으로 인텔 추천합니다. 안정성이 더 좋습니다.

2. VGA

이 VGA 카드라는 것도 고르기 어려운 것입니다.

VGA는 비디오(그래픽) 카드인데 nvidia와 ATi라는 양대산맥이 있습니다.

nvidia는 지포스 계열이고 ATi는 레이디언(라데온) 계열입니다..

몇 달 전 까지만 해도 AGP가 많았는데 이제는 신기종인 PCI-Express가

점점 세력을 차지해 가고 있습니다..

AGP방식은 지포스 5700이 보급형이구요.

ATi로는 9550이 보급형입니다.

ATi의 9550은 가격대 성능비가 왕대박이라서 그렇다고 합니다.

nvidia는 색감이 차갑고 ATi는 밝아서

ATi는 영화보기 하고 그래픽용으로 대부분 쓰이고요..

nvidia는 보통 게임할 때 씁니다.

이제 엔비디아는 쿼드로 라는 것도 있습니다. 비쌉니다.

ATi는 X850(XT)이라고 비싼 물건을 내놓았습니다.

현재로서는 256MB가 용량이 제일 높은 듯한데요.

여기에서도 코어 클럭, 메모리 클럭이라는 게 있습니다.

Nvidia는 둘 다 균형있게 잡힌 것이 좋다고 하고요.

ATi는 코어 클럭이 높은 게 좋다고 합니다.

둘 다 25만원대 부터는 메모리를 GDDR3 SDRAM 이라는 것을 써서

메모리 클럭 속도가 장난이 아닙니다.

Nvidia의 6600GT가 좋은데요..

이것은 거의 게임용입니다.

현재로서는 안 되는 게임이 없습니다.

ATi는 원래 게임에 약했는데 제가 써보니까 그렇게 나쁘지는 않습니다.

Game on 이라는 기능이 생겨서 그런 것 같습니다.

이것은 어떻게 제가 강추할 만한 것은 없고요..

지포스로 하신다면 AGP이건 PCI-Ex이건 6600GT 리드텍 것 추천합니다.

5700 하실거면 기가바이트 것을 추천하는데 단종되었습니다.

파는 사람들과의 대화는 이렇습니다.

손님 : 지포스 5700 기가바이트 있어요?

직원 : 아니요. 그 대신 5700V 버전 있습니다.

라고 하는데 V버전이나 LE버전 같이 붙은 것들 사지마세요.

원래 리드텍이 비싼 회사인데 현재 상황으로는 싸졌다고 합니다.

ATi는 AGP면 9550으로 하시고요. 대략 10만원 조금 넘습니다.

좀 더 좋은 플래티넘 같은 것은 13~15만원 할 거구요. 플래티넘 더 추천..

PCI-Ex방식으로 하신다면 X600Pro 256메가 짜리 추천합니다.

제가 쓰고 있습니다. 256이라서 기분 좋습니다.

그런데 그래픽 작업을 장난 아니게 많이 하신다면

X700이상은 권해드립니다.

ATi 회사는 바이텔이나 빅빔을 쓰는 게 좋습니다.

사파이어가 써있는 정품 제품을 씁니다.

ATi나 nvidia나 둘 다 끝에 알파벳 붙은 것들 XT 빼고는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ATi에서 피하셔야 할 알파벳은 SE 같은 겁니다.

그래픽 카드는 64메가 짜리 말고 128메가 이상짜리 쓰세요.

64메가로는 게임하는데 1년도 못 버틸 수도 있습니다.


3. 메인보드

이제 메인보드 네요.

메인보드는 CPU나 VGA만큼 중요하고 호환성을 봐야 하기 때문에

번호로 나눕니다.

(1) 칩셋

(I) 인텔

인텔의 칩셋은 아주 많습니다. i865시리즈, i915시리즈, i925시리즈

.기타 등등이 있는데 지금은 기타 등등 뺀 3가지가 잘 쓰입니다.

i875와 i925시리즈는 각각 i865와 i915시리즈와 다 같은데

딱 하나 다른 것은 P.A.T 라는 테크놀러지가 들어가 있습니다.

그것은 게임 같은 것들을 원활히 돌아가게 해줍니다.

가격은 그거 하나로 천차만별 이구요.

i925XE라는 칩셋이 최신 칩셋인데요.

이 칩셋은 인텔 펜티엄4 익스트림 에디션용으로 나온 것입니다.

그래서 이것을 쓸 일은 없을 듯 하구요..

처음에는 이게 아주 좋아보였는데 그냥 쓰지 마세요..

돈 버립니다.. 나중에 또 좋은 CPU에 맞는 새로운 칩셋이 나올 겁니다.

2006년에 펜티엄 5 같은 게 나올 거라고 한 듯 합니다.

동작 클럭이 4Ghz입니다. 앞으로 1년 뒤 입니다.

그래서 i865와 i915시리즈를 선택하시는 게 좋은 선택이고요.

PCI-Ex지원되는 i865칩셋도 있습니다.

그냥 915 쓰시는 편이 나을 듯 합니다.;

915중에서도 AGP와 PCI-Ex 지원 되는 메인보드가 있는데요.

회사가 별로 좋지 않은 회사더군요..;

그리고 중요한 것은 칩셋 뒤에 있는 알파벳 입니다.

어떤 특정한 알파벳이 붙은 칩셋은

그래픽 카드가 온보드 입니다.

온 보드이면 그래픽을 구현하기 위해서

램 메모리에서 빼가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 그래픽 카드의 한계가 64메가이다,

하면 CMOS 설정에서 램에서 아무리 많이 빼게

설정을 해도 64까지밖에 안 올라갑니다.

그리고 온보드 그래픽 카드는 별로 좋지 않습니다.


(II)AMD

AMD에 대해서는 저도 자세히 아는 바가 없는 듯 합니다.

칩셋은 VIA, nForce2 (Ultra), nForce4(Ultra),와 새로나온 nForce SLI가

있습니다.

SLI기능 이라는 것은 PCI-Ex는 PCI-Ex x 16이라고 되어있는 것 아십니까?

어쨌든 그렇게 되어있는데 PCI-Ex슬롯이 메인보드에 2개 있습니다.

그래서 그래픽이 딸린다, 하시면 같은 회사와 같은 모델로 하나 끼워주시면

그래픽이 PCI-Ex x 8이 됩니다. 그 대신 그래픽 메모리가 올라갈 것 같습니다.

그래픽이 실제 2개 끼운 것 만큼도 나온다고 하니

끌리면 오라![펑]사라;...[퍽]

그리고 nForce 2울트라가 nForce4 울트라 보다 안정성이 더 좋습니다.

그냥 이 정도만 할게요..;

(III) 회사

메인보드는 회사도 잘 골라야 합니다. 좋은 회사는

ASUS, ABIT, Gigabyte 정도 입니다.

제가 ABIT 쓰는 데 좋은 것 같습니다.

기가바이트는 안정성이 좋은 메인보드 이구요.

아수스는 간혹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는데

그럴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아수스도 수입회사가 있는데 수입회사는 STCOM 이 더 낫다고 합니다.

(IV) 추천

메인보드를 추천합니다.

(IV-1)AGP
ASUS P4P 800 SE STCOM : 아주 대표적입니다. 소켓 478에 호환됩니다.
GiGabyte GT: 이름은 까먹었지만 GT 붙은 것이 좋습니다.

(IV-2)PCI-Ex
ASUS P5GD1(Pro): PCI-Ex방식을 지원하면서 좋은 것들 입니다.프로던 아니던
상관은 거의 없는 듯 합니다.

Gigabyte Duo (pro) : 듀오는 램 메모리 방식을 DDR과 DDR2를 지원합니다.

ABIT AG8 : 제가 씁니다.; 그 대신 이건 S-ATA 용이니까 주의 하세요.

(V) 호환

호환성 아주 중요합니다.

CPU와도 봐야되고, VGA와도 봐야하고, 하드와도 봐야 합니다.그리고 운나쁘면

조립은 되었는데 소프트웨어적으로 잡히지 않는 것을 고를 수도 있습니다.

CPU가 현재로서는 LGA 775가 가장 좋습니다. 그에 따른 메인 보드도

소켓 478을 지원하는 것보다는 비쌉니다.

VGA도 PCI-Ex를 지원하는 것도 아주 조금 더 비쌉니다. 이건 안 그런 것도
있지만요..

보통 LGA 775 소켓 지원 하는 메인보드면 VGA도 따라서 PCI-Ex 지원됩니다.

하드 SATA전용인지도 확인하시구요..

철저히 점검을 하신 후에 해야 합니다.

드디어 메인보드의 끝입니다..;


4. 사운드 카드
사운드 카드는 메인보드에 달려있는 온보드 형식이라서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요즘 메인보드에 말이죠.

5. HDD(하드)

하드는 보통 SATA 방식과 IDE 방식으로 나뉩니다.

SATA가 더 빠릅니다.

IDE는 꼭 8M 버퍼가 달려있는 것으로 하십시오.

영화를 보신다면 용량은 120GB 이상으로 하시구요.

그래픽 작업을 하신다면 값은 비싼데 엄청나게 빠른 하드가 있습니다.

160GB IDE 8M짜리랑 엄청나게 빠른 하드 74GB 짜리랑 맞먹더라구요..

회사는 삼성이 좋습니다. AS 안전빵입니다.

씨게이트는 좋긴 하지만 AS가 삼성보다는 불편합니다.

웨스턴 디지탈은 유체 베어링이라는 것을 써서 소음을 줄인 제품이 있습니다.

6. ODD(CD드라이브)

ODD는 LG, 삼성, LiteON(SONY)로 하시는 게 좋습니다.

영화를 보시고 한다면 DVD라이터 까지 추가된 것으로 하시는게 4배는 빠릅니다.

LG 모델로는 GSA 라고 되어있더라고요.

영화 안 보신다면 콤보로도 충분합니다.

7.케이스

자기 마음에 드는 것이 가장 좋은 듯 하구요.

성능면으로 봐서는 GMC 풍(H60)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프레스캇 같은 거 쓰신다면 에어가이드 장착되어있는

제품이 좋고요.

8. 파워 서플라이

파워.. 중요합니다. 파워는 다른 기계들에 에너지를 공급해줍니다.

뭐 프레스캇도 300W면 충분하다고 하는데 절대 아닙니다.

350W이상이어야 좀 파워다운 거겠습니다. 이제는 말이죠..

파워가 제대로 공급이 안된다면 기계들의 손상을 재촉합니다.

그냥 그 자리에서 잘못 되어 버릴 수도 있구요.

회사는 역시 에너맥스가 가장 좋은 듯 하구요.

에너맥스 말고는 시소닉도 좋습니다.

시소닉은 FB 같은거 붙은 게 좋습니다.

에너맥스가 팬메이트라는 기능이 들어있어서 소음을 적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오버클럭 할 때도 좋습니다.

뭐.. 오버클럭정도 까지 하는 분들이라면 이런 것들은 안 보시겠죠..;

9. 전체적인 것들

드디어 제일 앞쪽에 썼던 것에 다다르게 됐네요.;

컴퓨터는 밸런스도 존재합니다.

앞에서도 조금씩 설명해 왔던 겁니다.

하나만 너무 좋으면 그 하나는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뭐.. 한단어로 말하자면 하나가 잘났는데 걔를 싫어서 왕따 시키는 거겠죠.[퍽];

그리고 CPU 하이퍼 쓰레딩 기술 지원되는 것은

XP 장치 관리자에 보면 똑같은 게 두 개가 있습니다. 잘못 된 것 아니고요.

지우면 안 좋습니다. 듀얼 CPU입니다.(가상의 CPU가 하나 낀 거로 인식하는

것 같음)

그리고 시기 상조적으로 너무 좋은 것 사지 마세요.

비싸게 주고 샀는데 몇 달 뒤면 새로운 칩셋이 나오고 소켓이 나옵니다.

VGA나 다른 장치들도 그렇고요.

지금 상황으로 자신 한테 맞는가를 보시고

지금 저 제일 좋은 거 사면 그런 거 생각하지 마시구요.

잘 생각해보신 후에 맞추세요.

자, 이제 조립 하시려는 분들께 건투를 빕니다.

잡담. 이거 쓰는 데 1시간 반 걸렸습니다.-_-;;
어이쿠, 몇 년이 지난 후에 봐도 볼 만하게 하려고 했는데
현재 것만 써버린 것 같네요.-_-;
역시 한국인은 한 치 앞도 못 내다 보는 듯 합니다..;
저만 그런 듯?..;

끝입니다.
내용출처 : [직접 서술] 직접 서술


2. CPU가 좋으면 대부분의 처리 속도가 좋습니다.

이것도 게임의 원활한 플레이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래픽이 좋으면 3D게임 등에 좋습니다.

하드디스크는 좋으면 용량이 높고 파일처리속도가 빠르고 무소음입니다.

RW는 시디를 굽고 다시 쓰고 그런 것입니다.

사운드카드는 좋으면 지원하는 채널이 높아집니다.

랜은 무선랜 유선랜도 있고 지원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파워는 중요합니다. 이게 다른 부품에 전력을 제대로 공급을 못 해주는 것을 쓰면 망가집니다.

케이스는 디자인과 성능을 같이 살펴야 합니다. 안의 부품들을 잘 식혀주는 게 좋습니다.

윈XP홈과 Pro는 Pro가 더 좋습니다.

DVD/콤보는 DVD읽기도 되고 RW의 기능도 지원합니다.

지금은 DVDRW+CDRW를 영화볼 때는 씁니다.

TV수신카드는 컴퓨터로 TV를 본다는 소리일 겁니다.

FDD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로 요즘은 CD-RW가 있기 때문에 필요 없다고 봐도 됩니다.

인터넷 공유기는 인터넷 하나 쓰는 곳에서 연결해주면 다른 컴퓨터도 인터넷이 되게 해주는 겁니다. 유선과 유무선이 있습니다.

잘만쿨러는 무소음으로 유명한 쿨러입니다.

이상 답변이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프로세서] 펜티엄4 3.0E [800MHz/1MB]
[메모리] PC3200 DDR 512MB 삼성전자
[메인보드] ASRock P4VM8 (VIA PM800)
[하드디스크] 무소음 80GB 7200rpm 2MB
[그래픽카드] 지포스급 DDR 그래픽코어
[광드라이브] 52X COMBO DVD+RW LG
[네트워크] 10/100Mbps 퍼스트 이더넷
[사운드카드] 사운드코덱 6채널 3D 양방향지원
[케이스] 굿디자인 아이구주 CP501
[파워] 300W 정격 펜티엄4/AMD64 지원
[운영체제 OS] 윈도우XP 홈에디션 [XP셋팅/CD]

이정도면 현제 있는게임은 렉없이 잘 돌아가는 컴퓨터 입니다,,조립이지만,,
이정도로 사시는게 적당하구요,,
대충 정리 해드리겟습니다

cpu:음,, cpu좋으면 속도 빨라지죠,, 속도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메인보드: 음,,인간으로 따지자면 몸이라고 생각하면돼요,,
모든 컴퓨터에 원동력 여기다가 다 꼳고 써야하죠

메모리: 램이죠,, 속도도 자우하면서 클릭속도 그런걸 감지하죠,,

그래픽카드: 3d지원 그런거,, 좋을수록 더 빨라짐니다 가속이 더빨라지기 때문에

하드디스크: 음,, 용량이라고 할까요? 80g면 쓸만함니다

row/rw:음,, 이거는 복합용이죠,,? 보통 씨디롬은 그냥 읽는거만 되지만
라이터기라고도 하죠? 씨디를 구울수있는 장치

사운드카드: 게임 사운드를 지원해주는 카드

랜카드: 인터넷 연결하는장치죠,,ㅎ

파워: 이거는 컴퓨터 오래 돌릴수 있을지 없을지 결정하는거죠,,
좋으면 1루 켜놔도 끄떡없어요,, 보통꺼는 1루 켜놓으면 엄청뜨거워지죠,, 나중에는,, 과열로,,컴퓨터 못킴,,,

케이스: 컴퓨터 보면 파워키고 그런거 있죠? 그런게 케이스
피시방마다 컴퓨터 틀리잔아요,, 케이스차이,,ㅎ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씨피유는 사람으로 치면 머리..동작 속도로 구분하는데 3.0이면
1초에 30억번을 동작한다는 뜻입니다...그러니 이게 높을수록 좋겠죠??

2. 씨피유와 그래픽 카드,,램등 여러 부품들을 연결해주는
다리입니다..메인보드는 여러가지 부품들이 모두 모이는
것이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아야됩니다.그래서 메인보드도
저가를 사면 안되지요..

3.램은 씨피유가 처리할 명령어나 데이터가 펼쳐지는 곳입니다..
하드안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를 씨피유로 곧바로 안가고 램으로
거쳐가게 됩니다..그래서 씨피유는 보다 좋은 환경에서 작업을
할수 있는거죠..이것도 용량이 클수록 좋습니다...
pc3200 = ddr400 / pc2700 = ddr333 / pc2100 = ddr266...
램을 듀얼로 구성하는 이유는 씨피유가 800입니다...
그래서 1기가 하나를 안쓰고 512두개를 쓰는거죠..
1기가(400),,,512 * 2(800)...아시겠죠??

4. 씨피유에서 처리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바꿔
모니터로 전달하는 것입니다..

5. 하드디스크는 말그대로 각종 자료를 저장하는곳입니다..
클수록 좋고 메모리 버퍼도 2M 보다는8M가 좋습니다.

6. 시디롬 / 사운드 카드 / 랜 / 파워 / 케이스는 기본적인
것이니깐 뺄게요ㅋㅋㅋㅋ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각 부품들의 의미 및 기능 설명 (간단하게)

CPU 는 중앙처리장치 라는 것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컴퓨터의 빠르기를 말할때 2.8GHz, 3.0GHz 등으로 설명을 하는데 일단 이 숫자는 무조건 높은 것일수록 컴퓨터의 성능도 좋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단 성능이 좋으면 가격도 비쌉니다.)

메인보드는 컴퓨터의 모든 부품을 한데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부품입니다. 의미 그대로 해석하면 주 기판이라는 것인데 역시 모델명이 높을수록 컴퓨터 성능은 좋아집니다.

메모리는 보조기억 장치의 일종인데 이것의 용량도 높을수록 좋습니다. 보통의 환경에서는 메모리의 용량이 늘면 컴퓨터의 속도도 빨라지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래픽 카드는 주로 게임에 많이 좌우되는 것입니다. 화면에 그림을 출력해 주는 보조 장치인데, 컴퓨터 게임을 많이 하는 분에게는 좋은 그래픽 카드가 필요하겠지만, 게임을 하지 않고 사무용이나 연구용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분들께는 그리 좋은 그래픽 카드는 필요 없습니다.

하드 디스크에는 윈도우가 보통 설치 되는데 하드 디스크의 용량이 많아지면 담아놓을 내용이 많아지므로 좋습니다.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많을수록 보통 속도도 빨라지기 마련입니다.

CD-ROM / CD-RW 이것은 시디롬 드라이브를 말하는 것인데 요즘은 보통 콤보 드라이브를 많이 씁니다.

사운드 카드; 컴퓨터에 소리를 출력해 주는 장치인데 요즘은 보통 메인보드에 장착되어 나오는 것이 대부분이라 전문 음악 작업을 하시는 분이 아니라면 설치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랜; 초고속인터넷을 사용하시려면 랜 카드는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목적이라면 8000~12000원짜리의 대만산 Realtek 호환 제품이 무난 합니다. 랜 카드도 요즘은 메인보드에 딸려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워는 컴퓨터의 모든 부품에 전기를 공급해 주는 장치이며 용량은 300~350W 정도가 적당합니다. 케이스는 우리가 흔히 보는 컴퓨터 껍데기를 말합니다.



질문 하신 내용을 보니 생 초보이신 것 같은데.. 일단 컴퓨터를 구입 하시려면 무조건 좋은 것을 구입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일반 가정집에서 게임 조금, 인터넷 조금 하다 마는 정도의 이용자라면 그리 좋은 사양이 아니더라도 사용에는 큰 지장은 없답니다.

컴퓨터 구입에 도움이 되는 사이트는 다나와 [www.danawa.co.kr] 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는 컴퓨터 부품들의 가격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해 놓은 사이트라, 여기에서 대충 가격을 맞춘 뒤에 매장에 가셔서 구매 하시면 조금이라도 바가지를 덜 쓰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아래 견적은 다나와 사이트의 '인텔 보급형' 견적인데 이 정도의 사양이라면 가정에서 사용하기는 큰 무리는 없을 겁니다.

CPU 인텔 셀러론 D 프레스캇 330
메인보드 ASRock P4I65GV(디앤디컴, 에즈원)
그래픽카드 ATI Radeon 9600 EVERTOP 128MB
메모리 삼성 256M DDR PC3200 X 2
하드디스크 Seagate 120G 7200RPM (7200.7)
광학드라이브 LG DVD-Multi GSA-4120B
케이스 GMC G-21 케이스
파워서플라이 개풍전자 GP-300LF

본체 가격은 약 60~65만원 정도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까지 추가한다면 80~100만원 정도면 집에서 사용하기 무난한 컴퓨터 한 대 장만하실 수 있을 겁니다.

혹은 www.danawa.co.kr, www.parkoz.com 등에 접속해 보신 뒤에 다른 이용자의 시스템 사양을 참고하셔서 구입하셔도 좋겠지요.

대해 정말 잘 아시는 분~~~~~내공 최대검..

... 없습니다,,, 잘 아시는 분이 있다면 도움을 받고 싶은데... 내공최대한 겁니다~ 미래가 걸린 중요한 일이니... 캠코더로 찍고, 컴퓨터로 편집하는 일은 돈 몇만원만 가지면...

자세히쫌 알려주세요^^최대내공검^^

... ㅠㅠ 치료방법쫌 자~~세히 적어주세요^^ 멀쩡한 컴퓨터에 님의 하드를 꼽고 바이러스 체크 해 보세요... 그리구요... 아마두... 하드가 파티션이 되어 있다면 D드라이브 쪽에...

컴퓨터 잘 아시는분만)[내공 30]

... 컴퓨터가 예전에 비해 좀 느려진것 같아요... 바이러스도 없는데... 저희집 사양 알려드릴테니 좀... 써보세요(불필료한 레지스트리,찌꺼지 제거)...

컴퓨터속도가 느려졌어요...급함(내공)

컴퓨터가 어느날갑자기 느려졌어요 다운로드속도가... 내공걸게요 빨리답해주세요ㅠㅡㅠ 참고가 될만해서 퍼왔습니다 전반적으로 검토 해보세요 (최강XP를...

직업관련 질문 급함 (내공 100검)

... 윈디아기준 내공냠냠 신고 프메신고 자세하고... (덱은 최대로) 저는 헌터를 추천하는데요... 다음은 헌터... 찍어보세요 말이안나옵니다 이정도면 충분히 키울수...

권율 키우는 방법~!! [급함]![내공]

... 돈버는 방법과 더불어 최소의 시간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둘... 돈 조금 엄청 겁나게 많이 필요 합니다 ^^ 제조 스킬은 군주의 경험을 좀더 쌓으신후 실행해 보세요 . 왠만한...

실행방법좀!!!!!!!!급함!(내공45검)

... 내 컴퓨터에 들어가서 실행을 시킬려고하는데... E:W는... 아시는 분들 좀 갈켜주세요!!!!!!부탁 참고로저희집 컴은... 해보세요..^^; 그것이 가짜라면.. 그렇게 실행이 안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