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링 치는법9월14일 까지

볼링 치는법9월14일 까지

작성일 2019.09.1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볼링을 해보려 하거든오
경기규칙 그런거 한개도몰라서
잘 맟추는버,점수보는법,잘치는법
같은것들을
알려 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볼링의 기본은 잘 칠려고 하지 말고 정확히 굴리려고 하여야 합니다.

멀리 있는 볼링핀을 초보자가 맞추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멀리 있는 볼링핀을 볼 필요없이 가까이에 있는 검은색 세모 모양의 스팟이라는 점이 있습니다.

프로볼러는 물론이고 20년 이상 볼링을 친 사람도 멀리 있는 볼링핀을 보고 던지는 것이아니라 가까이에 있는 스팟을 보고 굴리는 것입니다.

본인도 볼링 30년 이상 치면서 에버 180점이지만 아직도 스팟만 보고 볼링을 친답니다.

볼링은 양 고랑에 안 던지려면 무조건 스팟 가운데만 보고 굴려야 합니다.

볼링핀을 보는 순간 무조건 고랑으로 빠지는 것이 초보자 볼링 입니다.

그러나 볼링은 굴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에티켓이 우선 입니다.

볼링 에티켓을 모르면 왕따를 당하게 되고 옆사람과 싸우게 되고 다른 사람의 볼링을 피해주기 때문에 에티켓을 반드시 숙지하여야 같이 치는 사람들이 못쳐도 격려해 준답니다.

볼링 에티켓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하기 바랍니다.

- 레인에서 볼을 투구 시에는 좌우 측 레인에 투구하는 사람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볼링은 자신과의 게임입니다.

그래서 정신 집중이 아주 필요합니다.

자신이 어프로치에서 정신을 가다듬고 릴리스 할 때까지 누가 말 한마디만 걸어도 균형을 잃게 됩니다.

그래서 좌우 레인의 사람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신경을 써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좌우 옆 레인에 사람이 올라가 있을 때에는 투구가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레인에 올라가야 합니다.

처음 볼링을 접하는 사람들의 가장 범하기 쉬운 잘못 입니다.

- 로프트 볼링(Loft Bowling)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로프트 볼링이란 릴리스 때 볼이 자연스럽게 손에서 빠져나가서 굴러가야 정상인데, 그렇지 않고 볼이 던져지듯이 또는 공중으로 치솟다가 떨어져서 큰소리를 내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레인이 상하게 되고 손을 다치는 경우도 있어 조심을 해야 합니다.

- 고성방가를 삼가합니다.

볼링에 임하다가 종종 큰 고함소리나 비명소리 같은 것을 들을 수 있습니다.

자가 만족을 위해서 어느 정도의 파이팅 은 필요로 하겠지만 지나친 소음은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 음주 후 볼링을 하지 않습니다.

물론 음주한 사람에게 레인을 배정해주진 않지만, 음주 후 볼링을 할 경우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술 냄새 등으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당연합니다.

- 지정된 자기 볼을 사용합니다.

볼링장에는 하우스 볼이 비치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볼링은 아무런 준비 없이도 볼링장에 비치된 신발과 볼로 볼링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볼링에 임할 시에는 볼링 공을 가능한 한개를 사용합니다.

손가락 크기가 맞지 않아서 볼을 교체를 하는 경우 꼭 사용하던 볼을 치우고 가져다 놓습니다.

여러 명이 볼링에 임할 시 볼의 숫자가 많아지는 것은 당연합니다.

자신의 볼을 항상 확인을 하고 다른 사람의 볼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또, 게임이 끝난 후는 자신이 사용하던 볼은 꼭 치우도록 합니다.

- 볼링화에 물기 또는 이 물질이 묻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볼링화에 물기가 묻을 경우 어프로치에서 슬라이딩이 안 됩니다.

그러면 브레이크가 걸려 중심을 잃게 되어 앞으로 넘어지게 되어 큰 부상을 당하게 됩니다.

그래서 항상 신발 바닥에 이 물질이 묻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 투구 후 커버나 스트라이크를 쳤을 경우 서로 축하해주고, 오픈을 했을 경우 서로 위로를 해줍니다.

말 그대로 좋은 투구를 하였을 경우 축하 받고 싶은 맘은 누구나 있습니다.

그때 축하 받음으로써 더 기분이 좋아지고, 다른 사람의 좋은 투구를 볼 때 자기도 축하해주고 싶은 마음이 생깁니다.

오픈을 하였을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위로를 해으로써 기분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이런 행동은 말로도 하지만 간단한 행동으로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통상 서로 손뼉을 마주치는 것으로 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링 잘 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본 자세

1. 서둘지 않는다.

대부분의 실수는 자신의 어느 신체 한 부분을 무리해서 황급히 움직이는 데서 생긴다.

2. 천천히 리듬에 맞추어 가속한다.

3. 오른발을 똑바로 앞으로 내딛는다.

4. 무게 중심은 앞을 향하여 있어야 한다 < 움직이는 발의 앞 부분 >

5. 손목은 처음과 같이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6. 스윙은 몸과 가까이 붙은 체 스팟과 일직선 상에 있어야 한다.

7. 눈은 끝까지 스팟을 째려 보아야 한다.

볼링은 기본 자세가 제일 먼저 완성되어야 한다.

잘 칠려고 하지말고 기본 자세를 익힐려고 노력하여야 한다.

1.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자

처음의 자세와 마무리동작(릴리즈)까지의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어져야 하고 마지막 동작시 몸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2. 마음의 안정이 중요

너무 성급해하거나 조급하게 공을 굴리면 공도 거터로 빠질 확률도 높고 스트라이크는 더더욱 멀어진다.

마인드 컨트롤을 잘하여 편안한 마음을 가진다.

3. 본인만의 루트를 찾자

스트라이크존이 정해져있다고는 하지만 본인이 볼링을 쳐보면서 스트라이크가 특히 잘나오는 구간이 있다.

그 구간을 잘 파악하여 본인만의 루트를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4. 공을 놓을 때

볼링을 칠 때 공을 던진다는 느낌이 아닌 본인의 앞에 미끄러지듯이 놓는다는 느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자세

기본적인 자세는 4스텝으로 이루어져 있다.

1스텝 - 오른팔과 오른발을 동시에 움직이고 첫스텝과 동시에 볼을 앞으로 내민다.

2스텝 - 두번째 스텝은 왼발을 자신의 보폭 2/3정도로 이동하고, 앞으로 내민볼을 아래로 다운스윙 해준다.

3스텝 - 자신의 보폭 그대로 오른발을 앞으로 이동하면서 볼을 자연스럽게 백스윙 해준다.

4스텝 - 마지막 스텝은 걸음이 아닌 왼발을 슬라이딩 하듯이 하며, 오른손목을 고정하고 팔은 볼링의 가운데 핀으로 뻗듯이 직선 스윙을 한다.

릴리즈(마지막동작) - 볼이 손에서 떨어지는 순간을 뜻하는 것인데요 손가락은 엄지-중지-약지순으로 빠져나오며 자세는 상체를 앞으로 기울이고, 무릎을 굽혀 자세를 낮게 해준다. 공을 던진 오른팔은 그대로 수직을 이루어 뻗어준다.

볼링을 잘 치는 방법

첫째 : 볼링의 운동 철학(역학)이 무었인지 파악한다.

볼링은 알 맞아야 되는 운동이다.

너무 빨라도, 너무 늦어도, 너무 많아도, 너무 적어도, 너무 무거워도, 너무 가벼워도 안되고 자신에게 알맞아야 된다.

볼링은 지독히 물리학적인 운동이다.

볼링은 굴리는 운동인데 잘 굴리기 위해서는 물리학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작용 반작용의 법칙, 직선운동의 법칙, 위치-이동에너지의 법칙등 몇가지의 물리학적이론을 알면 크게 깨우칠수가 있다.

볼링은 자신과의 싸움이다.

모든스포츠가 자신과의 싸움이 아닌것이 있겠냐마는 볼링은 정말 자신과의 처절한 싸움이다.

안될때 왜 안되느냐를 스스로 질문하고 답변하는 인내와 끊기가 필요하다.

조금만 안되면 연탄굴리는 자세는 자신에게 철저히 패배하고 1000년 가야 발전이 없음은 뻔한 일이다.

왜? 안될까? 왜? 잘될까? 계속 생각하는 인내가 필요하다.

볼링은 육체보다 머리(아이큐)의 싸움이다.

미국의 유명한 프로 선수들은 대부분 왜소한 체격의 소유자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놈듀크는 165CM에 56KG의 체격이고 피트웨버는 170CM에 65KG이다. 그러나 이들은 한때 랭킹 1,2위를 다투는 훌륭한 볼러들이다.

남들보다 체격은 작지만 훨씬더 총명하고 지적 탐구 의욕이 강하다.

볼링은 마음이 착해야 잘친다(?)

착하면 요즈음 좀 손해 보는 세상이지만 마음이 편해지니 여유가 생기고 볼링의 모든것이 눈에 잘 들어온다.

둘째 : 볼링의 기술은 무엇인가? 를 알아야 내가 습득할 것이 무었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볼링은 육체적 기술정신적 기술이 있다고 했다.

육체적 기술은 1) 힘을 기르는 방법 2) 정확도를 늘이는 방법이 있고

정신적 기술은 1) 이론(지식) 2) 집중력 3) 진지한 태도가 있다.

볼링의 기술 연마의 단계는

처음에 힘을 기르고

다음에 이론을 조금 배우고

마지막으로 정확도 연습을 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힘을 기르는 것은 볼의 힘을 키우는 것으로

첫째 풋싱(밀어치기)을 익힌다.

풋싱(밀어치기)은 스피드를 키우는 제 1관건으로 볼링의 육체적 기술중 가장 중요하다.

스피드가 볼링에서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여성 볼러인 경우는 풋싱만 제대로 해도 에버리지가 많이 향상될 것이다.

스피드가 안 나오면 계속 밀어라. 앞으로 죽죽 밀어라.

풋싱다음에 리프팅을 익힌다.

리프팅은 회전을 내어주는 기술이다.

리프팅은 손가락을 하늘로 들어주는 동작이다.

하늘로 들어올려라.

리프팅은 중급 이상의 볼러의 기술이므로 초보자에게 가르치면 굉장히 어렵고 부상의 소지가 있으므로 초보자에게는 풋싱의 동작만 가르쳐야 한다.

하이볼러가 되면 턴(TURN)을 배워야 한다.

이란 리프팅에 의하여 만들어진 볼의 회전을방향을 만드는 것으로 일명 사이드롤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사이드롤이 많다고 좋은 것은 아니다. 그레인 상태에 알맞어야 한다.

중요한것은 리프팅과 턴은 반비례하는 동작이기 때문에 턴을 많이 하면 리프팅이 조금 걸리고 리프팅을 많이 하면 턴이 조금만 되는 것이므로 이를 명심해야 할 것이다.

턴은 옆으로 볼을 돌리는 동작인데 손목을 사용하지 말고 손가락 특히 약지로 옆으로 돌리는 기술이다.

손목사용은 턴이 아니다.

풋싱 - 리프팅 - 턴 순서대로 배워야 에버리지가 빠르게 올라갈 것이고 더더욱 중요한 것은 이 3가지 기술을 개별적으로 사용 할줄 알아야 한다

풋싱만 할때는 풋싱만, 리프팅만 할때는 리프팅만, 턴만 할때면 턴만 명심해라,

이3가지 기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할줄도 알아야 하고 개별적으로도 사용 할 줄 알아야 한다

볼링치는법!! 정말 고민이 심합니다.....

... 마이볼에 아대에 신발까지. 모두 질럿습니다. 그런데.. 점수는 더 안나오더라구요..... 님께서 즐겨 치는 볼링장에서 가장 편안한 자세로 잘치시는 분 (부드러운 자세....) 을...

볼링 잘하는 방법좀열

... 있는 볼링공을 핀까지 가장 이상적으로 보낼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질문 볼링을 잘치는 방법도 되는 것이죠 그 느낌을 살려서 공을 정확하게 던진다고...

볼링-훅과 커브의 회전 거는 ?

안녕하세요 볼링 초보입니다. 그저 재미로 훅이나 커브를... 그리고 말씀하신 훅으로 치는 방법은요 이론에서 나온 10... 공의 회전수 즉 RPM 이라고 하는데요 최고 400 정도 까지...

볼링 스핀[훅]좀 배우고 싶어요

... 친구랑 볼링을 아침에 치는데 항상 이상하게 스핀은 않되고 그냥 일직선으로만 가요... 핀까지 가는동안요... 누구나 가르쳐 주는사람 없이 볼링훅을시도하면 턴으로 배우게...

제가 볼링을 친지 별로 안됐습니다 그

... 7파운드 까지도 칩니다. 몸무게는 49정도인데 몇파운드가 적당할까요? 회전해야될때... 볼링치는법 좀 알려주세요 ㅜ 볼링공은 굴러가기 때문에 회전을 합니다....

볼링 잘하는법

... 볼링치는 사람들을 보면 자세가 가지가지 입니다. 자세는 정확한 답이 없지만... 잘 익힌다는 것은 약 10쪽부터 25쪽 까지 자기가 원하는 한쪽에 놓을수 있어야 합니다....

볼링 프로가 되는법을 알고싶어요!!

볼링을 무척 좋아하는 아마추어 볼러입니다!!시작 한지는 5... 현제 12기 까지 나왔구요 테스트는 3일간 하루 15게임 씩 45게임을 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평균 에버 200~210점...

볼링을시작을할려는데

... 나오는 이라고 말할수가 없습니다. 기본적인 자세에서... 와서 볼링치는 사람들중 제일 잘하는 사람의 자세를 따라해 보는겁니다. 사소한것 하나까지 따라 하다보면...

볼링칠때 꼭 훅으로 쳐야 하나요?

... 저는 훅이 아니라 직선으로 그냥 치는데요 주위 사람들이 계속 훅으로 바꾸라고... 그렇게 까지 할 필요는 없을것 같구요. 볼링을 본격적으로 쳐보고 싶거나, 볼링의 매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