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작품에 대해서...

현대미술작품에 대해서...

작성일 2003.11.16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내일 학교에서 현대미술작품 소개하기를 하거든요??
어떤 작품,, 작가,, 그림 등등 이런거 좀 넣어주시구요
어떻게 소개를 하면 되는지 알려주세용~ 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현대미술
마티스[모자 쓴 여인]
20세기 초 프랑스에서 일어난 혁신적인 회화 운동으로 수년간 유사한 테크닉에 관심을 보였던 화가들에 의해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된 미술운동이다. 이 운동은 순수 색채의 고양에 주력했다.이 새로운 화법은 1899년, 그룹에서 주도적 인물이었던 마티스에 의해 시작되었다.
야수파라는 명칭은 당시의 비평가 루이 복셀이 1905년 가을 마르케의 15세기풍의 청동조각을 가리켜 마치 "야수의 우리 속에 갇혀있는 도나텔로 같다"라고 평한데서 유래되었다. 이 운동의 동인은 귀스타프 모로의 문하생이었던 마티스, 마르케, 루오, 앙리 샤를르 망갱, 샤를르카무엥 그리고 장 퓌이등과 '샤토'로부터 블라맹크와 앙드레 드랭, 그리고 프리츠, 브라크, 뒤피의 그룹이 융합된 것이었으며 네덜란드 화가 반동겐도 참여 했다. 그들은 고호, 고갱, 신인상주의, 세잔느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그 작품들의 특징은 강렬한 순수 색채에 있었으며 색채는 때로는 세잔느처럼 공간 구성에도 사용했지만 대부분 감정 및 장식적 효과를 위해 임의적으로 사용했다
브라크[포르투갈 사람]
1900년부터 1914년까지 파리에서 일어났던 미술 혁신운동을 말한다.1908년 마티스가 브라크의「에스타프 풍경」이란 연작을 평하면서 '조그만 입체 덩어리'라고 말한데서 유래되었다.
피카소가 「아비뇽의 아가씨들」을 발표함으로써 급격하게 발전한 이 운동은 일반적으로 세잔느풍의 입체주의, 분석적 입체주의, 종합적 입체주의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잇다. 입체파는 르네상스 이후 서양 회화의 전통인 원근법과 명암법, 그리고 다채로운 색채를 쓴 순간적인 현실 묘사를 지양하고, 야수파의 주정적(主情的) 인 표현을 폐기한 대신 시점(視點)을 복수화하여 색 도 녹색과 황토색만으로 한정 시켰으며, 자연의 여러 가지 형태를 기본적인 기하학적 형상으로 환원, 사물의 존재성을 이차원의 타블로로 구축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했다.
피카소, 브라크등이 이 운동의 중심이었고 그 밖에 몽파르나스에서 화면에 밝은 색채와 다이나믹한 율동을 도입했던 F. 레제와 R. 들로네가 있고, 화면의 구성원리를 추구하여 추상예술의 길을 열었던 쿠프카와, 비용, 뒤샹등이 있다. 입체파는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종말을 맞았으나, 그 성과는 그 후의 미술, 디자인, 건축 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표현주의는 야수파, 초기의 입체파, 인상주의, 그리고 의식적으로 자연의 모방을 거부한 다른 여러 화가들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독일 비평가들이 1911년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다.
1911년 마르크와 러시아 출신 칸딘스키는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로 절대 순수를 표현하고자 함으로써 절대주의에 보다 가까이 다가서게 된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표현주의는 독일을 풍미하게 되었다. 청기사 그룹의 미술 가들은 더욱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작품을 제작했고 후배 세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미래파 (FUTURISM)미래파는 20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전위예술 운동을 일컫는다. 이 운동은 시인 필립포 마리네티가 효시인데, 마리네티는 기존의 낡은 예술을 모두 부정하고 기계 대에 어울리는 새로운 다이내믹한 미를 창조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에 자극되어 이듬해 2월 카를로 카라, 옴베르토 보치오니, 지노 세베리니, 루이지 루솔로, 쟈코모 발라의 5인의 화가가 연명으로 미래주의 화가 선언을 발표함으로써 미술운동으로 전개되었다. 1미래주의의 커다란 공적은 기계가 지닌 차가운 역동적인 아름다움을 조형 예술의 주제로까지 높였다는 것과 스피드감이나 운동을 표현하기 위해 회화에 시간의 요소들을 도입하려고 시도한데 있다.
이 유파가 뛰어난 조형작품을 낳았다고 할 수 없지만, 현대에 있어서 예술의 소재에 대해 새로운 문제제기를 한 의의는 크다

다다이즘 (DADAISM)다다이즘은 1915~22년경 스위스, 독일, 프랑스등의 유럽과 미국에서 일어났던 반문명, 반합리적인 예술운동을 일컫는다.
제1차 세계대전을 낳게 했던 전통적인 문명을 부정하고 기성의 모든 사회적·도덕적 속박에서 정신을 해방, 개인의 진정한 근원적 욕구에 충실하고자 했던 것이 이 운동의 근본 정신이었다. 이 운동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또는 전후에 세계로 급속히 확대되었다. 독일에서는 반전운동과 코뮤니즘에 결합된 베를린 다다가 1919년에 결성되었다. 미국에서는 1912년경부터 프랑스의 화가 마르셀 뒤샹이 만 레이와 함께 뉴욕의 화랑에서 전시회를 개최한 것을 계기로 뉴욕 다다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다. 이들 작품의 공통적인 경향으로는 소위 레디메이드의 오브제 또는 움직이는 오브제, 콜라주 또는 앗 상블라주로 통하는 메르츠 빌트등이 시도되었던 점이다. 기계적, 성적인 이미지의 사용도 특색이다. 이들 수법은 다다의 강렬한 가치 부정적 관념과 함께 추상미술, 초현실주의 또는 제2차 세계대전 후 60년대 예술 등에도 강한 영향을 주었다

인간의 무의식 속에 내재된 비합리적인 감정이나 잠재의식, 환상, 공상을 새로운 표현 기법을 통해 표출함으로써 현실을 초월하려한 화피이다."초현실주의는 1919년부터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직후까지 약 20년동안 프랑스를 중심으로 해서 일어났던 전위적인 문학·예술운동으로, 다다이즘과 미래주의등 20세기에 등장한 다른 전위운동에 비해 제1차, 제2차 세계대전동안 가장 폭넓게 확산되었으며 논쟁적인 예술운동이었다.
초현실주의는 근본적으로 경험의 경계를 넘어서려고 애썼으며 현실을 본능적이고 잠재적인 꿈의 경험과 융합시켜서 논리적이며 실재하는 현실, 그 자체를 바라보는 시각을 확장시켜 절대적이고 초월적인 현실에 도달하려 했다.초현실주의가 표현한 방법은 바로 "색다른 낯설음" 이었는데, 그 들은 일상 생활에서의 낯익은 사물들을 일상적 맥락에서 떼어놓음으로서 성취가 된다.또 한편 그들은 콜라주와 몽타주 기법 들을 이용했는데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물 들이 엉켜있는 작품에서 당혹스러운 결과를 도출해 낸다.결국 이들이 찾고자 했던 것은 단순히 꿈을 표현해 낸다는 것이라기보다는 일상화되고 관념화되어버려서 똑같은 삶속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에게 더 넓은 인식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었다. 이 운동을 예시한 미술가들은 보쉬, 아르침볼드, 피라네시, 고야, 롭스, 그리고 연대에 와서는 르동, 키리코 등으로 환상적이면서도 기이한 면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보였다. 이 들과 비슷한 특징 때문에 샤갈 또한 이 운동의 선두주자로 언급된다. 미로, 아르프, 마송, 에른스트같은 화가들은 프로타주와 꿈의 현실적 재생산 사이를 넘나드는 기법을 통해 시각적인 등가물을 창조하려고 했다.


에른스트[친구들의 모임]
달리[기억의 지속]

현실적인 대상의 구체적인 재현보다는 선, 형, 색채 등의 순수한 조형 요소만을 사용하여 자신의 느낌을 표현한 화파로 현대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추상 미술의 언어적 의미는 재현하는 대상이 없는 구체적 예술이다. 최초의 완전한 추상화는 1912년 뮌헨에서 나타나지만 추상화 전개에 있어 가장 활동적인 의욕을 보인 작가는 네덜란드의 몬드리안과 러시아 출신의 칸딘스키, 그리고 모스크바에서 활동한 말레비치 등이 있다.
1. 칸딘스키
초기에 표현주의의 마티스로 부터 깊은 영향을 받아서 밝고 강렬한 색채를 사용하였다. 표현주의 그룹 청기사를 이끌었던 그는 우연히 작업실에 뒤집혀있는 자신의 작품을 보고 경탄에 마지 않고 급기야 내용이 되고 있는 사물의 형태에 의해 순수한 조형미가 불가능하다는 알게된다. 칸딘스키는 작품을 통하여 관람자로 하여금 순수한 미적 정서를 불러 일으키고자 했는데 그의 작품들은 언어로 설명할 수 있는 점을 시사하지도 나타내지도 않았다. 그것들은 단지 작품의 제목 자체의 관념들 처럼 미적 감성을 환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몬드리안
신조형이란 말 그대로 과거의 조형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조형을 말한다. 몬드리안 등에 창간된 《데슈틸》이란 전위예술 잡지가 있는데 이 데슈틸 운동의 기본목표는 초자연적인 질서를 미적으로 표현할 보편적 조형언어를 탐구하는 것이다
신조형주의의 는 가능한한 개인의 주관적 정서와 개성을 제거하려고 하며 순전히 기하학적으로 표현된다. 그의 그림은 매우 이성적이다. 그의 그림은 순수한 색으로 채색된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조화로운 결합은 수학적인 원칙과 음악이론에 근거한 것이다. 이는 수학자이자 철학자였던 쇤매커를 만나 조형수학을 접하면서 부터인데 수직과 수평선이 만나 만들어지는 기하학적 형태는 근본적인 모순의 해(解)에 의존한다는 것이었다. 이들은 번갈아 우주적 힘과 관계하는 것으로 노랑은 햇빛, 파랑은 무한한 넓이의 공간, 빨강은 통일의 색이었다. 이러한 사상으로 그는 노랑, 빨강, 파랑의 구성을 제작하기에 이른다

추상 표현주의 (ABSTACT EXPRESSIONISM )일반적으로 1940년대와 50년대에 미국 화단을 지배했던 미국 회화사상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회화의 한 양식이다. 본래 추상 표현주의라는 용어는 칸딘스키의 초기 작품에 대해서 사용했던 말로, 미국의 평론가 알프레드 바가 1929년 미국에서 전시 중이던 칸딘스키의 초기작품에 대해 추상표현주의라는 말을 썼었다.이 용어가 부적당하다는 견해도 있어서 비평가가 해롤드 고젠버그는 액션 페인팅이라는 말을 쓰기도 했다. 추상표현주의는 서구 근대미술의 복합적인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야수파, 표현주의, 다다이즘, 미래주의, 초현실주의로 이어지는 한 계보와 인상주의, 입체파, 기하학적 추상의 계보를 모두 받아들이고 있다.
전통적인 추상은 구상 회화의 경우처럼 인간, 사물, 풍경등을 표현 대상으로 삼지 않지만 삼각형이나 원 따위, 선이나 면에 의해 생성되는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이것은 현대 회화의 한 특성으로 화면은 원근감을 잃고 평면화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그라운드와 전경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추상표현주의는 구상적이거나 추상적이거나 간에 지시성과 방향성을 거부한다

미니멀 아트 (MINIMAL ART)1960년대 후반, 미국의 젊은 작가들이 최소한의 조형 수단으로 제작했던 회화나 조각을 가리킨다. 여기서 최소한이란 일루전의 극소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은 회화의 감동, 마티에르의 풍부함 내지 자기 표현은 곧 예술이라는 신화를 기본으로 하는 종래의 예술 개념을 거부하는 입장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 경향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엘즈워드 캘리, 프랭크 스텔라, 도널드 주드, 케네드 놀런드, 잭 영거맨, 래리 푼즈, 모리스 루이스 등을 들 수 있다.


1960년대 초기에 미국에서 발달하여 미국 화단을 지배했던 구상 회화의 한 경향이다. '팝'이라는 명칭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지만 '포플러(popular)'의 약자로 보는 것이 유력하다. 통속적인 이미지, 다시 말해서 일상 생활에 범람하는 기성의 이미지에서 제재를 취했던 이 경향의 특징을 압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미국의 팝 아트는 1950년대 초기의 미국 화단을 휩쓸었던 추상표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났다. 미국의 팝 아트는 미국으로 상징되는 현대의 테크놀로지 문명에 대한 낙관주의를 기조로 하고 있다. 미국 팝 아트의 선배 작가로는 로버트 라우센버그와 재스퍼 존스를 들 수 있다. 미국의 팝 아트는 흔히 발견되는 일상적인 이미지나 물체를 미술 작품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 팝 아트의 작가들은 일상의 이미지를 인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것을 기호나 기호체계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앤디 워홀, 로히 리히텐스타인등은 사회가 익히 알고 있는 것들 - 예를 들면 마릴린 먼로의 얼굴, 미키 마우스의 이미지 -을 작품 속에 도입함으로써 기초 체계와 그들 자신의 테마를 겹쳐서 표현하고 있다

앤디 워홀[블루 마릴린]
리히텐스타인[소녀]내용출처http://www.imoon21.com/ ,http://hangrim.new21.net/start.php, http://www.misulnara.pe.kr/naver
극사실주의 (HYPER REALISM)1960년대 후반 미국에서 일어난 새로운 경향의 회화와 조각을 일컫는다.주로 일상적인 현실을 극히 생생하고 완벽하게 묘사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주관을 적극 배제하고 어디까지나 중립적 입장에서 사진과 같이 극명한 화면을 구성하는데 주로 의미없는 장소, 친구, 가족등이 대상으로 취급된다. 극사실주의는 본질적으로 미국적인 사실주의로, 특히 팝 아트의 강력한 영향 아래서 일어난 것이다. 따라서 팝 아트처럼 평상의 생활 즉 우리의 눈앞에 늘 있는 진부한 이미지의 세계를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팝 아트와는 달리 그것은 극히 억제된 것으로써 아무런 코멘트도 없이 다만 그 세계를 현상 그대로 다룰 뿐이다. 대표적인 작가로 척 클로즈, 하워드 캐노비츠, 맬컴 몰리, 필립 펄 스타인, 시드니 틸림등의 작가가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포스트 모더니즘은 지난 20세기에 걸쳐 서구의 문화와 예술, 삶과 사고를 지배해온 모더니즘에 대한 반동으로서 60년대 중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후기 모더니즘은 하나의 통일된 사조나 운동은 아니지만, 그 중심적 동기는 모더니즘을 통해 수립된 고급 문화와 저급 문화의 엄격한 구분, 예술의 각 장르간의 폐쇄성에 대한 반발이다.
포스트 모던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쓴 것은 건축 비평가들이었는데 이는 1960년대까지 유행하던 엄격한 사각형 형태의 양식에 대한 반발로 나온 건축물에 대해 쓴 말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포스트 모던'적 경향이 분화되지 않은 과거의 예술을 소생시키려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다른 시대, 다른 문화로 부터 양식과 이미지를 차용하는 예술은 모두 '포스트 모던'의 자격을 얻는다. 포스트 모더니즘 미술가들의 또 다른 주된 특징은 모더니즘 문화와 사고 방식이 세워놓은 엄격한 지배의 틀을 거부하는데 있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소통이 불가능한 정치, 문화, 전문화의 영역을 깨뜨리고, 삶과 문화의 경계를 무너뜨리기 위해 예술에 정치와 이데올로기를 끌여 들여 비판적으로 다룬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아직은 확정된 일관성 있는 체계는 아니며 근본적인 변화에 대한 욕망에 의해 촉발된 회의주의적이고 비판적인 의식이다. 포스트 모더니스트들은 모더니즘의 폐허를 헤치고 나가며, 모더니즘의 부정이라는 가시적인 대안을 세우려 노력한다

비디오, 즉 텔레비전을 표현 매체로 하는 예술로 1970년대 전반부터 성행한 현대 예술의 한 경향이다. 비디오아트는 크게 나누어 테크놀로지(technology)의 예술적 가능성의 추구에서 생겨난 것과 형식주의적인 예술에 대한 반발에서 생겨난 것이 있다. 그러나 어느 쪽이나 제작자보다도 감상자의 주체를 중시하는 정보의 개념에 기초를 둔 표현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비디오 아트는 아직 확실한 형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편으로는 영화의 연장, 또 한편으로는 예술의 연장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거기에 공간이나 환경의 구성과도 결부되어 있어 어떤 방향에 더 가능성이 있으며, 또 어느 방향으로 귀착될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그러나 비디오 아트는 현대예술의 새로운 장르로서 미술관이나 화랑 등에 전시되어 '움직이는 전자회화(電子繪畵)'라는 애칭으로 조용한 붐을 일으키고 있다

백남준[백팔번뇌]
98 경주세계문화엑스포의 모니터 1백8개로 이뤄진 백남준씨의 작품「백팔번뇌」. 영상실에서는 첨단 영상과 퍼포먼스가 어우러진 멀티디멘션 기법의 대형 영상쇼가 18분 간 격으로 매일 17회 상영(상영시간 12분)된다·첨단기법으로 인류문화 비전 제시
현대 미술에 있어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이후 제기 되어온 오브제(Object)의 문제는 이제 새로운 사고의 전환으로 물리적 재료인 TV에 시간과 공간, 조형 예술 작업 등 미디어(Media)적 성격변화로 비물질적으로 변화되었다. 이제 예술은 조각의 형상적 작업이나 회화의 평면적인 작업이 아닌 전혀 다른 오브제 TV를 사용한다.
바로 이런 새로운 유형인 비디오 아트의 가장 큰 특징은 회화, 음악, 조각도 아닌 전혀 새로운 것이며, TV브라운관을 통해서 움직이는 이미지 즉, 움직임을 따라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며 그 공간은 무한한 시간적 흐름을 가진다. 따라서 모든 분야- 예술, 기술-의 전통적인 경계를 허물고, 인간 의식의 진보적 형성 및 변화를 추구하기 위해 매체의 모든 영역을 오브제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 백남준의 견해이다. 이러한 견해는 인간의식의 변화 즉, 사고의 전환 그 자체인 것이다. 또한 다다의 허무주의적 파괴주의 정신을 기초로 한 것이나 매체의 적극적인 활용은 단순한 부정과 파괴가 아닌 하나의 승화된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새로운 매체들을 예술적 재료로 사용하여 시간적 연장속에서 전개되는 시각적 표현의 세계를 구현하고 대중매체로서의 TV와 비디오를 예술의 경지로 끌어 올려 미술의 확장된 한 분야로서 인정받게 한 비디오아트의 효시가 백남준이다.
우선 2장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형성과 배경에서, 사상적 배경을 1958년 독일의 다름슈타트(Darmstadt) 하기 음악강습회에서 존케이지(John Cage)를 만남으로 인해 동양인으로서의 본질적 자각이 시작된 것으로 보았다. 케이지로부터 받은 영향은 59년부터 60년대 초,중반 플럭서스 콘서트, 미국에서의 초기 비디오 작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전통으로부터 일탈하여 새로운 세계를 개척해나가는 정신적 지주 역할을 했다.
백남준의 예술 시기적 구분과 작품 제작 배경에서는 먼저 1961∼1964년을 기성화된 고급문화 제도와 전통에 대항하는 전위 예술가 모임인 플럭서스 운동시기로 나눌 수 있으며, 1964∼1968년을 미국 소호에서 샬롯 무어만과의 만남을 계기로 퍼포먼스 시기로, 1969년부터 비디오 예술의 시작에서, 비디오 예술의 전성기와 위성중계 예술을 현재까지 구분지었다.
현대미술에 있어서 비디오 아트는 1963년 3월 백남준이 독일의 파르나스 화랑( Parnass Gallery)에서 TV 수상기를 이용한 전시회를 열었던 시점으로 소급하게 된다. 비디오 아트는 시기적으로나 매체적 특성으로 포스트 모던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그 시대의 특성을 예술적으로 승화시켜 놓은 가장 대표적인 쟝르라고 말할 수 있다. 비디오 아트는 흔히 보는 텔레비젼 수상기를 통해 실현되는 예술이다. 모든 시각적 표현은 종이나 캔버스 혹은 벽 등의 공간적인 연장의 바탕위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백남준은 영화에서처럼 텔레비젼의 화상을 통해 시간적 연장속에서 전개되는 미술영역의 확대를 열었다.
3장 백남준의 비디오 작품의 주요 분류와 내용에서는 많은 형태 (오브제, 비디오 조각, 비디오 설치, 비디오 테이프, 비디오 퍼포먼스, 위성중계와 공연예술 등)들로 나타냈다. 4장에서 비디오 아트의 특징과 미술사적 의미를, 그의 비디오 이미지는 기존의 관념적이고 논리적인 시간개념을 부정하여 자유로운 시간을 표현했고, 비디오만이 갖는 시간의 특수성을 그가 제작한 일련의 작품들 중에 확실하게 반영시켰다. 반영된 그의 비디오 이미지는 관조의 대상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활성적인 객체, 즉 또 하나의 주체가 되어 지각주체와 상호 주관적 소통을 이루어 '인간 의식의 확장'을 경험케 한다. 이러한 그의 독창성은 전혀 새롭지만 가능한 방식을 도입하여 예술을 일상생활의 실제적인 영역속에 포함 시켰다
따라서, 백남준은 비디오라고 하는 지극히 현대적이고 시간적으로 효과 범위가 넓은 매체를 사용하여 삶과 예술을 집결시켰으며, 예술가의 사명은 기술 및 텔레커뮤니케이션이 인간 생활에 기여 할 수 있는 역할을 탐구하는 것이며, 관객과의 참여와 상호 소통으로 인하여 삶의 예술화를 표현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그의 이러한 낙관적인 신념을 그의 비디오 아트를 통해 표현한 것이었다
http://www.eduart2000.com/nonmun/nonmun/박혜정00.hwp 내용출처
백남준의 플럭서스(Fluxus)적인 자발성은 그의 경력을 통틀어 지속적인 맥락으로 작용하고 있다. 단순한 비디오 아트의 화제 작가가 아니라, 백남준이 중요한 예술가로 부각되는 이유는 그의 재발성과 관련된 행동의 체계적 양태를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 로버트 모건 저《백남준의 단편들》NAM JUNE PAIK'95 ART AND COMMUNICATION. Gallery HYUNDAI
비디오는 현재까지 그 예술적 가능성이 개발되고 실험 중에 있는 예술 매체이며, 백남준 역시 다양한 매체로 실험하고 있는 예술가이다. 비디오 예술은 일시적인 유행이나 일개주의(一介主義, ism)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발전과 함께 그 예술적 영역이 확장되고, 매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미학이 탄생하는, 열린 개념의 예술이다. 그러므로 비디오 아트는 예술에 대한 고정 관념이나 기존의 예술 개념으로는 파악하기가 어렵다. 비디오 예술의 이해는 예술이 무엇인가 하는 근본적인 물음을 던질 뿐 아니라, 예술에 대한 전혀 새로운 시각을 요구
) 김홍희 저《백남준과 그의 예술》p.12 ,디자인 하우스, 1992, 서울
하고 있는데, "꼴라쥬 기법이 유화물감을 대신 하듯, TV 브라운관이 켄버스를 대신하리라"는 그의 말이 이를 뒷받침 해준다.
백남준이 미술가로서의 방향제시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사람은 존 케이지(John Cage)인데, 그것은 백남준이 음악도로 출발했던 배경과 케이지의 배경이 흡사하고 또한 비디오 예술이 미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http://halfmoon.hihome.com/andy.htm 내용출처 -참을 수 없는 예술의 가벼움

앤디 워홀 Andy Warhol (1928.8.6∼1987.2.22) 앤디 워홀 박물관 http://www.clpgh.org/warhol/

앤디 워홀 - 이미지가 만들어낸 신기루 왕국





예술? 그거 사람 이름 아냐?”- 앤디 워홀

워홀에 대해 어떤 수사학이 필요할 것인가. 만약 우리가 ‘예술가는 굵고 억세고 날카롭고 모진 가시면류관을 쓰고 나와야 한다’는 김수영의 고전적 아포리즘을 승인한다면 우리는 응당 워홀을 ‘가짜’라고 말해야 할 것이다.


체코 노동 이민의 자식으로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영화배우를 흠모했고 스타들의 사진을 수집하며 유년기를 보낸 뒤 피츠버그의 카네기테크를 졸업한 다음 곧장 뉴욕으로 날아가 상업 디자이너로 출발했다.
체코식 성 ‘워홀라’(Warhola)를 ‘워홀’로 고친 그는 1960년대부터 미국 미술계를 휩쓴 팝아트에 뛰어들어 신문이나 잡지를 오려 붙이거나 복사했으며 좀더 짧은 시간 내 많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 ‘팩토리’를 두고 조수를 고용했다.
그는 작품 제작과정에서 생기는 실수나 우연에 개의치 않았다. 그러기는커녕 워홀은 이 방식을 아예 포드주의에 입각해 완전한 공장시스템으로 양산해내기 시작했다. 마릴린 먼로와 코카콜라와 통조림 깡통이 그의 공장에서 연거푸 쏟아져 나왔다. 그의 조수들은 워홀이 지시한 대로 밤을 새워 작품을 생산해냈고 심지어 그의 어머니마저도 워홀이 가르쳐준 대로 사인을 연습해 아들 대신 사인을 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잘못 인쇄된 우표가 고가에 팔리듯 그의 작품 역시 엉뚱한 실수와 조작에 따른 것이 훨씬 파격적인 관심 속에 매매됐다.유명한 (1962) 역시 이 과정에서 생산됐다.
1962년 마릴린 먼로가 사망하자 워홀은 1952년에 진 콘맨이 찍은 영화 의 광고용 사진을 검은 바탕과 황금색 잉크 위에 다중노출시켜 을씨년스런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워홀은 이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우연적인 효과들,
이를테면 농도의 차이, 선명도, 기계상의 실수 따위를 그대로 작품의 일부로 승인했다.마침표 하나에도 예술혼을 불어넣고야 말겠다는
인류사의 수많은 예술가들의 에고와는 전혀 다른 방식의 작품에 대해 워홀은 일체의 콤플렉스도 갖지 않았다.

이 점만으로 그를 가짜라고 부르는 것은 섣부른 일이다. 예술가는 단지 놀라운 재능만으로 명예의 전당에 오르는 것은 아니며 작가의 의도와 무관한 이유로 심오한 조명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워홀의 경우라면 우리는 그를 60년대의 미국, 나아가 현대 산업사회와 연관짓지 않을 수 없다. 두말할 것도 없이 이 시대는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시대이며 대중문화와 스타의 이미지가 지배적인 조류가 된 시대이다.
워홀이 설령 의도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의 수많은 활동은 이러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재창조됐고,
이 과정에서 워홀과 그의 작업이 주목받았던 것이다.

사실 워홀은 이 점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 존 워커의 표현대로 현대의 젊은이들이 자신만의 개성을 위해 특정한 청바지를 구입하지만 동시에 그 청바지는 수백만벌씩 전세계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대중 개인주의’의 단면임을 그는 직관으로 꿰뚫고 있었던 것이다. 그가 “당신도 리즈 테일러도 대통령도 코카콜라를 마신다”고 했을 때
그는 분명하게 대중소비사회의 정곡을 찔렀던 것이다. 물론 자본주의사회가 코카콜라와 청바지의 평등은 허락할지 몰라도그보다 더욱 본질적인 경제적 사회적 평등은 결코 허락하지 않는다는 점에 근거한 워홀 비판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러한 점에서 워홀의 가짜 혐의는 대강 벗겨진 셈인데,
정작 중요한 것은 한국적 워홀 현상에 대한 이해다. 요즘 우리 대중문화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워홀의 반복은, 전혀 독창성을 의식하지 않은 워홀의 독창성을 단순히 베끼고 있다는 점에서 관습적이며 비록 이 시대가 워홀의 60년대와 흡사한 점이 많다고는 해도 이미 워홀을 통해 걸러진 예술적 찌꺼기로 우리 시대를 재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짜라는 혐의를 벗어날 수 없다.


낯익은 것을 낯설게 하고 이미지를 대량 복제함으로써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고 생각하는 수많은 한국판 포스트모던 보이들은 이미 그것이 관습화되고 정체돼 낡고 진부한 예술적 사기술이 됐음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만일 워홀을 통해 우리가 배울 점이 있다면 이제 워홀의 방식대로 세상과 교통하는 것은 하나의 사기라고 인식하는 것 뿐이다. 우린 아직 김수영 이전에 있다. -정윤수/ 문화평론가


본명 Adrew Wahola, 미국의 미술가. 실험영화 감독.

49 피츠버그 카네기 기술연구소 디자인과 졸업, 그후 뉴욕에서 상업적인 삽화가로 활동

62 시드니 재니스 화랑 ‘뉴리얼리스트전’에
출품

63 영화 64 65 영화

66 영화 69 영화

75 책 79 책
햄버거
신화 : 미키마우스
Are You "Different?"
엘비스 프레슬리
캠벨스프깡통
*해밀턴 [ Hamilton, Richard , 1922 ] 영국의 팝 아트(Pop Art)의 대표적인 작가.
국적 : 영국
활동분야 : 미술
출생지 : 영국 런던
주요수상 : 윌리엄 노머 코플리 재단상(1960)
주요작품 : 《오늘의 가정을 그토록 색다르고 멋지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1956)
1922년 영국의 런던에서 출생하였다. 1934년 야간예술학교에서 공부했으며, 1936년 전기회사의 광고팀에서 근무하면서 웨스트민스터기술대학과 세인트마틴예술학교에서 공부했다. 1938∼1940년에는 왕립아카데미에서 회화를 공부했다.
1948∼1951년 슬레이드예술학교(Slade School of Art)에서 회화 수업을 받았으며, 1950년 짐펠 필스(Gimpel Fils)에서 첫번째 개인전을 열었다. 1951년 런던에서 '성장과 형상(Growth and Form)'이라는 이름으로 기획전시회를 열었다. 1952년 중앙예술공예학교(Central School of Arts and Crafts)에서 은공예, 타이포그래피, 산업디자인 분야의 강사로 있으면서, 동료였던 에두아르도 파올로치(Eduardo Paolozzi)와 함께 ICA 독립파를 구성했다.
1960년 윌리엄 노머 코플리 재단상(William and Norma Copley Foundation Prize)을 받았다.
작품에는 콜라주 《오늘의 가정을 그토록 색다르고 멋지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Just What Is It That Makes Today's Homes So Different, So Appealing?》(1956) 등이 있다

#오늘의 가정을 그토록 색다르고 멋지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 Just What Is It That Makes Today's Home So Different, So Appealing? ]영국의 팝 아트 작가 리처드 해밀턴의 초기 작품

리처드 헤밀턴 Richard Hamilton(1922~)
로이 리히텐슈타인((Lichtenstein, Roy 1923.10.27~1997.9.29)
미국의 화가.

국적 : 미국
활동분야 : 예술
출생지 : 미국 뉴욕
주요작품 : 《공놀이소녀》
뉴욕 출생. 팝 아트의 대표자이다. 1960년대 초 미국의 대중적인 만화를 주제로 인쇄의 망점(網點:dot)까지 그려넣어 만화의 이미지를 확대한 작품을 발표함으로써 매스미디어의 이미지를 매스미디어 방법에 준하여 묘사한 전형적인 팝 아티스트로 평가받았다.
1970년대가 되자 주제가 확대되어 고대 그리스의 신전건축과 정물화 등으로부터 피카소와 레제, 그리고 미래주의 등 모던 아트의 명작에까지 미쳤고, 그 표현방법은 인쇄미디어를 의제(擬製)한 망점이나 사선이 전개되어 추상적인 구상에 접근하였다. 청동이나 철판에 에나멜로 채색한 조각도 다루었다.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경우는 만화의 형식,주제,기법등을 그대로 사용하고 값싼 만화가 인쇄되는 제판 과정에서 생기는 망점을 세밀하게 재현하여 사물을 확대하는데 이용하기도 한다. 그는 또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넓은 붓자국을 만화양식으로 변형시킨 대규모 연작을 발표하는데 이는 추상표현주의의 과장된 표현방법을 비웃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가그리는 만화는 기성만화의 한컷을 모방한다는 것은 뒤샹의 레디메이드와 같은 성격의 것이다. 한쪽은 실물의 제출이요, 또 하녹은 실물의 모사라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뒤샹의 레디메이드는 미니멀의 지우기의 행위로서 징발돤 것이지만, 리히텐쉬타인의 레디메이드는 철저하게 지우기를 거부하는 입장에서 징발된 사물들이다. 그가 그린 만화 한컷은 미국이라는 하나의 이념을 상징하는 하나의 스틸인 것이다
무,물론
In the car

http://my.dreamwiz.com/moogi007/art30-%C6%CB%BE%C6%C6%AE.htm
http://my.dreamwiz.com/moogi007/art30-올덴버그.htm발췌
*클레스 올덴버그(Claes Oldenburg, 1929~)


모든 것이 들어있는 두개의 치즈버거> 1962]한편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보는 사물들을 조각으로 형상화했던 미술가가 있습니다. 초기의 클레스 올덴버그(Claes Oldenburg)는 아이스크림 콘, 햄버거처럼 미국인들이 흔히 즐겨 먹는
음식을 거대하게 제작하곤 했습니다. 이 치즈버거들의 크기도 7 x 14 3/4 x 8 5/8 inch로 실제의 햄버거보다 아주 큽니다. 올덴버그는 1962년 9월의 전시회에서는 대형조각물을 방불케하는 거대한 햄버거와 아이스크림콘, 케잌 등을 전시했습니다. 사람들이 평소에 아무 생각도 없이 먹던
음식물들이 그들을 압도할 정도의 크기로 제시되자, 그 평범한 음식들이 평소와는 달리 보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부더러운 모피의 익살들"
1963, 채색된 목재와 에나멜 도료, 각각 5.1x24.1x48.2cm로 된 4 개의 단위들, 브랫 미첼 컬렉션 소장




담배꽁초 , 1975
코텐스틸, 납, 114.3 * 74.3 * 127cm공원 안에 설치하기 위한 가상스케치로 1966년부터 구상되어 1967년 우레탄을 이용하여 ‘부드러운 조각’으로 제작되었으며 1975년에 철과 납으로 재제작되었다. 작가 노트에는 ‘이 부드러운 조각은 네 가지 크기로 제작되며 어떠한 형태로도 고정이 안된다. 공원은 재떨이이다. 이 재떨이는 조각대가 된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작가는 언어 속에
내포되어 있는 이중성에 관심을 가졌는데 이 작품의 다중적인 의미는 제목에서 유추할 수 있다. ‘fag’라는 단어는 영국에서는 담배 혹은 지친(fagged out)상태를 의미하지만 미국의 속어에서는 동성애를 지칭하는 차이점을 갖고 있다. 작가가 ‘단어 기념비’라고 부르는 이 작품은 외형상으로는 남성의 성기를 상징하기도 하며 기둥과 같은 형태가 찌그러진 모습을 보여준다.

*죠지 시걸(George Segal 1924.11.26~2000.6.10 ) 미국의 조각가.
국적 : 미국
활동분야 : 예술-조각
출생지 : 미국 뉴욕
쿠퍼 유니언, 뉴욕대학 등에서 수학하고, 1950년대까지 회화에 전념하였으나, A.카프로를 만나 해프닝(happening:非演劇的 ·脫領域的 연극형식)의 공간적 공연을 계기로 석고에 의한 인체상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현실의 인체에서 직접 본떠, 주형(鑄型)으로 실물과 꼭 닮은 모조품을 만들어 일상생활 속에 있는 환경적 오브제와 함께 전시하였다.
1960년대 초에 주목을 끈 대중미술의 일익을 담당하였으며, 대도시 대중의 군상(群像)을 표현한 환경조각은 미국 풍경의 회화와 연계되는 독자적 작품으로 평가된다.
순백한 석고상과 환경적 장치는 차츰 그 규모가 커지고, 1970년대 이후에는 색채를 가한 인체상도 제작하였다. 1960년대 팝아트의 중심이었던 시걸은 실물크기의 석고조소 제작으로 유명하다. 특히 그는 로이 리히텐스타인이나 앤디 와홀이 광고, 잡지, 만화 등에서 영감을 받은 것과는 달리 일상의 하찮은 것으로부터 영감을 얻어 작업을 했다. 그는 미술가. 비평가 모두가 인정하는 20세기 최고의 조형조소가 였다
1964년. 190 ×186 ×145cm. 다름슈타트 헤센박물관 소장

저녁식사, 1964-6.
커튼. 1974년

러시아워, 1983, 청동, 183 * 244 * 244cm
*라우션버그 (Rauschenberg, Robert 1925.10.22~) 미국의 화가.
본명 : Milton Rauschenberg
국적 : 미국
활동분야 : 예술
출생지 : 미국 텍사스주(州) 포트아서
본명은 Milton Rauschenberg. 텍사스주(州) 포트아서 출생. 1946년 캔자스 시립미술학교에서 그림을 배운 뒤 파리의 쥘리앙 아카데미에서 공부했다. 1948년 블랙마운틴대학에서 조지프 앨버스에게 사사한 뒤 1952년 모교에서 교편을 잡으면서부터 추상표현파의 영향 아래 참신한 작품을 발표하였다.
1953년 이후는 오브제(전위미술에서 환상적 ·상징적 효과를 내기 위해 작품제작에 쓰는 돌 ·머리카락 ·차바퀴 등의 물체)를 발라서 붙인 화면에 색채를 거칠게 붓으로 그려넣은 콤바인 회화를 만들어 추상표현파로부터 떨어져 나갔다. 이어서 실크 스크린에 의한 시사적 화제의 이미지를 배합한 화면에 오브제를 첨가하여 네온관에 의한 빛을 도입하거나 붓으로 색채를 첨가하거나 하는 독특한 표현법을 확립하여 팝 아트의 중심적인 존재가 되었다
모노그램, 1959

침대 1955

베개와 퀼트천으로 된 이불, 그리고 그 위에 가해진 표현주의적인 붓질... 매우 파격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작품이다. 통상 라우센버그의 제작 기법을 "앗상블라쥬(Assemblage)" 혹은 "컴바인 페인팅(combine painting)"이라고 한다. "앗상블라쥬"란 말그대로 여러가지를 모아서 만든다는 의미이고, 라우센버그 스스로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기 위해 주조한 용어인 "컴바인 페인팅" 역시 여러가지 상이한 재료들을 결합시킨 회화라는 뜻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앗상블라쥬(혹은 라우센버그의 컴바인 페인팅)는 첫째, 칠하거나 그리거나 설계하거나 조각하는 방법 대신
모으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둘째, 원래 예술적 재료가 아닌 자연적 재료나 대량생산된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이불, 신문조각, 잡지, 타이어 등 일상용품들이 소위 앗상블라쥬에서 흔히 사용된다. 침대를 구성하는 세속적 소재들을 순수 미술의 영역에 끌어들이는 행위는 추상미술, 즉 엄숙한 고급미술에 대한 허무주의적 도전이요, 그런 의미에서 다분히 다다적인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내용출처 - http://www.imoon21.com/ ,http://hangrim.new21.net/start.php, http://www.misulnara.pe.kr/

http://www.clpgh.org/warhol/ http://halfmoon.hihome.com/andy.htm
http://www.spray-art.com/image/pic02.gif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레벨업 하고 싶은 분은 이글을 5군데 올리고 F3누르면 버그 실행중...이라고 나와요.그리고 확인눌르면 레벨25씩 올려 줘요.그리고레벨업 하고 싶은 분은 이글을 5군데 올리고 F3누르면 버그 실행중...이라고 나와요.그리고 보너스 라고나와서 누르면 캐시7만원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현대미술
마티스[모자 쓴 여인]
<야수파>20세기 초 프랑스에서 일어난 혁신적인 회화 운동으로 수년간 유사한 테크닉에 관심을 보였던 화가들에 의해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된 미술운동이다. 이 운동은 순수 색채의 고양에 주력했다.이 새로운 화법은 1899년, 그룹에서 주도적 인물이었던 마티스에 의해 시작되었다.
야수파라는 명칭은 당시의 비평가 루이 복셀이 1905년 가을 마르케의 15세기풍의 청동조각을 가리켜 마치 "야수의 우리 속에 갇혀있는 도나텔로 같다"라고 평한데서 유래되었다. 이 운동의 동인은 귀스타프 모로의 문하생이었던 마티스, 마르케, 루오, 앙리 샤를르 망갱, 샤를르카무엥 그리고 장 퓌이등과 '샤토'로부터 블라맹크와 앙드레 드랭, 그리고 프리츠, 브라크, 뒤피의 그룹이 융합된 것이었으며 네덜란드 화가 반동겐도 참여 했다. 그들은 고호, 고갱, 신인상주의, 세잔느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그 작품들의 특징은 강렬한 순수 색채에 있었으며 색채는 때로는 세잔느처럼 공간 구성에도 사용했지만 대부분 감정 및 장식적 효과를 위해 임의적으로 사용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브라크[포르투갈 사람]
< 입체파>
<표현파>표현주의는 야수파, 초기의 입체파, 인상주의, 그리고 의식적으로 자연의 모방을 거부한 다른 여러 화가들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독일 비평가들이 1911년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다.
<초현실파> 인간의 무의식 속에 내재된 비합리적인 감정이나 잠재의식, 환상, 공상을 새로운 표현 기법을 통해 표출함으로써 현실을 초월하려한 화피이다

 

브라크가그린 포르투갈 사람입니다.

현대미술작품에 대해서...

내일 학교에서 현대미술작품 소개하기를 하거든요?? 어떤 작품,, 작가,, 그림 등등... 본래 추상 표현주의라는 용어는 칸딘스키의 초기 작품에 대해서 사용했던 말로, 미국의...

현대 미술 작품들에 대해서...

... 현대미술작품 3-7가지 올려주세요. 한 화가의 작품들이면 더욱 좋습니다. 예: 1번째 작품사진. 2번째 작품 소개( 화가이름. 만든재료. 만든시기등.) 안녕하세요! 현대 미술...

현대미술작품에 대해서..

6학년 미술에보면 현대미술작품자료집 만들어오기가 있습니다. 그것중에 1900년대 이후의 작품을 준비해가야하는데 도대체 모르겠습니다. 기준은 따뜻한느낌, 시원한느낌...

현대미술작품 , 현대미술품에 대해서...

ㅇ__ㅇ 수행평가 인데요 , 현대 미술품 ,현대 미술 작품에 대한 , 작가이름 , 사진 , 그리고 그에 대한 , 간략하면서 딱 요약되 있는 설명좀 ... 그리고 , 수행평가로 현대미술품을...

현대미술작품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하는방식은 작품이름을 왼쪽 그옆에 작품그림 그밑에 설명으로해주세요 그럼 작품 '죽음의 덫'_ 삼성 리움미술관 소장. 스테인리스 스틸과 유리로 만든 캐비닛, 석고, 금속...

현대미술작품...에 대해서 급함!!!

제가 내일까지 현대미술작품1개를 조사해야되요! 1990년도 이후에 만들어진 현대미술작품좀 가르쳐주세요! 사진올려주시고,작품설명,작가도좀 가르켜주세요~ 이 사진은 현재...

현대미술작품

현대미술작품사진2개만올려주세요 외국작품,우리나라작품이요 1930년후에만들어진거.... 미술인’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약 70% 이상이 이중섭을 알고 있다고 할 만큼 그의...

현대미술작가와작품에대해서...

현대미술작가 살아 있는 작가만 해주시고여.. 작가와 작품에 대한 설명좀여... 급해여!!!!!!!!!!!!!!!!!!!!!! 빨리좀.......... 작가 : 인간적~미 정보경 작품 : 죽기에 아름다운 날...

현대미술작품 분류해서 올려주세요~

... 해서요,,,ㅜㅡ 현대미술작품을 주제가 비슷한 것 끼리. 표현방법이 비슷한것 끼리.... 본래 추상 표현주의라는 용어는 칸딘스키의 초기 작품에 대해서 사용했던 말로...

현대미술=초현실주의 작품

현대미술대해서 조사를 해야하는데 달리나 마그리트의 작품들은 현대미술인가요?? 현대미술은 20세기 후반의 미술을 말합니다. 현대미술은 이미 20세기 전반기에 일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