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의 발달(내공 30)

과학기술의 발달(내공 30)

작성일 2004.04.1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우리에게 이로운 점 , 해로운 점 각 각 50가지 이상 알려주
세요. 이게 숙제이기도 하지만, 저도 무척 궁금하군요. 50가지는 궁금해서...
많은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내공은 30 드리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어짜피 시작되어버린 복제기술연구에 대해서는 뭐라고 딱히 대책이 없을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윤리적인 문제보다는 기술적인 문제에 관심이 많고, 야심만만한 사람들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하는것을 통해 자신의 이름을 알리는것에 가장 중점을 둡니다.
이런점을 해결하기 위해...제 생각엔 앞으로 과학기술을 연구하기 위해선 기본적인 윤리시험이나 인성검사 적성검사등을 치루는게 좋지 않을까 싶네요. 기존의 과학자들은 나름대로 공부많이하고, 권위도 쌓은 사람들인데...그사람들한테 "너네들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라고 지적해봣자...거의 아무런 효과가 없을듯...

자연의 개발로 인한 환경파괴도 거의 비슷한 맥락입니다....


이제 미흡하지만 저의 생각을 조금만 말씀드리겠습니다.
물리학 용어중에 엔트로피 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사용이 불가능한 에너지, 혹은 무질서의 정도를 뜻하는 개념인데요...엔트로피라는것은 늘어나기만 할뿐 줄어들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용가능한 에너지는 점점 줄어만 가는것이고, 우리세상을 포함한 전 우주는 점점 무질서한 방향으로 진행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요즘은 이런 엔트로피 개념을 경제나 사회문제 연구에서도 도입해서 사용합니다.

왜 사용가능한 에너지가 점점 줄어가는가..? 라고 묻는다면, 불을 피워 물을 데운다고 생각했을때...
장작이건, 석유 석탄이건...불을 피우면 그 열기의 100%가 물을 데우는데 쓰이지 않는다는점(공기중으로 날아가버린 열기는 현재 인간의 기술력으로는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물을 데웠다 하더라도 가만히 두면 식게 될것이고 물에서 빠져나간 열기또한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점을..예로 들수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열효율, 에너지 이용율은 100%가 될수 없습니다. 대부분은 열에너지 형태로 소모되는 에너지가 생기고...그것은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그것으로 엔트로피의 증가를 설명하죠...
.
.
.
빵을 만들때도, 자동차를 타고다닐때도, 컴퓨터를 사용할때도...인간이 무언가를 만들거나 사용할때...모든 행동에서 엔트로피는 증가합니다.
인간이 효율이 좋은 도구를 만들려고 하면 할수록 엔트로피가 더욱더 빠르게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수있게 해주는 책도 있습니다. 제레미 리프킨의 "엔트로피" 라는 책이죠.

아무튼 인간이 신기술을 이용해 인간의 삶을 더욱 살기좋게 하려고 하면 할수록, 우리가 사용가능한 에너지는 점점 줄어들고 언젠가는 인간은 자멸의 순간을 맞이하는것이죠.

발버둥 치면 칠수록 늪속으로 빨리 빨려들어가는것과 같은것이죠.


어짜피...인간도, 자연도 효율 100%인 운동은 할수 없습니다.
위와같은 맥락이라면, 인간이 신기술을 개발할수록 엔트로피가 증가하고 살기 힘든 세상이 오는것이므로, 모든 산업활동을 포기해야 한다는 비관적인 결론밖에 없지만...
인간을 제외한 모든 생물은...척박한 환경에서 자신의 몸을 변화시켜 자연환경에 적응해 살아간다는 점을 떠올리면 인간이 지향해야할 방향을 알수가 있습니다.
.
.
우선 인간은 개체수가 너무 많습니다...
그리고 인간만이 척박한 환경을 마음대로 때려고칩니다. 비좁으면 넓히고, 추우면 강제로 따뜻하게만들고, 더우면 춥게만들고, 물이 없으면 온갓 수단을 동원해서 땅을 파헤치거나 물길을 끌어옵니다.
너무 제멋대로라서 그러한 방법이 한계가 있다는것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언제나 신기술만 있다면 계속 자연을 바꾸어나갈수 있다는 착각까지 하게 된겁니다.

다른 생명체들은 비좁으면 개체수를 스스로 조절하고, 춥거나 더우면 환경에 맞추어 몸이 진화합니다.
물이없으면 많은곳으로 옮겨가거나, 뿌리를 길게 내리는 방식으로 해결을 하지요...
그나마..전통적인 동양사상에서는 서구 물질문명사회 보다는 좀더 자연친화적이고, 현명한 선택을 했던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지혜를 가지고, 환경을 개척한다는 오만한 생각을 버려야 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변환경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자신의 능력을 총 동원하여 자기마음에 들도록 바꾸는것은...
지혜가 아니고...뭐든지 힘으로 해결한다는 무식한 방식이죠...

.
.
.
.
너무 어수선하게 저의 생각만 늘어놓은것 같아 조금은 부끄럽습니다만...환경이나 자연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저의 의도를 파악하시리라 믿습니다.^^

과학기술의 발달(내공 30)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우리에게 이로운 점 , 해로운 점 각 각 50가지 이상 알려주 세요.... 내공30 드리죠. 어짜피 시작되어버린 복제기술연구에 대해서는 뭐라고 딱히...

과학기술의 발달에 대하여...(내공30)

러시아의 과학기술의 발달에 대하여 좀 가르쳐 주세염.. 내공두 마니 걸게염 ㅋㅋ 30분 내로 좀 가르쳐 주세염 ... 러시아의 과학기술을 알려드릴게요 러시아 과학과 기술은...

과학기술의 발달이 미래에 가져올문제점

... 문제:다음 글을 읽고, 새로운 과학 기술의 발달이 미래... 내야해요 내공 모두걸겠습니다. 지식인에 이런거... 어떤 나라의 한 혁명에서는 전 국민 중 100명당 30명이 죽은...

과학 기술의 발달로 발견된 원자력...

... 과학 기술의 발달로 발견된 원자력 에너지는 우리에게... 내공 200 걸고, 채택 당연히 해드립니다. 최대한 빠른... 태양광은 패폐널이 20-30년마다 엄청나게 배출.) 2. 원자력...

환경오염의 문제점과해결방안내공30

제발 알려주세요 내공 30겁니다 1] 공업화 1> 기술 지배 1) 인간을 위한 현대 산업... (2) 현대 사회의 윤리적 문제 1> 과학 기술의 발달에 따르는 문제점 1) 자원의 고갈과 팽창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