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삼국시대통일과정연표로 ㅃ ㅏ리 해 ㅈㅈ주 ㅅ ㅐ 요

후삼국시대통일과정연표로 ㅃ ㅏ리 해 ㅈㅈ주 ㅅ ㅐ 요

작성일 2008.07.08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후삼국시대통일과정연표로 ㅃ ㅏ리 해 ㅈㅈ주 ㅅ ㅐ 요

                                           ㄹ

 

 

 

 

 

 

 

 

 

 

 

 

 

내공 많이겁니다..... 앨오전6시까지욤....

후삼국시대통일과정연표로 ㅃ ㅏ리 해 ㅈㅈ주 ㅅ ㅐ 요

                                           ㄹ

 

 

 

 

 

 

 

 

 

 

 

 

 

내공 많이겁니다..... 앨오전6시까지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후삼국 통일 과정♡

 

900년 후백제의 건국

 

901년 호고구려의 건국

 

918년 고려의 건국, 왕건의 즉위

 

927년 공산전투

 

930년 고창전투

 

935년 고려의 신라 합병

 

936년 후삼국 통일

 

 

귀족들의 왕위다툼으로 신라 왕실의 힘이 약해지자, 견휜이 후백제를 일으키고 이어서 궁예가 후고구려를 세웠다.

우리 나라가 신라, 후백제, 후고구려로 나누어진 이 시기를 후삼국 시대라고 한다.

  궁예는 나라 이름을 태봉으로 바꾸고 새 시대의 주인이 되고자 하였으나 가혹한 정치로 민심을 잃었다.

그러자 많은 사람들이 덕이 높고 지혜로운 왕건을 새 왕으로 추대하였다. 왕건은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뜻에서 나라

이름을 고려라

하고, 송악으로 도읍을 옮겼다.

  한편, 후백제의 견훤은 통일을 이루기 위해 신라를 계속 공격하였고, 고려와 충돌하였다. 고려는 한때

후백제에 크게 패한 일도 있었으나, 마침내 신라를 합치고 후백제와의 싸움에서 최후의 승리를 거두어, 셋으로 나뉘었던

우리 민족을 다시 통일하였다.

  ◆ 기울어 가는 신라 - 귀족들의 왕위다툼 -

  삼국통일 후 신라는 한동안 번영을 누렸으나, 후대에 이르러 귀족들의 왕위 다툼과 농민들의 반란으로 빠르게 기울어 가기

 시작하였다.

  귀족들의 왕위다툼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김헌창의 난이다. 김주원은 태종 무열왕의 후손으로, 선덕왕이 세상을 떠났을 때

왕이 될 차례였으므로 신하들이 그를 왕으로 추대하였다. 김주원은 왕이 되기 위해 급히 경주로 가려 하였으나,

때마침 비가 많이 와서주로 가는 길목에 있는 강이 홍수로 넘쳐 바로 건널 수 없게 되었다.

그러자 다른 왕족을 지지하는 귀족들은 이것을 하늘의 뜻이라하여 다른 왕족을 왕으로 추대하였다.

이에 불만을 품은 김주원의 아들 김헌창이 웅주(오늘날의 공주시)에서 대규모의 반란을 일으켰다.

  이 반란은 곧 진압되었으나, 신라 귀족들의 왕위다툼은 계속되어 150여 년 동안에 20 명의 왕이 바뀌는 혼란이 일어났다.

  ◆ 기울어 가는 신라 - 농민 봉기 -

  세상 이치에 밝은 사람들

  모두 다 수도를 떠나 떠돌아다니네.

  나라가 장차 망하리

  나라가 장차 망하리.

  이 노래는 통일 신라 말기에 백성들 사이에 널리 불린 노래로, 백성들의 어려움을 보살피지 않고 사치스러운 생활로 국고를

비하는 귀족들과 왕실에 대하여 백성들이 어떤 마음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잘 보여 준다.

  통일 신라 말기에 이르러 세금이 걷히지 않아 나라의 재정이 어려워지자, 왕은 지방에 관리를 보내어 세금을 거두라고 하였다.

그러나 흉년이 들고 전염병이 돌아 세금을 낼 수 있는 형편이 아니었으므로, 당시 농민들 중에는 굶주림에 시달려 고향을 버리고

떠돌거나 도적이 되는 사람들이 많았다. 세금을 내라는 관리의 말에 화가 난 농민들은 세금을 내는 것을 거부하고 난을 일으켰다.

  이러한 농민들의 봉기는 통일 신라 사회를 더욱 어지럽게 하였다. 그리고 그 틈을 타 견훤, 궁예 등 새로운 세력이 등장하였다.

  ◆ 후삼국 시대 

  통일 신라가 귀족들의 왕위다툼과 농민 봉기로 혼란을 겪고 있을 때, 견훤은 옛 백제 땅에서 후백제를 세우고,

궁예는 옛 고구려 땅에서 후고구려를 세웠다. 이로써 한반도는 신라, 후백제, 후고구려로 나뉘게 되었는데,

이 시기를 후삼국 시대라고 한다.

  < 견훤과 후백제 >

  견훤은 원래 신라의 남서 해안을 지키는 군인이었다. 농민들의 봉기가 전국을 휩쓸자,

견훤은 이를 이용하여 자기의 세력을 키웠다. 견훤은 나주와 무진주(오늘나의 광주 광역시)를 습격하고 영토를 넒혀 나가

 오늘날의 전라 남도, 전라 북도와 충청남도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완산주(오늘날의 전주시)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를 세운 견훤은 국가의 기틀을 닦는 한편, 중국에도

사신을 보내어 국교를 맺으면서 세력을 키워 나갔다. 후백제는 북쪽의 후고구려와 자주 충돌하여 세력다툼을 벌였다.

  <궁예와 후고구려>

  궁예는 신라의 왕자였으나, 귀족들의 권력다툼에 의해 밀려나 어려서 승려가 되었다고 한다.

궁예는 처음에는 원주에서 일어난 지방 세력인 양길의 부하가 되었다. 그러나 경기도, 강원도를 공략하여 많은 군사를 모으는 데

성공하자 양길에게서 떠나 송악(오늘날의 개성)에서 후고구려를 세웠으며, 왕건을 장수로 내세워 후백제를 공격하게 하였다.

  궁예는 국호를 마진, 태봉으로 바꾸고 철원을 도읍으로 옮기면서 민심을 잃었다. 그리고 자신을 미륵불이라 하여

자신이 지은 불경을 받들 게 하고, 신하들을 의심하여 많은 신하들을 죽이는 등 점점 난폭해져 사람들의 마음이 돌아서게 되었다.

  ◆ 공산 전투와 고창 전투 - 고려와 후백제의 전투 -

  <공산 전투> 고려와 후백제는 후삼국을 통일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였다. 후백제는 고려와 한판 승부를 겨루기에 앞서

먼저 신라를 차지하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후 백제 왕 견훤은 대군을 이끌고 신라 공격에 나섰다. 후백제의 기습 작전이

성공하여 경주의 반월성이 함락되고,포석정에서 잔치를 벌이던 신라 왕은 사로잡혀 죽음을 당하였다.

 백제의 공격으로 경주가 함락될 위기에 처했다는 다급한 소식을 전해 들은 왕건은 동맹국인 신라를 돕기 위해 구원군을 내어

신라로 행했으나, 공산(오늘날의 대구 광역시 팔공산)에 미리 매복해 있던 백제군에 크게 패하였다. 이 전투에서 왕건은 겨우

목숨을 건졌고, 왕건을 구하기 위해 고려 왕의 옷을 입고 싸웠던 신숭겸을 비롯한 여러 장수들과

병사들이 전멸하는 참패를 겪었다.8명의 장수가 이 곳에서 전사하였다고 하여, 공산의 지명이 팔공산으로 바뀌었다는

이야기도 있다.<고창 전투> 다시 군대를 정비한 왕건은 후백제를 치기 위해 직접 군대를 거느리고 고창(오늘날의 안동시)으로

향하였고, 이 곳에서견훤의 후백제군과 싸웠다. 이 전투에서는 고려군이 크게 승리하여 후백제군은 사상자가 8천여 명에 달했다.

  이 전투에서의 패배로 후백제는 몰락의 길로 걷게 되었고, 고려는 후삼국 통일을 눈앞에 두게 되었다.

 

 

 

의의 : 후삼국 통일 즉 고려의 건국은 민족의 재통일을 이룩한 것이며 고대 사회의 모순을 청산하고 중세사회의 성립을 의미 합니다.

또한 신라의 골품제도의 모순을 극복하며 골품제 대신 능력 본위로 활약할 수 있는 사회가 전개되기 시작 했습니다.

 

 

 

 

 

 

 

 

Q.2 왕건의 정책

 

고려 태조 왕건의 정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민생 안정 정책 - 토지·조세 제도 등을 개혁하여 민생을 안정시키는 정책을 폈다 .


2.북진 정책


(1) 고구려의 옛 땅을 되찾기 위해 영토를 북쪽으로 늘리는 데 힘썼다 .


(2) 영토 확장 : 영토를 청천강 하류에서 영흥 지방까지 확장하였다 .


(3) 평양을 서경이라 하여 중시하였다 .


3.민족 융화 정책


(1) 신라 , 후백제 , 후고구려인은 물론 발해의 유민을 흡수하는 등 민족 융합에 힘썼다 .


(2) 지방에 살고 있는 여러 세력가들과 손을 잡고 , 유능한 인재를 고루 썼다 .


4.불교 숭상 정책 - 백성들의 정신을 통일하고자 불교를 장려하고 많은 절을 지었다 .

후삼국이 결성되면서 평화를 유지하다 920년 견훤이 신라지역인 합천을 침범해 서 이런 평화가 깨어져 버린다. 합천이 무너지자 위협을 느낀 경상북부 지역호족들이 고려에 투항한다. 이 전쟁을 시작으로 고려와 후백제는 전쟁을 시작하게 된다. 그러다 후백제에서 내분이 일어나게 된다. 견훤이 막내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하자 불만을 품은 맏아들 신검에 의하여 금산사에 갇히었다가 몰래 빠져나와 고려에 항복한다. 견훤은 왕건에게 신검의 토벌을 요청하여 후백제를 멸망시킨다. 항복한 견훤을 극진히 대접하자 신라왕인 경순왕도 스스로 고려에 항복하여 왕건은 드디어 후삼국을 통일하게 된다.


1. 귀족이 아닌양인도 과거를 통해 관리가 될 수 있었다.

2. 세금이 신라 때 보다 크게 줄었고, 백성들의 생활을 보호 하는 기관도 생겼다.

3. 지방에 관리가 파견되어 왕명을 지방에까지 전하였고, 지방의 호족은 향리가 되어 지방관을 도왔다.

4. 고을마다 학교가 세워져 유학의 정신이 널리 보급되었다.

뛰어난 유학자 최승로는 임금에게 정치 개혁안인 '시무28조'를 올렸다.

(일부)

 

*임금은 체통을 지켜야 한다.

*지방 호족들이 백성들을 괴롭히는 사례가 많으니, 관리를 파견하여 백성을 보호해야 한다.

*관리의 의복과 백성의 의복을 달리 해야 한다.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식간의 도리는 중국의 것을 따른다.

*국가의 큰 행사는 백성의 부담이 크므로 삼간다.

*임금이 성실하고 교만하지 않으며 아랫사람에게 공손하게 대하고, 법에따라 일을 처리하면 큰 위업을 이룰 수 있을것이다.

*관리를 공정히 선발한다.

*궁중에는 꼭 필요한 만큼의 노비와 말만둔다.

*양인과 천인의 구별을 뚜렷이 하여 미천한 자가 윗사람을 모욕하지 못하게한다

 

 

  이건 포인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비슷한 내용이 겟지만 이게 조금이나마 보충이 되엇다고 생각 하므로 좀더 넣을게요.^^

  

 

 

   

왕건의 정책 _________________보너스 스테이지!!

 

통일신라때와는 달리 과다한 세금을 줄였다.
또 힘든 부역을 면제 해주었다. 이를 "민생안정정책"이라고 하였다
국호는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의미에서 고려라고하였다.
나라 이름을 고려라고 한만큼 고구려 계승의식이 뚜렷하여
고구려의 원래 땅을 회복하자 하여 북으로 올라가는 것을 북진정책이라고 하였다.
이것을 북진정책이라 하고 이자겸의 난 이후부터는 북진정책이 중단되었습니다.
그리고 당시 나라를 세웠지만 호족들의 세력이 워낙 강하여
고려왕 조차도 넘볼 수 없는 세력이 되었다.
군사력은 약했지만 자주 반란이 일어났으므로, 일일히 잔입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왕건은 호족의 세력을 약화 시키기 위해
호족들의  딸과 결혼을 많이 하였다.
이것을 혼인정책이라 한다.
또, 고려는 신라의 불교발전에 대해 많이 놀라워 하며
불교를 국교로 삼고, 정성껏 부처를 받들도록 했는데
이것이 바로 불교숭상정책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당시 고려는 후삼국을 통일했는데, 민족이 융합되어 있지 않고,
언제나 농민들이 멸망한 나라에 대한 복수심을 딛고,
반란을 일으킬 지도 몰라서 민족을 융합시키려고 했는데
이것이  바로 민족융합정책이라고 합니다.

 

 

고려의 정치적 발전 모습

 

1.과거제도 : 귀족이 아닌 양인도 과거를 통해 관리가 될 수 있었던 제도

 

2.조세제도 : 민생을 안정시키기 위해 신라 때보다 크게 세금을 줄였던 제도

 

3.군사제도 : 지방에 관리가 파견되어 왕명을 지방에까지 전했던 제도

 

4.지방관 : 지방의 호족은 향리가 되어 지방관을 도왔던 것에서 지방관은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를 뜻하는 호칭인 것 이다.

 

5.국자감 : 고려 시대 중앙의 최고 교육기관

 

6.향교 : 고려, 조선 시대에 시골에 두었던 문묘와 그에 딸린 관립 학교를 말함.

 

7.의창 : 민생을 안정시키기 위해 백성들의 생활을 보호하는 기관이 생겼는데, 그 기관의 이름이 의창이다

 

고려의 무역 활동

 

1. 벽란도 : 예성강 하류에 있는 벽란도가 가장 큰 무역항구였다.

 

송과의 무역

 ㉠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송과의 무역량이 많아졌다.

 ㉡ 수입품 : 비단, 약재, 서적, 자기, 향료 등

 ㉢ 수출품 : 금, 은, 인삼, 나전 칠기, 화문석 등

 

여진과의 무역

여진은 은, 모피류, 말 등을 가지고 와서 식량,

옷감, 농기구 등으로 바꾸어 갔다.

 

아라비아 상인들이 송나라를 거쳐 수은, 향료 등을 가지고 고려에 와서 무역을 하였으며, 이들에 의해 고려의 이름이 서양에 알려져 코리아로 불리게 되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연표는 귀찮아서 ㅎㅎㅎ ㅈ지송

900년 후백제의 건국

 

901년 호고구려의 건국

 

918년 고려의 건국, 왕건의 즉위

 

927년 공산전투

 

930년 고창전투

 

935년 고려의 신라 합병

 

936년 후삼국 통일

 

순서가 이렇게 되며 이에 타당한 자료를 퍼왔습니다.

 

귀족들의 왕위다툼으로 신라 왕실의 힘이 약해지자, 견휜이 후백제를 일으키고 이어서 궁예가 후고구려를 세웠다. 우리 나라가 신라, 후백제, 후고구려로 나누어진 이 시기를 후삼국 시대라고 한다.

  궁예는 나라 이름을 태봉으로 바꾸고 새 시대의 주인이 되고자 하였으나 가혹한 정치로 민심을 잃었다. 그러자 많은 사람들이 덕이 높고 지혜로운 왕건을 새 왕으로 추대하였다. 왕건은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뜻에서 나라 이름을 고려라 하고, 송악으로 도읍을 옮겼다.

  한편, 후백제의 견훤은 통일을 이루기 위해 신라를 계속 공격하였고, 고려와 충돌하였다. 고려는 한때 후백제에 크게 패한 일도 있었으나, 마침내 신라를 합치고 후백제와의 싸움에서 최후의 승리를 거두어, 셋으로 나뉘었던 우리 민족을 다시 통일하였다.

  ◆ 기울어 가는 신라 - 귀족들의 왕위다툼 -

  삼국통일 후 신라는 한동안 번영을 누렸으나, 후대에 이르러 귀족들의 왕위 다툼과 농민들의 반란으로 빠르게 기울어 가기 시작하였다.

  귀족들의 왕위다툼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김헌창의 난이다. 김주원은 태종 무열왕의 후손으로, 선덕왕이 세상을 떠났을 때 왕이 될 차례였으므로 신하들이 그를 왕으로 추대하였다. 김주원은 왕이 되기 위해 급히 경주로 가려 하였으나, 때마침 비가 많이 와서 경주로 가는 길목에 있는 강이 홍수로 넘쳐 바로 건널 수 없게 되었다. 그러자 다른 왕족을 지지하는 귀족들은 이것을 하늘의 뜻이라 하여 다른 왕족을 왕으로 추대하였다. 이에 불만을 품은 김주원의 아들 김헌창이 웅주(오늘날의 공주시)에서 대규모의 반란을 일으켰다.

  이 반란은 곧 진압되었으나, 신라 귀족들의 왕위다툼은 계속되어 150여 년 동안에 20 명의 왕이 바뀌는 혼란이 일어났다.

  ◆ 귀울어가는 신라 - 농민 봉기 -

  세상 이치에 밝은 사람들

  모두 다 수도를 떠나 떠돌아다니네.

  나라가 장차 망하리

  나라가 장차 망하리.

  이 노래는 통일 신라 말기에 백성들 사이에 널리 불린 노래로, 백성들의 어려움을 보살피지 않고 사치스러운 생활로 국고를 낭비하는 귀족들과 왕실에 대하여 백성들이 어떤 마음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잘 보여 준다.

  통일 신라 말기에 이르러 세금이 걷히지 않아 나라의 재정이 어려워지자, 왕은 지방에 관리를 보내어 세금을 거두라고 하였다. 그러나 흉년이 들고 전염병이 돌아 세금을 낼 수 있는 형편이 아니었으므로, 당시 농민들 중에는 굶주림에 시달려 고향을 버리고 떠돌거나 도적이 되는 사람들이 많았다. 세금을 내라는 관리의 말에 화가 난 농민들은 세금을 내는 것을 거부하고 난을 일으켰다.

  이러한 농민들의 봉기는 통일 신라 사회를 더욱 어지럽게 하였다. 그리고 그 틈을 타 견훤, 궁예 등 새로운 세력이 등장하였다.

  ◆ 후삼국 시대 

  통일 신라가 귀족들의 왕위다툼과 농민 봉기로 혼란을 겪고 있을 때, 견훤은 옛 백제 땅에서 후백제를 세우고, 궁예는 옛 고구려 땅에서 후고구려를 세웠다. 이로써 한반도는 신라, 후백제, 후고구려로 나뉘게 되었는데, 이 시기를 후삼국 시대라고 한다.

  < 견훤과 후백제 >

  견훤은 원래 신라의 남서 해안을 지키는 군인이었다. 농민들의 봉기가 전국을 휩쓸자, 견훤은 이를 이용하여 자기의 세력을 키웠다. 견훤은 나주와 무진주(오늘나의 광주 광역시)를 습격하고 영토를 넒혀 나가 오늘날의 전라 남도, 전라 북도와 충청남도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완산주(오늘날의 전주시)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를 세운 견훤은 국가의 기틀을 닦는 한편, 중국에도 사신을 보내어 국교를 맺으면서 세력을 키워 나갔다. 후백제는 북쪽의 후고구려와 자주 충돌하여 세력다툼을 벌였다.

  <궁예와 후고구려>

  궁예는 신라의 왕자였으나, 귀족들의 권력다툼에 의해 밀려나 어려서 승려가 되었다고 한다. 궁예는 처음에는 원주에서 일어난 지방 세력인 양길의 부하가 되었다. 그러나 경기도, 강원도를 공략하여 많은 군사를 모으는 데 성공하자 양길에게서 떠나 송악(오늘날의 개성)에서 후고구려를 세웠으며, 왕건을 장수로 내세워 후백제를 공격하게 하였다.

  궁예는 국호를 마진, 태봉으로 바꾸고 철원을 도읍으로 옮기면서 민심을 잃었다. 그리고 자신을 미륵불이라 하여 자신이 지은 불경을 받들 게 하고, 신하들을 의심하여 많은 신하들을 죽이는 등 점점 난폭해져 사람들의 마음이 돌아서게 되었다.

  ◆ 공산 전투와 고창 전투 - 고려와 후백제의 전투 -

  <공산 전투> 고려와 후백제는 후삼국을 통일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였다. 후백제는 고려와 한판 승부를 겨루기에 앞서 먼저 신라를 차지하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후 백제 왕 견훤은 대군을 이끌고 신라 공격에 나섰다. 후백제의 기습 작전이 성공하여 경주의 반월성이 함락되고, 포석정에서 잔치를 벌이던 신라 왕은 사로잡혀 죽음을 당하였다.

  백제의 공격으로 경주가 함락될 위기에 처했다는 다급한 소식을 전해 들은 왕건은 동맹국인 신라를 돕기 위해 구원군을 내어 신라로 행했으나, 공산(오늘날의 대구 광역시 팔공산)에 미리 매복해 있던 백제군에 크게 패하였다. 이 전투에서 왕건은 겨우 목숨을 건졌고, 왕건을 구하기 위해 고려 왕의 옷을 입고 싸웠던 신숭겸을 비롯한 여러 장수들과 병사들이 전멸하는 참패를 겪었다.

  8명의 장수가 이 곳에서 전사하였다고 하여, 공산의 지명이 팔공산으로 바뀌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고창 전투> 다시 군대를 정비한 왕건은 후백제를 치기 위해 직접 군대를 거느리고 고창(오늘날의 안동시)으로 향하였고, 이 곳에서 견훤의 후백제군과 싸웠다. 이 전투에서는 고려군이 크게 승리하여 후백제군은 사상자가 8천여 명에 달했다.

  이 전투에서의 패배로 후백제는 몰락의 길로 걷게 되었고, 고려는 후삼국 통일을 눈앞에 두게 되었다.

 

 

 

의의 : 후삼국 통일 즉 고려의 건국은 민족의 재통일을 이룩한 것이며 고대 사회의 모순을 청산하고 중세사회의 성립을 의미 합니다. 또한 신라의 골품제도의 모순을 극복하며 골품제 대신 능력 본위로 활약할 수 있는 사회가 전개되기 시작 했습니다.

과정연표로 ㅃ ㅏ리 해 ㅈㅈ주 ㅅ ㅐ 요

후삼국시대통일과정연표로 ㅃ ㅏ리 해 ㅈㅈ주 ㅅ ㅐ 요 ㄹ 내공 많이겁니다..... 앨오전6시까지욤.... 후삼국시대통일과정연표로 ㅃ ㅏ리 해 ㅈㅈ주 ㅅ ㅐ 요 ㄹ 내공 많이겁니다....

선사시대~대한제국까지의 역사 연표를.....

... 역사 연표 요약 연 도 시 대 구 분 역 사 적 내 용... 828년 후삼국시대 견휜 후백제 건국 900년 궁예 후고구려건국 901년 왕건 고려건국 918년 발해 멸망 926년 고려 통일...

천자문 알려주세요 내공30

... ㅂ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ㅑ ㅒ ㅓ ㅔ ㅕ... 천하를 통일하고 여덟 고을 민호를 주어 공신을 봉하였다. 家(집 가) 給(줄 급) 千(일천 천) 兵(군사 병) 제후 나라에...

우리말의 어원 100가지 이상...

... 그와 같이, 장인(丈人)은 ‘가시아비’, 장모(丈母)는... 가로막살로부터 갈매기살까지의 변화 과정은 어렵지... 농촌 생활이 궁핍할 때에 흔히 먹던 떡으로, 맛이 거칠고...

사회시험보는데 요약좀 부탁에요 내공...

... 후삼국 시대 1. 신라 말기의 형편 (1) 귀족들의 분열과... 고려의 후삼국 통일 과정 (1) 후고구려의 궁예는 이름을... 우 땅이니 돌아가라고 하였다. 소손녕은 청천강에서...

받침단어좀 전부 알려주세요.(ㅢ,ㅚ,ㅟ...

... 가르쳐서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아 애 야 얘 어 에 여 예 오 와 왜 외 우... 릐 ㅁ 마 매 먀 먜 머 메 며 몌 모 뫄 뫠 뫼 묘 무 뭐...

북한에 대해 알려주세요

... ㅂ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 : ㅑ... 따랐다.) 통일관련사이트 └ 분류 이 름 소 자 료 유... com/ ㅇ ㅇ ㅇ 백과, 인물, 원전, 연표, 법, 지리 등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