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성의 문화재

평양성의 문화재

작성일 2008.01.19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 평양성의 문화재좀 갈켜주세여,, 내공은 모르지만 아주 간단하게 해주세여.

ㅋㅋ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동문
- 북한의 국보 제4호
- 평양성의 여러 문 중 가장 중요하며 정문의 역할을 했던 곳임
- 대동강을 중심으로 한 주변 경치가 빼어남



보통문
- 북한의 국보 제3호
- 보통강 강변에 위치하며 평양성의 서북쪽으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이자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임
- 주변 경치가 아름다우며 숲 속의 꾀꼬리 소리가 아름답기로 유명함

을밀대
- 평양시 금수산에 위치하며 평양 8경의 하나임
- 평양에서 가장 아름답고 전망 좋은 누정으로 알려져 있음
- 대동강과 더불어 평양의 전체 모습을 감상하기에 좋음




연광정
- 평양 8경, 관서 8경의 하나임
- 평양에서 가장 빼어난 경치를 자랑함
- 임진왜란 때 왜장을 암살한 기생 계월향의 이야기로 유명한 곳이다.

부벽루
- 평양 8경의 하나
- 대동강의 청류벽에 자리잡고 있음
- 대동강의 물줄기와 어울려 한편의 풍경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평양성
- 북한의 국보 제 1호
- 웅대했던 고구려의 마지막을 장식했던 곳
- 평양의 대표적 문화 유산인 대동문, 보통문, 을밀대, 부벽루, 연광정 등이 모여있는 곳이다.

 

보물1호 평양종 - 평양 중구역 경상동

평양직할시 중구역 경상동 대동문 부근에 걸려 있는 조선시대 동종. 높이 254㎝, 입지름 163㎝. 1714년 평양성의 북성을 개축할 때 북장대로 옮겼다가 화재로 소실된 뒤 1726년(영조 2)에 다시 제작된 것으로 1827년(순조 27) 지금 장소로 옮겼다. 몸통 중앙에 3줄의 띠를 돌리고 상부는 2분하여, 상단에는 관음보살입상을, 하단에는 8괘와 마름모꼴 구름무늬를 새겨넣었다. 북한 보물급문화재 제1호.

 

보물2호 숭인전 - 평양 중구역 서문동

기자조선 시조인 기자의 위패를 모시고 봄·가을로 제사지내는 전각. 평양에 있으며, 1325년(충숙왕 12)에 세웠다. 조선 세종 때 변계량이 지은 <비수지사>를 내리고 사액했으며, 선우식을 전감으로 삼아 대대로 그 직무를 맡게 했는데, 뒤에 전감을 참봉으로 고쳤다. 임진왜란과 6·25때 피해를 입었으나 보수되었고, 현재의 수인전은 1977년 길 건너편에서 숭령전 옆으로 옮긴 것이다. 전면 12.97m, 측면 8.72m에 안깎 3포(三包)의 포식두공을 얹고 겹처마 합각지붕에 모로단청을 한 아름다운 건물로서 평양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다. 고려시대의 건축술을 잘 보여준다. 북한 보물급 문화재 제2호.

 

 

보물3호 오순정 - 평양 중구역 만수동

평양시 중구역 만수동 만수대 남쪽 마루터에 있는 오순정은 원래 평양 감영 정원에 있던 벽월지에 세운 정자로서 1933년에 현재의 장소로 옮겨왔다. 구조는 L자형인데 서쪽의 길이는 11.35m, 남쪽의 길이는 11.1m이다.

 

보물4호 칠성문 - 평양 모란봉구역 칠성문동

평양직할시 중구역 경상동에 있는 성문. 6세기 중엽 고구려가 평양성을 쌓을 때 그 내성의 북문으로 세웠으며, 현재의 문루는 1712년(숙종 38)에 복구한 것이다. 이름은 북두칠성에서 따온 것으로 북문이라는 뜻이다. 이 성문에는 옹성을 쌓았는데, 성문 앞쪽으로 나온 성벽의 끝을 보강하여 만들어져 성 안에서 공격하기 유리하도록 되어 있다. 성문 축대는 4각추형으로 다듬은 성돌로 정연하게 쌓고 거기에 홍예문 길을 냈다. 축대 위에 세운 문루는 앞면이 3칸, 옆면이 2칸이며, 가운데 칸을 넓혀 중심을 강조하였다. 배흘림기둥 윗부분은 창방으로 이어대고 대들보 밑에는 아담하게 생긴 꽃무늬 초엽을 받쳤다. 지붕은 홑처마에 합각지붕이며, 연등천장 위의 화반대공은 3개의 나무토막으로 꽃무늬를 새겨 장식적 효과를 높였다. 북한 보물급 문화재 제4호

 

 

보물5호 홍복사 6각 7층탑 - 평양 모란봉구역 중앙역사박물관 앞

평양직할시 모란봉구역 중앙역사박물관 앞에 있는 7층 석탑. 높이 5.35m. 원래 평천구역 평천동에 있던 것을1933년 지금의 위치로 옮겨 놓았다. 화강석 탑이며 고려시대 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는 3중 기단에 6각 ,,mㅡㅡ 으로 정교하게 쌓았고 각 탑신에 사각 감실과 양각 불상이 조각되어 있다.

 

보물6호 영명사8각석불 - 평양 모란봉구역 영명사터

평양직할시 모란봉구역 내 영명사지에 있는 고려 초기 석불감. 석면에 불상과 여러 조각들이 새겨져 있으며 8각형으로 된 불감의 4귀에 1석식을 세워, 벽이 없이 4면을 개방한 위에 옥개를 얹고 정상에 보주나 노반을 갖추었으나 현재는 유실되어 없다.
 
보물7호 중흥사 당간지주 - 평양 모란봉구역 인흥2동
평양직할시 모란봉구역 인흥1동에 있는 고구려 때의 당간지주. 393년(광개토왕 3) 평양에 중흥사를 창건할 때 함께 세워진 것으로, 중흥사는 없어지고 그 자리에 당간지주만 남아 있다. 바닥돌 위에 세운 2개의 돌기둥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사이에 깃발대를 끼워 세우게 하였는데, 깃발대는 없어졌다. 기둥의 높이는 4m, 그 밑의 넓이는 59∼66㎝, 두께는 46∼53㎝이다. 두 기둥의 가로자름면은 네모이고 밖으로 향한 부분만 모를 다스렸다. 기둥의 아래 위에는 기발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홈과 구멍이 뚫어져 있다. 한국에 현존하는 최고의 것으로 중흥사의 위치와 규모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북한 보물급문화재 제7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평양성의 문화제는

평양성이다.

하하하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죄송 기억이안나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동문
- 북한의 국보 제4호
- 평양성의 여러 문 중 가장 중요하며 정문의 역할을 했던 곳임
- 대동강을 중심으로 한 주변 경치가 빼어남



보통문
- 북한의 국보 제3호
- 보통강 강변에 위치하며 평양성의 서북쪽으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이자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임
- 주변 경치가 아름다우며 숲 속의 꾀꼬리 소리가 아름답기로 유명함

을밀대
- 평양시 금수산에 위치하며 평양 8경의 하나임
- 평양에서 가장 아름답고 전망 좋은 누정으로 알려져 있음
- 대동강과 더불어 평양의 전체 모습을 감상하기에 좋음




연광정
- 평양 8경, 관서 8경의 하나임
- 평양에서 가장 빼어난 경치를 자랑함
- 임진왜란 때 왜장을 암살한 기생 계월향의 이야기로 유명한 곳이다.

부벽루
- 평양 8경의 하나
- 대동강의 청류벽에 자리잡고 있음
- 대동강의 물줄기와 어울려 한편의 풍경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평양성
- 북한의 국보 제 1호
- 웅대했던 고구려의 마지막을 장식했던 곳
- 평양의 대표적 문화 유산인 대동문, 보통문, 을밀대, 부벽루, 연광정 등이 모여있는 곳이다.

 

보물1호 평양종 - 평양 중구역 경상동

평양직할시 중구역 경상동 대동문 부근에 걸려 있는 조선시대 동종. 높이 254㎝, 입지름 163㎝. 1714년 평양성의 북성을 개축할 때 북장대로 옮겼다가 화재로 소실된 뒤 1726년(영조 2)에 다시 제작된 것으로 1827년(순조 27) 지금 장소로 옮겼다. 몸통 중앙에 3줄의 띠를 돌리고 상부는 2분하여, 상단에는 관음보살입상을, 하단에는 8괘와 마름모꼴 구름무늬를 새겨넣었다. 북한 보물급문화재 제1호.

 

보물2호 숭인전 - 평양 중구역 서문동

기자조선 시조인 기자의 위패를 모시고 봄·가을로 제사지내는 전각. 평양에 있으며, 1325년(충숙왕 12)에 세웠다. 조선 세종 때 변계량이 지은 <비수지사>를 내리고 사액했으며, 선우식을 전감으로 삼아 대대로 그 직무를 맡게 했는데, 뒤에 전감을 참봉으로 고쳤다. 임진왜란과 6·25때 피해를 입었으나 보수되었고, 현재의 수인전은 1977년 길 건너편에서 숭령전 옆으로 옮긴 것이다. 전면 12.97m, 측면 8.72m에 안깎 3포(三包)의 포식두공을 얹고 겹처마 합각지붕에 모로단청을 한 아름다운 건물로서 평양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다. 고려시대의 건축술을 잘 보여준다. 북한 보물급 문화재 제2호.


 

 

보물3호 오순정 - 평양 중구역 만수동

평양시 중구역 만수동 만수대 남쪽 마루터에 있는 오순정은 원래 평양 감영 정원에 있던 벽월지에 세운 정자로서 1933년에 현재의 장소로 옮겨왔다. 구조는 L자형인데 서쪽의 길이는 11.35m, 남쪽의 길이는 11.1m이다.

 

보물4호 칠성문 - 평양 모란봉구역 칠성문동

평양직할시 중구역 경상동에 있는 성문. 6세기 중엽 고구려가 평양성을 쌓을 때 그 내성의 북문으로 세웠으며, 현재의 문루는 1712년(숙종 38)에 복구한 것이다. 이름은 북두칠성에서 따온 것으로 북문이라는 뜻이다. 이 성문에는 옹성을 쌓았는데, 성문 앞쪽으로 나온 성벽의 끝을 보강하여 만들어져 성 안에서 공격하기 유리하도록 되어 있다. 성문 축대는 4각추형으로 다듬은 성돌로 정연하게 쌓고 거기에 홍예문 길을 냈다. 축대 위에 세운 문루는 앞면이 3칸, 옆면이 2칸이며, 가운데 칸을 넓혀 중심을 강조하였다. 배흘림기둥 윗부분은 창방으로 이어대고 대들보 밑에는 아담하게 생긴 꽃무늬 초엽을 받쳤다. 지붕은 홑처마에 합각지붕이며, 연등천장 위의 화반대공은 3개의 나무토막으로 꽃무늬를 새겨 장식적 효과를 높였다. 북한 보물급 문화재 제4호

 

 

보물5호 홍복사 6각 7층탑 - 평양 모란봉구역 중앙역사박물관 앞

평양직할시 모란봉구역 중앙역사박물관 앞에 있는 7층 석탑. 높이 5.35m. 원래 평천구역 평천동에 있던 것을1933년 지금의 위치로 옮겨 놓았다. 화강석 탑이며 고려시대 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는 3중 기단에 6각 ,,mㅡㅡ 으로 정교하게 쌓았고 각 탑신에 사각 감실과 양각 불상이 조각되어 있다.

 

보물6호 영명사8각석불 - 평양 모란봉구역 영명사터

평양직할시 모란봉구역 내 영명사지에 있는 고려 초기 석불감. 석면에 불상과 여러 조각들이 새겨져 있으며 8각형으로 된 불감의 4귀에 1석식을 세워, 벽이 없이 4면을 개방한 위에 옥개를 얹고 정상에 보주나 노반을 갖추었으나 현재는 유실되어 없다.
 
보물7호 중흥사 당간지주 - 평양 모란봉구역 인흥2동
평양직할시 모란봉구역 인흥1동에 있는 고구려 때의 당간지주. 393년(광개토왕 3) 평양에 중흥사를 창건할 때 함께 세워진 것으로, 중흥사는 없어지고 그 자리에 당간지주만 남아 있다. 바닥돌 위에 세운 2개의 돌기둥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사이에 깃발대를 끼워 세우게 하였는데, 깃발대는 없어졌다. 기둥의 높이는 4m, 그 밑의 넓이는 59∼66㎝, 두께는 46∼53㎝이다. 두 기둥의 가로자름면은 네모이고 밖으로 향한 부분만 모를 다스렸다. 기둥의 아래 위에는 기발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홈과 구멍이 뚫어져 있다. 한국에 현존하는 최고의 것으로 중흥사의 위치와 규모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북한 보물급문화재 제7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원래 북한의 국보 1호는 대동문(大同門)이었으나 1990년대 말 평양성으로 바뀌었습니다. 

평양성의문화재가뭐있나여?

저는4학년어린이인데여선생님이숙제로평양성의문화재를알아오라하던군요문화재알켜주시면내공14점드림! 대동문 - 북한의 국보 제4호 - 평양성의 여러 문 중 가장 중요하며...

평양성의 문화재

평양성의 문화재좀 갈켜주세여,, 내공은 모르지만 아주 간단하게 해주세여. ㅋㅋ 대동문 - 북한의 국보 제4호 - 평양성의 여러 문 중 가장 중요하며 정문의 역할을 했던...

저4학년인데 국내성.평양성문화재...

저 4학년인데 선생님께서 국내성.평양성 문화재 조사하라구해서 물어봐요.사진은필수예요 날짜;9월16일-9월19일 안산 화정초등학교 4학년10반 최 민지 1.국내성의 문화재 1)...

고구려의 도읍지인 평양성 문화재에...

제가 초등학교 4학년이에여~ 선생님께서 고구려의 도읍지인 평양성의 문화재를 알아오라 하셨거든여!~! 사진과 이름, 건립시기, 건립장소,유래 등등 많은것을 적어주세여...

국내성과 평양성에 대해서....

고구려의 도읍지, 즉 국내성과 평양성의 문화재와 위치, 자연적인 조건 등 고구려의 동읍지 역사신문을 만들 수 있는 ㅈㅏ료 조사해 주세요. 9/26(화) 까지 구요, 내공 마니...

평양성),발해(상경),조선(한양) 의 문화재...

고구려(국내성,평양성),발해(상경),조선(한양) 의 문화재와 특징을 알려주세요 ^^ 그리고 내공은 드릴테니까.. 통일신라와 신라 ,백제의 문화재와 특징도 부탁드려요 ^^ 간략하고...

고구려 문화재

... 2.평양성의 문화재 1)을밀대 평양특별시 중구역 금수산에 있는 고구려시대의 누정. 사허정이라고도 한다. 북한문화재 사적 제7호이다. 을밀대라는 이름은 옛날에...

고구려도읍지와문화재

... 2.평양성의 문화재 1)을밀대 평양특별시 중구역 금수산에 있는 고구려시대의 누정. 사허정이라고도 한다. 북한문화재 사적 제7호이다. 을밀대라는 이름은 옛날에...

고구려의 도읍지 문화재좀,,,

... 2.평양성의 문화재 1)을밀대 평양특별시 중구역 금수산에 있는 고구려시대의 누정. 사허정이라고도 한다. 북한문화재 사적 제7호이다. 을밀대라는 이름은 옛날에...

고구려의 문화재

... (평양성의 문화재) 1. 대성산성 평양시 대성구역 대성동에 자리잡고 있는 고구려의 산성이다. 해발 274m의 대성산은 주봉인 을지봉을 비롯하여 소문봉 . 장수봉 . 북장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