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이일어나는이유와자연재해의종류.(내공20) 급함.

지진이일어나는이유와자연재해의종류.(내공20) 급함.

작성일 2007.03.30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초딩4학년이구여,조금돋보이게발표를하려고해요.

지진이일어나는이유,만약에된다면지진에대하여도써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

그담에자연재해의종류는한10개정도만부탁드릴게요.

글구내공20걸었구요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가 지진이 일어나는 원인은 잘 모르지만 제가 아는 대로 적어드릴게요(자연재해의 종류)

1.태풍

2.홍수

3.가뭄

4.폭설

5.지진

6.산사태

7.화산폭발

8.우박

9.안개

10.해일

11.지구온난화

12.냉해

13.호우

14.눈사태

15.풍해

16수해

17.오존층파괴

18.적조

19.이상고온

20.이상저온

21.토네이도

22.파랑

23.황사

24.동해

이 이외에도 자연 재해는 참 많죠.

자연재해는 피하지는 못하지만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 것 밖에는 없다고 들었어요.그냥 죽게 되는 자연재해도 있고 많이 발생하는 자연재해 도 잇어요

답변확정해 드리면 몇 개의 자연재해의 원인과 피해를 쪽지로 보내드릴게요.

그리고 숙제 잘 해가서 다른 사람보다 더욱 더 독특하게 발표 잘 해 보세요.

답변확정 꼭^_^부탁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진이란? 지구 내부의 변화로 일어나는 판운동이나 화산활동으로 일어나는 돌발적인 지각의 요동현상

 

●지진의 원인

   지진의 직접적인 원인은 암석권에 있는 판(plate)의 움직임이다. 이러한 움직임이 직접 지진을 일으키기도 하고 다른 형태의 지진 에너지원을 제공하기도 한다. 판을 움직이는 힘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침강지역에서 판이 암석권 밑의 상부맨틀에 비해 차고 무겁기 때문에 이를 뚫고 들어가려는 힘, 상부 맨틀 밑에서 판이 상승하여 분리되거나 좌우로 넓어지려는 힘, 지구내부의 열대류에 의해 상부맨틀이 판의 밑부분을 끌고 이동하는 힘 등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것들이 어느 정도의 비율로 작용하는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다. 암석권(lithosphere)은 지표에서 100km 정도 두께의 딱딱한 층이며 그 밑에는 암석권에 비해 덜 딱딱하고 온도도 높아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층이 존재하는데(상부맨틀) 지진이 일어날 수 있는 깊이의 한계는 여기까지로 지표로부터 약 700km의 깊이 이다.

 

● 지진의 피해와 규모

최근 50년간(1941∼90) 세계 각지에서 발생한 규모 7 이상의 천발지진은 약 500회에 이른다.
이들 지진을 발생지역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일본지역 : 전세계 지진의 약 15%
태평양판과 유라시아판, 필리핀판, 북아메리카판이 만나는 곳을 따라서 길게 뻗어 있는 일본
열도에서는 환태평양지진대에서도 지진이 자주 발생라는 지역

규모 7 이상의 대지진은 14만 명의 사망자를 낸 간토대지진(1923.9.1)과 후쿠이지진(1948.6.28),
일본북부지진(1993.7.12), 간사이지진(1995.1.17) 등이 있다.
특히 최근 발생한 간사이지진은 규모 7∼8의 지진으로, 진앙이 대도시 근처였고, 진원지가 비교적 지표에서 가까운 데다 지반이 수직으로 흔들리는 직하형(直下形) 지진이었기 때문에 피해지역이 상당한 수준의 방진(防震)시설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5,000여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② 동남아시아지역 :
유라시아판과 인도 ·오스트레일리아판, 필리핀판, 태평양판의 경계부에 있으면서 환태평양지진대에 속한 필리핀, 인도네시아, 미얀마 지역에서 20세기에 발생한 규모 7 이상의 지진은 10여 회에 이르며, 필리핀의 민다나오섬(1976.8.17)에서는 규모 8의 지진과 함께 거대한 해일이 일어나 큰 피해를 입었다. 그 밖에 필리핀의 루손섬(1990.7.16), 인도네시아의 플로레스섬(1992.12.12), 수마트라섬(1994.2.16) 등에서 규모 7의 지진이 일어났다.

 

③ 인도 ·중국지역 :
유라시아판과 인도 ·오스트레일리아판이 충돌하는 히말라야산맥을 둘러싸고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이 지역은 판의 경계선이 육지의 깊은 곳을 지나고 있어 지진 발생지역이 인도, 아프가니스탄,중국 서부는 물론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몽골, 중국 동부 등 대륙의 상당히 깊숙한 곳까지 이르고 있다.
1556년 1월 23일 발생한 중국 산시성의 이량지진은, 지진 후의 전염병과 기근의 피해까지 포함하여80만 명의 사망자를 내 지금까지 희생자수에서 최대 지진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 간쑤성지진(1920.12.16, 규모 8.6)과, 길이 8km의 단층을 만들며 발생한 탕산지진(1976.7.28,
규모 7.8)이 각각 20만 명이 넘는 사망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 밖에도 1991년 2월 1일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국경지대에서 규모 7의 지진이 발생했으며, 1993년 9월 30일 인도의 마하라슈트라에서 규모 6.4의 지진이 일어났다.

 

④ 북아메리카지역 :
환태평양지진대에 속하는 지역 중 하나이며, 태평양판과 북아메리카판의 경계부인 미국 서해안으로부터 알류샨열도를 따라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20세기에 이르러 규모 8의 지진이 대여섯 차례나 일어났으며, 최근에는 샌앤드레이어스단층이 가로지르는 캘리포니아주에서 규모 7의 강력한 지진(1989.10.17, 1994.1.17)이 발생

 

⑤ 중앙아메리카지역 :
환태평양지진대의 일부를 이루는, 북아메리카판과 태평양판 외에 카리브판과 코코스판이라는 소규모 판으로 이루어진 이 지역에서는 북아메리카판과 카리브판을 가로지르는 변환단층의 활동으로 최근 들어 격렬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과테말라(1976.2.4), 멕시코(1985.9.19), 엘살바도르(1986.10.10),코스타리카 ·파나마(1991.4.22) 등에서 규모 7 이상의 강한 지진이 발생하여 각각 수만 명의 사망자를냈다.

 

⑥ 남아메리카지역 :
남아메리카판 ·나스카판 ·코코스판 등의 경계를 따라서 지진이 잘 발생한다.
1960년 5월 22일에 발생한 칠레대지진은 규모 9.5를 기록했으며, 태평양을 건너 하와이제도와 일본열도에까지 대해일을 일으킨 것으로 유명하다. 근래에는 페루(1970.5.31)와 에콰도르(1987.3.5), 콜롬비아(94.6.6)에서 규모 6 이상의 강한 지진이 일어나 각각 1,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기록했다.

 

⑦ 중동지역 :
아라비아판과 유라시아판이 만나는 이 지역에는 거대한 단층이 지나고 있어 이를 따라 대규모 지진이 잘 발생한다. 이 지역은 20세기에 들어서도 규모 7 이상의 지진이 13차례나 일어나는 등 지진의 빈도가 잦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터키의 에르치칸지진(1939.12.26), 이란의 타바스지진(1978.9.16),아르메니아지진(1988.12.7), 이란지진(1990.6.21), 터키북부지진(1992.3.13) 등이 최근 발생한 규모 7 이상의 격진이다.

 

⑧ 지중해지역 :
유라시아판과 아프리카판의 경계부인 그리스와 이탈리아 해안지대, 모로코와 알제리 등지에서 지진이 잘 발생한다. 근래에는 이 지역에서 큰 지진이 별로 발생하지 않았으나, 지진사에서 보면 1755년 11월 1일의 리스본지진이 규모 9에 육박하여 6만여 명의 사망자를 낸 것을 비롯하여, 이탈리아의 메시나지진(1908.12.28), 아베차노지진(1915.1.13) 등 제법 큰 규모의 지진에 대한 많은 기록을 남기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진

한반도에서는 96년 11월 원산지진(규모 3.6), 96년 12월

 

(1)영월지진 1996년 12월 13일
위치 : 강원도 영월 동남쪽 약 20km 지역 (37.2N, 128.8E)
규모 : 4.5
피해상황 : 전국에서 느낌. 영월 지역에 가벼운 구조물 피해 (건물 내외의 벽에 균열발생)

 

(2)충청남도 홍성 일대에서 발생한 강진 1978년 10월 7일

위치 : 충남 홍성 일대

규모 : 5.2
피해 : 진도 5.2의 강진 발생, 부상 2명 및 건물 파손 100여 채, 건물 균열 1,000여 채붕괴.

 

-1978년 10월 7일 오후 6시 21분 12초부터 3분 9초 동안 충청남도 홍성 일대에서 일어난 강진(强震)으로, 규모 5.2를 기록하였다. 이 지진으로 인해 2명이 부상하고, 홍성군청을 중심으로 100여 채의 건물이 파손되었으며, 1,000여 채의 건물에 균열이 생겼다. 또 홍성의 성곽이 무너지고, 일시 정전과 전화 불통 현상이 발생했으며, 지면(地面)에 균열 현상이 관찰되는 등 4억여 원의 재산 피해를 일으켰다.

홍성지진을 전후로 서울과 중부 지역에서도 잇따라 지진이 발생하였고, 1980년에는 규모 5.3의 강진이 북한의 평안북도 삭주에서 일어나기도 하였다. 또 한반도에서만 1998년 32회, 1999년 37회, 2000년 28회 등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지진에 대한 대비책이 강구되기 시작하였고, 이의 일환으로 1988년부터 건축물 내진설계법을 시행하여 법으로 강제하는 한편, 1992년에는 도로 및 교량 표준시방서를개정해 교량도 내진 설계를 하도록 규정하였다. 그러나 1988년 이전에 설계 및 시공된 건물이나 1992년 이전에 가설된 교량 등은 지진에 대해 무방비 상태이며,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하면 여전히 지진에 무력한 실정이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자연 재해에 대한 자료 조사 방법    ① 신문에서 기사를 스크랩한다.
   ② 인터넷을 이용해 자료를 찾는다.
   ③ 텔레비전 뉴스를 본다.

2. 우리 나라에서 발생하는 자연 재해 및 피해

   ① 태풍:우리 나라의 태풍은 주로
            여름철인 7월과 8월에 많이
            발생한다.
   ② 홍수:장마나 집중 호우로 인해
            하천이 넘쳐 큰 피해를 준다.
   ③ 가뭄:가뭄이 시작되면 물이 부족
            하여 생활 용수와 공업 용수
            가 모자라게 된다. 농작물에도
            피해가 나타나고, 물의 양이
            적어 식수원이 오염된다.
   ④ 폭설:겨울철에 주로 강원도 영동 지방에 폭설이 내려
            교통 체증과 교통 사고를 일으킨다.
   ⑤ 지진:1900년대 이후에는 피해를 입을 만큼 강한 지진은
            일어나지 않았다.
   ⑥ 산사태:장마가 계속되거나 집중 호우가 내려 산 중턱에
              있는 돌이나 흙이 갑자기 무너져 내려 큰 피해를
              준다.


3. 우리 나라에서 발생하는 자연 재해의 특징    ① 태풍과 홍수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② 화산 폭발과 지진에 의한 피해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③ 여름에는 태풍과 홍수로 인한 피해가 크고, 겨울에는
      폭설로 인한 피해가 크다.

4.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생한 자연 재해 및 피해    ① 지진:일본과 대만 등에서는 지진이 발생하여 수천 명이
            사망하고 건물이 붕괴되어 많은 피해가 발생하
            였다.
   ② 폭염:유럽에서는 기상 이변으로 인하여 최고 기온이
            섭씨 40도를 넘어서 사망자가 생기기도 하였다.
            더위와 건조한 날씨로 화재가 발생하고, 식수가
            부족하여 시위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③ 홍수:브라질과 필리핀에서는 강풍과 폭우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집을 잃고 죽거나 다쳤다.
   ④ 가뭄:아프리카 지역에서는 가뭄으로 식량난이 심각해졌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 지진이 일어나는 이유

지진이 발생하는 원인은 지각에 있는 판들이 서로 움직이기 때문이고, 지각에 있는 판들이 움직이기 때문에 서로 충돌하기도 하고, 분리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신생대 제 3기인 4000만년전에는 인도와 아시아판이 충돌해서 히말리아 산이 만들어졌고, 2004년 12월 25일에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를 덮친 쓰나미가 발생하기도 하였습니다.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을 바로 진도라고 하는데, 크게 7등급으로 나눕니다. 등급이 높을수록 지진의 세기도 같이 높아집니다. 만약 진도 5등급은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지진이지만, 진도 1등급은 동물만 감지할 수 있는 지진 이라고 생각하면 되여.(1등급도 느낄수 있는 사람이 있어요) 
그다음은 자연 재해

1.태풍

2.홍수

3.가뭄

4.폭설

5.지진

6.산사태

7.화산폭발

8.우박

9.안개

10.해일

11.지구온난화

12.냉해

13.호우

14.눈사태

15.풍해

16수해

17.오존층파괴

18.적조

19.이상고온

20.이상저온

21.토네이도

22.파랑

23.황사

24.동해

25.쓰나미

등등 여러가지가 있어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신

짧게 요약하면 1번이구 스알짝긹하면 2번

 

1번  지구는 바깥부터 지각,맨틀,외핵,내핵의 순서로 이루어져있다.
그 맨틀의 대류에 의해 지각이 생성되고 이동되는 것이고 그 위에서 우리가 살고있는데
그 맨틀이라 함은 큰 열 덩어리다..그 덩어리들이 충돌하면 지각에 충격이 오는 현상이
지진이라고한다.

 

2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여러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곳은 지구의 표면 

즉, 지각인 암석권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지각은 커다란 널빤지 처럼 편평한 1장의 판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마치 모자이크 처럼 여러개의 판들이 서로 붙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판들은 지구 내부에서 작용하는 여러가지 힘으로 인해서 아주 조금씩 움직인다.

이렇게 커다란 판의 움직임의로 인해서 지진이 일어나게 된다.

물론 판들의 움직임 때문에 땅이 직접적으로 흔들리는것은 아니다.

판이 움직이는 정도는 우리가 느낄수 없을 정도로 작니만 판들이 맞닿는

부분(모자이크의 경계선과 같은곳)에서는 작은 움직임으로도 큰 마찰이 생기고

이로 인해서 큰 진동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판 중에서도 얇은 부분에서는 틈이 생겨 용암이 솟구쳐 올라

화산 활동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연재해

1태풍

2우박

3홍수

4산사태

5지진

6폭설

7냉해

8화산폭팔

9해일

10호우

 

 

저도 4학년이예요~~

좋은 답변 됬을면 좋겠습니당~~

점수 많이 부탁합니다.

이유와자연재해의종류.(내공20) 급함.

... 지진이일어나는이유,만약에된다면지진에대하여도써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 그담에자연재해의종류는한10개정도만부탁드릴게요. 글구내공20걸었구요 감사합니다 제가...

자연재해의 사례

... 자연재해의 종류 홍수,가뭄,해일,지진,태풍,우박,폭설,화산폭팔,산사태,호우,폭풍 등 2.자연재해일어나는 원인... re: 자연재해에 대해(내공 있어요!!!) dold80 (2006-05-20 20:06...

말듣쓰 102쪽 급함!!! 내공 100

... 가운데:자연재해의 종류 (사진) 자연재해의 피해 (사진) 끝: 자연재해일어나는 이유 (글) 로 해주세요 최대한 빨리요!! 내공 100 겁니다 태풍, 가뭄, 홍수, 지진, 화산 폭발...

[내공50]2012년 지구멸망과 지진과...

... 2.지진이 자주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3. 이지진과... 내공 50입니다 ! 1.요즘들어 지진이일어나는데 이지진이... 이 때문에 역대 최악의 자연재해가 환태평양판...

대구의 자연재해예방 좀

제발 자연재해 예방 좀 알려주세요 내공검 2004년 12월 26일... 그 이유는 칠레가 환태평양 지진대 위에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지진의 40퍼센트가 이 광대한...

지진에 대해 좀 알려주새요 내공 걸어여

... 등으로 지진과 유사한 현상이 일어 나는 현상을... 이들을 구분하는 이유는 에너지의 총 방출량이 유사한... 여러 종류지진파들의 정확한 주시곡선(走時曲線...

지진해일에 대해서

... 지진해일이 일어나는 이유 2.지진해일이 일어났을때의... ~~ 자세하게써주신분께 채택해드릴께요~~ ㅠㅠ아 내공... 풍수해대책법을 자연재해대책법으로 개정하면서...

지진..

...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지진의 횟수,특징 4. 지층의 종류... 지진이 발생하는 이유 지진은....지진의 의해서 또, 다른 자연재해 때문에 일어나는 것 입니다.^^ 2. 큰 지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