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자가 끝에 붙어 있는 사람들(중국:공자,맹자 같은 사람들)

'자'자가 끝에 붙어 있는 사람들(중국:공자,맹자 같은 사람들)

작성일 2007.07.1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공자,맹자 같이 '자'자가 붙은 사람들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자(子)자가 붙은 사람은 많죠....대표적으로 제자백가가 있습니다.... 제자백가를 알려드리고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제자백가란??

중국 선진(先秦)시대부터 한대(漢代)초까지의 각 학파 및 저작.

제자(諸子)란 각 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보통 선진 제자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유가에는 공자(孔子)·순자(荀子), 도가에는 노자(老子)·장자(莊子), 묵가(墨家)에는 묵자(墨子), 법가(法家)에는 상앙(商J)·한비자(韓非子), 명가(名家)에는 혜시(惠施)·공손룡(公孫龍) 등을 들 수 있다. 당시 관학(官學)은 민간에까지 퍼져 있었으며, 또한 제후가 선비를 우대하는 풍습이 성행하고 있었다. 제후들은 학사(學士)나 대부(大夫)에게 온갖 사상을 섭렵하게 하고, 저서를 지어 자기 주장을 세우도록 함으로써, 당시 사회의 변혁이나 천도관(天道觀)·명실관계(名實關係)·예법(禮法)·왕도(王道)·패도(覇道)·인성론(人性論) 등의 문제에 관한 견해를 발표하도록 했다. 그리하여 사상가들은 여러 학파를 형성하게 되어 깊이 있는 사상과 풍격 높은 걸작들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한나라 무제(武帝) 때 백가(百家)가 정책적으로 배척되고 오로지 유교만이 숭상되어, 백가쟁명(百家爭鳴)의 시대는 끝을 맺었다. 제자백가시대는 중국철학의 황금기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이후의 철학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때 논란이 되었던 여러 가지 철학적 개념·범주와 명제는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중국철학 논쟁의 주요대상이 되어왔다. 그 가운데 유교와 도교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유교

1. 공자 - 유교의 창시자이며 맹자의 스승. 를 지었다.

공부자(孔夫子)라고도 한다. 본명은 공구(孔丘). 자는 중니(仲尼). 그의 철학은 동아시아 전 문명권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유교의 역사는 공자에서 시작된 것은 아니다. 부처는 불교의 창시자이고 예수는 그리스도교의 창시자이지만 공자는 엄밀히 말해 유교의 창시자가 아니다. 공자는 자기 자신을 '옛 것을 살려 새로운 것을 알게 하는'(溫故而知新) 전수자로 여겼다. 공자는 제사·천제(天祭)·장례 등의 의식들이 수세기 동안 존속해온 이유를 알아내고자 하다가 옛 것에 대한 애착을 느끼게 되었다. 그의 과거로의 여행은 근원에 대한 탐구로 공자는 그 근원은 소속감과 일체감에 대한 인간의 절실한 필요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느꼈다. 그는 문화의 축적된 힘을 믿었고, 전통적 방식이 활력을 잃었다고 해서 장래에 다시 되살아날 수 있는 잠재력마저 없어졌다고는 보지 않았다. 실제로 그의 역사관은 너무나 투철해서 자기 자신을 주(周)나라 때 꽃피웠던 문화적 가치와 사회적 규범이 존속되도록 전수시켜야 할 의무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2. 맹자 - 공자의 제자이며 유교를 크게 알렸다. 유교의 도덕적 이상주의를 완성함. 성선설을 주장. 본명은 가(軻), 자는 자여(子與)·자거(子車 또는 子居), 시호는 추공(鄒公). 공자의 정통유학을 계승 발전시켰고 공자 다음의 아성(亞聖)으로 불린다. 그가 내세운 기본원칙의 핵심은 백성에 대한 통치자의 의무를 강조한 것이다. 는 그의 언행을 기록한 것으로서 인간의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고 있다. 성선설은 현대에 와서도 유교학자들 사이에서 열띠게 논의되고 있는 주제이다

.

 

3. 순자 - 공자의 제자이며, 예(禮)와 권위를 강조함으로써 유교를 통해 인간 조건에 대한 현실적·체계적 탐구를 가능하게 한 인물. 맹자를 반박함. 성악설 주장. 중국 고대의 3대 유학자 가운데 한 사람. 이름은 순황(荀況). 자는 순경(荀卿). 공맹사상(孔孟思想)을 가다듬고 체계화했으며, 사상적인 엄격성을 통해 이해하기 쉽고 응집력 있는 유학사상의 방향을 제시했다. 유학사상이 2,000년 이상 전통으로 남아 있을 수 있었던 것은 많은 부분에 있어서 유교철학을 위해 공헌한 순자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후대의 유학자들이 인간의 본성을 근본적으로 악하다고 보는 그의 염세주의적 관점만을 부각시킴으로써, 그가 이룩한 많은 지적인 업적이 흐려졌다. 12세기초 성리학의 출현과 함께 그의 사상은 냉대를 받기 시작했는데, 최근에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그의 본명은 순황이지만 보통 순자라고 하는데, 당시에는 '자'(子)라는 글자를 철학자들의 이름에 존칭으로 붙였다. 그의 생애와 활동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조나라 출생이라는 것, 몇 년 동안 동쪽에 있는 제(齊)나라의 직하(稷下) 학파에 있었다는 것, 그후 중상모략을 받아 남쪽의 주(周)나라로 옮겼고 BC 255년 그 나라의 지방 수령을 지내다가 관직에서 물러난 후 곧 죽었다는 것 등이 알려진 사실의 전부이다.

 

도교

4. 노자 - 도가의 창시자이며 을 지었다.

성(姓)은 이(李), 이름은 이(耳), 자는 백양(伯陽),또는 담(聃). 노군(老君) 또는 태상노군(太上老君)으로 신성화되었다. 도교경전인 〈도덕경 道德經〉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현대 학자들은 〈도덕경〉이 한 사람의 손에 의해 저술되었을 가능성은 받아들이지 않으나, 도교가 불교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은 통설로 받아들이고 있다. 노자는 유가에서는 철학자로, 일부 평민들 사이에서는 성인 또는 신으로, 당(唐:618~907)에서는 황실의 조상으로 숭배되었다.

 

5. 장자 -  본명은 장주(莊周). 그가 쓴 는 도가의 시조인 노자가 쓴 것으로 알려진 〈도덕경 道德經〉보다 더 분명하며 이해하기 쉽다. 장자의 사상은 중국불교의 발전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중국의 산수화와 시가(詩歌)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6. 열자 - 본명은 열어구(列禦寇). 중국 도가의 기본사상을 확립시킨 3명의 철학가 가운데 한 사람이며, 도가 경전인 〈열자〉의 저자로 전해진다. 그러나 이 책 속에 포함된 글 가운데 많은 부분이 후대 사람들의 위작(僞作)으로 밝혀져, BC 100년경 전한(前漢)의 역사가 사마천(司馬遷)은 〈사기〉 열전(列傳)에서 열자를 제외시켰다. 이런 사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그를 가공인물로 생각한다. 그러나 현대의 학자 대부분은 그가 실존인물이었다고 믿는다. 열자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으나, 그당시의 다른 학자들처럼 많은 제자들을 거느렸고, 전국시대에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왕후(王侯)들에게 유세를 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작품은 해학에 가득 찬 문체와 결정론을 강조한 철학이념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도가의 주요사상가인 노자나 장자와는 달리 인간의 미래는 운명이 아니라 주로 인과관계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르쳤다.

 

묵가

7. 묵자 - 묵가의 창시자. 본명은 묵적(墨翟). 보편적 사랑, 즉 겸애(兼愛)를 기본 이념으로 삼는 그의 철학은 수백 년 동안 유학과 맞섰고 묵가(墨家)라고 부르는 종교운동의 토대가 되었다. 저서로 가 있다.

 

법가

8. 한비자 - 법가의 창시자. 저서로 가 있다. 진왕(秦王) 정(政 : 후의 始皇帝)은 그의 전제정부에 관한 이론에 깊은 감명을 받아 BC 221년 중국을 통일한 후 이를 통일국가의 정치원리로 삼았다. 그의 이름을 따라 한비자로 명명된 그의 저서는 당시 법가 이론의 총괄이다.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공자 맹자 제자

붙어 있는 사람들(중국:공자,맹자 같은...

공자,맹자 같이 '자'자가 붙은 사람들 알려주세요~~~~ (子)... 중국 선진(先秦)시대부터 한대(漢代)초까지의 각 학파... 깊이 있는 사상과 풍격 높은 걸작들이 많이 나타났다....

공자맹자자 같은 훌륭한 사람들이...

... (안배워서..) 하고요 공자맹자자같은 훌륭한업적을 남긴사람들이 한 유명한 말을좀 알려주세요.. 철학자가... <<史記(사기)>>에서는 六家(육가)로 정리하고 있는데, 儒家...

공자 맹자 순자 뒤에 왜 같은 자가...

... 맹자 순자 뒤에 왜 같은 자가 들어가는지 알여주세요 공자. 맹자. 순자 등 인물에 붙이는 “(子)는 학식 있는... 어느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위대한 사람에게 붙이는...

공자 노자 등의 사람들 앞에 '자'를...

보통 책이나 신문 같은 곳에 보면 공자, 노자, 장자, 맹자 등 옛날의 훌륭한 사람들의 성 뒤에 '자'를 붙여... 뒤에 '자'를 붙이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子)는 학식있는 스승에게...

공자 맹자 순ㅈ ㅏ 같은사람들은...

기원전인데 실존인건 어떻게알고 진짜있는지... 후세 사람들 또한 맹자를 '공자에 버금가는 성인(亞聖)'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래선지 생존 연대가 맞지 않는...

맹자나, 공자처럼 자로 끝나는 사람이...

... 끝나는 사람 공자(공구), 맹자(맹가), 순자(순황, 순경)... 관련이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름은 적(翟)) 등 (子)... 중국에 있어서도 같은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모두 자의...

공자맹자같은 사람들뒤에 붙이는 '자...

... 알고있는데 자세히좀 적어주세요 ^^ 부탁할께용~ (子)라는 것은 스승을 뜻합니다. 옛 중국에서 큰스승에게... 성씨뒤에 (子)자를 붙여 공경의 뜻을 표현했습니다 공자...

공자 맹자 순자 뒤에 왜 같은

공자 맹자 순자 뒤에 왜 같은 자가 들어가는지 알여주세요 안녕하세요. 요즘 말로... 성(性)인 공에 스승의 의미인 자가 붙어 孔子라 불리는 것이구요. 전국시대 유교 사상가인...

공자,자같은것을 쓸때 왜 사람자 자를...

... 자가 붙는것들 대부분을 아들 자를 쓰는 거죠? 살인자나 후보자 같이 뒤에 사람 자를 써야하는것 아닌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입니다. 공자(孔子),맹자(孟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