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고장의 문화재와 축제알려주세요ㅜ.ㅜ

저희고장의 문화재와 축제알려주세요ㅜ.ㅜ

작성일 2012.01.04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저는 4학년입니다.저희 고장은 파주인데 방학숙제중 우리고장의 문화재와 축제를 알아 오라는 것이있어서했습니다

먼저 문화재는 무엇이있는지,그다음 축제는 무엇이있는지 알려주세요.

적어도 다음주 수요일까지알려주세요빨리요ㅜ.ㅜ

 

내공은 75드릴께요~ 빨리요~급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축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은

http://tour.paju.go.kr/tour/festival/event/contentinfo/contentBaseInfoList.do?menu_seq_n=7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파주의 기후적 특징

 

기후가 온화하고 연평균기온은 10.5℃, 1월 평균기온 -4℃, 8월 평균기온 25℃이며, 연강수량은 1,300㎜ 내외이다.

 

2.파주의 지형적 특징

 

1)지형 

 
마식령산맥의 말단부에 속하고 북서쪽에는 임진강이 서남류하고 있어 동고서저의 지형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2)산

 

동쪽에는 감악산(675m)·노고산(401m)·금병산(293m)·팔일봉(464m)·앵무봉(622m)이 양주시와, 남쪽에는 황룡산(135m)·명봉산(248m) 등이 고양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중앙에는 파평산(496m)·봉서산(216m)·월롱산(229m)·박달산(368m) 등이 남쪽으로 가면서 낮게 펼쳐져 있다.

 

3)강 · 하천

 
주요 하천으로는 북서쪽과 서쪽 경계를 흐르는 임진강과 서남쪽을 흐르는 한강이 있다. 임진강 지류로 서남류하는 남월천과 북서류하는 문산천, 서류하는 곡릉천 등이 있는데, 이들 하천이 지나는 시의 서쪽에는 해안 평야가 넓게 전개되어 곡창지대를 이룬다.

 

임진강 하류지역은 만조 때 바닷물이 밀려들어와 탄현면과 장단면의 하안가에 넓은 간석지가 발달하고 있다. 해수의 피해가 자주 일어나고 홍수시에는 만조시기와 겹치면 문산읍까지 해일피해를 입히기도 하였으나 인공방조제의 건설로 피해가 많이 감소되었다.

 

4)지질

 

지질은 시생대에 속하는 운모편마암·편마암 그리고 석회암이 분포하고 있다.

 

3.파주의 문화적 특징

 

문화시설로는 군립도서관이 있어 교육·문화 발전에 이바지하며, 문화원에서는 매년 10월 중에 율곡문화제를 개최하고 있다.


광탄면 용미리에 있는 석불입상(보물 93)은 높이 17.4m의 천연거암에 조각된 마애석불이다. 또 2,500여 년 전 석기시대의 유물로 1965년 발견된 8기의 고인돌군이 월롱면 덕은리에 있으며, 이밖에 조리읍 봉일천리에는 조선 예종의 원비 장순왕후를 모신 공릉과 성종의 원비 공혜왕후 한씨를 모신 순릉, 그리고 영조의 장자인 효장세자와 비 효순왕후 조씨를 모신 영릉이 있다. 또한 탄현면 갈현리에는 인조와 그의 비 인열왕후 한씨의 능인 장릉이 있다.


한편 1992년 완공된 통일전망대는 문산읍의 임진각과 함께 이 지역의 유명한 관광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임진각 방면 통일로변에 있는 통일공원에는 육탄십용사의 충현탑을 비롯하여, 6·25전쟁 순직 종군기자 추념비 등 전적기념물이 있다.


문화재는 2003년 현재 총 42점으로 보물 2점, 사적 9점, 천연기념물 2점 등 국가지정문화재 13점과 유형문화재 6점, 무형문화재 1점, 기념물 18점 등 도지정문화재 25점, 문화재자료 4점이 있다.  

 

4.파주의 대표적 문화행사

 

1) 파주어린이책한마당

 

* 지역별 : 경기도 파주시

* 축제 (영문명) :  Paju Children‘s Book Festival 2005

* 주최/주관기관 :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사업협동조합 / (재)출판도시문화재단

* 최초 개최년도 : 2003

* 개최기간 9.30-10.9(10일간)

* 축제 : 성격 문화예술

 

▶ 축제의 유래 및 특성

파주출판도시의 기능적, 지역적 특성을 살려 어린 이 도서전을 비롯하여 어린이 책으로 엮어지는 다양 한 이벤트를 통해 어린이들이 책을 친구처럼 가까 이 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어린이 책 관련자들의 역량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해마다 주제를 달리하 여 개최함.

 

▶ 지역특성

세계유일의 분단의 현장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최북단 접경지역으로서 임진각, 제3땅굴,도라산역을 비롯해 DMZ 생태문화안보관광지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년간340만명이 넘는 국내∙외 관광객이 찾는 곳으로, 환경이 살아 숨쉬며, 천혜의 자연경관이 어우러져 있는 통일의 관문이자 생태문화의 도시임.

 

▶ 축제행사종목

- 도서전시 및 판매, 헌책 전시회, 출판사별 책전 시, 건축학교, 책의교실, 마당극, 빛그림이야기, 별자리 여행, 영화상영, 가족음악회, 미술교실등

 

2) 헤이리 페스티벌

 

* 지역별 ; 경기도 파주시

* 축제 (영문명) :  Heyri Festvial 2005

* 주최/주관기관 : 헤이리아트밸리건설위원회 / (사)헤이리

* 최초 개최년도 : 2003

* 개최기간 : 9.24-10.9(16일간)

* 축제 성격 : 문화예술

 

 ▶ 축제의 유래 및 특성

국내외 어디서도 유사한 사례를 찾아볼 수 없는 파주 통일동산의 헤이리는 370여 회원들의 아름다운 예술적 이상이 현실에서 역동적으로 구현되고 있는 예술인 마을이다.

3회째를 맞는 헤이리 페스티벌 2005는 전시(미디어, 설치미술, 디자인, 웹아트/게임,패션 등)와 공연(음악,무용,연극,퍼포먼스,음향/조명 예술등)이 만나고,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자연과 예술이 어우러지는 더욱더 국제적, 다원적, 복합적인 종합 문화예술축제임

 

▶ 지역특성

세계유일의 분단의 현장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최북단 접경지역으로서 임진각, 제3땅굴,도라산역을 비롯해 DMZ 생태문화안보관광지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년간 340만명이 넘는 국내∙외 관광객이 찾는 곳으로, 환경이 살아 숨쉬며, 천혜의 자연경관이 어우러져 있는 통일의 관문이자 생태문화의 도시임.

 

▶ 축제행사종목

- 건축속의 미술, 풍경속의 미술, 헤이리 오픈 스튜디오, 헤이리 건축전, 극소리, 헤이리 프린지

 

3) 파주예술제

 

* 지역별 :경기도 파주시

* 축제 (영문명) :  The Paju Art Festival

* 주최/주관기관 : 파주시/한국에총 파주지부

* 최초 개최년도 : 1999

* 개최기간 : 5.28-5.29(2일간)

* 축제 성격 : 문화예술

 

 ▶ 축제의 유래 및 특성

관람객들이 하나가 되어 통일을 염원하고 문화예술을 지향하는 도시로의 이미지 전환에 기여하고, 시민들이 참여하는 문화축제로 다양한 장르의 공연 및 전시개최

 

▶ 지역특성

세계유일의 분단의 현장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최북단 접경지역으로서 임진각, 제3땅굴,도라산역을 비롯해 DMZ 생태문화안보관광지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년간 340만명이 넘는 국내∙외 관광객이 찾는 곳으로, 환경이 살아 숨쉬며, 천혜의 자연경관이 어우러져 있는 통일의 관문이자 생태문화의 도시임.

 

▶ 축제행사종목

- 국악한마당, 한마음음악회, 문학세미나겸 지상백일장, 파주미술협회 회원전 페이스페인팅, 마네트 마임공연, 타악 퍼포먼스, 발레공연, 요들그룹,두드락 공연

 

4)율곡문화제

 

* 지역별 : 경기도 파주시

* 축제 (영문명) :  Yulgok Cultural Festival

* 주최/주관기관 : 파주문화원/율곡문화제추진위원회

* 최초 개최년도 : 1988

* 개최기간 : 9.29-10.2(4일간)

* 축제 성격 : 전통민속

 

 ▶ 축제의 유래 및 특성

파주가 낳은 대현 율곡 이이 선생의 유덕을 추앙하고 선생의 삶과 사상을 되새겨 보는 계기의 제공을 통해 시민들에게 지역적 정체성을 공유 할 수 있는 바탕을 제공하며 나아가 향토문화예술의 발표의 장 및 시민들에게 문화예술 향유 제공

 

▶ 지역특성

세계유일의 분단의 현장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최북단 접경지역으로서 임진각, 제3땅굴,도라산역을 비롯해 DMZ 생태문화안보관광지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년간 340만명이 넘는 국내∙외 관광객이 찾는 곳으로, 환경이 살아 숨쉬며, 천혜의 자연경관이 어우러져 있는 통일의 관문이자 생태문화의 도시임.

 

▶ 축제행사종목

- 자운서원 추향제례, 율곡사상학술심포지엄, 율곡선생관련 유적지 답사, 유가행렬 재연 및 길놀이, 율곡백일장, 장원급제퀴즈대회, 향토작가 초대전, 파주시합창단공연, 전국한시 백일장, 사생 대회, 휘호대회, 전통다례시연, 율곡서예대전, 한마음음악회


(파주시의 문화재 - 파주시 지정)

 

1.용주서원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1호
지 정 일  1986.04.17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덕은리 298
시 대  조선시대


월롱산 기슭에 위치한 용주서원은 조선 선조때 유학자이며 청백리에 녹선된 휴암 백인걸 (1497∼1579)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자 건립된 서원이다.

 

1598(선조 31)년 백인걸 선생이 관직에서 물러난 후 학문과 후진 양성에 전념했던 옛 집터에 지방유림들 이 서원을 세우고 사당을 지어 위패를 모셨다.


그 후 유생 정재심이 사액을 청했으나 실패하고 철폐되었으며 그 자리에 유허비만 남아 있다가 1924년 유생들이 다시 뜻을 모아 서원을 복원하고 백인걸 선생외에 그의 문인이었던 장포 김행, 옥천 조감, 낙금당 신제현, 당산 백유함선생등 5인의 위패를 모시고 배향하고 있다.


경내에는 1997년 개축한 5칸 규모의 정륜당과 사우, 내·외삼문, 홍살문 등이 있으며 사우는 홑처마에 맞 배지붕건물로 정면 7.5m, 측면 5.2m의 6칸 규모이다.


그 좌측에는 1862(철종 13)년에 화강석으로 세운『백휴암선생 유허비(白休庵先生 遺墟碑0』가 세워져 있다.


매년 음력 9월 9일에 파주유림에서 제향을 받들고 있다.

 

 

2.파주향교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2호
지 정 일  1986.04.17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파주리 335
시 대  조선시대


파주향교는 파주읍 파주리 마을 중간에 위치하며 경사지에 위치한 관계로 뒤쪽 높은 곳에 배향 공간을 두고 전면 낮은 터에 강학공간을 둔 전학후묘의 전형적인 배치형태를 이루고 있다.


조선 초기에 설립된 이 향교는 선현의 위패 봉안·배향과 파주지역의 교육담당을 위해 건립되었으며, 1660 년(현종 1년)에 사액되어 돈암서원 이라고 명명되었다.


인조 때 명륜당, 내·외삼문, 홍살문, 부속건물 등은 건립하였는데 1870년 홍수로 인해 지금 위치로 옮겨왔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대성전, 내·외삼문, 동재를 제외한 건물 등이 모두 소실되고 말았다. 그 후 명륜당은 재건하고 내·외삼문과 주위담장 및 동재 등을 보수했다.


1973년에는 홍살문을 보수하고 대성전을 새로 단청하였으며 1979년에 와서 명륜당, 내·외삼문, 동재, 담장 등을 보수하였다. 1999년에는 명륜당을 새롭게 보수하였다.


갑오개혁이후 교육적 기능은 약해지고 현재는 봄·가을로 석전제를 봉행하고 초하루, 보름이 되면 분향을 한다.
 

 

3.적성향교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3호
지 정 일  1986.04.17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구읍리 476-2
시 대  조선시대


적성향교는 조선 전기에 적성면 구읍리 칠중성 아래에 전학후묘의 배치형식으로 설립해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그러나 그 후 몇차례의 전란과 한국전쟁으로 소실된 것을 1970년에 복원하였다.

 

1971년에 명륜당을 신축하고 1975년에는 전반적인 중수가 있었다. 경내에는 대성전, 명륜당, 외삼문, 홍살문이 있으며 대성전의 규모는 정면 8.4m, 측면 4.65m이며 익공계 양식 겹처마에 맞배지붕이며 방풍판이 달려 있다.


명륜당은 정면 6.5m, 측면 4.5m 규모로 연등천장에 민도리집으로 홑처마에 팔작지붕 형태를 띠고 있다.


1975년 지붕과 벽을 보수했으며 1978년 명륜당 단청을, 1996년에 대성전을 개축하여 1997년에 단청하였다. 갑오개혁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현재 봄, 가을로 석전제를 봉행하고 있다.

 

 

4.김석몽처 남평문씨 열녀문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4호
지 정 일  1986.04.17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백석리 산 20
시 대  조선시대


김석몽처 열녀문은 김석몽의 아내 남평문씨의 부덕과 정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문이다.


일찍이 김씨 가문에 출가한 문씨는 효행이 뛰어나고 현모양처로서 부덕을 갖춘 부인이었으나 젊어서 남편을 잃었다.


그러나 뜻을 견고히 하고 수절하던 중 하루는 냇가에서 빨래를 하는데 갑자기 악한이 달려들어 겁탈하려 하자 문씨는 이에 굴하지 않고 저항하며 순절하였다.


이에 영조 40년(1764) 8월 조정에서는 문씨의 열부, 정절의 정신을 기리는 뜻에서 정려를 내려 세우게 하 였다.


정려내에는 『열녀 김석몽처 남평문씨지문영묘갑신 8월일명정계해2월일 중수립(烈女 金石夢妻 南平文氏之門 英廟甲申 八月日 命旌癸亥二月日 重修立)』이라 음각된 현판과 『열녀정려기(烈女旌閭記)』가 걸려있다.


정각 규모는 정면이 2.2m, 측면 2m이며 맞배지붕에 한식기와를 올렸는데 현재의 정문은 1964년 2월에 신축한 것이다.
 

 

5.봉서리 충신열녀문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5호
지 정 일  1986.04.17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봉서리 산 94-1
시 대  조선시대


봉서리 충신열녀문은 임진왜란 때 무장으로 활약하다 순국한 충신 김복경(1545∼1592)과 병자호란 때 굳게 정절을 지킨 그의 며느리 신평 송씨의 순절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정려이다.


김복경은 본관은 경주, 호는 몽윤당으로 양주목사겸 양주진병마첨절제사로 재직하던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왜군과 분전하던 끝에 48세의 나이로 전사했다.


이에 조정에서는 1633년(인조 11) 12월 그의 애국충절을 기리기 위해 정려를 세우게하고 『충신 통정대부행양주목사 진병마첨절제사 김복경 지려(忠臣 通政大夫行楊州牧使 鎭兵馬僉節制使 金復慶 之閭)』이란 현액을 하사 하였다.


김복경의 며느리 신평송씨(1583∼1636)는 김복경의 아들인 통덕랑 김검의 처로 1636년 병자호란 당시 삼각산 기슭으로 피난을 가던 중 청군에게 잡히게 되자 그해 12월 10일 자결했다.


1639년 나라에서는 송씨 부인의 정절을 표창, 열녀로 봉안케하는 한편 『열녀통덕랑김검처 공인명 정녀(烈女通德郞金儉妻 恭人命 旌女)』란 현액을 내렸다.


정각내에는 우측에 김복경, 좌측에 신평송씨의 현액이 봉안되어 있으며 정각규모는 정면 5.3m, 측면 2.4m로 맞배 지붕이다.

 

6.이이 선생 신도비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6호
지 정 일  1986.04.17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 산 5-1
시 대  조선시대

 
율곡이이 선생의 일대기를 기록한 비이다.

 

이이선생신도비는 자운서원 경내 좌측 산기슭에 세워져 있는데 조선 중기 대학자인 율곡 이이(1536∼1584)선생의 일대기를 기록한 비이다.

 

이 신도비는 율곡선생이 돌아가신지 47년이 지난 1631년(인조 9) 4월에 건립된 것으로 비문은 이항복이 짓고 신익성이 썼으며 전액은 김상용이 썼다.

 

재질은 대리석으로 앞뒷면에 걸쳐 각자되어 있는데 앞면에 몇 군데의 총탄 흔적이 있다.

 

비의 규모는 높이 223cm, 너비 109cm, 두께 39cm이며 현재 비각을 지어 보호하고 있다.

 

7.청풍 김씨 열녀비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7호
지 정 일  1986.04.17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능산리 산 33-1
시 대  조선시대


청풍김씨열녀비는 사헌부지평에 증직된 조중협의 처 청풍김씨의 효행과 부덕, 정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청풍김씨는 김흥노의 딸로 일찍이 조씨 가문에 출가하여 지극한 정성으로 시부모를 봉양하고 남편을 내조하여 효부·열녀로서 타의 모범이 되었다.


1737년(영조 13) 2월 22일 남편인 조중협이 죽자 대소상을 마치는 날 저녁 끊는 물을 몸에 붓고 남편을 따라 순절했다. 이에 1750년(영조 26) 조정에서는 열녀 정려를 내리고 남편에게 사헌부지평을 증직하여 열부의 사표로 삼았다.


비의 앞면은 "열녀증사헌부 지평조중협처 의인 청풍김씨지려 숭정기원후 3경년7월일 명정(烈女贈司憲府 持平趙重協妻 宜人 淸風金氏之閭 崇禎紀元後 三庚年七月日 命旌)"이라 쓰여있다.


비의 재료는 화강암으로 규모는 높이 120cm, 너비 57cm, 두께 20cm이며 화강암 장대석으로 기단을 만들고 비 주위는 보호책을 둘러놓았다.
 

 

8.감악산 비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8호
지 정 일  1986.04.17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산 25
시 대  삼국시대


감악산 정상에 우뚝 서 있는 이 고비는 기단부, 비신, 개석을 갖춘 화강암 석비로 높이 170cm, 너비 70∼79cm, 두께 15∼19cm의 규모이다.


이 비에는 전혀 글자가 확인되지 않고 있어 『몰자비』라 부르기도 하고 『설인귀비』『빗돌대왕비』등으로 구전되기도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이 비에 대한 실체는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속전에 의한 기록만이 존재하고 있다.


1982년 동국대학교 감악산 고비 조사단에서 2차례에 걸쳐 이 비를 조사한 결과 그 형태가 북한산의 진흥왕 순수비와 흡사하고 적성지역이 전략적 요지로서 진흥왕대에 영토확장 정책에 따라 세력이 미쳤던 곳이라는 점을 들어 제5의 진흥왕 순수비의 가능성을 제기 했으나 그 역시 결론을 낼만한 확실한 증거는 발견되지 못했다.


또 한편에서는 『진평왕비』일 가능성도 제기하였으나 그 역시 결정적이지는 못하다. 앞으로 이 비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9.충정공 최흥원 묘 및 신도비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9호
지 정 일  2001.12.21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아동동 산 18
시 대  조선시대


충정공 최흥원(1529~1603)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본관은 삭령, 자는 복초, 호는 송천으로 1555년 진사시에 합격, 내시교관을 거쳐 1588년 평안도 관찰사를 역임 하였다. 그 후 대사헌, 병조판서, 좌참찬을 거쳐 1592년 임진왜란 시 경기.황해도 순찰사가 되었고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 요직을 지냈다. 임진왜란 시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 2등에 추록되었고 청백리에 녹선 되었으며 시호는 충정이다.

 

묘역과 신도비는 아동동 산 18번지에 위치하는데 현재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으며 묘역에는 묘비와 망주석, 상석, 장명등, 문인석등이 조성되어 있다. 신도비는 묘역 남서쪽 아래 100여미터 지점에 세워져 있는데 1603년(선조 36) 선조가 하사한 순백색의 비로 일명 청백비 또는 청백리비로 불리고 있다. 신도비의 이수 전.후면에는 쌍용이 조각되어 있으며 이수와 비신이 한몸으로 되어 있고 좌대는 귀부이며 바깥에 석주난간을 둘렀다.


이 신도비는 한국전쟁 이전까지 묘하에 원형 그대로의 비가 보존되어 오다가 그 후 군부대 주둔으로 훼손, 매몰되었던 것을 1982년 군부대 시설공사 도중 발견되어 그 후 1987년 가을 삭령 최씨 종중에서 비문을 새로 새겨 현재의 자리에 세웠다.
 

 

10.파평용연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10호
지 정 일  2002.12.21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늘노리 385-1
시 대  삼국시대


파평용연은 파평을 본관으로 하는 파평윤씨 시조 윤신달(893~973)이 탄강 설화와 관련된 유적이다. 윤신달은 통일신라 말 고려 초의 인물로 이 곳 용연에서 태어나 파평윤씨의 시조가 되었으며 고려 왕조를 세운 태조 왕건을 도와 삼한통일의 공을 세워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이후 삼중대광태사의 벼슬에 오르고 태조가 죽고 혜종이 즉위하자 서라벌에 설치된 동경대도호부의 대도독으로 임명 되었다. 시호는 소양이다. 용연과 관련된 전설로 신라 진성왕 7년(893) 음력 8월 15일 운무가 가득한 용연에 옥함이 떠있어 근처에 사는 윤온 이라는 할머니가 거두어 보니 안에 옥동자가 들어 있었는데 그는 오색이 찬란한 깃털에 쌓여 있고 양어깨에는 붉은 점과 좌우 겨드랑이에는 81개의 비늘이 있으며 발바닥에는 북두칠성의 형상인 7개의 흑점이 있었다고 한다.


성장하면서 용모가 장대하고 재주와 도량이 남보다 뛰어났다고 전하며 이 후 윤온 할머니의 성(姓)을 따 윤씨 성과 신달 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전한다. 용연은 천연적으로 형성된 자연못으로 총 면적이 2,531평에 달하며 그 중 수호전은 1,530평 이다. 용연에는 1920년에 세운 『파평윤씨 용연비』와 1972년 3월에 세운 『파평윤씨 발상지비』가 세워져 있다.

 

 

11.상서대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11호
지 정 일  2001.12.21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법원읍 웅담리 330
시 대  조선시대

 
상서대는 고려시대 문숙공 윤관(?~1111)이 상서로 있을 때 여가를 틈타 시문과 휴양을 하던 별저의 유허지로 그 후 그의 후손들이 학문을 닦던 곳이며 묘소가 실전된 후손들의 비단이 세워져 있는 곳이다.


건축물은 남아 있지 않으며 단지 장방형의 담장을 두르고 사주문을 세워 출입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내부 중앙 우측으로 『파평윤공상서대』라고 쓴 비가 세워져 있으며 상서대비 뒤 편으로 묘소가 실전된 10위의 추원단이 나란히 세워져 있다. 또 내부에는 윤관이 직접 심었다는 느티나무가 임진왜란때 병화로 타 죽었으나 다시 새싹이 자라났다는 노거수 2그루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상서대 옆 하천 절벽에는 윤관의 애첩 웅단이 순절했다는 전설이 담긴 『낙화암』이라 쓴 비가 세워져 있으며 그 아래 연못을 웅담이라 부르고 있다.

 

 

12.이주 · 이광정 묘 및 신도비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12호

지 정 일  2001.12.21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조리읍 뇌조리 산 1-20
시 대  조선시대

 

조선 중기 문신인 이주(1534~1584)와 그의 아들 이광정(1552~1627)의 묘와 신도비 이다.

 

이주의 자는 언림, 호는 분봉, 본관은 연안으로 1558년(명종13) 진사시에 합격 성균관에 들어갔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연녕부원군에 봉해졌고 시호는 정목이다.

 

이광정의 자는 덕휘, 호는 해고로 연녕부원군 이주의 아들이다. 1573년(선조 6) 진사시에 합격하고 1590년 동몽교관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임진왜란이 나자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하였고 그 후 이조· 병조· 예조참의를 역임하고 1601년에는 지중추부사로서 청백리에 녹훈 되었다. 이후 예조판서, 대사헌, 이조판서등의 요직을 거쳤다.

 

이주·이광정 묘역은 10미터 간격으로 한 구역내에 함께 조성되어 있으며 봉분앞으로 묘비와 상석, 망주석, 문인석등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신도비는 묘역 아래 보호각에 세워져 있는데 이주 신도비는 이수부에 이무기 두마리가 여의주를 놓고 다투는 형상이 구름무늬와 함께 조각되어 있으며 귀부에는 귀갑문이 뚜렷히 새겨져 있다. 비문은 정경세가 글을 짓고 이현이 썼다. 이광정 신도비는 이수부에 두 마리의 이무기가 발톱을 마주대고 있는 형상으로 비문은 이기징이 짓고 이간이 썼다.

 

13.화평 옹주 · 박명원 묘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13호
지 정 일  2001.12.21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파주1리 산 57-1
시 대  조선시대


화평옹주는 영조의 셋째 딸로 영빈이씨의 소생이다. 1727년(영조 3) 창경궁 집복헌에서 태어났으며 1748년 2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박명원(1725~1790)은 조선후기 문신으로 영조의 딸인 화평옹주와 결혼하여 금성위가 되었고 시호는 충희이다. 영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글씨를 매우 잘 써 나라의 경사나 슬픈 일이 있을 때 10여 차례에 걸쳐 금옥보책명정서관을 지냈다.


묘역과 신도비는 파주읍에 소재한 육군 제7663부대 내에 위치하며 묘역 구성은 옹주와 박명원의 합장봉분 1기와 묘비, 문인석, 망주석, 장명등, 상석, 향로석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봉분 뒤로 곡장을 둘렀다. 봉분 앞에 세워진 묘비는 1790년(정조14)에 세운 비로 비신 172×74×45cm, 대석 43×127×97cm로 비문은 영조의 친필이다.


박명원 신도비는 묘역 100여미터 하단에 세워져 있는데 1790년(정조 14)에 건립된 것으로 규모는 총높이 300cm, 비신 191cm, 폭 75cm, 두께 46cm이며 비문은 집자비로 정조가 글을 짓고 전자는 이양빙의 글씨를 비문은 안진경의 글자를 모았다.

 

14.화완옹주 및 정치달 묘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14호
지 정 일  2001.12.21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산 115-27
시 대  조선시대


화완 옹주는 영조의 아홉째 딸로 후궁 영빈이씨의 소생이다.


정치달(?~1757)은 조선후기 문신으로 본관은 연일(延日)이며 화완 옹주와 결혼해 일성위가 되었으며 시호는 효민이다.


묘역은 벽돌로 쌓은 곡장 아래에 원형 봉분 1기와 묘비 1기, 상석, 망주석, 향로석이 배치되어 있다. 묘비는 1757년(영조 33)에 세워진 비로 규모는 옥개석 34×103×75cm, 비신 130×58×32cm, 대석 46×102×77cm 이다.
 

 

15.정태진 묘


종 목  경기도 향토유적 제15호
지 정 일  2001.12.21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영장리 8
시 대  근대(1952년)

 
정태진(1903~1952) 선생은 근대 한글학자이며 독립운동가로 파주시 금릉동 406번지에서 1903년 부친 나주 정규원과 어머니 죽산 박씨 사이의 3형제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1941년 6월 조선어학회『조선말큰사전』 편찬원이 되었고 1942년 9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함남 흥원 경찰서에서 옥고를 치루었다. 1945년 8월 조선어학회를 복구하여 『조선말큰사전』 편찬을 다시 시작하여 조선어학회를 설립하고 연세대, 중앙대, 홍익대, 동국대 등에서 국어학을 강의 하였다. 1952년 불의의 교통사고로 순직하였으며 1962년 3월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이 추서 되었으며 1997년 11월 이 달의 독립운동가, 1998년 10월 이 달의 문화인물로 선정 되었다.


묘소는 금릉동에 위치하였다가 최근 광탄면 영장리로 이장 하였다. 금릉동 묘소가 있던 인근 생가는 현재 택지개발지구 내 정태진 기념관으로 복원 개방하고 있다.

 

16.서곡리 고려벽화 묘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16호
지 정 일  2001.12.21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진동면 서곡리 산 112
시 대  고려시대


서곡리 고려 벽화묘는 지난 1991년 도굴 분으로 신고되어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발굴 조사 과정에서 고려시대 그려진 벽화묘임이 밝혀졌다.


벽화묘의 봉분은 높이 150cm, 지름은 420cm이며 내부 석곽은 장방형으로 동·서·북 3면과 천장석, 문비석의 안쪽면을 잘 다듬은 거대한 화강암 판석을 이용하였고 석곽의 크기는 길이 285cm, 너비 128cm 이다.


석곽의 동·서·북 3면의 내면과 문비석 내면에 각각 인물상이 그려져 있으며 천장석 중앙에는 성진도가 그려져 있으며 동·서벽 내면부터 북쪽을 향하여 모두 5명의 인물상을 일렬로 그렸는데 동·서벽면의 인물상은 정좌상이고 나머지는 모두 입상이다. 또 북벽면과 문비석 내면 중앙에도 각각 1명의 인물 정좌상을 그렸다.


이 벽화묘는 그 동안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인 청주한씨 한상질(?~1400)의 묘로 청주한씨 종중에서 수호하여 왔는데 1991년 문화재 연구소의 발굴조사 과정에서 고려 말 인물인 권준(1280~1352)의 묘지석이 출토되어 피장자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벽화묘는 고려시대 미술사적, 학술적 연구에 매우 귀중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17.성임 묘 및 신도비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17호
지 정 일  2001.12.21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내포4리 산 50-1
시 대  조선시대


조선초기의 문신인 성임(1421~1484)의 묘로 자는 중경, 호는 일재·안재, 본관은 창녕, 지중추부사를 지낸 염조의 아들이다.


1453년 계유정난때 세조를 도와 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었고 『국조실록』편찬에 참여 하였으며 도승지, 이조참판, 공조참판, 중추원부사, 전라도관찰사등을 역임하였다. 그 후 형조참판, 형조판서, 이조판서, 좌참판등 중요 요직을 거쳤다.


글씨와 시문에 탁월한 재주를 나타내 송설체의 대가이며 문학사적으로 패관소설의 선구자이며 우리나라 국어사 연구에 지대한 업적을 남겼다. 중국의 『태평통기』500권을 초록하여 상절을 만들었고 고금의 이문을 수집하고 정리한 『태평통재』80권을 간행 하였다. 저서로 『안재집』과 많은 시문이 있으며 시호는 문안이다.


묘역은 북서방향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상석과 석등, 무인석등을 배치하였는데 무인석의 형태가 매우 독특하며 석등에는 하단에 화문을 조각 하였다. 신도비는 묘역 좌측 아래에 세워져 있는데 1500년(연산군 6)에 건립된 비로 비문은 홍귀달이 짓고 안침이 쓰고 전하였다. 신도비는 앞뒤면 외곽에 연화문을 음각한 독특한 비이다.

 

18.파주리 당간지주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18호
지 정 일  2001.12.21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파주4리 511-4
시 대  통일신라~고려


파주리 당간지주는 통일신라~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당간이란 사찰에서 불교의식이 있을 때 불보살의 공덕과 벽사적인 목적아래 "당"이라는 깃발을 달기 위한 깃대를 말하며, 이 깃대를 세우기 위한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당간지주는 사찰의 입구에 세워 사찰의 영역 표시는 물론 종단의 계통을 알리는 기능을 하였는데 이곳의 당간지주는 2주 중 1주 만이 보존되어 있다. 지상에 드러나 있는 부분의 총 높이는 205cm이며 가로폭이 50~35cm의 사각 돌기둥 형태로 지주 상하에 간공(竿孔)이 있으며 구멍의 깊이는 15cm 이다.

 

당초 이 당간지주는 2주가 남아 있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1주가 소실된 것으로 마을주민들이 전하고 있다. 보통 당간지주는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며, 불교의식과 관련된 중요한 유적이다. 그러나 그동안 지역주민들은 이곳을 형장터로 알고 있어 이 돌기둥에 서려있는 혼을 달래기 위해 현재까지도 매년 마을제를 지내고 있다.

 

 

19.황정욱 묘 및 신도비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19호
지 정 일  2002.07.29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금승리 산 7
시 대  조선시대


황정욱(1532~1607)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장수, 자는 경문, 호는 지천으로 명종 7년(1552) 사마시에 합격하고 1580년(선조 13)에 진주목사,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하였다. 1587년(선조 19)에 호조판서가 되었고 1590년(선조 23)에 광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이 후 예조판서, 병조판서, 대제학 등 요직을 거쳤다. 문자 및 시, 서예에 능하였으며 저서로 『지천집』이 있으며 시호는 문정공이다.


묘역은 황정욱과 정경부인 순창 조씨의 합장묘로 봉분과 묘표석, 상석, 향로석, 문인석등이 배치되어 있다. 신도비는 묘역 50여 미터 아래에 비각을 세우고 안치하였는데 높이 3m, 폭 1m의 규모로 비문은 홍서봉이 글을 짓고 썼다.
 

 

20.성사영묘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20호
지 정 일  2002.05.27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마장리 127
시 대  일제강점기
 

성사영묘는 공자의 유상을 모신 사우로 이 곳에 모신 공자의 영정은 조선 제9대 임금인 성종이 명나라 황제 헌종으로부터 받아 넷째 아들인 완원군 이수(1480~1590)에게 하사한 것이다. 이 후, 완원군 종손들이 대대로 받들어 오다가 후손들과 파주, 양주 유림들의 주동으로 1917년 성사영묘를 짓고 받들게 되었다.


제향은 매년 음력 8월 27일 유림주관으로 봉행하고 있다. 건물배치는 입구에 홍살문이 세워져 있으며 홍살문 안쪽에 솟을 삼문과 담장을 둘렸으며 삼문 안에 일자형 영묘가 자리하고 있다.


성사영묘는 파주의 대표적 사우로 건축구조는 전형적인 사당의 평면배치를 하고 있으며 단순하면서도 잘 정돈된 검소하고 단아한 기품을 보여주는 건물양식이다.

 

21.전주이씨 상원군 이세령가문 충신·열녀 정려편액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21호
지 정 일  2006.10.04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교하읍 야당리 산 341-1
시 대  조선시대


충열의 집으로 불리는 이 곳의 충신 열녀 정려 편액은 1636년 (인조14) 병자호란시 강화도에서 분신한 충신 상원군 이세령과 뒤를 이어 순절한 상원군 모친 상주김씨, 부인 문의조씨, 상원군 아우 진원군의 부인 청주한씨 등 4인의 충신 열녀의 정려편액이다.


상원군 이세령은 자는 자안, 본관은 전주로 1636년 (인조14) 병자호란이 나자 아우 진원군과 인열왕후 혼전을 모시고 강화도로 들어갔으나 강화진이 침범 당하자 갑옷을 벗어 종복에게 주고 문충공 김상용과 더불어 남문루에 올라가 불을 놓아 자분 하였다. 상원군이 자분하자 그의 모친인 상주김씨와 부인 문의 조씨, 제수인 청주한씨 등이 뒤를 이어 순절하였다.


정려 현액은 모두 4기로 그 중 진원군 부인 청주한씨의 정려현액은 1998년 평택에서 이곳으로 이안 한 것이며 나머지 3기는 원래 교하읍 야당리 128번지에서 같은 해 지금의 위치에 충열의 집을 신축하여 보존하게 되었다.

 

22.미수 허목선생 친필 암각문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22호
지 정 일  2005.05.24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장좌리 141
시 대  조선시대


본 암각문은 지난 2001년 적성면 장좌리 임진강 적벽 구간에서 발견되었으며 암각된 글자는 「괘암」「미수」4자로 「괘암」이란 글자를 「미수」허목선생이 전서체로 쓴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글자의 크리는 「괘암」이 각각 가로 30cm, 세로 55cm 이며 허목선생의 호인 「미수」는 각각 가로 20cm, 세로 25cm의 크기로 바의 절벽면에 암각되어 있다.


암각문을 쓴 미수 허목(1595 ~ 1682) 선생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연천출신이며 전서체의 동방 1인자로 알려져 있음. 1675년 숙종때 이조참판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으며 문장 뿐 아니라 그림 글씨에 뛰어나 강원도 삼척의 「척주동해비」시흥의 「영상이원익비」등의 비문을 썼음. 문집 「미수기언」이 전한다.


「괘암」과 관현된 문헌기록은 미수 허목의 문집인 「미수기언」제 9권 괘암의 제명기조에 나타나는데 “조선 현종9년(1668) 여름에 이 곳 괘암을 찾아가 「괘암」이란 두 글자와 미수서라 쓰고 돌에 새겨 괘암에 제명하는 고적임을 표시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괘암 암각문은 1668년 당시 최초「괘암」이라 새긴 글자가 3백여 년이 지나면서 글씨가 희미해진 것을 미수 허목 선생이 괘암에 제명하는 고적임을 표시하기 위해 새로 새긴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그러나 현재 최초의 암각문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

 

23.청원군 이간 묘역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23호
지 정 일  2006.04.20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교하읍 교하리 산 39-2
시 대  조선시대

 
청원군 이간(1539 ~ 1592)은 익양군 이회의 손자로 자는 중직, 호는 송경으로 처음에 청원부정을 받고 도정이 되고 다시 명선대부에 올랐다. 임진왜란 시 병환으로 종실의 신하로써 왕을 호종할 수 없게 되자 아들 금산군으로 하여금 왕을 호종케 하고 이 해 7월 사망하였다. 청원군을 증직받고 승헌대부에 봉했다.


광산수 이효윤(1554 ~ 1612)은 청원군의 첫째아들로 광산수를 받고 관직은 창선대부에 이르렀으며 문예에 뛰어났고 시문에 조예가 깊었다.


금산군 이성윤(1570 ~ 1620)은 청원군의 둘째 아들로 임진왜란시 병환중인 부친의 부탁으로 선조임금을 호종하였다. 도정에 특진되고 명선대부가 되었으며 위성공신 2등에 오르고 금산군에 봉해졌다. 승헌대부에 오르고 흥록대부에 증직되었으며 시호는 충정이다.


묘역은 비탈진 구릉상에 한 구역에 조성되어 있는데 가장 선대인 청원군 이간묘역을 중심으로 그 위에 청원군의 둘째 아들인 금산군 이성윤의 묘가 위치하여 청원군묘 아래로 금산군의 아들인 광산수 이효윤과 이정방 묘, 가장 하단에 이정방의 아들인 이민정의 부인 광산김씨묘 등 4인의 묘가 상하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모두 단봉분으로 조성되어 있다. 그러나 광산수 이효윤의 묘는 금산군 묘의 좌측 하단에 별도로 조성하였으며 부인 창녕성씨와 쌍분을 이루고 있다.

 

묘역내 석물로는 각 묘역마다 혼유석, 상석, 망주석이 원래대로 보존되어 있으나 석인상은 지난 1998년 6월경 모두 도난 당했다. 각 묘역 봉분 중앙에 묘비가 세워져 있는데 청원군 이간묘비와 금산군 이성윤 묘비의 이수부에는 이무기의 모습을 매우 사실적이며 정교하게 조각하였다.

 

24.장포 김행 묘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24호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월롱면 덕은리

시 대  조선시대

 

장포 김행은 자는 주도, 호는 장포이며, 본관은 강릉김씨로 아버지는 국평이며, 어머니는 거창신씨 극효의 딸이다. 관직으로는 성균관 전적, 형조, 호조좌랑, 한성부서유능ㄹ 지냈으며, 외직으로는 무장현감, 고양군수, 서천군수, 양주목사, 광주목사 등을 지냈다. 사후 통정대부 승정원 도승지 겸 경언참찬, 춘추관 수찬관, 예문관 직제학, 상서원정 통훈대부를 증직받았다.휴암 백인걸선생과 청송 성수침선생으로부터  수학하였으며, 월롱면 덕은리 용주서원에 배향되었다.

 

묘역 내에는 김행과 전주이씨, 파평윤씨 두 부인의 합장묘가 쌍분으로 조성되었고, 두 봉분 중앙에 상석과 향로석이 배치되고, 봉분 한단 아래 좌우로 문인석 2기가 세워져 있다.

 

묘역의 좌측으로 묘갈비를 세웠는데, 인조 14년(1636년) 10월에 세운 비로 높이 205cm, 비신 121cm, 폭 62cm, 두께 24cm의 규모이며, 조인이 찬하고, 김광현이 전을 썼다.

 

묘역 아래 우측에는 1974년에 건립된 장포선생 영당이 위치하며, 영당 내부에는 김행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고 한다.

  

 

25.평도공 박은 묘역

  
종 목  파주시 향토유적 제25호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문산읍 당동리 산57-1
시 대  조선시대


평도공 박은(1370~1422)은 조선초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반남, 자는 앙지, 호는 조은으로 고려말 학자인 상충의 아들이며 이곡의 외손이다. 19세때 과거에 급제하여 후덕부승을 거쳐 개성부소윤이 되었으며 조선이 건국된 후 지금주사가 되어 정치 성적이 가장 높아 좌보궐에 전임되었다. 1397년(태조 6) 사헌시사를 거쳐 1401년(태종 1)형조ㆍ호조ㆍ병조ㆍ이조의 4조 전서를 두루 역임한 후 좌명공신에 오르고 반남군에 봉해졌다. 그 후 강원도관찰사, 한성부윤, 승추부제학을 역임하고 전라도관찰사, 사헌부 대사헌, 형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1416년(태종 16) 5월 우의정, 같은 해 11월 좌의정 겸 판이조사에 오르고 부원군에 진봉되었고 시호는 평도이다.


박은 묘역내에는 가장 상단의 박은과 부인 장흥주씨와의 합장 묘를 중심으로 그 아래로 아들 참판공 박규묘, 박규의 부인인 원주변씨묘, 학생공 박홍기묘 등 4기의 묘역이 상하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박은 묘는 1422년 최초 양주의 중량포에 예장되었던 것을 1496년(연산군 2) 광주 고덕동으로 부인 장흥주씨와 함께 합장묘로 조성해 이장되었고 1982년 광주가 개발되면서 문산읍 당동리 현재의 장소로 재차 이장되었다. 원형의 합장봉분 정면으로 묘비와 상석, 향로석이 배치되어 있으며 봉분아래 좌우로 문인석이 두 쌍씩 모두 4기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묘역 중앙에 사각의 장명등을 세웠는데 옥개석 부분은 도난을 당해 새로 조성하였다. 그리고 봉분 우측으로는 원래의 묘표와 새로 세운 묘표 2기가 나란히 세워져 있으며 그 옆으로 면봉기사비가 세워져 있다.

 

 

26.격쟁문서


종 목  파주시 향토자료 제1호
지 정 일  2006.04.20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 1652-144 옛생활박물관 타임캡슐
시 대  조선시대


본 문서는 1781년(정조 5) 고양에 있는 박이중(의 선산에 서울에 사는 박종묵이 몰래 투장을 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왕에게 직접 격쟁을 하게 되면서 형조, 한성부, 경기감영, 교하군, 고양군 등을 거치면서 그 처리과정을 기록한 16건의 점련된 문서이다.


조선시대 격쟁제도는 억울한 백성들이 국왕에게 직접 소원 할 수 있는 제도의 하나로 초기에 있었던 신문고에 대신하여 후기에 유행한 민원수단이었다. 본 격쟁사건은 1781년 윤5월 초순 안동에 사는 박이중이 밖으로 거동하였던 임금에게 격쟁을 하였고 이에 박이중은 형조로 끌려가 추고를 받은 후 그 내용이 10일 형조에서 국왕에게 보고, 국왕은 한성부에서 처리하도록 명하였다.


이에 한성부에서는 윤5월 13일 이 사건을 조사하라는 공문을 경기감영으로 보냈고 경기감영은 다시 교하군으로 공문을 보내 처리하도록 하였다.


교하군은 윤5월 18일 사건의 조사내역을 다시 감영에 보고하였고 감영에서는 투장을 한 박종묵에게 해당 묘소를 이장 할 것을 명하고 29일 이 사실을 국왕에게 보고하였다.


이어 6월 2일 교하군에서는 묘소가 위치한 고양군으로 해당 사건을 이행할 것을 통보하였으며 결국 투장을 한 박종묵은 10월 초순에 이장할 것을 약속하게 되었고 사건은 마무리되는 듯 하였다. 그러나 약속기일인 10월 10일이 되어서도 박종묵은 이행하지 않고 더욱이 불이행에 대해 죄를 묻기 위해 찾아간 담당관을 위협했다는 사실이 한성부에 의해 다시 국왕에게 보고되자 국왕은 이에 대해 거듭 엄히 시행할 것을 명하였는데 이때의 상황은 『일성록』정조5년 10월조에 기록되어 있다.


10월 20일 이 사건은 다시 형조로 내려갔고 형조에서 박종묵을 추고하여 이장 할 것을 명하였으며 이때의 추고에서 박종묵은 고의가 아닌 아들의 혼인으로 인해 약속을 이행하지 못하였다고 변명하였고 10월 24일 박종묵은 고양관에 11월 초순까지는 이장하겠다고 이를 문서로 남겼다. 결국 그 약속은 11월 27일 이행 되었다.


본 사건은 분묘1기의 이전 요청에 관한 건으로 반년 이상이 걸리고 국왕이 두 번이나 사건의 해결을 지시한 후에나 결말이 난 사건이며 사건이 어렵게 해결된 만큼 격쟁자였던 박이중 측은 이러한 판결 이후로도 효력이 지속하고 차후 유사한 사건에 대한 방지를 위해서 한성부에 해당 사실에 대한 전후 과정을 문서상으로 남길 수 있도록 요청하였으며 한성부는 요청을 받아들여 해당문서를 발급한 것이다.

 

 

27.전통 쇄납 제작 연주


종 목  파주시 무형문화유산 제1호
지 정 일  2002.07.29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금산리 174
기능보유자  조병주

 
쇄납은 관악기의 하나로 호적이라고도 하며 속칭 날라리라고도 한다.


조선 초기부터 종묘제례악 등에 연주되었고 그 뒤 취타 · 농악 · 불가의 재에도 연주 되었다. 악기를 만드는 법은 오매 · 산유자 · 대추나무 · 황상 · 황양 등 단단한 나무를 쓰는데 관의 길이는 30cm 못되게 하여 위는 좁고 차차퍼져 아래를 굵게 한다. 지공은 모두 8공이고 그 중 제2공은 뒤에 있다. 갈대로 만든 작은 혀를 동구에 꽂고 끝은 나발모양의 동팔랑이 달려 확성 구실을 하게 되어 있다.


기능보유자인 조병주옹은 탄현면 금산리 마을에서 태어나 50여년을 넘게 쇄납과 함께 해 온 쇄납 제작 및 연주기능 보유자 이다. 또한 현재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 33호인 「금산리 민요」의 회원으로서 쇄납 연주를 맡고 있으며 1999년과 2001년 경기도 민속예술축제에서 쇄납 연주로 개인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28.전통 짚풀공예


종 목  파주시 무형문화유산 제2호
지 정 일  2002.07.29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도내리 268
기능보유자 (제작) 심경임


예로부터 농경민족인 우리나라의 농촌지역에서 이용되던 다양한 생활용구들은 모두 짚풀을 이용하여 만들어 졌다. 주변에서 쉽게 구할수 있는 볏짚 및 각종 풀을 재료로 만들어진 생활용구들은 농사에서 필요한 운반용구에서부터 종자의 보관 및 곡식의 저장용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제작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1970년대 이르러 산업화로 인한 화학제품의 보급으로 생활속에서 널리 쓰이던 짚풀 용구들이 모두 사라졌다.


기능보유자 심경임은 예전부터 생활속에서 짚과 풀로 만든 생활용구들을 만들어 사용해 왔으며 그 기능을 지금까지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 특히 투박한 짚풀공예품을 여성의 섬세함으로 정교하고 세련되게 엮어내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파주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띠풀 재료를 주로 이용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심경임은 최근 파주문화원에서 개최한 짚풀공예품 공모전에 자신의 작품을 출품해 대상과 은상등을 수상한 바 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네 율곡 문화제밖에 몰라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돈암이수에 대한 정보 알고싶으신가요~?

 

저도 돈암이수 에 관심이많아서 정보검색을 하던중 좋은곳을 알아냈어요!

 

이곳저곳 힘들게 돌아다닐 필요없이 이곳에서 한방에 해결하면된답니다.

 

돈암이수에 관하여 믿을수있는 정보 추천

 

돈암이수에 대한 쓸데없는 정보가 없이 알짜정보만 모아둔곳!

 

강추해드려요 !!!

 

한번이용해보시길~!

 

알려주세요.. 내일(11월13일)까지요.ㅜ....

우리 고장(밀양)에 대한 민속놀이 좀 알려주세요..제발요. 부탁드립니다ㅜ.ㅜ 백중놀이 '호미씻기'라는 명칭으로 널이... 민중예술로 가치가 큰 것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68호이다.

문화축제알려주세요. 오늘 6시 50분...

... 저희 숙제가 우리고장에 전통문화 축제를 조사해 가는 것인데 급해서요. 꼭 좀... 국보급 문화재와 10개 대학이 위치한 문화 · 교육의 중심지로써 현재 도시기반 시설 및...

우리 고장의 전통 문화 축제에 대해서...

... 우리고장의 문화축제..참고로 거제 되도록 빨리여 발리 catdbwls (2006-11-20 19:56 작성)... 시지정유형문화재문화재가 경내 곳곳에 산재 - 범어사 성보박물관은 조선후기...

열리는 축제와 기간좀 알려주세요...

... 열리는 축제와 기간좀 알려주세여 오늘까지임 ㅠ.ㅜ... 문향의 고장으로 대한팔경의 하나인 백양사 오색... 무형문화재를 보유함. ▶ 축제 주요행사내용 - 늘푸른 대숲 가....

문화재의 역사, 특징등을 알려주세요!!!!!!

문화재는 경기전,전주한옥마을,객사,전통부채... 전통부채 올해로 설립 18년째를 맞고 있는 저희... 이런 판소리의 고장에서 판소리와 그 주변의 예속(藝俗)을 통하여...

전통 문화 축제 조사 中 답성 축제

... 저 지금 컴터실 인데 2분 안에 답성 축제에 대해서 좀 알려 주세요~~ 내공은 25개 입니다... 단 저는 초3임당~ 제발 ㅜ.ㅜ 1.이리농악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11-3호 지 정 일...

핸드폰 고장내기

핸드폰 고장내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제핸드폰은 3개월 좀... 좀 티안나게 고장내는 방법좀.. 세탁기에 넣어 돌려볼까도 했지만 그랬다간 아빠가 폰 안바까줄거같아요 저희...

여름에 즐기는 민속놀이 좀 알려주세요!!>_<

... ^~~ 그리구 저희 모둠은 여름을 맏았어요!! 꼬~옥 3학년 수준에다가 여름에 하는 민속놀이 알려주시는거 아시죠?? 추신:내공은 100입니당!! (저의 인생 모두를건 숙제~~ㅜ0ㅜ...

1박2일여행(여자2명)코스좀 알려주세요

... 라고나 할까요 이래저래 찾아보고 가면 될터인데 저희... 코스좀 알려주세요 아!저녁에는 바닷가 앞에서... 지방문화재 해암정이 위치하고 있다. 제2경 용추폭포 낙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