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리요 오늘 4시까지.. 내공 50

빨리요 오늘 4시까지.. 내공 50

작성일 2008.08.26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요 너무너무 급해서인데요..오늘 저녁까지..

이 단어들 좀 뜻 알켜주세요.

부탁드립니다.

단..이상한 글 남기시면 신고 바로 들어가구요..

내공 냠냠 이런글 바로 신고!

 

단어소개

 

근구수왕

 

진사왕

 

백제

 

온조

 

한산

 

고이왕

 

대방

 

보병

 

기병

 

마한

 

고흥

 

오수전

 

김부식

 

교수

 

총명

 

응용

 

유목민족

 

교류

 

전염병

 

의원

 

병마

 

재앙

 

위새

 

콜레라

 

문산재

 

주린

 

마라난타

 

관상

 

인중

 

사색

 

구제

 

근본

 

공자

 

유교

 

호경

 

부지깽이

 

제의

 

호연지기

 

자사

 

맹자

 

중용

 

혼사

 

수학

 

장관

 

인재

 

웅장

 

산허리

 

여울목

 

 

임명

 

추대

 

방어선

 

장정

 

덤불

 

석굴

 

자연석

 

환기통

 

도술

 

신선

 

신선도

 

 

여기까지 부탁

 

 

글구 내공 50드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근구수왕 [近仇首王]

[명사]<인명> 백제 제14대 왕(?~384). 일본, 중국과 국교를 열어 문물을 보급하는 데에 공이 컸다. 재위 기간은 375 ~384년이다.

 

진사왕 [辰斯王]

[명사]<인명> 백제 제16대 왕(?~392). 여러 차례 고구려와 싸웠으며 광개토왕에게 한강 이북을 빼앗기자 이를 되찾기 위하여 구원(狗原)에 출전하였다가 병으로 죽었다. 재위 기간은 385~392년이다

백제 [白帝]

[명사]<민속> 방위를 지키는 오방신장의 하나. 가을을 맡은 서쪽의 신이다.

백제 [百濟]

[명사]<역사> 삼국 시대에, 한반도 남서부에 있던 나라. 기원전 18년에 온조왕이 위례성에 도읍하여 세운 뒤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고이왕 때 고대 국가의 면모를 갖추었다....

백제지 [百濟池]

[명사]<역사> =한인지.

온수로 [溫水路]

[명사][북한어]<농업> ‘온조 수로’의 북한어. ‘더운물길’로 다듬음.

직산 [稷山]

[명사]<지명>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경부선 역의 하나. 백제의 시조 온조가 도읍한 위례성이었다고 전한다.

비류 [沸流]

[명사]<인명> 고구려 동명 성왕의 둘째 아들(?~?). 이복형 유리가 북부여에서 와 세자가 되고 후에 왕이 되자, 아우 온조와 함께 고구려를 떠나 미추홀에 도읍을 정하였으나 땅이 습하고...

미추홀 [彌鄒忽]

[명사]<지명> 인천광역시 일대의 고구려 시대 이름.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이 유리(琉璃)를 태자로 삼자, 온조의 형 비류가 차지한 백제 초기의 도읍지이다.

한산 [寒酸]

[명사]몹시 가난하여 고통스러움.

한산 [閑散]

[명사]한량(閑良)과 산관(散官)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한산 [寒山]

[명사]<인명> 중국 당나라의 중(?~?). 풍간 선사(豊干禪師)의 제자로, 불교의 철학 이론에 두루 통하여 문수보살의 화신(化身)이라 일컬어진다. 저서에 《한산시집》이 있다.

한산 [限産]

[명사]

1 생산을 제한함.

2 산아(産兒)를 제한함.

한산 [閑散]

‘한산하다’의 어근.

고이왕 [古爾王]

[명사]<인명> 백제 제8대 왕(?~286). 율령을 확립하고 관제를 제정하여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였다. 신라의 변방을 침범하여 영토를 넓혔으며, 국가의 기초를 세웠다. 재위 기간은 234~286년이다.

대방 [代房]

[명사]=대판(代辦).

대방 [帶枋]

[명사]<건설> =띳장.

대방 [大防]

[명사]

1 큰 제방.

2 중요한 일이나 어떤 원칙의 넘지 못할 한계를 이르는 말.

대방 [大房]

[명사]<역사> 조선 시대에 둔, 보부상 조직인 동몽청(童蒙廳)의 우두머리.

대방 [對方]

[명사][북한어]‘상대편’의 북한어.

 

보병 [步兵]

[명사]

1 <군사>육군의 주력을 이루는 전투 병과. 소총(小銃)을 주무기로 삼으며, 최후의 돌격 단계에서 적에게 돌진하여 승패를 결정하는 구실을 한다. ≒도졸·보군(步軍)·보졸(步卒). ...

보병 [寶甁]

[명사]<불교>

1 꽃병이나 물병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

2 밀교에서, 관정할 물을 담는 그릇.

보병것 [步兵-]

[명사]보병목으로 지은 옷.

보병궁 [寶甁宮]

[명사]<천문> =물병자리.

보병총 [步兵銃]

[명사]<군사> 엠원(M1), 엠십육(M16) 따위의 보병이 쓰는 소총. ≒보총(步銃).

기병 [起兵]

[명사] 군사를 일으킴. ≒흥병(興兵)·흥사(興師).

기병 [旗兵]

[명사]<역사> 중국 청나라 때에, 팔기(八旗)의 병사를 이르던 말.

기병 [奇病]

[명사] 기이한 병.

기병 [奇兵]

[명사]<군사> 적이 예측할 수 없는 기묘한 전술로 기습하는 부대.

기병 [隑病]

[명사]<한의학> 젖먹이 아이가 임신한 어머니의 젖을 먹고 살이 빠지면서 몹시 약하여지는 병. ≒기유

.마한 [馬韓]

[명사]<역사> 고대 삼한(三韓) 가운데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지방에 걸쳐 있던 나라. 54개의 부족 국가로 이루어졌는데 뒤에 백제에 병합되었다

고흥 [高興]

[명사]

1 한창 일어나는 흥.

2 고상한 흥취.

고흥 [高興]

[명사]<지명> 전라남도 고흥군에 있는 읍. 수산물의 집산지이며, 김 양식으로 유명하다. 군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34.61㎢.

고흥 [古興]

[명사] 옛날의 감흥.

고흥 [高興]

[명사]<인명> 백제의 학자(?~?). 백제에서 처음으로 박사 벼슬에 올라 근초고왕 30년(375)에 《서기》를 편

오수전 [五銖錢]

[명사]<역사> 중국 전한(前漢)의 무제 때에 쓰던 동전. 무게를 나타내는 ‘五銖’라는 문자를 넣은 것으로, 당나라 고조 때에 없앴다.

 

김부식 [金富軾]

[명사]<인명> 고려 시대의 학자·정치가(1075~1151). 자는 입지(立 之). 호는 뇌천(雷 川). 묘청의 난을 평정하여 수충정난정국공신(輸忠定難靖國功臣)의 호를 받았으며 인종...

 

 

교수 [敎授]

[명사]

1 학문이나 기예(技藝)를 가르침.

2 대학에서, 전문 학술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사람. 부교수, 조교수, 전임 강사가 있는데 흔히 이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3 <역사>...

교수 [校讎]

[명사]<출판> =구교(仇校).

교수 [矯首]

[명사] 머리를 듦.

교수 [翹首]

[명사] 간절히 바라거나 기다림.

교수 [嬌羞]

[명사] 아양을 떨면서 수줍어함.

총명 [聰明]

[명사]

1 보거나 들은 것을 오래 기억하는 힘이 있음.

2 썩 영리하고 재주가 있음.

총명 [總名]

[명사]=총칭(總稱).

총명 [寵命]

[명사]임금이 총애하여 내리는 명령을 이르던 말.

총명하다

[형용사]

1 보거나 들은 것을 오래 기억하는 힘이 있다. ≒총하다.

2 썩 영리하고 재주가 있다. ≒개랑하다·총하다.

이목총명 [耳目聰明]

[명사]귀와 눈의 감각과 기억력이 좋음.

 

전염병 [傳染病]

[명사]<의학> 전염성을 가진 병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곧 세균, 바이러스, 리케차, 스피로헤타, 진균, 원충 따위의 병원체가 다른 생물체에 옮아 집단적으로 유행하는 병들을...

 

 

응용 [應用]

[명사]어떤 이론이나 이미 얻은 지식을 구체적인 개개의 사례나 다른 분야의 일에 적용시켜 이용함.

응용되다

[동사]『…에』 ⇒응용.

응용하다

[동사]『…을 …에』 ⇒응용.

응용과학 [應用科學]

[명사]의학·농학·공학 따위와 같이, 이미 얻은 지식을 사회생활에 응용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과학.

응용광학 [應用光學]

[명사][북한어]<물리> 광학적 현상과 방법 및 수단을 인접 과학과 생산 기술 문제를 푸는 데 이용하는 것을 연구하는 학문. 광학의 한 분야이다. 전자 광학 변환, 광화학 작용 및 여러...

유목 민족의 흥망성쇠를 연표로 만들어 정리했다. 연표

염소는 3,500여 년 전 이란의 유목 민족에 의하여 가축화되었다. 가축화되다

동서 교류에 가장 먼저 이용된 교통로는 유목 민족이 개척한 초원의 길이다. 교통로 국어사전 설명문1-5 / 49건

전성 [氈城/氊城]

[명사]

1 진영(陣營)이나 변경(邊境)의 성.

2 유목 민족의 천막.

기마민족 [騎馬民族]

<역사> 기마에 의한 활동을 생활의 중심으로 하던 민족. 유목 생활을 하던 스키타이·흉노·몽고 따위의 민족, 농경·수렵 생활을 하던 선비·거란 따위의 민족, 수렵 생활을 하던 부여·고구려...

오스만튀르크족 [Osman Tück族]

<고유명사> 소아시아의 서북 변경에 살던 유목 민족. 3세기 말에 오스만 제국을 건설하였다.

강거 [康居]

[명사]<역사> 중국 한나라·위(魏)나라 때에 중앙아시아에 있었던 터키계 유목 민족의 나라.

고거 [高車]

[명사]<역사> 4~5세기에 몽골 중가리아 분지에서 유목 생활을 하던 터키계 민족. ≒고거정령.

교류 [交流]

[명사]

1 근원이 다른 물줄기가 서로 섞이어 흐름. 또는 그런 줄기.

2 문화나 사상 따위가 서로 통함.

3 <전기>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어 흐름. 또는 그런...

교류 [鮫類]

[명사]<동물> 상어의 무리.

교류되다

[동사]『 (…과)』{ ‘…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1 ⇒ 교류 .

2 ⇒ 교류 .

교류하다

[동사]『 (…과)』{ ‘…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1 ⇒ 교류 .

2 『 (…과) …을』{ ‘…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교류재개 [交流--]

[명사][북한어]<전기> 교류 전류나 전압 따위를 재는 전기 계기.

콜레라 [cholera]

[명사]<의학> 콜레라균에 의하여 일어나는 소화기 계통의 전염병. 급성 법정 전염병으로 심한 구토와 설사에 따른 탈수 증상, 근육의 경련 따위를 일으키며 사망률이 높다. ≒쥐통·호역(虎疫).

돈콜레라 [豚cholera]

[명사]<의학> =돼지 콜레라.

돼지콜레라 [--cholera]

<의학> 돼지 급성 전염병의 하나. 장점막에 염증이 생기어 일어나며 폐사율이 높다. ≒돈콜레라.

콜레라얼굴 [cholera--]

[명사][북한어]<의학> 콜레라를 앓았을 때의 얼굴. 몸에서 수분이 많이 빠져나가므로 매우 야윈 얼굴이 된다.

가금콜레라 [家禽cholera]

[명사][북한어]<농업> 집에서 기르는 날짐승에게 생기는 급성 전염병. 이른 봄과 늦가을에 생기는데, 출혈성 패혈 증상을 보이고 입과 코로 거품을 내뿜으며 심하면 죽는다

국어사전 항목1-1 / 1건

위새 [僞鰓]

[명사][북한어]<동물> 아가미와 기원이 같거나 생김새가 비슷하나 그 역할을 하지 못하는 아가미. ‘거짓아가미’로 다듬음.

재앙 [災殃]

[명사]뜻하지 아니하게 생긴 불행한 변고. 또는 천재지변으로 인한 불행한 사고. ≒구앙(咎殃)·변재(變災)·앙(殃)·앙재(殃災)·적구(謫咎)·화구(禍咎)·화앙(禍殃).

 

병마 [病魔]

[명사]‘병(病)’을 악마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병귀(病鬼)·이수(二豎).

병마 [兵馬]

[명사]

1 병사(兵士)와 군마(軍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사마(士馬).

2 군대, 무기, 군비(軍備) 따위의 전쟁에 관한 모든 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

3 =군마(軍馬).

병마 [病馬]

[명사]병든 말.

병마구리

[명사][방언]‘칼새’의 방언(황해).

병마도사 [兵馬都事]

[명사]<역사> 조선 초기에, 병영의 사무와 그에 속한 군사를 감독하던 정육품의 무관 벼슬. 세조 12년(1466)에 병마평사로 고쳤다.

의원 [議員]

[명사]국회나 지방 의회와 같은 합의체(合議體)의 구성원으로 의결권을 가진 사람.

의원 [醫員]

[명사] 의사와 의생(醫生)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의자(醫者).

의원 [醫院]

[명사]진료 시설을 갖추고 의사가 의료 행위를 하는 곳. 병원보다는 시설이 작다.

의원 [議院]

[명사]국정을 심의하는 곳.

의원 [依願]

[명사]원하는 대로 함. ‘원하는 바’, ‘원하는 바에 따름’, ‘본인이 원하는 바에 따름’으로 순화

왕인박사유적 [ 王仁博士遺蹟 ]

... 왕인묘(사당) 내삼문(內三門) 외삼문 문산재(文山齋) 양사재(養士齋) 전시관 왕인상 책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왕인묘(약 82.5㎡)에는 영정과 위패가 봉안되어 해마다 제사를 지낸... 왕인박사유적지 전시관 [ 王仁博士遺蹟地展示館 ]

... 등의 기록화는 서양화가 오승윤, 양인옥, 정승주, 강연균의 작품으로, 300~450호 크기이다. 왕인박사유적지에는 전시관 외에도 성천(聖泉), 생가터, 유허비, 책굴, 문산재, 양사재, 석상, 돌정고개...

 

 

 

[속담] 삼대 주린 걸신

오랫동안 굶주린 걸신 같다는 뜻으로, 먹을 것을 보면 무엇이나 남기지 않고 먹어 치우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주린 범의 가재다

여간 먹어서는 양이 차지 아니한다는 말.

[속담] 주린 고양이가 쥐를 만났다

놓칠 수 없는 좋은 기회를 만났다는 말.

[속담] 주린 귀신 듣는 데 떡 이야기 하기

=귀신 듣는 데 떡 소리 한다.

[속담] 주린 개가 뒷간을 바라보고 기뻐한다

누구나 배가 고프면 무엇이고 먹을 수 있는 것만 보아도 기뻐한다는 말.

마라난타 [摩羅難陀]

[명사]<인명> 백제에 처음으로 불교를 전한 인도의 중(?~?). 제15대 침류왕 원년(384)에 중국의 진(晉)관상 [觀相]

[명사]<민속> 수명이나 운명 따위와 관련이 있다고 믿는 사람의 생김새, 얼굴 모습. 또는 사람의 얼굴을 보고 그의 운명, 성격, 수명 따위를 판단하는 일.

관상 [觀象]

[명사] 천문(天文)이나 기상(氣象)을 관측하는 일.

관상 [棺上]

[명사] 관 뚜껑의 겉면. 또는 관 위.

관상 [冠狀]

[명사] 관(冠)처럼 생긴 모양.

관상 [觀想]

[명사]

1 <불교> 수행의 한 가지로서 마음을 오로지 일정한 대상에 기울여, 어떤 상념을 일으키게 하여 번뇌를 없애는 일.

2 <종교> 신(神)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사랑하는 일.

3...

. 인중 [人中]

[명사]코와 윗입술 사이에 오목하게 골이 진 곳.

인중 [人衆]

[명사]사람이 많음. 또는 많은 사람.

[思索]

[명사]어떤 것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고 이치를 따짐.

사색 [死色]

[명사]죽은 사람처럼 창백한 얼굴빛.

사색 [四色]

[명사]

1 네 가지 빛깔.

2 <역사>조선 선조 때부터 후기까지 사상과 이념의 차이로 분화하여 나라의 정치적인 판국을 좌우한 네 당파. 노론, 소론, 남인, 북인을...

사색 [四塞]

[명사]

1 사방이 산이나 내로 둘러싸여서 외적이 침입하기 어려운 곳.

2 사방이 막힘. 또는 사방을 막음.

사색 [辭色]

[명사]말과 얼굴빛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사기(辭氣

 

구제 [救濟]

[명사] 자연적인 재해나 사회적인 피해를 당하여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을 도와줌.

구제 [驅除]

[명사] 해충 따위를 몰아내어 없앰.

구제 [舊製]

[명사] 옛적에 만듦. 또는 그런 물건.

구제 [舅弟]

[명사] 외사촌 형제.

구제 [舊題]

[명사] 새로 붙인 제목 이전에 원래 쓰던 제목.

 

근본 [根本]

[Ⅰ][명사]

1 초목의 뿌리.

2 사물의 본질이나 본바탕. =근체(根蔕)·기우(基宇) .

3 자라 온 환경이나 혈통. ≒일본(一本) .

[Ⅱ][부사][북한어] 처음부터 애당초.

근본의 [根本義]

[명사] 어떤 사물의 근본이 되는 의의.

근본책 [根本策]

[명사] 근본이 되는 방책.

근본규범 [根本規範]

<법률> 법의 타당성의 근거로서 가설적으로 설정된 궁극적인 최고의 규범. 오스트리아의 법학자 켈젠이 제시하였다.

근본불교 [根本佛敎]

<불교> 석가

근본 [根本]

[Ⅰ][명사]

1 초목의 뿌리.

2 사물의 본질이나 본바탕. =근체(根蔕)·기우(基宇) .

3 자라 온 환경이나 혈통. ≒일본(一本) .

[Ⅱ][부사][북한어] 처음부터 애당초.

근본의 [根本義]

[명사] 어떤 사물의 근본이 되는 의의.

근본책 [根本策]

[명사] 근본이 되는 방책.

근본규범 [根本規範]

<법률> 법의 타당성의 근거로서 가설적으로 설정된 궁극적인 최고의 규범. 오스트리아의 법학자 켈젠이 제시하였다.

근본불교 [根本佛敎]

<불교> 석가모니 자신의 교설(敎說)과 제자들의 교설을 근본으로 하는 불교

모니 자신의 교설(敎說)과 제자들의 교설을 근본으로 하는 불교

 

근본 [根本]

[Ⅰ][명사]

1 초목의 뿌리.

2 사물의 본질이나 본바탕. =근체(根蔕)·기우(基宇) .

3 자라 온 환경이나 혈통. ≒일본(一本) .

[Ⅱ][부사][북한어] 처음부터 애당초.

근본의 [根本義]

[명사] 어떤 사물의 근본이 되는 의의.

근본책 [根本策]

[명사] 근본이 되는 방책.

근본규범 [根本規範]

<법률> 법의 타당성의 근거로서 가설적으로 설정된 궁극적인 최고의 규범. 오스트리아의 법학자 켈젠이 제시하였다.

근본불교 [根本佛敎]

<불교> 석가모니 자신의 교설(敎說)과 제자들의 교설을 근본으로 하는 불교

공자 [公子]

[명사] 지체가 높은 집안의 나이 어린 아들.

공자 [孔子]

[명사]<인명>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학자(B.C.551~B.C.479).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주유하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공자 [功者]

[명사] =공로자.

공자집 [工字-]

[명사]<건설> 용마루가 ‘工’ 자 모양으로 된 집.

공자묘 [孔子廟]

[명사]<고적> ‘문묘(文廟)’를 달리 이르는 말.

儒敎 ]

... 도덕론을 펴고, 선한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덕치(德治)로서의 왕도론(王道論)을 주장하였다. 맹자에 의하여 유교는 뚜렷하게 내면적으로 심화되고 또 정치론으로도 정비되었으며 한편 오륜(五...

유교

... 기존에 내려오던 각종 문헌을 정리하여 유교의 터전을 닦았다. 고대... 정리하였다. 유교는 충(忠)과 효(孝)를 기본으로 각종 예법을 강조하여 중국의 고대 봉건 국가의 사상이나 이념을 대성한...

한국의 유교

...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으로 유교가 크게 발전하게 되었다. 유교의 기초를 처음으로 확립한 학자는 정도전(鄭道傳)이다. 그는 《불씨잡변(佛氏雜辨)》 등의 논설을 통하여 불교를 배척하고 ...

유교구신론 [ 儒敎求新論 ]

... 유교계의 첫째 문제점은, 유교파의 정신이 전적으로 제왕 편에 ... 보면 인민에게 유교를 보급할 정신이 있었다. 그런데 공자의 사후에 ... 자신을 높이는 데 도로 삼았다. 그리하여 유교파는 제...

한대의 유교

진(秦)나라가 천하를 통일하자 유교는 분서갱유(焚書坑儒)의... 유교는 국가적 교학이 되어 그 지위를 굳혔다. 공자를 존숭하고, 정치계급은 오경(五經:역경 ·서경 ·시경 ·예기 ·춘추)을 읽도록...

신선도

신선한 정도

죄송해요..좀 이상한 것은 그 단어 에 관련된것이랑, 안나오는거는 그냥 백과 사전에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오수전 / 전라남도 여천군 거문도에서 출토되었다. 오수전은 중국 한나라 때 사용된 동전이다.
수()는 무게의 단위로, 기장[] ·조[] 100립()을 뜻하며 약 0.65 g으로 추정된다. 《사기()》의 평준서()에는 처음 주조된 연대를 한나라 무제()의 원수 4년(:BC 119)으로, 《전한서()》 무제기()에는 원수 5년으로 기록하였는데, 전자가 타당하다. 그 뒤 위진남북조()를 거쳐 수대()의 약 900년에 걸쳐 단속적으로 발행 ·사용되었는데, 한()나라의 묘 ·성지 등에서는 수십개 ·수백개가 일괄적으로 출토되었다.

여러번 개주()되었기 때문에 형식 ·자체()에 변화가 많다. 한대()의 것으로는 주조시 표면에 새긴 일종의 기호에 따라 천상횡문(穿)오수 ·천하횡문오수 ·천상반성(穿)오수 ·천하반성오수 ·사각결문()오수 ·사출문()오수 등이 있으며, 삼국()시대의 것으로 직백()오수, 남조()의 것으로 대문()오수 ·여전()오수 ·양주()오수 ·사주()오수 ·추전()오수 ·내곽()오수, 북조()의 것으로서 태화()오수 ·영안()오수 ·상평()오수, 수()나라의 것으로서 백전()오수 등이 있고 철전()오수도 한() ·양(:)나라에서 주조되었다.

한국에서는 평양 주변의 낙랑고분에서 다수 출토되었을 뿐 아니라 은율군 운성리, 황주군 선봉리 1호분 및 흑교리 등의 널무덤에서도 약간 보이는데, 특히 흑교리에서는 전한 후기로 비정된 천상횡문오수전이 출토되었다. 제주도 산지항()에서는 화천() ·화포() 등의 왕망전()과 함께 오수전이 발견되었고, 창원의 성산() 조개더미에서도 김해식 토기와 함께 출토되었다. 이 밖에 조금 후대의 것이지만 무령왕릉()의 왕비 지석() 위에서도 약 90개분의 오수전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철제()로서 523년에 주조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한대의 오수전은 한국의 청동기 후기 또는 말기의 중요한 유물로서, 이 시기의 연대결정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근구수왕  백제 제14대 왕(375~384 재위).고구려와의 전투를 통해 영토를 넓히고 초고왕계의 왕위계승권을 확립 했다.

 

진사왕  백제의 제16대 왕(385~392 재위).제14대 근구수왕의 둘째 아들이며 제15대 침류왕의 동생이다

 

백제  온조왕을 시조로 하여 기원전 18년 현재의 한강 하류의 하남위례성에 도읍을 정해 건국되었다. 백제는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의 하나이다.

 

온조  백제의 건국시조이며, 엄밀한 의미에서는 위례성(慰禮城)에 토대를 둔 백제 왕실의 시조이다. 재위 기간은 서기전 18년에서서기 28년이다. 현존 문헌들에는 백제의 시조로 전하는 인물들이 여러 명이며, 온조는 그 중의 하나이다

 

한산 백제(百濟)의 두 번째 도읍지였던, 지금의 경기도 광주의 옛 읍과 남한 산성(山城). 온조왕 14(5)년에 이곳으로 옮겼음

 

고이왕. 백제 제8대 왕(234~286 재위).국가체제의 정비와 집권력의 강화에 주력하여 고대국가로서의 백제의 기반을 다져놓았다. 제4대 개루왕의 둘째 아들이며 제5대 초고왕의 동생이다

 

대방 1.큰 나라   2.그 시작(始作)이 낙랑의 건국하던 때와 비슷할 뿐더러 그 최후를 마친 것도 한때였음. 대방국(帶方國) ②대방군(帶方郡)

 

보병  보군(步軍). 도보로 전투(戰鬪)하는 병정

 

기병  기습(奇襲)하는 군대(軍隊)

 

마한 삼한의 하나. 삼국 시대 이전에 경기도 일부, 충청도, 전라도에 걸쳐 50여 부족 국가로 이뤄졌던 나라. 뒤에 백제에 병합되었음

 

고흥  옛날의 감흥

 

오수전  전한의 무제 때 사용(
㉡가령
㉢심부름꾼
㉢원만하다

 

김부식  (金富軾 1075년 - 1151년)은 삼국사기를 쓴 고려 시대 학자·문신·역사가 이다.

 

교수  대학교에서 학문을 연구하고 강의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①교수, 부교수, 조교수, 강사 등의 대학(大學)의 교원 ②사학(四學)의 유생(儒生)을 가르치던 벼슬아치 ③동학(東學)의 교직인 육임(六任)의 제2위 ④학술(學術)이나 기예를 가르침

총명 ①슬기롭고 도리(道理)에 밝음

 

응용  원리나 지식을 실제적인 사물에 적용하여 이용함

 

유목민족  유목을 하면서 이동(移動)을 생활(生活)을 하는 민족(民族)

 

교류 서로 주고받음 

 

전염병 세균ㆍ바이러스ㆍ리케차ㆍ스피로헤타ㆍ진균ㆍ원충 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고,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염되어 집단적으로 유행하는 질환의 총칭.

 

의원 의사(醫師)와 의생의 총칭(總稱)

 

병마  병졸과 군마 ②군대(軍隊), 무기(武器), 전쟁(戰爭)에 관한 모든 일

 

재앙 천변지이(天變地異)로 인한 온갖 불행(不幸)한 일

 

위새아가미와 기원이 같거나 생김새가 비슷하나 역할을 하지 못하는 아가미. ‘거짓아가미’로 다듬음.

 

콜레라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이 원인이며 심한 설사와 함께 체액·염분이 과다하게 손실되는 것이 특징인 수인성 전염병이다. 동남아시아, 특히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흔히 유행성으로 일어나는데 인도에서는 1898~1907년 에 최소한 37만 명이 죽었다. 1980년대에는 아프리카의 기근이 심한 나라, 특히 에티오피아와 수단의 혼잡한 피난민 캠프와 도시의 빈민가에 콜레라가 퍼졌다.
콜레라균은 대개 오염된 물이나 음식에 포함되어 입을 통해 체내로 들어와 소장벽을 덮는 점막에 감염을 일으킨다. 설사가 일어나는 것은 장내에서 콜레라균의 독소(毒素)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독소는 소장벽의 세포에 있는 물질과 결합하여 중탄산염과 나트륨을 함유하는 체액을 빠르게 배설시키는 효소계를 활성화시킨다. 콜레라는 12~28시간의 잠복기 후에 대개 통증 없이 갑작스럽게 물이 많은 설사가 시작되는데, 24시간 내에 15~25ℓ 이상을 배설한다. 이러한 심한 설사 후에 곧 구토가 나고, 환자는 빠르게 탈수(脫水) 현상이 나타난다. 피부는 차고 쭈그러지며, 얼굴은 일그러지고 혈압이 떨어지고 맥박이 약해진다. 근육경련이 심해지고 목이 많이 마르기도 한다. 탈수가 심해지면 혼미·혼수 상태가 되며, 쇼크로 죽을 수도 있다. 병은 대개 이러한 추이로 2~7일 진행된다.

 

문산재  잘모르겠네요..  ㅈㅅㅈㅅ

 

주린  함부로 짓밟음.<일어>

 

마라난타

마라난타(摩羅難陀)는 인도의 승려이다..384년에 동진에서 백제로 와 불교를 전파하여 백제 불교의 시초가 되었다..그의 행적에 대한 내용은 해동고승전에 자세히 나와 있다..

 

관상 사람의 상을 보고 재수나 운명을 판단하는 일

 

인중

코의 밑과 윗입술 사이의 우묵한 곳

 

사색죽을 상이 된 창백한 얼굴빛

 

구제  ①어려운 지경(地境)에 빠진 사람을 구하여 냄

 

근본  ①사물(事物)의 생겨나는 근원

 

공자  중국(中國) 춘추(春秋) 시대(時代)의 대(大) 철학자(哲學者)ㆍ사상가(思想家). 유교(儒敎)의 비조(鼻祖). 노(魯)나라의 곡부에서 태어났음. 성은 공(孔),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魯)나라 사람.

 

유교 중국 춘추시대 말기에 공자(BC 551경~479경)가 창시한 사상.

 

호경 훌륭한 경치(景致)

 

부지깽이 아궁이 따위에 불을 때에, 불을 헤치거나 끌어내거나 거두어 넣거나 하는 쓰는 가느스름한 막대기.

 

제의 제사의 의식.

 

호연지기

  • 1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 《맹자》 의 상편에 나오는 말이다.
  • 2 거침 없이 넓고 큰 기개.

 

자사  자기가 소속하여 있는 회사.

 

맹자372~B.C.289). 자는 자여(子輿)·자거(子車). 공자의 인(仁) 사상을 발전시켜 ‘성선설’을 주장하였으며, 인의의 정치를 권하였다. 유학의 정통으로 숭앙되며, ‘아성’이라 불린다.

 

중용

  • 1 지나치거나 모자라지도 아니하고 한쪽으로 치우치지도 아니한, 떳떳하며 변함이 없는 상태나 정도.
  • 2 재능이 보통임. 또는 그런 사람.
  • 3 동양 철학의 기본 개념으로 사서의 하나인 《중용》에서 말하는 도덕론.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이 도리에 맞는 것이 ‘중’이며, 평상적이고 불변적인 것이 ‘용’이다.

 

혼사혼인에 관한 일.

 

수학  수량 및 공간의 성질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대수학, 기하학, 해석학 및 이를 응용하는 학문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 2 교과목의 하나. 수량 및 공간의 성질에 대하여 배운다.

 

장관

  • 1 국무를 나누어 맡아 처리하는 행정 각부의 우두머리.
  • 2 예전에, 한 관아의 으뜸 벼슬을 이르던 말.

 

인재 학식이나 능력이 뛰어난 사람.

 

 

웅장뛰어나고 굳센 장수. 웅장하다의 어근

 

산허리

  • 1 산 둘레의 중턱.
  • 2 산등성이의 잘록하게 들어간 곳

 

여울목여울물이 턱진 곳.

 

관 시체를 담는 궤.

 

임명 일정한 지위나 임무를 남에게 맡김.

 

추대윗사람으로 떠받듦.

 

방어선 적의 공격을 막기 위하여 진을 쳐 놓은 전선(戰線).

 

장정

  • 1 먼 노정에 걸쳐 정벌함.
  • 2 같은 말: 서천(西遷).

 

덤불 어수선하게 엉클어진 수풀.

 

석굴바위에 뚫린 굴.

 

자연석 인공을 가하지 아니한 천연 그대로의 돌.

 

환기통실내의 공기를 바꾸려고 실내와 바깥이 통하게 지붕 위로 구멍을 뚫어 만든 장치.

 

도술 도를 닦아 여러 가지 조화를 부리는 요술이나 술법.

 

신선선도(仙道)를 닦아서 도에 통한 사람.

 

신선도 신선이 다니는모습을 그린 그림

 

빨리요 오늘 4시까지.. 내공 50

제가요 너무너무 급해서인데요..오늘 저녁까지.. 이 단어들 좀 뜻 알켜주세요.... 글구 내공 50드림 근구수왕 백제 제14대 왕(375~384 재위).고구려와의 전투를 통해 영토를 넓히고...

학교생활교육위원회 오늘 빨리 대답...

... 제가 학교가 4시 40분에 끝나는데 4시 50분까지 오라는데 50분 넘기면 어떻게 되나요? 저 지금 너무 무서워요 최대한 빨리 답장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고1 학생...

4시까지 부탁드려요 [급급] 내공 50

이거 오늘 오후 3시까지해야되요 급해요 내공50ㅣ드릴게요 부탁드림 이거 풀이도 있어여 해여 1. 다음 보기의 수를 큰 순서대로 나열한것을 고르시오...

오늘 4시부터 속이 안좋더니 갈색 구

오늘 4시부터 속이 안좋더니 갈색 구토 한번하고 배아파서... #장염 추가내공100 안녕하세요. 급성 장염의 가능성이 커... 잘 치료 받으셔서 빨리 쾌차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내공 100)빨리 해주세요 오늘 4시...

... 식까지 써주세요 빨리해주세요 4시 전까지 1. 형기가 동화책을 어제는 전체의 0.4를 읽고, 오늘은 오전에... 5*4=50 50미터제곱 5. 민수와 철수, 영민이는 귤농장에서...

영작좀요 ㅠㅠ 4시까지내공 50

... 빨리 free day가 왔으면좋겠다. 내공 50겁니다4시까지요 ㅠㅠ Freeday는 학원에서 하는 행사같은거고 달러는 학원에서쓰는 돈(?)비슷한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