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구름과 강수) 질문이요~

지구과학1 (구름과 강수) 질문이요~

작성일 2008.10.1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역단층에서요,..

    지표의 기온이 낮아지면 왜 기층이 안정해지고,

    지표의 기온이 높아지면 왜 기층이 불안정해져요??

 

2. 높새바람(푄현상)현상에서 산을 넘어가면 절대습도가 왜 증가하는지요??

 

3. 높새바람 현상에서 산을 넘어가면 수증기의 절대량이 왜 일정하고,

    수증기의 압력은 왜 증가하며, 이슬점은 왜 증가하는지 알려주세요?;;

 

4. 단열감률 기울기와 기온감률 기울기의 관계를 알려주세요...

 

질문이 좀 많은데..

그래도 답점 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추가내공 드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역단층에서요,..

    지표의 기온이 낮아지면 왜 기층이 안정해지고,

    지표의 기온이 높아지면 왜 기층이 불안정해져요??

 

--온도가 높은 공기는 위로 올라가려고 하고 온도가 낮은 공기는 내려가려고 하는데 지표의 기온이 높아지면 공기가 위로 올라가려고 합니다. 위와 아래가 뒤바뀌려고 하니 불안정해지겠죠.

 

 

2. 높새바람(푄현상)현상에서 산을 넘어가면 절대습도가 왜 증가하는지요??

 

--공기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고 고도가 낮아질수록 기온이 올라갑니다.

 그리고 절대습도는 기온이 높을수록 증가하니 산에서 내려오는 고온의 공기는 절대습도가 높지요.

참고로 올라갈때는 100m애 0.5도씩 떨어지는데 내려올땐 100m에 1도씩 올라갑니다.

 

3. 높새바람 현상에서 산을 넘어가면 수증기의 절대량이 왜 일정하고,

    수증기의 압력은 왜 증가하며, 이슬점은 왜 증가하는지 알려주세요?;;

 

--산을 올라갈때 수증기의 공급이 적어집니다.(산이니 수증기가 적은건 당연하지요.) 공급이 없으니 수증기량이 거의 일정하고 고도가 올라가니 이때 아까 말한 것처럼 온도가 내려가지요. 현재수증기량=이슬점이니 이슬점은 일정합니다.

 

 상대습도 = 현재 수증기량  =  이슬점    이때 상대습도식에 의하면 온도가 내려가고 이슬점이 일정하니

                  포화 수증기량       온 도

상대습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상대습도가 증가하면 수증기의 압력이 증가하고 상대습도가 100%가 되었을때 비가 내리는 거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역단층에서요,..

    지표의 기온이 낮아지면 왜 기층이 안정해지고,

    지표의 기온이 높아지면 왜 기층이 불안정해져요??

지표가 대워지면 뜨거운공기가 상승기류 하강기류 발생해서 불안정합니다.

라고 쓰여있을텐데요, 불안정하다는것의 정의가 바로 공기의 이동이 잦은 상태를 말합니다.

 

2. 높새바람(푄현상)현상에서 산을 넘어가면 절대습도가 왜 증가하는지요??

 절대습도가 증가하지 않습니다. 감소합니다.

 

3. 높새바람 현상에서 산을 넘어가면 수증기의 절대량이 왜 일정하고,

    수증기의 압력은 왜 증가하며, 이슬점은 왜 증가하는지 알려주세요?;;

수증기의 절대량은 일정하지 않습니다. 위처럼 비슷하게 잘못 알고 계십니다.

다시 찾아보세요,

 

4. 단열감률 기울기와 기온감률 기울기의 관계를 알려주세요...

단열감률 기울기가 더 급합니다. 외냐면 현실에서의 기온감율은 바람밑 여러 요인들로인해 상층부공기가 모두 하층부에서 상승한 공기로 이루어질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질문이 좀 많은데..

그래도 답점 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추가점수 드려요~

지구과학1 (구름과 강수) 질문이요~

... 질문이 좀 많은데.. 그래도 답점 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추가내공 드려요~ 1. 역단층에서요,.. 지표의 기온이 낮아지면 왜 기층이 안정해지고, 지표의 기온이 높아지면 왜...

지구과학 1 질문입니다

... 일반적으로 맑은 날씨는 기호로 나타내지 않고, 강수량이나 구름량 등 각종 날씨 정보만을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일기 예보에서는 비와 눈 등 강수...

지구과학1 질문 고2

... 이러한 상승 과정에 의해 구름과 강수가 발생하며, 결국 이는 해류로 이어집니다. 한편, 남반구의 저압대와 북반구의 고압대에서는 대류가 수렴됩니다. 고압대는 하강...

지구과학1 질문

... 상승하는 공기는 압력이 낮아지면서 팽창하고 냉각되어 구름이 생성되며, 이 과정에서 강수가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적도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비교적 많습니다.

지구과학 1 날씨관련 질문입니다

... 특히 강수가능성쪽에... 적외영상에서는 적외선 세기가 강한곳은 어둡게 강한곳은 어둡게 표시됨으로 B가 A보다 적외선의 세기가 약하고 B에 온도가 낮은 높은 구름이...

지구과학1 질문급해요!!!!!!

#지구과학1 ㄷ 좀설명해주세요!!!!!!!!! 교과 개념지식을... 이곳에서 강수는 멈추고 하강 기류가 존재하여 눈 주변의 거대한 구름 벽에서 일어나는 극심한 악기상과...

지구과학1 질문있습니다.

... 적운형의 구름이 생긴다는것까지는 알겠습니다. 그런데... 질문의 수준이 높네요. 저두 잘은 모르지만 제가 아는... 온대저기압 보다 규모가 작은 강수 현상은 수증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