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질문있습니다.

지구과학1 질문있습니다.

작성일 2007.02.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불포화상태 공기는 포화상태 공기보다 증발이 잘일어난다?

 

 우선 포화상태도 증발을 한다는건 알고있습니다.

 증발량과 응결량이 같아서 눈에 띄지 않을뿐이죠.

 헌데 제가 여기서 궁금한점은,

 불포화상태 공기와 포화상태 공기의 증발량은 같은데, 상대적으로 불포화상태 공기의 응결량이 적은것인지,

 아니면 두 공기의 응결량은 같은데, 상대적으로 불포화상태 공기의 증발량이 많은것인지가 궁금합니다.

 

2. 차고 건조한 기단이 있습니다.

    헌데 그 기단이 따뜻한 바다를 지나   따뜻한 육지로 왔을때 비나 눈이옵니까?

 

 시베리아기단이 황해를 지나는것과 비슷하다고 생각되어지는데요,

 따뜻한 바다를 지날때  기단의 아래쪽이 따뜻해져 불안정해지고, 그래서 적운형의 구름이 생긴다는것까지는 알겠습니다.

 그런데 따뜻한 육지로 오게되면,  육지이니까 아무래도 수증기 공급량도 떨어지고,

 또한 따뜻하니까 구지 응결되어 비가 내릴꺼라고 생각되지 않는데요..

 비나 눈이오는 이유를 좀 알려주세요.

 

 

아시는분 답변부탁드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의 수준이 높네요. 저두 잘은 모르지만 제가 아는 범위에서 답을 드리겠습니다.

 

1. 우선 상대적으로 불포화상태 공기의 응결량이 적은 것이 맞습니다. 그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질문자께서 말씀하셨듯이 포화상태에서도 증발과 응결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보통 동적평형상태(dynamic equilibrium)에 있다고 표현합니다. 끓는점 미만의 온도에서 물은 표면에서 항상 증발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기 중에 있는 수증기도 운이 나쁘면 다시 물속으로 들어가죠(이후엔 응결이란 표현을 쓰겠습니다). 불포화상태에 있는 수증는 응결되는 속도가 작기 때문에(보통 수증기압이 작다고 표현하죠) 상대적으로 증발하는 것 처럼 보이는 겁니다. 물표면 근처에서 증발 속도는 최대입니다. 수증기에 대해서 포화가 됐다는 것은 응결하는 속도가 증발하는 속도와 같아서 증발이 더 이상 일어나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증기가 포화됐든 불포화됐든 증발량은 같고 단지 불포화상태의 응결량이 적은 것이 맞습니다.

 

2. 따뜻한 해수면 위로 건조하고 차가운 공기가 지나가면 공기가 정적으로 불안정해져 적운형 구름이 생기고 황해에서 눈이나 비가 오기도 합니다. 그 수증기를 많이 포함한 공기가 서해안에 들어오면 수증기 공급은 없지만 국지적 불안정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해양은 태양복사에 의한 가열에 민감하지 않지만 지면은 가열에 민감하기 때문에 지면 근처의 더운 공기에 의해 불안정이 증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성질(온도, 습도)도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공기가 만나서 국지적 불안정이 증가될 수가 있습니다. 즉, 서해에서 만들어진 구름이 육지 공기와 '충돌'해서 눈이나 비가 많이 왔다고 표현하면 적당할 것 같습니다. 온대저기압 보다 규모가 작은 강수 현상은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불안정해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잠재적" 불안정만 있는 상태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생기는 불안정의 '개시'도 중요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추가질문에 대한 답변 드립니다.

 

물을 기준으로 공기중으로 나가는 분자와 들어오는 분자를 생각하면, 특정 온도에서 물표면 근처에서는 단위시간당 나가는 분자수를 100이라고 합시다. 이 수는 공기가 수증기에 대해 포화됐든 불포화됐든 같은 값입니다. 사실, 이 개념을 포화수증기압이라고 부릅니다. 만약, 공기가 수증기에 대해 불포화되어 있을 때, 들어오는 분자수는 100보다 작은 값을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50만큼 들어온다고 했을 때 순수하게 나가는 분자수는 50이 됩니다. 즉, 불포화공기에 대해서는 증발이 일어나는 것이죠. 반면에 공기가 수증기에 대해 포화되어 있다면 들어오는 분자수는 100이 되어 순수하게 나가는 분자수는 0가 됩니다. 즉, 증발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죠. 흔히, 증발량을 얘기할 때 순수하게 나가는 양을 얘기하므로 불포화공기에서 증발이 잘 일어난다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상황을 전체적으로 바라보면 1번 질문에서 두 가지 중 당연히 첫번째가 맞겠죠.

고2 지구과학1 질문

...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는 숙제가 있습니다 지구과학1에서 찾을 수 있는 궁금한 점... 이제부터 여러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1. 지구의 내부...

지구과학 1 질문

지구과학 1 별의 광도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데요 거리지수 (m-M)이 클수록 거리가 먼데 이때 멀다는 건 '지구에서' 멀다는 의미인가요? 지구과학 1 별의 광도에 대해 공부하고...

지구과학1 진도 질문있습니다

... 이번 겨울방학 때 지구과학1을 공부하려고 하는데 2학년 때 학교에서 지구과학1... 앞에 부분은 2학년 모의고사나 학교내신 둘다 1,2 등급 왔다갔다 합니다. 개념을 겨울방학...

지구과학1

... 알고싶어서요 질문:탈유리질화,마그마 불응분리 의미 지구과학 관련 용어인... 이는 마그마가 급격히 냉각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산 유리(오브시디언)...

지구과학1 질문

지구과학1 보고서를 작성하려 하는 중인데 혹시 지1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해 지진 경보 및 대피 방법에 대해 탐구 가능한가요? (지구과학2 X) 뭐 가능은 하겠죠 지진이...

지구과학1 영어교육 진로연계

지구과학 1 내용이랑 영어교육쪽인 제 진로랑 연계해서 주제 하나 정하고 발표해야... 수 있습니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더라도 주제를 선정한 후 충분한 자료 조사와...

지구과학 1질문

... 태양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더 많은 태양 복사를 받아 연교차가 상승하고, 멀어지면 반대로 연교차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세차운동: 지구의 세차운동은 지구의 자전축이...

지구과학1 질문

지구과학1 질문 주상절리는 보통 신생대에서 나타난다고 하는데 무등산 주상 절리의... 가지고 있습니다. 무등산 주상 절리와 유사한 경우의 지형은 다른 지역에도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