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 지구과학 질문입니다. (과제)

고2 지구과학 질문입니다. (과제)

작성일 2009.07.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고2 지구과학입니다.

 

고2 정도에 수준에 맞게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성의없는답변 하지말아주세요~

 

1.화산분출물의 종류

 

2.현무암질 용암에 대해

 

3.해령,해구 변환단층에 대해

 

4.대륙이동설에 대해

 

5.해구,해령변환 단층에 대해 (중복이네요)

~6

 

7.화산대,지진대에 대해서 (고대,현대 변동대)

 

8.지진대피요령

 

9.판에 대해서 (약 10개의판)

 

10.공기덩어리가 상승하면서 일어나는 변화

 

11.공기덩어리가 상승하는 이유가 아닌것?

 

12.구름의 종류 (상층운)

 

13.포화수증기압곡선

 

14.빙정설에 대해서

 

15.상대습도 구하는 문제 (공식과 예시문제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6.전선  온난,한랭,폐색,정체전선

~17.

 

18.열대성저기압(태풍에대해서)

 

19.온대성저기압그림 분석하기

~20

 

21.온대성저기압

 

22.일기예보에 관한 속담들

 

 

 

자세히 깊게 해주실필요는 없습니다

쪽지시험이라고 봐주시면 답변하기가 빠를거에요

 


#고2 지구과학 #고2 지구과학 교과서 #고2 지구과학 문제집 추천 #고2 지구과학 문제집 #고2 지구과학1 교과서 pdf #고2 지구과학 목차 #고2 지구과학 인강 #고2 지구과학 모의고사 #고2 지구과학 문제 #고2 지구과학 완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화산분출물의 종류

 

1.화산 가스(수증기, 이산화탄소, 질소, 아황산가스, 황화수소)

 

2.화산 쇄설물 : 화산진, 화산재, 화산력, 화산 암괴, [화산탄]

 

2.현무암질 용암에 대해

 

SiO2 함량이 적으며 온도가 높습니다.

 

SiO2 함량이 적어 점성이 작고 유동성이 큰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화산의 활동형태가 열극형/분출형이라 화산의 형태는 높이가 낮은 용암대지, 순상화산 입니다.

 

 

3.해령,해구 변환단층에 대해

 

해령 : 맨틀 물질이 상승하는 곳에서 발달하는 발산형 경계에서 자주 보이는 지형

(V자로 파진 옆의 높이 솟은 곳)

 

해구 : 맨틀 물질이 하강하는 곳에서 발달하는 수렴형 경계에서 자주 보이는 지형

(판이 섭입하는 곳의 높은 곳)

 

변환단층 : 두 판이 서로 어긋나는 곳에서 생기는 보존형 경계에서 자주 보이는 지형

해령과 해령의 사이에서 생기는 지형

그림으로 보자면  천발지진이 자주 일어납니다.

(단, 심발지진과 화산활동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4.대륙이동설에 대해

 

1912년 독일의 베게너가 발표한 것으로, 약 3억년 전인 고생대 말에는

지구상의 모든 대륙이 하나의 초대륙(판게아)을 이루고 있었고,

이후 초대륙이 분리되고 이동하여 현재와 같은 분포를 이루게 되었다는 학설

대륙 이동의 증거로는

①남아메리카 대륙의 동해안과 아프리카대륙의 서해안의 해안선 모양의 유사성

②두 대륙에 분포하는 고생대 화석의 유사성

③멀리 떨어져 있는 두 대륙의 산맥이 연결되어 있으며, 암석이 서로 같음

④과거 지질 시대에 있었던 빙하의 분포 지역의 유사성

 

5.해구,해령변환 단층에 대해 (중복이네요)

~6

 

5번 답변은 생략

 

7.화산대,지진대에 대해서 (고대,현대 변동대)

 

고대와 현대 변동대의 차이점은 잘 모르겠구요. (죄송합니다.)

 

빈출문제인 화산대와 지진대의 유사성에 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지구의 지각은 몇개의 판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 판들은 맨틀의 대류 등에 의해 정지되어 있지 않고 계속 움직이고 있죠.

이렇게 움직이다가 보니 판과 판이 서로 스치기도 하고 멀어지기도 하고 충돌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판과 판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판 경계부에서는 상호작용의 결과 지진이 일어나기도 하고, 

지하에서 마그마가 만들어져 화산활동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화산활동이 일어나면 또 지진이 수반되구요.

그래서 현재 지구상에서 활발한 지각활동이 일어나는 곳은 판 경계부에 해당하는 곳입니다.

즉, 지진대와 화산대는 판 경계부에 분포되어 있기때문에 그 분포지역이 거의 일치하다고 볼 수 있죠.

 

8.지진대피요령

 

①지진이 발생하면 즉시 엎드려 몸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②사용하던 전열기구 및 가스렌지 등을 확실하게 끈다.

③문이 뒤틀려 열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재빨리 문을 열어 탈출구를 확보한다.

④좁은 길이나 담 근처로 피신하지 말고, 벽·기둥·자판기 등은 무너지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9.판에 대해서 (약 10개의판)

 

종류

유라시아 판(유럽과 아시아 일부분까지), 아라비아 판, 아프리카 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점점 위로 치고올라오면서 생긴 산맥인 히말라야 산맥은 점점 높아지고 있음),

필리핀 판, 코코스 판, 태평양 판, 나즈카 판, 북아메리카 판, 카리브 판, 남아메리카 판, 남극 판

 

10.공기덩어리가 상승하면서 일어나는 변화

 

공기 덩어리가 상승 → 주위 기압이 낮아지므로 부피가 팽창 →

→ 외부공기에 대하여 일을 하므로 내부 에너지가 감소하여 온도가 하강(단열팽창)

 

11.공기덩어리가 상승하는 이유가 아닌것?

 

질문의 내용을 이해못했습니다.(죄송합니다.)

 

12.구름의 종류 (상층운)

 

권운 : 주로 맑은 날에 보임 (털구름 이라고도함)

권적운 : 대체로 맑은 날에 보임 (털쌘구름 이라고도함)

권층운 : 햇무리나 달무리가 나타나며, 온난 전선의 접근을 예고하는 구름(털층구름 이라고도함)

 

13.포화수증기압곡선

 

포화 상태 : 공기가 어떤 온도에서 최대한의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로 (증발량=응결량)

 

상대습도(%)는 (현재 수증기압/현재 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압)*100

             현재 수증기압

----------------------------   X  100  =  상대습도(%)

현재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압

 

이슬점 : 불포화된 공기가 냉각되거나 수증기압이 증가하여 

포화상태에 도달하면 수증기가 응결하기 시작할때의 온도

 

14.빙정설에 대해서

 

온대나 한대 지방에서 내리는 비(찬 비)나 눈을 설명하는 이론

구름의 조건으로는 구름 내의 온도가 0도씨 이하로 물방울, 과냉각 물방울, 빙정이 함께있어야함

형성 과정

구름속에 과냉각 물방을과 빙정이 함께 존재

→빙정과 과냉각 물방을의 포화 수증기압이 다름

→과냉각 물방울에서는 증발, 빙정에서는 승화가 일어남

→승화에 의해 빙정이 커져서 무거워짐

→커진 빙정이 그대로 떨어지면 눈, 떨어지다 녹으면 비(찬 비)

 

15.상대습도 구하는 문제 (공식과 예시문제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슬점과 상대습도를 구하는 예시는 제가 답변했던 내용 링크해둘테니 가셔서 보세요^^

(그림참조되어있음)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214&eid=5PbOG2bZWKz7s26OKgcNSTV/g7ZjPIjZ

 

16.전선  온난,한랭,폐색,정체전선

~17.

 

한랭전선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쪽으로 이동하여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밑으로 파고들면서

따뜻한 공기를 밀어 올릴 때 생기는 전선

온난전선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 쪽으로 이동하여 따뜻한 공기가 찬공기를 타고 올라갈 때 생기는 전선


폐색전선 :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보다 이동속도가 빠르므로 두 전선이 만나 겹쳐진 전선

ⓐ한랭형 폐색 전선 : 한랭 전선 뒤쪽의 찬 공기가 온난 전선 앞쪽의 고익보다 더 차가울 때 형성

ⓑ온난형 폐색 전선 : 온난 전선의 앞쪽 공기가 한랭 전선 뒤쪽의 찬 공기보다 더 차가울 때 형성

정체 전선 : 두 기단의 세력이 비슷하여 오랫동안 머물러 있는 전선

(예로는 우리나라 초여름의 장마 전선-오호츠크해 기단과 북태평양의 기단이 만나 형성됨)

 

 

18.열대성저기압(태풍에대해서)

 

열대저기압의 특성

열대저기압-위도 5~25도 사이의 해수면의 온도가 27도씨 이상인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으로

중심부근의 최대풍속이 17m/s이상이되면 북태평양 서부에서는 태풍이라고 불립니다.

전선을 동반하지 않으며, 등압선이 매우 조밀하고 동심원 모양입니다.

포물선의 궤도를 그리며 고위도로 북상합니다.

태풍의 에너지원은 수증기의 응결에 의한 숨은 열이고

구조로는 중심부에 가까울수록 상승기류에 의해 비구름이 두껍고 바람이 강합니다.

하지만 중심부에서는 약한 하강기류가 있어서 단열압축 되기때문에 바람이 약하고

구름이 없는 맑은 하늘을 볼수 있는데요. 이를 태풍의 눈이라고 합니다.(영화 투모로우에서 잘 표현되죠)

태풍은 초기에 북서쪽으로 이동하지만 중위도에 이르면

편서풍에 영향으로 포물선을 그리며 북동쪽으로 이동합니다.

태풍은 위험반원과 안전반원이 있는데요.

위험반원은 태풍의 진행방향에 오른쪽 반원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태풍의 방향과 대기의 바람이 일치하여

풍속이 더 강하고 비도 많이 내립니다.

안전반원은 태풍의 진행방향의 왼쪽 반원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태풍의 방향과 대기의 바람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서로 상쇄되어 바람이 비교적 약합니다.

태풍은 육지에 상륙하면 수증기 공급이 줄어들고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에너지 손실을 입어 소멸하게 됩니다.

 

 

19.온대성저기압그림 분석하기

~20

 

이건 너무 길어질것 같아서 중복된 답변이라 링크해두겠습니다^^(그림참조됨)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206&eid=U2a+Mzf946wSBYAmtt019qta6RDXYkEN

 

21.온대성저기압

 

19번 링크 참조

 

22.일기예보에 관한 속담들

 

1.개미가 줄을 지어 지나가면 비가 온다.

2.청개구리가 울면 비가 온다.

3.제비가 지면 가까이 날면 비가 온다.

4.달무리나 해무리가 나타나면 비가 온다.

 

도움이 되려나 모르겠네요^^

열심히 공부하셔서 시험 꼭 잘 치시길.

고2 지구과학 질문입니다. (과제)

고2 지구과학입니다. 고2 정도에 수준에 맞게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의 내용을 이해못했습니다.(죄송합니다.) 12.구름의 종류 (상층운) 권운 : 주로 맑은 날에...

고2 지구과학I 과제 (내공 : 700)

... 고등학생 과제수준에서 적당히 썼으니 본인이 더 살을 붙이고 말을 정리해서 써주세요. 추가질문있으면 올려주시고요. 채택 부탁드립니다.

직업군인 고2 선택과목

... 사회문화,영어권문화,지구과학,생활과 윤리,수학과제탐구 인데요 나중에... 군무원 공채 시험의 경우 학력에 제한을 두지않고 응시할 수 있는 시험으로, 질문 내용과...

고2 선택과목

군인육군)이 되고싶은데 고2 선택과목에서 뭘 골라야 하는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려요. 동아시아 세계지리 세계사 경제 물리학1 화학1 생명과학1 지구과학1 융합과학탐구...

여고 이과 과탐선택 물리vs지구과학

... 지구과학이든 다 해야 한다는 거 알아요. 제가 질문드리... 고2때부터, 암기와 문제풀이로 커버가능한 지학, 생물은 고3때 내신수업이 있는 과목을 선택했어요 주절주절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