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 이과 과탐선택 물리vs지구과학

여고 이과 과탐선택 물리vs지구과학

작성일 2012.11.19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어떤 여고에 다니는 1학년 학생인데요...
제가 이과에 진학할 건데, 선생님들이 과탐 물화생지 중에서
두 과목을 택해야 된다고 하더라구요... (세과목한다는말도있지만)
어쨌든 처음에는 제가 물리랑 화학을 하려고 했는데요,
물리보다는 지구과학이 좀 더 재밌는 것 같아서 요새 갈등이에요...

참고로 저는 과학 내신은 1등급이고 지난 9월 모의고사 때
지구과학이랑 물리를 쳤었는데 (사실안배운범위라서거의찍는거지만)
그 때 둘다 2등급이 나왔습니다. 사실 모의고사 등급은 지금 현재로선
별로 안 중요한 것 같고, 제가 과학 내신 점수는 상위권이에요.

더 말씀드려 보자면 원래 제가 수학과로 가고 싶었었는데
과학 쪽 어느 분야로도 생각해 봐야겠다는 것도 있거든요...
어쨌든 저는 과학을 내신등급 잘 받고 끝내려는 게 아니고
나중에 더 제대로 공부를 계속 할 계획입니다. 이걸 참고해 주시구요.

만약에 제가 물리를 선택하게 되어 물리를 공부할 수 밖에 없게 되면
열심히 잘 할 자신은 있어요. 그런데 물리보다는 지구과학 특히
천문학 쪽이 재밌다고 느낍니다.(적어도 아직까지는)
그래서 지구과학을 선택할까 생각하던 찰나에, 한달전에
어떤 2학년 선배의 지구과학 문제집을 보게 됐는데...
뭘 모르는 저로서는 지구과학이 '지리'와 관련이 있을 거라는
생각을 못했었어요...(지금생각해보니당연한건데말이죠.)
그런데 제가 또 지리는 좀 못하고 재미도 없어 해요...ㅠ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마지막으로, 나중에 더 깊이있게 과학을 공부하게 되면
어차피 물리든 지구과학이든 다 해야 한다는 거 알아요.
제가 질문드리는 것은, 고등학교 때 무엇을 선택하는 게
좋겠느냐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릴게요...


#여고 이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현재 대학생이구요 여자 공대생입니다^^

저는 작년 수능에서 과탐선택을 물1화2생1을 했었습니다.

고3 3월 평가원까지 지구과학1을 선택했다가 당시 학교에서 내신을 생1으로 했었기 때문에 공부의 편의를 위해서 생1으로 바꾸었구요.

 

선택하기 나름이고 개인차가 분명있는데

그냥 개인적인 견해를 간단하게 말씀드리도록 할게요^^

 

물리는 우선 개념이 매우 중요한 과목이구요

고2에서 고3 올라갈 때 난이도가 확 높아지는 과목입니다. 제가 고2때부터 물리를 좋아해서 2년동안 꾸준히 공부했었는데요 그때 난이도가 높아지는 건 확 느껴지더라구요 하지만 개념을 제대로 잡으시고 몇가지 스킬? 만 익히신다면 하실 수 있는 과목이예요

물리1은 난이도가 있으나 잘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저는 매우 어렵게 느껴서 등급컷이 낮겠지... 하지만 물신들은 그들의 수준을 보여주는 과목이죠 ㄷㄷ 공부가 많이 안되어있으면 어려운 과목일 수 밖에 없어요 하지만 님께서 여자니까.. 라는 이유로 망설이시진 않으셨으면 하는 과목이기도 하네요 ^^

어차피 대학가시면.. 물론 어느 과로 진학하시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공대같은 경우에는 물리는 기본중에 기본이 되니까 공부해두셔서 나쁠건 전혀!!없습니다. 대학물리는 물리2교과에서 조금 더 심화 시킨거니까요. 제가 다니는 학교에서는 보고서를 쓰는데 참고자료에 고등학교 하이탑 이라고 적을 정도로 대학공부까지 물리는 깊이 관여합니당..

 

이런 점에서 지구과학은 비추예요. 같은 학과에 지1지2를 선택한 친구가 있는데 좀 힘들어하긴 하더라구요. 하지마 지구과학은 비교적 공부하기가 쉽구요. 가끔 등장하는 고난도 문제를 제외하곤 지1은 타 과목들에 비해 편안한 과목입니다. 작년 수능에서는 만점이 1등급 컷으로 기억하는데(?) ... 지구과학은 천문파트의 약간의 공간감각과 암기력만 있다면 수월하게 하실 수 있어요

 

아 물론..............................................

제 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네요

고등학교 1학년이시면 저랑 교과과정이 다르네요 ㅜㅜㅜㅜㅠㅠㅠㅠㅠㅠㅠㅠ

고1과학에서 허블망원경 배운다고 들었는데 ㄷㄷ (저희때는 지구과학2 교과내용이라 들었ㅇ.....)

 

 

ㅠㅠ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지만 일단 마저 지껄여봅니당..허허ㅜㅜㅜ

 

지구과학이 지리내용과 연관이 있냐고 하셨는데.. 지리면? 어떤 부분을 이야기하시는 건지?

그냥 지도가 나오는게 싫으신가요?? 자연지리와 사회지리가 나눠지는 걸로아는데 지구과학에서는 사회지리 (인구유동, 도시 이런거 다루는 영역?)는 무관하구요 자연지리와 약간 연결되는... 음... 해수의 이동 정도? 로기억나네요 ㅋㅋ

 

 

결론적으로 말씀드리고 싶은것은... 두 과목의 차이가 좀 있지만

나중에 고3 되면 내신하랴 수능하랴 정신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내신공부랑 수능공부 같이 할 수 있게 과학탐구 선택 과목중에 개념이 매우 필요하고 문제들이 어렵다는 물리, 화학은 고2때부터, 암기와 문제풀이로 커버가능한 지학, 생물은 고3때 내신수업이 있는 과목을 선택했어요

 

주절주절 과제하기 싫어서 이러고 있네요^^ ㅇ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열공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성적을 잘받기 위함이라면 지구과학보다 물리가 좋은데요,

지구과학, 특히 1 은 너무 난이도가 쉬워서 만점자가 너무 많아요.

하지만 수능이후에도 이어서 공부를 하고 싶으시다면. 그리고 지구과학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지구과학을 선택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지학 1을 하고 2역시 조금 내용을 전반적으로 본 사람의 경험으로 말씀드리자면,

그렇게 지리쪽하고 연관은 없는듯 한데요. 특히 어떤 파트를 이야기 하시는 건지.

본인이 정말 하고 싶은 것이 있으신것 같아요.

 

물리에 자신이 있으면 고등학교때는 물리를 선택해서 조금더 등급에 유리한 쪽으로 가시라는 것이고,

관심이 있으신 지구과학은 같이 공부를 하시면서, 나중에 관련학과나 연구를 계속 하시면 좋겠네요

화이팅 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지구과학이 지리 분야와 연관된 부분이 있다면

"지질" 분야 중에서 극히 일부분과 "대기/해양" 분야 중에서 극히 일부분만 해당합니다.

그런 극히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내용은 지리 분야와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게다가 지리 분야와 연관된 부분이라 해도 아예 다른 방법으로 접근합니다.

따라서 지리 분야 때문에 지구과학 선택을 망설인다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

 

 

2.

실제로 대학에서 지구과학을 깊이있게 공부하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환경 또는 지구과학 관련 학과에 진학하지 않는다면 지구과학을 다시 공부할 일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됩니다.

대부분의 자연계 학과에서는 물리학, 화학, 생물학까지가 끝입니다. 그 이상은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환경 또는 지구과학 관련 학과에 진학하더라도 물리학, 화학, 생물학은 필요합니다.

특히 공학계열의 여러 학과들은 생물학조차 필요없고 물리학, 화학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단, 천문우주 관련 학과는 전공 분야의 특성이 오히려 물리학과에 가까워서

물리학, 화학 정도까지만 필요로 합니다.)

 

 

3.

선택과목에 있어서는 일단은 좋은 성적 확보가 우선입니다.

우리나라 대학입시에서는 물리를 선택하지 않아도 물리학과에 진학할 수 있고,
화학을 선택하지 않아도 화학과나 화학공학과에 진학할 수 있습니다.
어느 과목이든 무조건 자신있는 과목을 선택하면 되고,
좋은 성적을 확보하여 원하는 대학에 합격하면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대학에 입학하고 나서 물리학을 전공하거나 물리학에 관련된 과목을 배운다고 하더라도
고등학교 물리 과목을 공부했다고 해서 특별히 학점 취득에 유리하지는 않습니다.
어차피 대학에 입학하고 나서 새로 공부하게 되는 것입니다.

 

물리I+II 모두 선택한 학생인데도 일반물리학 학점이 형편없이 낮은 D나 F가 나오는 경우도 많고,
물리I+II 모두 아예 선택하지 않은 학생인데도 대학 입학 이후에 열심히 공부해서
일반물리학에서 A+ 학점을 받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물론 고등학교에서 관련 과목을 충분히, 그리고 제대로 공부해놓은 상태로 대학에 진학한다면

그만큼 공부하는 데에 수월하게 적응할 수 있다는 장점은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절대적이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어느 과목을 선택해야 하느냐는 것은 굳이 따질 필요가 없으며,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해도 대학 입학 이후에 얼마든지 보완할 수 있습니다.

어차피 대학입시에 합격하고 대학에 입학하고 나서 생각할 문제입니다.

괜히 지망 학과에 관련있는 과목을 선택했다가 저조한 성적을 받는 것보다는

관련이 없는 과목이라도 더 좋은 성적을 확보하는 것이 현명한 전략입니다.

 

만약 성적에서 큰 차이가 없다면, 그 다음 순위로 생각할 것이 학문적 흥미와 적성입니다.

그리고 현재 다니는 학교에서 어느 과목을 선택하는 학생이 더 많으냐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지나치게 학생 수가 적다면 성적 확보에 있어서도 문제가 뒤따를 수 있기 때문이죠.

여고 이과 과탐선택 물리vs지구과학

... 어떤 여고에 다니는 1학년 학생인데요... 제가 이과에... 수능에서 과탐선택을 물1화2생1을 했었습니다. 고3 3월 평가원까지 지구과학1을 선택했다가 당시 학교에서 내신을...

이과 선택과목 물리 vs 지구과학

선택과목을 골라야 하는 고1입니다 제가 현재는 환경공학과를 지망하고 있는데 아직... 높은 지구과학을 하는 게 좋을까요?? 공학이면 물리 중요합니다. 공학이라고 쓰고...

과탐선택지구과학 vs 물리

... 이제 고2올라가는 이과생입니다. 학교에서 과탐 선택하라고... 고2때 우리학교도 화학,생물은 의무선택이고 지구과학물리둘중에 고르는거였는데요. 여고라서 이과가...

이과 수능과탐선택 물리1vs지구과학1

... 솔직히 이과나와서 밥멀어먹을려면 공대가야돼자나요... 잘나오는쪽으로 선택해야죠 대학 물리 일단 대학 붙고... 그동안 물리 공부 하시면 되구요 지구과학이 솔직히...

물리vs지구과학

... 제발제발 알려주세요ㅜㅜㅜㅜㅜㅜ 물리vs지구과학 여고 다니고 있는 예비고2입니다.. 제가 원래 화생지를 선택했었는데 주변에서 물리 안하면 공대를 못간다고 해가지고...

고3 이과 수능과탐선택 물리1VS지구과학1

... 솔직히 이과나와서 밥멀어먹을려면 공대가야돼자나요 ..... (아직 그만큼 충분한실력은 아니지만 ..) 어쨋든 제가 화1 화2 생1은 꼭할꺼구요 당연히원래 물리1하려고해서...

고1 과탐 물리 vs 지구과학 기계공학과

꿈이 비행기정비사 또는 기계에 관련된 직업인데 과탐선택해야할지 고민입니다. 이번에 물리하는애들이 적고 지구과학 하는애들이 더 많아서 물리하면 내신따기도...

고3 이과 수능과탐선택 물리1VS지구과학1

... 솔직히 이과나와서 밥멀어먹을려면 공대가야돼자나요 ..... (아직 그만큼 충분한실력은 아니지만 ..) 어쨋든 제가 화1 화2 생1은 꼭할꺼구요 당연히원래 물리1하려고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