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개자리에 대해 알려주세요..내공50(진짜)

큰개자리에 대해 알려주세요..내공50(진짜)

작성일 2003.05.25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큰개자리에 대한거 아무거나 다 알려주세요..ㅠ_ㅠ...

별자리찾는법 , 전설, 별점... 그외 등등등...

그리고 다른거 아무거나.. 전부 다 돼요... 큰개자리에 관한거면...

이거 나와서 이야기 형식으로 ㅎㅐ야 하거든요??

그것좀 참고해서..-_ㅠ..

부탁드려요...!!!

내공 많이 많이 드릴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발표법..

먼저 인사하고..(안녕하세요. 이번에 큰개자리에 대한 발표를 맡은 XXX라고 합니다.
먼저 큰개자리에 대해 소개를 하겠습니다.)
그리고 큰개자리의 학명과 전문적인 정보를 소개한다.(시리우스나 전문적인 용어)
그리고 그에 얽힌 설화를 소개하고..
또, 큰개자리를 하늘에서 찾는 법을 소개하고..
큰개자리를 조사하면서 느낀점..(실제 하늘에서 찾아보았는데. 어떻게 보이더라..이런거 추가해서)
그리고. 참고 자료들의 출처...

이런식으로 발표하는 겁니다.






1. 큰개자리 CANIS MAJOR(CMa)

학명 : Canis Major
약자 : CMa
영문표기 : the Greater Dog, the Lager Dog
위치 : 적경/ 6h 40m 적위/ -24°
자오선 통과 : 2월 26일 오후 9시

요약정보
겨울철 남쪽하늘에 보이는 별자리.


내용
약자 CMa. 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6h 40m, 적위(赤緯) -24°이다. -1.5등인 시리우스(α)와 β ·δ ·ε ·η 의 4개의 2등성 외에도 여러 밝은 별로 구성되어 있다.특히, 시리우스는 북반구와 남반구를 통해서 가장 밝은 별로서, -1.4등의 A1형 주성(主星)과 8.7등의 백색왜성(白色矮星)인 동반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천랑성(天狼星)이라고 부른다. 시리우스 바로 남쪽에는 작은 망원경으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산개성단(散開星團) M41이 있다. 또한 ββ별은 특이한 세페이드 변광성(變光星)으로 잘 알려져 있다.





2. 큰개자리베타별 [ β Canis Majoris ]

요약정보
큰개자리에 있는 백색의 2등성.

내용
고유명은 무르짐(Murzim)이다. 등급은 2.0등이며, 스펙트럼형은 B1.큰곰자리 β별과 더불어, 광도의 변화가 적고 주기가 매우 짧은 대표적인 변광성(變光星)이다.

3. 시리우스 [ Sirius ]

αCMa (Sirius)

'개의 별'의 의미를 가진 시리우스는 -1.5등급의 가장 밝은 별로 청백색을 띄고 있다. 시리우스라는 말의 의미는 '눈이 부시게 빛난다.' 또는 '불태운다'라는 뜻인데 동양에서는 창백하고 반짝반짝 빛나는 이 별을 천랑성(하늘의 늑대)라고 불렀다고 한다.



요약정보
큰개자리 α성의 고유명.


내용
한국과 중국에서는 천랑성(天狼星)이라고 부른다. 전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1.5등성이며, 분광형 A1의 주계열별이고, 거리 8.7광년이다. 광도 8.7등의 어두운 동반성(同伴星)과 쌍성계를 이루고 있다. 1834년 F.W.베셀이 시리우스의 고유운동이 사행(蛇行)하는 것에서부터 동반성이 있음을 예언하고, 1862년 망원경 제작자 A.클라크가 어두운 동반성을 발견하여 안시쌍성임을 확인하였다. 공전주기는 49.98년이다. 1914년 W.S.애덤스는 동반성의 분광형이 주성과 비슷한 A5형임을 관측하였다.

동반성은 그 궤도의 해석 결과, 질량이 태양과 거의 같고 주성의 약 3분의 1임이 밝혀졌다. 한편, 광도는 주성보다 약 10등이 어두운데, 이것은 동반성의 겉넓이가 주성의 1만분의 1, 부피로 하면 100만분의 1, 즉 지구 정도의 크기가 된다는 결론이 나온다. 따라서 동반성은 주성의 약 30만 배의 평균밀도를 가진다. 이것은 시리우스의 동반성이 물의 13만 배, 철의 1만 6000배라는 고밀도 물질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종류의 항성을 백색왜성(白色矮星)이라고 하며, 시리우스의 동반성은 처음으로 발견된 백색왜성이다.

백색왜성은 반지름이 작고 질량이 크므로 그 표면중력은 놀랄 만큼 큰데, 시리우스의 동반성의 표면중력은 지구의 5만 배나 된다. A.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강한 중력장에서 나오는 발광체의 빛의 파장은 긴 쪽으로 이른바 적색이동을 한다. 1924년 A.S.에딩턴은 시리우스의 동반성에 대해 이러한 적색이동이 검증될 수 있음을 애덤스에게 알리고, 애덤스는 다음해에 스펙트럼선을 면밀히 관측하여 이것을 실제로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서 시리우스의 동반성은 일반상대성이론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게 되었다.

4. 설화

아르테미스 여신의 명령으로 주인인 악타이온(Actaeon)을 물어 죽였던 사냥개이다. 여신은 목욕하는 장면을 훔쳐 본 악타이온을 벌하기 위해 그를 사슴으로 변하게 하고 그의 사냥개에게 물어 죽이게 했다. 사냥개가 주인의 죽음을 알고 슬퍼하자 악타이온의 스승이었던 케이론(Chiron)이 실물과 똑같은 악타이온의 동상을 만들어 개의 슬픔을 진정시켰다고 한다. 이반적으로는 작은개자리와 함께 사냥꾼 오리온의 사냥개로 알려져 있다.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작은개자리와 함께 사냥꾼 오리온이 데리고 다녔던 사냥개라고 한다. 옛 성좌를 보면 큰개의 모습이 괴물처럼 나와 있는데 이것은 큰개를 지옥의 문을 지키는 문지기 개로 본 베서 비롯된 것이다. 어떤 이야기에는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의 시녀인 프로크리스 요정이 기르던 개라고도 한다. 또다른 이야기에는 케팔루스가 새벽의 여신 에오스에게서 얻은 사냥개가 바로 큰개자리의 주인공인데, 이 개의 발이 얼마나 빨랐던지 그 속도에 감탄한 제우스가 이 개를 하늘에 올려 별자리로 만들었다고 한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해뜨기 바로전에 시리우스가 떠오르는 날을 1월1일로 하여 1년 365.24일의 달력을 만들어 사용하였다고 전해지고, 시리우스가 일출 직전에 떠오를 때와 나일강의 범람기가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시리우스를 홍수를 예보하는 '나일강의 별'로 숭배하였다고 한다


6. 큰개자리 찾는법..



≫ 시리우스는 가장 밝은 별이기 때문에 남쪽하늘에서 찾기기 쉽다. 오리온자리의 삼태성을 이어서 남쪽으로 약 20도 정도 떨어진 곳에서 밝게 빛나는 시리우스르 찾을 수 있을겁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르테미스 여신의 명령으로 주인인 악타이온(Actaeon)을 물어 죽였던 사냥개입니다.
여신은 목욕하는 장면을 훔쳐 본 악타이온을 벌하기 위해 그를 사슴으로 변하게 하고 그의 사냥개에게 물어 죽이게 했습니다.
사냥개가 주인의 죽음을 알고 슬퍼하자 악타이온의 스승이었던 케이론(Chiron)이 실물과 똑같은 악타이온의 동상을 만들어 개의 슬픔을 진정시켰다고 합니다.
또, 일반적으로는 작은개자리와 함께 사냥꾼 오리온의 사냥개로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찾는방법
큰개자리의 알파(α)별 시리우스(Sirius. 1등성)는 겨울 하늘에서 가장 밝고 아름다운 별이므로 다른 특별한 길잡이가 없어도 남쪽하늘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큰개자리를 찾는 것도 매우 쉽습니다. 그러나 큰개의 모습을 정확하게 그려내는 것은 그리 쉽지 않습니다.
큰개자리가 금방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면 오리온자리의 삼태성을 이어 남쪽으로 약 20도(˚)정도 연장한 곳에서 밝게 빛나는 시리우스를 찾아도 됩니다.

시리우스(Sirius)
큰개자리의 알파(α)별인 시리우스(Sirius. α CMa)는 표준 1등성의 약 10배 밝기로 전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입니다.
시리우스라는 말의 의미는 '눈이 부시게 빛난다', '불태운다'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또, 동양에서는 이 별을 천랑성(天狼星, 하늘의 늑대) 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그리스에서는 시리우스가 대낮의 남쪽하늘에 위치하게 되는 7월, 8월의 더운 기간을 '개의 날(Dog day)' 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것은 시리우스의 별빛과 태양의 빛이 겹쳐져 낮의 더위가 한층 더하게 되었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합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해뜨기 바로 전에 시리우스가 떠오르는 날을 1월 1일로 하여 1년 365.24일의 달력을 만들어 사용 했다고도 전해집니다.
또한 시리우스가 일출 직전에 떠오를 때와 나일강의 범람기가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시리우스를 홍수를 에보하는 '나일강의 별'로 숭배하였다고 합니다.
시리우스의 서쪽에 있는 베타(β)별 무르짐(Murzim. 2등성)은 '예고 하는 것'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이 별이 시리우스보다 조금 전에 떠오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
적경 6h40m, 적위 -24。 자오선 통과: 2월 24일 pm 9:00
별의수(육안):87개, 크기(서열):380.1。(42번째)


겨울 밤 땅위에선 추위가 살을 에이는 듯해도 밤하늘에는 별꽃들이 만개해 있어 따뜻한 열기를 느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화려한 별은 누가 뭐래도 큰개자리(Canis Major)의 시리우스(Sirius)이다.

이 별을 바라보고 있으면 누구나 그 화려함에 눈이부실 것이다.

겨울 하늘의 가장 밝고 아름다운별 시리우스는 다른 특별한 안내자 없이도 남쪽하늘에서 쉽게 알아볼수 있다. 따라서 큰개자리를 찾는 것은 매우 간단한 일이다. 다른 방법은 일단 오리온자리(Orion)의 삼태성을 이어 남쪽으로 약 20도정도 펼친 곳에서 밝게 빛나는 시리우스(Sirius)를 찾아보는 것도 좋다.

큰개자리의 으뜸별인 시리우스(Sirius)는 표준 1등성의 약 10배 밝기로 전 하늘에서 제일 밝은 항성이다. 시리우스라는 말의 의미는 '눈이 부시게 빛난다'라는 뜻인데 동양에서는 창백하고 반짝반짝 빛나는 이 별을 천랑성(天狼星,하늘의 늑대)이라고 불렀다.

이 별은 두개의 별로서 이루어져 있는데 1882년 미국의 천문학자인 앨빈 클락이 처음 발견했다. 1976년에 발행된 '시리우스의 수수께끼(The Sirius Mystery)'에서 저자인 로버트 템플은 서아프리카의 도곤족의 전승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는데 그들은 시리우스가 두 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시리우스A를 돌고있는 시리우스B의 주기가 50년 이라는 것도 알고 있었다고 한다. 템플은 이 고도의 과학 정보는 고대 이집트 문명에서 도곤족에게 전달되었다고 설득력있게 주장했다. 그는 고대 이집트 인은 시리우스 부근에서 온 외계인으로부터 정보를 얻었다고 결론내렸다.

그리스에서는 시리우스가 대낮의 남쪽하늘에 보이게 되는 7월, 8월의 더운 기간을 '개의 날 (Dog days)'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것은 시리우스의 별빛과 태양의 빛이 겹쳐져 낮의 더위가 한층 더하게 되었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해뜨기 바로 전에 시리우스가 떠오르는 날을 1월 1일로 하여 1년 365.24일의 달력을 만들어 사용하였다고 전해진다. 또한 시리우스가 일출 직전에 떠오를 때와 나일강의 범람기가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시리우스를 홍수를 예보하는 '나일강의 별'로 숭배하였다고 한다.

시리우스의 서쪽에 있는 베타별 무르짐(Murzim)은 '예고 하는 것'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이 별이 시리우스보다 조금 전에 떠오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수많은 별들 중에서 가장 밝은 별의 영광을 차지한다는 것은 대단한 명예가 아닐 수 없다. 인류 역사를 통해 수많은 사람들이 이 별을 쳐다보며 찬사와 감탄을 보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명예를 차지하고 있는 별이 바로 큰개자리의 시리우스이다.

큰개자리는 겨울하늘의 육각형에 속하는 별자리 중에서 가장 늦은 시간에 떠오르는 별자리이다. 더구나 높이 떠오른 후에도 여전히 남쪽 하늘의 낮은 곳에 있어서 도시 지역에서는 큰개자리의 아래쪽 별들을 관찰하기가 쉽지 않다. 겨울하늘에서 큰개자리의 알파별인 시리우스를 찾는 것은 쉬운 일이다. 다른 별들보다 월등히 밝게 빛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별을 보는 데 익숙해 있지 않으면 오리온자리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다.

초저녁에 동쪽 하늘을 보면 오리온자리가 비스듬히 누워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오리온자리의 삼태성을 연결하는 직선을 아래로 연장하면 지평선 근처에서 시리우스를 만난다. 일단 시리우스를 찾아낸 후에 별자리 그림을 펼쳐놓고 시리우스 주위의 별들을 하나하나 확인해 가면 큰개자리의 2등성들을 모두 찾아낼 수 있다.

시리우스는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1.5등성이어서 1등성보다 약 10배나 더 밝다. 시리우스가 이렇게 밝은 것은 태양계에서 8.6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5번째로 가까운 별이기 때문이다. 시리우스는 태양보다 질량이 약 2배이고 지름도 2배 정도로 우리 태양보다는 20배 이상 밝다.

서양에서는 시리우스가 태양과 함께 뜨고 지는 7월과 8월을 개의 날(Dog Days)이라고 하는데 이는 시리우스와 태양의 빛이 합해져서 더워졌다는 의미이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시리우스가 태양이 떠오르기 직전에 뜰 때마다 나일강에 홍수가 난다는 것을 알아내고 시리우스의 운동을 중심으로 달력을 만들었다. 그래서 그들은 시리우스가 태양이 뜨기 직전에 뜨는 시기를 일 년의 시작으로 삼았다. 시리우스는 이와 같이 일찍부터 인간 생활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었다. 시리우스는 그 밝기만큼 함께 다니는 동반성에 의해서도 유명하다.

1834년에 시리우스의 고유운동을 조사한 베셀은 시리우스가 약간은 비틀걸음을 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시리우스에는 눈으로 확인되지 않는 동반성이 있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 후 1862년에 클라크가 시리우스의 동반성을 확인하여 시리우스가 한 개의 별이 아니라 두 개의 별로 된 연성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시리우스 동반성의 질량은 시리우스 질량의 3분의 1밖에 안되지만 우리 태양의 질량과는 비슷한 것으로 계산되었다. 시리우스와 동반성에서 오는 빛을 조사해 보면 두 별의 온도는 거의 같은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도 동반성의 밝기가 시리우스보다 10등급이나 어두운 것은 부피가 작아서 빛을 내는 표면적도 작기 때문이다. 10등급의 차이가 난다는 것은 이 동반성의 밝기는 시리우스 주성의 밝기보다 10,000분의 1밖에 안된다는 것을 말해 준다. 따라서 온도가 비슷하다면 시리우스 동반성의 표면적은 시리우스 표면적의 10,000분의 1이어야 한다. 이렇게 동반성의 부피를 계산해 보면 지구의 크기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질량이 지구의 300,000배가 넘는데 부피가 고작 지구와 같다면 이 별의 밀도는 지구의 300,000배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중력은 지구 중력의 50,000배가 된다. 지구에서 1g인 물질을 이 별에 가지고 가면 50톤이나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별을 백색왜성이라고 부른다. 백색왜성은 별의 진화 단계에서 질량이 작은 별이 겪는 마지막 과정이다.

큰개자리에는 시리우스외에도 밝은 별이 몇 개 더 있다. 시리우스가 남쪽 하늘 높이 또오르는 늦겨울이나 초봄에는 지평선에 숨어 있던 다른 별들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시리우스의 바로 밑에는 앞발에 해당하는 2등성 무르짐이 있다. 개의 뒷부분에 있는 아다라와 베젠도 2등성이다. 꼬리부분에는 또 하나의 2등성인 알루드라가 있다. 하늘에 찬란하게 빛나는 시리우스를 보면서 별의 일생의 마지막을 서서히 장식해 가는 시리우스 동반성을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백억 년이라는 별의 일생이 순간처럼 느껴질지도 모른다.



이중에서 골라 쓰세요오~~
점수주심 ㄳ 입니다~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자인사 여러 자세한 잘들로 인해 추첨되었습니다. 글구 답변자가 없어서..ㅎ

신화를 보면 알 수 있죠.

유명한 신화 중 하나는

큰곰자리와 작은곰자리가 서로 모자간이라는 겁니다.

큰곰이 엄마고.. 작은곰이 아들이라는 거죠.

제우스의 사랑을 받은 님프가 아들을 낳았고..

그 님프는 제우스의 아내인 헤라의 질투를 받아 곰으로 변신했습니다.

아들이 사냥꾼으로 자라 자기 어미를 사냥하려다가.. 제우스가 그것을 차마 보지 못하고..

둘다 곰으로 만들어 하늘의 별자리로 올렸다죠.

큰곰의 경우.. 그 모양도 비교적 확실하고 거대한 별자리입니다.

작은곰자리는... 큰곰자리의 북두칠성 부분과 닮았죠. 그래서 작은곰이라 불리게 되었을 거구요.


작은개자리는... 단순히 큰개자리 옆에 있어서 작은개자리가 된 겁니다.

딱히 다른 이유는 없어요.

작은개 자리 근처에 별들이 많았다면 좀 더 그럴듯한 별자리로 만들어졌을 텐데..

알파별인 1등성 프로키온 외에 그다지 밝은 별이 없어요...

그래서.. 옆에 있는 큰개자리의 영향으로.. 작은개자리가 된 거죠.

큰개자리는... 바로 옆에 있는 오리온의 사냥개였다죠.

전통음식에 대해 알려 주세요 ( 내공 50 )

... 좀 알려 주세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내공냠냠... 저 진짜 시간 없어요 ㅠ.ㅠ 9일 개학입니다. 오늘 안엔... 그 자리에서 일어나고 싶을 때는 대채주요 요리가 끝나고...

대해 모든것좀 알려주세요! (내공50)

... 이왕하는거 내공도 드릴테니 성의껏 해주세여... 권위에 대해서는 오직 위원회만이 문제삼을 수... 전국 마피아 대부들이 모두 한자리에 모입니다. 물론 뉴욕...

속담 알려주세요..(내공50)

... - 자기가 먼저 남에게 잘 대해 주어야 남도 자기에게 잘... 누울 자리 봐 가며 발 뻗어라. - 다가올 결과를 생각해... 닭 쫓던 지붕 쳐다보듯 한다. - 하려고 애쓰던 일이...

고사성어50개와 유래좀알려주세요

고사성어50개와 유래를 알려주세요. 내공50드림니다... 개과천선 / 改過遷善 改 고칠 過 지날 과 遷 옮길 천 善... "선비가 헤어진 지 사흘이 지나면 눈을 비비고 다시 대해야 할...

알아야 될 속담 250가지(내공50겁니다)

초등학생이 알아야될 속담250가지를 알려주세요. 내공50겁니다 1.... 잘 대해주면 상대방도 나에게 잘 해 준다. 30.속담-하늘이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 뜻-아무리 재난을...

이야기좀 알려주세요~~(내공50...

수원에 전해내려오는 이야기좀 알려주세요~~ 내공 50걸었뜹니... > (11) 자라바위 어떤 마을에 ‘자라바위’가 두 있는데, 하나는 크고 다른 하나는 조금 작았다. 사람들은 ...

대해알려주세요(내공50)

...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ㅠㅠ 1. 음... 인터넷 예매가 약간... 좋은 자리를 잡기 위해서라면 인터넷 예매가 낫다고... 승리에만 집착하면서 경기를 보게 되면 진짜 재미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