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발현에 사용되는 대장균

단백질 발현에 사용되는 대장균

작성일 2024.05.1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단백질 발현에 사용되는 대장균 중 BL21 말고 무엇이 있나요?


#단백질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선 단백질 발현에 사용되는 대장균 주(Strain)는 단백질 발현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유전자들의 돌연변이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 유전자들의 돌연변이를 가진 균주들은 그 단백질을 아예 가지지 않거나, 그 단백질이 기능을 상실합니다.

  • OmpT: 세균의 외막에 존재하는 아스파르트산 단백질 분해효소(Aspartic protease)

  • Lon protease: 마찬가지로 단백질 분해효소

  • hsdSB (rB- mB-): 제한효소를 통한 DNA 절단 및 DNA 메틸화 시스템

  • dcm: 특정 염기서열의 시토신 메틸화

  • 예를 들어서 BL21의 경우 Lon protease와 OmpT protease가 없기 때문에 발현시키고자 하는 단백질이 분해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BL21 이외에 BL21(DE3)라는 균주도 있는데, BL21(DE3)는 T7 RNA polymerase가 있기 때문에 T7 promoter가 붙은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습니다.

  • 그 외에 균주마다 특정 유전자 및 돌연변이를 가졌으며, 어떤걸 쓸 지는 실험 목적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제가 여기서 일일히 적는 것보다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는게 더 빠를 것 같네요.

https://blog.addgene.org/plasmids-101-e-coli-strains-for-protein-expression

dna 재조합시 대장균사용하는이유

인슐린이나 다른 단백질 및 여러 효소를 만들때 수많은 미생물중 대장균사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먼저... 안된다면 발현이 되지 않겠죠. 플라스미드는 copy number라는 것이...

hela cell과 대장균의 translation...

... 이후 HeLa 세포와 대장균에 각각의 발현벡터를 도입시킨 후 단백질(가)를 발현시키고 분리하였다. HeLa... 그냥 gene cloning의 용도로 사용하는게 좋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