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합성 실험과정 질문

광합성 실험과정 질문

작성일 2023.11.0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엽록체 추출 ① 시금치 30g을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② ①의 시금치를 피펫으로 측정한 물 120mL와 함께 믹서에 갈아준다. ③ ②에서 나온 시금치 용액을 거름종이를 이용하여 여과해준다. ④ ③의 여과액을 코니칼 튜브에 일정히 나누어담는다. ⑤ 저온 환경서 6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채취한다. ➅ ⑤의 용액을 다시 12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려주고, 아래 침전물만을 남겨놓는다. 엽록체 추출은 세포분획법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생물학 책에 소개된 방법은 우리 신분에서 힘들 것으로 예상, 대체법을 찾아보던 중 다음 각주[5]의 방식이 우리가 할 수 있는 방식이라고 생각하였다. 각주로써 남긴 주소는 비록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으나, 이 밖에 유료 레포트 등에도 소개되어 있는 방식이기에 이로써 진행하는 것을 택하였으며, 아래는 엽록체에 대한 실제 현미경 관찰 사진이다. Fig 3. 엽록체 관찰 사진 2) 현탁액 완성 2.나.1에서 만든 엽록체는 한 코니칼 튜브 당 약 0.312g이 추출되었다. 약 0.936g에 해당하는, 코니칼 튜브 세 개 분량에 해당하는 엽록체를 이용한 경우 ‘엽록체 3’, 약 1.872g에 해당하는, 코니칼 튜브 여섯 개 분량에 해당하는 엽록체를 이용한 경우 ‘엽록체 6’ 이라고 서술한다. 엽록체 양이나 용매의 조건을 달리 하여, 최종적으로 엽록체와 용매를 잘 섞어 현탁액을 완성해주었다. 현탁액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엽록체 3 + 증류수 10mL - 엽록체 6 + 증류수 10mL 8 - 엽록체 6 + pH 8 용액 - 엽록체 6 + 증류수 9mL + 20배 희석 제초제 1mL - 엽록체 6 + 증류수 9mL + 60배 희석 제초제 1mL - 엽록체 6 + 증류수 10mL + 은행잎 0.3g 비교의 기본으로 삼은 용액은 ‘엽록체 6 + 증류수 10mL’ 용액이며, 시금치가 잘 산다고 알려진 토양의 pH인 pH 8(약염기성), 엽록체 양에 따른 변화를 보고자 시행한 엽록체 3, 전자전달계로 수소 이온이 빠져나가는 현상을 막기 위해 광합성 저해제를 쓰고자 이것이 많이 들어있는 제초제 사용 등이 있었다. 제초제는 원액에서 희석해서 사용해야 하는 바, 20배 희석과 60배 희석, 두 가지 경우를 두었다. 낙엽은 지도 교사 선생님께서 추천해주신 변인으로, 우리가 추출한 엽록체가 대부분 엽록소 a 혹은 엽록소 b인 듯 하여, 백광에서의 효율을 조금 더 높이기 위해 엽록소 a, b를 제외한 다른 색소가 주로 남아있는 낙엽을 투입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낙엽이 이외에도 낙엽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일반 잎들과는 다른 많은 화학물질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 역시 이 결정에 크게 관여하였다.



이 실험에서 낙엽을 넣는데 이 낙엽은 엽록체에 그냥 넣는건가요? 아니면 엽록소만 추출해서 넣어야 하나요?


#광합성 실험과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실험 설명에 따르면, 낙엽은 그냥 엽록체 현탁액에 직접 넣는 것 같습니다.

낙엽에서 엽록소를 따로 추출하여 넣는 것이 아니라,

낙엽 자체를 엽록체 현탁액에 넣어서 다른 색소들이 광합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려는 것 같습니다.

낙엽에는 엽록소 외에도 다양한 색소가 있고,

이 색소들이 광합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제 낙엽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방법을 통해,

특히 낙엽에서 발견되는 색소가 광합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험의 정확한 목적과 방법은 실험을 설계한 연구자에게 있어 최선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답변확정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확정이 되면 해피콩을 받게 되는데 이 해피콩은 불우이웃분들께 기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광합성 실험과정 질문

... 변화하는 과정에서 일반 잎들과는 다른 많은... 색소가 광합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험의 정확한 목적과 방법은...

중2 과학 광합성 실험 질문이요

... 있어서 질문드려요 그 문제의 답과 풀이과정을 써주시면... 이 실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 에서 모두 고른것은? <보기> (가) 검정말 잎은 광합성 결과 녹말을...

시금치 광합성 실험 질문

... 광합성이 진행되어 산소 기체를 발생시키면, 산소 기체로 이루어진 기포의 부력에 의해 실험 과정에서 잎이 물 위로 떠오릅니다. 광합성을 하기 위해서는 이산화 탄소 또는...

2학년 과학 광합성 질문

좀 예전에 광합성 배울 때 BTB 용액에 입김 불어서 색 변화하는거 실험했거든요 근데 광합성이 일어나는 과정이랑 BTB 용액이랑 무슨 관련이 있나요? 색 변화가 광합성에 무슨...

광합성 과정에 빛이 필요한 지 알아보는...

... 3학년 입니다.제가 영재학술원에 다니는데 참 어려워요.숙제도 어렵고요.그래서 지식인 에다가 질문할게요.광합성 과정에 정말 빛이 필요한 지 알아보는 실험을 알려주세요....

급해요ㅜㅜ광합성

... 빛의 색에 대해 실험 중인데, 실험 결과에는 백색이... 질문에 쓰신 것처럼 백색 조명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통해 광합성 과정이 더 효율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