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질문(일본화학임)

화학질문(일본화학임)

작성일 2023.12.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물질을 구성하는 입자는 열에너지에 의해 항상 불규칙한 운동을 하고있다. 이 운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물이 수증기가 될때 열은 물을 흡수한다.왜 그런지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3.절대영도란 열운동이 정지하는 운동이다.
왜 열운동이 정지하나요?

4. 고체는 진동운동 액체는 자유롭게 조금씩이동 기체는 날라다님 이건 원자가 이동하거나 날라다닌다는건가요? 그리고 고체는 진동운동이라는게 고체상태일때의 원자는 진동운동을 한다는건가요?

5.기체->고체 고체->기체 둘다 승화인가요?

6.수증기는 기체인가요 액체인가요? 자세히 설명부탁드려요

7.양성자수(=전자수)는 같은데 중성자수 같지않음(=질량수)—>동위체 라고 할 수 있나요?

8.(원자의 전자배치개념) 전자각에서 K L M N 순서대로 2 8 8 2 다시M에서 10 그 다음 N에서 30인가요? KLMN 순서대로 2 8 18 32개개의 전자가 들어갈수있잖아요

9.희가스원자는 한개의 원자가 분자의성질을 가진다고하는데 그럼 1개원자가 물질의성질을 나타내는 분자의 성질을 가진다는건가여? 정확히 뭔가요?

10.희가스는 공기중에 아주 적은 양의 기체로 존재한다. 이게 맞나요? He,Ne,Ar이 그렇게 존재하는건가요?

11.주기율표는 원소의 양성자순인가요?

12.원자의 이온화에너지는 원자번호가 늘어남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왜 그런가요? 일단 이온화에너지가 +1가 양이온이 되기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인걸로 아는데 그게 뭔지를 모르겠어요 예를등어서 설명 부탁드려요.

13. :N삼중결합N: 이면 왜 양쪽 전자대는 결합을 안하나요?

14.C2H4 에틸렌같은경우 구조식은 특수하게 모양을 외워야하나요?

15.C,H만 있다면 항상 무극성인가요?


16. 제가 이온이랑 분자가 헷갈리고 공유결합땐 분자들이 결합하는건지 분자는 또 뭔지 이온,금속,공유결합에도 분자라는게 있는지 잘 구분이안가요..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17. 통하지않는것이 많다는건 통하는게 조금있다는건데 왜 설명에는 전기전도성은 띠지 않는다고 되있나요? 뭐가 맞는건가요? (사진첨부)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물질을 구성하는 입자는 열에너지에 의해 항상 불규칙한 운동을 하고있다. 이 운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이건 단순 문제이니까 직접 찾아보세요.

아마 책 보시면 금방 찾으실거에요.

2.물이 수증기가 될때 열은 물을 흡수한다.왜 그런지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액체일때보다 기체가 훨씬 자유롭게 운동합니다.

즉, 기체일때 운동에너지가 액체일때보다 높죠.

액체에서 기체가 될때 이 운동에너지를 외부로부터 얻어야 하기 때문에

기화할때는 열을 흡수합니다.

3.절대영도란 열운동이 정지하는 운동이다.

왜 열운동이 정지하나요?

입자가 갖는 운동에너지가 우리에게 온도라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입자의 운동은 온도에 비례하죠.

그런데 온도가 0K이면 운동에너지도 0이라는 뜻이니, 당연히 운동이 멈춥니다.

4. 고체는 진동운동 액체는 자유롭게 조금씩이동 기체는 날라다님 이건 원자가 이동하거나 날라다닌다는건가요? 그리고 고체는 진동운동이라는게 고체상태일때의 원자는 진동운동을 한다는건가요?

네 맞습니다.

5.기체->고체 고체->기체 둘다 승화인가요?

네 맞습니다.

6.수증기는 기체인가요 액체인가요? 자세히 설명부탁드려요

기체입니다.

애시당초 사람들이 기체상태의 물을 수증기라고 이름을 붙인거라, 과학의 영역이 아니라 국어의 영역입니다.

7.양성자수(=전자수)는 같은데 중성자수 같지않음(=질량수)—>동위체 라고 할 수 있나요?

일본에서는 동위체라고 하나요?

한국에서는 동위원소라고 부릅니다.

8.(원자의 전자배치개념) 전자각에서 K L M N 순서대로 2 8 8 2 다시M에서 10 그 다음 N에서 30인가요? KLMN 순서대로 2 8 18 32개개의 전자가 들어갈수있잖아요

K L M N으로는 전자가 채워지는 규칙을 이해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단, 답변하자면, 2 8 8 2 이후에 M에 10개가 채워지고, 다시 N에 8개가 채워집니다.

그리고 그 이후에는 O 껍질에 전자가 채워집니다.

2 8 18 8 2 이렇게 되는거죠.

9.희가스원자는 한개의 원자가 분자의성질을 가진다고하는데 그럼 1개원자가 물질의성질을 나타내는 분자의 성질을 가진다는건가여? 정확히 뭔가요?

질문자님 설명이 맞습니다.

10.희가스는 공기중에 아주 적은 양의 기체로 존재한다. 이게 맞나요? He,Ne,Ar이 그렇게 존재하는건가요?

그나마 Ar이 공기중에서 약 1%정도로 존재하고 나머지는 그보다 훨씬 적은양으로 존재합니다.

그렇게 존재하는 이유는 지구과학영역입니다.

원시지구의 대기환경부터 시작해야하는데, 그걸 설명할 능력이 제겐 없네요.

다만 헬륨은 지구가 붙잡고 있기에는 너무 가벼워서 지구밖으로 다 탈출합니다.

그래서 대기중 헬륨의 농도는 낮습니다.

11.주기율표는 원소의 양성자순인가요?

네 맞습니다.

12.원자의 이온화에너지는 원자번호가 늘어남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왜 그런가요? 일단 이온화에너지가 +1가 양이온이 되기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인걸로 아는데 그게 뭔지를 모르겠어요 예를등어서 설명 부탁드려요.

원자에서 전자하나 떼어내는데 드는 에너지가 이온화에너지입니다.

주기율표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원자번호가 증가하고,

원자번호가 증가하니까 핵전하 역시 증가합니다.

핵전하가 증가하니, 핵과 전자 사이의 인력도 증가하죠.

그래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전자하나를 떼어내는데 에너지가 많이 듭니다.

13. :N삼중결합N: 이면 왜 양쪽 전자대는 결합을 안하나요?

두번째 전자껍질에는 최대 8개까지 들어있을 수 있는데

양쪽 전자도 공유하는 순간 전자가 10개가 되기 때문에 양쪽 전자를 더 공유하진 않습니다.

14.C2H4 에틸렌같은경우 구조식은 특수하게 모양을 외워야하나요?

전자쌍 반발원리에 따르면 오히려 일반적인 모양입니다.

전자쌍 반발원리를 다시 복습하시기 바랍니다.

15.C,H만 있다면 항상 무극성인가요?

왠만하면 무극성입니다.

딱히 극성인 구조는 떠오르지 않네요.

16. 제가 이온이랑 분자가 헷갈리고 공유결합땐 분자들이 결합하는건지 분자는 또 뭔지 이온,금속,공유결합에도 분자라는게 있는지 잘 구분이안가요..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이온은 전하를 띤 입자를 총칭하는 말입니다.

전하를띠면 원자가 몇개 뭉쳐있든 그 원자단은 이온입니다.

분자는 보통 중성인 원자단을 일컫습니다.

공유결합은 원자와 원자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결합이고,

보통 분자는 공유결합으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17. 통하지않는것이 많다는건 통하는게 조금있다는건데 왜 설명에는 전기전도성은 띠지 않는다고 되있나요? 뭐가 맞는건가요? (사진첨부)

분자는 대부분 공유결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공유결합 특성상 전자는 원자와 원자 사이에만 분포되어 있습니다.

즉, 전자가 움직여봐야 결합을 이루는 두 원자 사이에서만 움직일 뿐이죠.

다만 흑연처럼 육각형 고리를 많이 가진 분자가 형성한 분자결정은 전기전도도를 갖는다고 종종 보고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화학을 막 배우는 단계이신듯 하니, 그냥 해설에서처럼 분자결정은 전기전도도를 갖지 않는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화학질문(일본화학임)

... 일본에서는 동위체라고 하나요? 한국에서는... 질문자님 설명이 맞습니다. 10.희가스는 공기중에 아주 적은... 현재 화학을 막 배우는 단계이신듯 하니, 그냥 해설에서처럼...

일본 화학분야 취업..!

... 마침 일본에서도 화학 분야가 잘나간다(?)고 하기도 하는것 같아 한번 해볼까 하는... 이제 질문을 드리자면(써놓고보니 엄청 기네요..) 먼저 현재 하는 수능공부인데요...

화학 전공자 유학 질문(유럽, 미국, 일본 등)

지방대에 화학을 전공하고 졸업 후 운좋게 바로 취직이... (토익 500점 맞고 포기 상태) 보통 유럽권이나 미국 일본... 일단, 북미에서 질문자님의 성적으로 입학가능한 학교들을...

화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 없어서요 질문 몇개좀할게요 1.화학의 종류좀 알려주세요 2.화학과랑 화학공학과의...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생 프로그램이 있는데 매년 100년 정도를 선발해서 일본국립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