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년 사회 자유민주주의부터 인도와 동남아시아 근대화운동까지요약좀 내...

2학년 사회 자유민주주의부터 인도와 동남아시아 근대화운동까지요약좀 내...

작성일 2006.09.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아 제가 중간고사 시험 대비하느라이러는데 ^^

 

최대한 빨리부탁드려요 ^^;;

 

요거 내공 일단 30걸구요 감사내공도 들어가요 ^^;;

 

부탁합니다 ^_^  요약은 그냥퍼오시지마시고..

 

자기가 직접 요약해서 올려주시면 ㄳ하겠습니다 ^^

 

아 너무많으시면 이메일로보내주세요 ^^ [email protected]


#2학년 사회 #2학년 사회책 #2학년 사회 선택과목 #중학교 2학년 사회 기출문제 #초등학교 2학년 사회문제 #고등학교 2학년 사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2. 인도와 동남 아시아의 근대화 운동        
 
 (1) 인도의 민족 운동

1) 영국의 침략과 인도의 반영 운동

  가. 영국의 인도 침략
    ① 동인도 회사 설립 → 인도의 동북 지방 식민지화
    ② 플라시 전투 : 프랑스 세력 격퇴 → 인도 지배권 확립

  나. 영국의 식민지 정책 : 인도를 식량 및 원료 공급지, 상품 시장화

  다. 세포이의 항쟁(1857) : 인도인의 반영 민족 운동 → 영국군의 진압으로 실패

  라. 인도 제국 성립 : 무굴 제국 멸망, 동인도 회사 폐지 → 영국 정부의 인도 직접 통치

2) 인도의 반영 민족 운동

  가. 인도인의 개혁 운동
     ① 힌두교의 우상 숭배 및 악습 폐지
     ② 카스트 제도 철폐
     - 위생 제도 개선

  나. 영국의 인도 지배 강화
     ① 인도의 개혁 의지 억압
     ② 힌두교, 이슬람교의 분할 통치 방식 이용

  다. 인도 국민 회의 결성
     ① 독립 운동의 선도적 역할
     ② 영국의 벵골 분할령 발표 → 반영 민족 운동 전개 → 영국 상품 배척
     ③ 완전 자치(스와라지), 국산품 애용(스와데시), 국민교육 - 벵골 분할령 철회

(2) 동남 아시아의 민족 운동

 1) 유럽 세력의 동남 아시아 침략

  가. 네덜란드의 식민지 경영
     ① 자바의 바타비아(자카르타) → 동인도 회사의 동남 아시아 경영의 중심지
     ② 실론, 타이완 지배 → 해상 교통의 요지 확보, 일본과 교역
     ③ 네덜란드령 동인도 구성 : 향료 무역 독점

  나.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침략
     ① 계기 : 카톨릭 보호를 구실로 군대 파견
     ② 사이공 조약 : 코친차이나 획득 → 전 베트남으로 지배권 확대
     ③ 캄보디아의 보호국화
     ④ 청.프 전쟁에 승리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연방 조직
           (베트남, 캄보디아 병합, 라오스 추가 병합)

  다. 영국의 침략 : 말레이 연방 결성 → 싱가포르, 말라카, 보르네오 병합

  라. 에스파냐의 필리핀 지배 : 플랜테이션 농업(마닐라 삼, 담배)

2) 동남 아시아 각국의 민족 운동

  가. 베트남
     ① 유신회 조직 → 일본 유학 운동 전개, 교육의 근대화 운동
     ② 베트남 공산당 결성(호 치민) → 반 프랑스 독립 운동 전개

  나. 인도네시아
     ① 수마트라(농민의 저항), 자바(민족 의식 고조)
     ② 이슬람 동맹 결성 : 외국 자본 유입, 크리스트 교 전도 반대
           →이슬람 사회 수호, 민족 산업의 육성을 통한 자치 요구

  다. 필리핀
    ① 필리핀 동맹 조직 (호세 리살)
    ② 미국 . 스페인 전쟁 후 독립 선언(아기날도) → 미국의 식민지

 

 

3-3. 서아시아의 근대화 운동                       

 (1) 오스만 제국의 근대화 운동

1) 투르크의 쇠퇴와 개혁

  가. 근대적 개혁 추진(탄지마트)
     - 열강의 간섭과 보수 세력 반대, 러시아의 남하로 성과를 거두지 못함

  나. 러.투 전쟁 : 오스만의 발칸 반도 독립 운동 탄압
     →슬라브인 보호를 구실로 러시아 침입 →오스만 패배 →발칸 반도의 여러 민족 독립

  다. 근대화 쇠퇴 : 개혁파 퇴진, 범이슬람주의 표방, 전제 왕권 강화

2) 투르크의 근대화 운동

  가. 청년 투르크 당 조직 : 술탄의 전제적인 중앙 집권화에 반발

  나. 혁명 운동 : 민주적 헌정의 부활 요구, 유럽의 부당한 간섭 배제

  다. 근대적 개혁 : 법령의 서구화, 여성의 지위 향상, 교육과 세제 개혁

 (2) 이란과 아랍 세계의 근대화 운동

1) 이란과 아랍의 근대화 운동

  가. 이란의 근대화 운동
    ① 열강의 이란 침략 : 아프카니스탄(영), 카프카스(러) 점령
    ② 카자르 왕조의 근대화 추진
       - 보수 세력의 반발로 지체 → 외세의 간섭에는 함께 투쟁
       - 입헌 혁명 → 입헌 군주제 부활(일본 모방)
    ③ 이란의 수난 : 영국, 러시아의 이란 분할, 국내 세력 간의 갈등, 재정악화
                  →제국주의에 대한 예속성 심화

  나. 아랍의 근대화 운동
    ① 열강의 아랍 지배 : 오스만 제국, 아랍 카자르조의 지배
    ② 이슬람 순화 운동 (와하브 운동), 반오스만주의 → 청년 투르크 당의 압박
             → 아랍 민족주의 운동(부족간의 내분으로 실패)
    ③ 서구 열강의 침투 → 아랍 세계 자극
       - 서양 제도.문물 수용
       - 아랍 고전 연구(아랍 민족 의식 강화)

2) 이집트의 근대화 운동

  가. 독립 : 마호메트 알리의 대중 혁명으로 오스만 제국으로 부터 독립(19세기 초)

  나. 대외 발전 : 아라비아 반도(와하브 왕국) 점령,
                 광범한 자치권 확보(그리스 독립 전쟁 때 오스만에 협조)

  다. 근대화 정책 : 조세.토지 제도 개혁, 교육 기관, 행정 기구 개편

  라. 쇠퇴 : 수에즈 운하의 건설, 철도의 부설로 재정 악화
           →강대국의 침투 강화 →민족주의 세력 등장 →영국의 보호령

 

 

4-1. 제1차 세계 대전과 전후의 세계          

 (1) 제국주의와 제1차 세계 대전

1) 유럽 열강의 세계 분할

  가. 제국주의 국가의 출현
    ① 제2차 산업 혁명 : 19세기 말 - 통신, 전기, 화학 공업 발달
                          → 자본주의의 고도 성장
    ② 제국주의
        - 개념 : 산업 혁명의 성공 → 독점 자본주의 성장 → 무력 사용 → 약소국 지배
        - 시기 :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 정책 : 해외 시장과 자본 수출 식민지 필요→군사력 증강→해외 식민지 확보 경쟁
    ③ 제국주의 열강의 대립 : 해군력 증강 경쟁 - 영국과 독일의 대립

  나. 강대국들의 세계 분할
    ① 아프리카의 분할 : 19세기 말 열강의 관심
        - 영국 : 종단 정책 추진 - 수에즈 운하 → 남쪽의 케이프 타운 연결
        - 프랑스 : 횡단 정책 추진 - 알제리 거점 → 동쪽의 마다가스카르 섬 연결  
        - 파쇼다 사건 : 영국의 종단 정책과 프랑스의 횡단 정책의 충돌
    ② 아시아 침략
        - 영국 : 인도
        - 프랑스 : 인도차이나 반도
        - 네덜란드 : 인도네시아
        - 러시아, 일본 : 중국 침략

  다. 열강의 대립
    ① 삼국 동맹
       - 목적 : 프랑스의 고립화
       - 동맹국 : 독일 중심, 오스트리아-헝가리, 이탈리아
   
    ② 삼국 협상
       - 목적 : 범게르만주의 경계, 삼국 동맹 견제
       - 협상국 : 프랑스 중심, 영국, 러시아

 2) 제1차 세계 대전

   가. 사라예보의 총성
   나. 전쟁의 경과
   다. 전쟁의 종결

 (2) 베르사유 체제

1) 새 민족 국가들의 탄생

   가. 파리 평화 회의 (1919)
     ① 원칙 : 미국 대통령 윌슨의 14개조 원칙
     ② 내용 : 전후 처리 - 연합국의 이해 관계에 따라 좌우

   나. 베르사유 조약 : 연합국과 독일 사이에 개별적으로 체결
                    - 독일의 식민지, 영토 일부 상실, 배상금 지불 → 독일의 불만

   다. 신생국 탄생 : 민족 자결 원칙
                    -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2) 자유 민주주의의 확산과 평화를 위한 노력

   가. 동유럽 : 군주제-공화제
   나. 투르크 : 공화제 수립
   다. 독일 : 바이마르 공화국 - 여성 참정권 인정

   라. 국제 연맹
     ① 창설 : 윌슨의 주장 - 제네바에서 창설
     ② 목적 :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 군비 축소
     ③ 한계점 : 미국 불참, 군사적 강제력 미비 - 경제 제제 부과 → 실효성 의문

   나. 부전 조약 : 켈로그, 브리앙 조약 - 전쟁을 외교의 수단으로 사용 금지
 
  (3) 러시아 혁명

 1) 러시아 사회의 후진성

   가. 러시아의 정세 : 19세기 후반 - 전근대적인 상태
                     - 공업화 후진 → 농업위주,  국민 - 농노 상태

   나. 마르크스주의자의 증가 : 전제 정치 비판 → 황제, 관리 암살 기도, 농촌 계몽
                       → 의 사회 개혁 움직임 → 혁명으로 발전

 2) 공산 국가의 수립

   가. 러시아 혁명(1917)
     ① 배경 : 제1차 세계 대전의 패배 → 전제 정치에 대한 불만
     ② 3월 혁명 : 소비에트의 집권

   나. 공산 정권 수립 : 레닌의 볼셰비키파의 쿠데타 (11월 혁명)

 3) 소비에트 체제

   가. 스탈린 집권 : 본격적인 공산화 착수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립
   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

 (4) 전후 아시아, 아프리카의 민족 운동

1) 중국의 민족 운동
  
   가. 신문화 운동 : 서양 사상 소개, 반유교 사상 고취
       - 천두슈, 후스, 루쉰 중심
       - 유교 전통 타파 → 서양 문물 수용 → 근대화 추진

   나. 5.4운동
       - 배경 : 일본의 21개조 요구의 강제 승인                 
       - 과정 : 베이징의 학생 중심→ 일본과 군벌 비난 시위
       - 의의 : 반 군벌, 반 제국주의 운동
 
   다. 1차 국공(國共) 합작 : 쑨원의 정부 → 베이징 군벌 타도 목적 → 공산주의와 합작

   라. 장제스의 국민 혁명 : 공산당과 단절
                       →난징에 국민당 정부 수립 → 베이징 군벌 타도 →공산당 축출

2) 우리 나라의 항일 독립 운동
 
   가. 3·1운동 전개

   나.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 독립 운동 지속적 전개

3)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민족 운동

  가. 인도

    ① 간디 : 비폭력, 불복종 운동 전개 → 상품 불매 운동, 납세 거부 운동
    ② 네루 : 적극적인 투쟁 → 파업 운동 전개
             → 자치권 확득 - 군사권과 외교권 제외 → 완전 독립 요구
  나. 필리핀 : 제 1 차 세계 대전 후 - 미국으로부터 자치권 획득

  다. 타이 : 연합국으로 참전 → 입헌 군주국으로 발전

  라. 베트남 : 프랑스의 자치 약속 불이행 → 공산주의자 호치민 중심의 독립 운동 전개

  마. 인도네시아 : 이슬람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 독립 운동
                  → 민족주의자 수카르노의 주도로 독립 운동 전개

4) 서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민족 운동

  가. 오스만 제국 : 영토 대부분 상실 → 케말 파샤 → 왕정 폐지 → 공화정 수립

  나. 서아시아 각국 
     ① 페르시아 - 팔레비 왕조의 이란 왕국 수립,
     ② 메소포타미아 - 파이잘 왕의 이라크 왕국 수립,
     ③ 아라비아 반도- 이븐 사우드의 통합 →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수립

  다. 아프리카 : 민족 자결주의의 파급
     ①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프랑스에 대항 → 독립 운동 전개
     ② 이집트-영국군의 수에즈 운하 주둔 허용 조건 → 독립

 

4-2. 제 2차 세계 대전과 전후의 세계          

 (1) 전체주의의 대두와 제2차 세계 대전

 1) 세계 경제 공황의 발생

   가. 미국의 번영 : 제1차 세계 대전 중 유럽에 전쟁 물자 공급 → 생산 확대

   나. 경제 공황
     ① 배경 : 과학 기술의 발달, 산업의 합리화 →과잉 생산 체제
     ② 발생 : 구매력 감소, 세계 시장의 축소, 실업자 증가 → 주가 폭락, 불경기 지속
 
   다. 미국의 공황 대책
     ① 뉴딜 정책 : 국가가 생산 활동 조절 - 테네시 개발 공사 (T.V.A)로 실업자 구제

 2) 전체주의와 제2차 세계 대전
 
   가. 전체주의의 대두
     ① 경제 공황의 확대 : 유럽 - 미국 경제에 의존 → 경제 공황 → 실업자 증가,
            공산주의 세력 증대, 노동 운동 격화
     ② 전체주의의 등장
          - 성격 : 전체(국가)의 이익 중시 → 개인의 희생 강조
          - 이탈리아 : 전체주의-무솔리니-파시스트당 집권 → 독재 정치
          - 독일 : 나치즘 - 경제적 어려움 해결 → 군비 증강과 대외 팽창
               → 국민의 인기 → 1933년 히틀러 집권 - 강력한 통제 국가
          - 나치당 집권 : 맹목적인 인종주의, 국수주의, 군국주의 답변확정 → 약소국 침략

   나. 전체주의 국가의 대외 침략
     ① 추축국 형성 : 이탈리아, 독일, 일본 동맹
     ② 추축국의 대외 침략
         - 독일 : 오스트리아 합병, 체코슬로바키아의 수데텐 요구
         - 뮌헨 회담 : 무솔리니의 주선 → 영국, 프랑스 참석 → 수데텐 지방의 독일 점령 인정
         - 전쟁의 위험 : 히틀러 - 체코슬로바키아 합병, 폴란드 영토 요구
         - 독일 : 독, 소 불가침 조약 - 폴란드 영토 분할 점령

  (2) 제 2 차 세계 대전

 1) 독일의 폴란드 공격

    가. 전쟁의 발발 : 독일의 폴란드 공격

    나. 세계 대전으로 확대 : 소련-폴란드 공격, 발틱3국 점령, 핀란드공격

    다. 전쟁의 전개
      ① 독일의 프랑스 점령 : 프랑스 - 레지스탕스, 드골 영국 망명
      ② 영국 공습 : 처칠 - 영국 국민의 저항
      ③ 북아프리카 공격 : 롬멜 군대 → 수에즈 운하 이용 보급로 차단
      ④ 독일의 소련 공격 : 발칸 반도 점령 후
            → 소련 공격 → 모스크바 진격 →소련군의 완강한 저항, 혹독한 추위 → 실패

 2) 일본의 진주만 기습(1941)

   가. 대륙 침략 : 일본군-난징 점령(40만 살해?), 중국 대륙 침략 - 중국의 강한 저항

   나. 동남 아시아 공격 : 인도차이나 반도 점령

   다. 태평양 전쟁 : 미국의 태평양 함대 기지-진주만 기습 공격(1941)
                 → 인도네시아, 필리핀 점령, 오스트레일리아 진격

 3) 연합군의 승리

   가. 아시아 : 미국 함대 - 미드웨이 해전 → 일본군 타격

   나. 유럽 : 소련군 - 스탈린 그라드 전투 → 독일군 격퇴

   다. 이탈리아의 항복 : 미국군, 영국군 - 이탈리아 본토 상륙 → 무솔리니 정권 붕괴

   라. 독일의 항복
     ① 노르망디 상륙 작전 : 프랑스 해방→독일 영토 공격
     ② 독일의 항복 : 히틀러 자살 -1945. 5. 무조건 항복

   마. 일본의 항복 : 미군-태평양 점령 → 일본 영토 진격
                 → 원자탄 투하, 소련의 선전 포고 → 일본의 무조건 항복

4) 전후의 국제 질서

   가. 얄타 체제 : 얄타 회담(1945. 2.)
      ① 독일 -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의 분할 점령
      ② 일본 - 미국군의 군정 실시

   나. 국제 연합 창설 : 대서양 헌장 →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창설

   다. 평화를 위한 노력 : 세계 은행, 국제 통화 기금(IMF),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

 (3) 냉전 체제의 형성과 변화

1) 공산주의의 확산

   가. 동유럽의 공산화 : 소련 - 폴란드, 루마니아,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점령    
                 → 공산화, 유고슬라비아, 알바니아 - 공산정권 수립

   나.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서)
     ① 마셜 계획 : 유럽의 경제 부흥 목적
     ② 북대서양 조약 기구: 서유럽의 군사 동맹 → 소련군의 유럽 침공 대비

   다. 바르샤바 조약 기구(동)
     ① 소련 : 공산당 정보국(코민포름)과 경제 상호 원조 회의(코메콘) → 공산 국가 단결
     ② 바르샤바 조약 기구-동유럽의 군사 조직 →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대항

   라. 냉전 체제
     ① 베를린 봉쇄 : 소련 - 서방에 경고 의미
     ② 6.25전쟁 : 소련의 지시 → 북한의 공산주의자 - 남한 공산화 목적
     ③ 쿠바 사태 : 1962년 - 소련, 쿠바에 미사일 기지 건설 추진 → 미국의 반대
                  → 전쟁의 위험

(4) 세계 질서의 새로운 전개


1) 동아시아의 변화

  가. 중국
    ① 국제 지위 향상 : 영토 회복-만주와 타이완 회복 → 국제 연합의 상임 이사국
    ② 공산 정권의 수립 : 마오쩌둥의 공산당 → 장 제스의 국민당 축출
            → 공산 정권 수립(토지와 산업의 국유화, 농업의 집단화)
            → 1960년대 문화 대혁명 → 공산화 촉진 → 1980년대 개방정책 추진
    ③ 타이완 정부 :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 → 경제 발전 이룩

  나. 일본 : 미국의 군정 → 샌프란시스코 강화 회의 → 주권 회복
            → 군국주의 청산 → 민주주의 발전

  다. 우리 나라 : 남북 분단 → 6.25 전쟁
    ① 남한 : 대한민국 정부 수립 → 경제 성장 이룩  → 자유민주주의 체제 확립
    ② 북한 : 공산 정권 수립 → 극심한 경제난과 국제적 고립
    ③ 통일을 위한 남북 간의 지속적인 교류와 노력 필요

2) 동남아시아와 인도의 변화

  가. 인도 : 영국으로부터 독립 → 종교적 대립
             → 힌두교(인도), 이슬람교(파키스탄, 방글라데시)로 분리

  나. 베트남: 남북 분단 → 공산 게릴라의 공격 → 미국, 한국 등 참전
             → 공산주의의 승리 → 라오스, 캄보디아도 공산화

  다. 미얀마 : 영국으로부터 독립 → 공산정권 수립 → 경제적 어려움

  라. 타이,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 자유주의 정부 수립 → 경제 발전

  마. 필리핀 : 마르코스의 독재 정부 붕괴 - 민주주의, 경제발전 토대 마련

3) 서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변화

  가.이집트 : 나세르의 군사 쿠데타 → 공화정 수립 → 수에즈 운하 국유화
                        →아랍 민족주의 제창

  나.이란과 이라크 : 왕정 폐지 → 이슬람 공화국 수립

  다.팔레스타인 지역 :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간의 대립 → 4차례의 중동 전쟁

  라.아프리카 : 1960년 - 아프리카의 해 → 17개국의 독립
                        → 빈곤, 무지, 부족 간의 갈등

4) 제3세계의 형성

  가. 제3의 독자 노선 : 인도의 네루와 인도네시아의 수카르노
                      - 반식민주의, 비동맹 중립 노선 선언

  나. 콜롬보 회의 : 평화 5원칙 발표 → 반둥회의에서 재확인

  다. 제 3세계의 형성 : 1961년 베오그라드 - 나세르와 티토 중심
                      → 비동맹국의 결속 다짐 → 국제 무대에 영향력 과시

5) 유럽 공동체

  가. 유럽 통합 운동 : 기반 - 독일과 프랑스의 화폐
    ① 유럽 경제 공동체 : 프랑스와 5개국
    ② 유럽 공동체 : 유럽 12개국 참가
  나. 유럽 연합 (EU) : 유럽 공동체 → 유럽 연합(EU), 독자적인 외교정책 추진

6) 평화 공존과 긴장 완화

  가. 국제 정세의 변화
    ① 다극화 체제 : 제3세계 등장, 유럽 공동체 형성, 일본의 경제 성공
    ② 미국 : 월남전의 패배 → 미국의 국제적 지위 약화
    ③ 소련 : 중공과의 분쟁 → 소련 지위 약화

  나. 군비 축소 : 핵 확산 금지 조약 (NPT) 체결

  다. 동서 화해 : 1972년 미국 대통령 닉슨 → 중공 방문 → 화해(데탕트)시대

 


 

인도와 동남아시아 근대화운동까지요약...

... 자기가 직접 요약해서 올려주시면 ㄳ하겠습니다 ^^ 아 너무많으시면 이메일로보내주세요 ^^ **********@*****.*** -2. 인도와 동남 아시아근대화 운동 (1) 인도의 민족 운동 1)...

11.인도와 동남 및 서아시아 사회의...

... 인도와 동남 및 서아시아 사회의 발전과 변화 이단원 요약좀 해주세요. A4용지 3장 정도로 해주세요. 내공은... 통합 운동의 발전→ 유럽 연합(EU) 독일- 자유 민주주의 체제...

중학교 2학년 사회요점정리요ㅜㅠ

안녕하세요 전 중2인데요 사회 공부하는데 1차세계대전... 인도와 동남 아시아근대화 운동 (1) 인도의 민족 운동... 이룩 → 자유민주주의 체제 확립 ② 북한 : 공산 정권...

저기.. 중2-2학기 투탑(사회) , 중에서 ...

... (투탑 사회,국사) 중에서 .. 대단원중에서 : 1.인도와 동남 및 서아시아의 근대운동 : 이거 에 관해 요점 정리 .. ... 2) 자유 민주주의의 확산과 평화를 위한 노력 가. 동유럽...

중1사회 서남아시아와 아프리카 기후랑...

... 사회 서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에서 기후랑 지형좀 요약... 대체로 인도와 중앙 아시아를 제외한 아시아의 남서부를... 개발과 근대화로 정착 생활 증가 (2) 오아시스 농업과...

중2-2학기 사회요점정리 동아시아의근대...

... 저가 사회를 조금 좋아하기는 하는데요 너무 복잡하고 어려워요 한눈에 알아볼수있도록 요약정리좀해주세요... 인도와 동남 아시아근대화 운동 (1) 인도의 민족 운동...

세계역사의 갈등상황

... 산업혁명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동아시아의 근대적성장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근대적운동 이렇게 다섯지의... 등 → 민주주의와 시민사회 발전 계기 * 개혁 조치 - 교회재산의...

중학년2학년2학기동아시아~현데사회까...

중학년2학년2학기동아시아~현데사회까지요점정리좀해주세... (2) 영국과 청의 무역 ① 초기의 무역 : 영국이 동인도... 동남 아시아 각국의 민족 운동근대화 (1) 베트남 ①...

중2 사회 문제좀 풀어주세요

... 중국의 근대화 운동은? 144. 태평 천국 운동의 진압... 영국과 프랑스의 완충지대에 위치해 동남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독립을 유지한 국가는? 168. 인도에서 영국에게...

나만의사회교과서만들기

... 도와주세요 2학년 사회내용을 단원별로 그림,만화... 폴리스 - 민주주의 아테네 | - 군사국가 스파르타 | | - 로마... 3-2 인도와 동남 아시아근대화 운동에서는요 그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