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공50]철학,논리학,심리학,경제학(주식.투자)을 독학하려합니다.

[내공50]철학,논리학,심리학,경제학(주식.투자)을 독학하려합니다.

작성일 2006.09.28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남학생입니다

평소에 토론,토의를 무지하게좋아하며 톡서토론동아리에서도 활동중입니다.

철학 논리학 심리학 경제학에 평소에도 관심이 지대했었는데

마음을먹고 독학을 시작하려합니다.

기본적인 계획은 세워놨으나

아직은 고등학생이라 정보가 부족하고 계획에 미숙한점이많아

인생선배님들과 전문가님들께 도움을 받고자 글을씁니다.

 

우선 저의 계획을 말씀드리자면.

 

1 단계를 한달정도 공부하고 그다음으로 넘어갈생각인데요

모든과목이 1단계까지는 구체적인 구도가 잡혀있는데

2단계서부터는 뭘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 된다는겁니다.

뭐.. 공부하다보면 자연스럽게 계획이 잡히긴 하겠지만

미리 조언을 듣고싶습니다

 

 

심리학.

 

1.심리학을 주제로한 도서들을 읽기&전반적인 내용 정리

  ex: 유쾌한심리학 설득의심리학...

 

2.심리학개론 정독

 

3.정신건강학 정독.

 

 

 

논리학.

 

1. 쉽게쓰여진 논리책들을 독서&정리

 

2. 점층적으로 다소 깊은책들을 독서

   

3. ...?

 

 

 

철학.

 

1.서양철학의 역사와 철학자들에대한 기본적 이론공부

 

2. '철학' 에대한 개념공부 ex: 철학이란 무엇인가?

 

3. 흥미있는 특정 철학자의 이론 공부

 

 

경제학(주식.투자)

 

1.교과서위주의 '경제' 기본개념정리&경제학을 주제로 쉽게쓰여진책 읽기

  ex:경제학콘서트..

 

2.경제신문을 보면서 경제를 읽을수있는 힘 기르기

 

3.증권.주식.투자  에대한 기본개념공부

 

4.주식.투자에대한 기술과 같은 다소 전문적인 공부

 

 

이렇게 계획을 세워놓고있습니다.

 

굉장히 허술한부분이 많은데 계획에대한 조언좀 부탁드리고요.

각 과목의 유명한 관련서적들을 소개해주셨으면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StartFragment-->

 

우선 고등학생으로서 철학적 사유에 입문하시려는 뜻에 박수를 보냅니다. 인간은 사유하는 동물로서 사유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동물이거나 니이체가 말하는 초인(超人)의 경지에 이르는 상태입니다. 중요한 것은 사유를 어떻게 다듬는냐는 것이죠. 그래서 철학하면 사유를 체계화하고 다듬고 정리하는 학문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사유는 언어에 기초하기 때문에 공부를 정말 잘하기 위해서는 한글사전, 영한사전, 한영사전, 영영사전, 한자사전 등은 필수적으로 옆에두고 참고하시고 중요한 부분은 밑줄을 쳐가고 필요한 노트를 사전에 직접 가필해 가면서 공부하도록 하세요.

 

그리고 철학은 학문들의 총학(總學)입니다. 따라서, 모든 학문들의 본령이기 때문에 학문의 기본줄기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이해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형이상학, 보편정신, 추상화, 일반화등이 주로 철학의 사유 주제이며 형이하학, 사실, 개체성, 구체성, 과학 등이 일반 학문의 분야입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학문들이 서로 분리되고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하나로 뭉쳐있다는 것이죠. 이러한 학문의 교차(Cross-Reference)적인 학문탐구가 21세기 관계지향적인 패러다임과 일맥상통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호프스테더의 괴델, 에셔, 바흐 (까치 글방 출판)라는 서적을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수학가, 화가, 음악가 그리고 선(禪)에 대해서 하나로 아울러서 설명하고 있어 읽을 수록 배움을 많이 줍니다.

 

그리고 심리학을 공부하신다고 하셨으니 심리학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융의 정신분석학 입문 서적과 프로이드의 심리학 입문 서적을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심리학 책은 너무 어려운 것부터 접근하지 마시고 가장 유명한 사람이 쓴 기본서를 중심적으로 여러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프로이드와 구스타프 카를 융은 20세기 심리학 분야의 거장이므로 이 분들의 책을 읽는 것은 매우 가치있으며 중요합니다. 특히 인터넷 서점에서 사람들이 많이 읽은 프로이드와 융의 입문서적을 골라서 직접 서점에 가서 확인해 보고 구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꼭 불교철학과 인도철학을 병행해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서양철학은 플라톤의 저서를 집중적으로 공부하면 되는데, 플라톤이나 스토아학파의 철학은 불교철학과 인도철학과 맞닿아 있습니다. 시중에서 가장 잘나가는 불교철학서와 인도철학을 공부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플라톤과 스토아학파 철학만 공부해도 서양고전철학의 기둥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근대 서양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그리고 화이트헤드의 과정과 실재를 꼭 읽어보셔야 합니다. 어렵다고 포기하지 마시고 10년 간 읽을 것이라고 생각하시고 꾸준히 독파해 나가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처음 한 번 볼때는 이해가 가지 않지만 1년이 지나서 다시 보면 이해가 조금은 갈 것입니다. 그후 3년이 지나면 새로운 의미를 얻게 되고 말입니다.

 

제가 추천하는 서적은 한길사에서 나온 함석헌 선생의 바가바드기타 번역서입니다. 이 책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재숙님의 우파니샤드 I, II 권을 읽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물론 불교철학과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을 공부하면 매우 도움이 됩니다. 지혜의 나무에서 출판한 허정 스님의 가려엮은 아함경은 불교의 정수를 담은 것으로 참으로 아름다운 경전입니다. 불교의 기본을 이해하는데 이만한 책은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언어를 많이 공부하셔야 합니다. Voca Bilble이라는 서적이나 거로 버케뷰러리 워크샵등 어휘사전을 여러권 구하셔서 철학공부의 1/3은 할애하셔야합니다. 얼마나 언어를 잘 이해하느냐가 바로 존재와 세계를 이해하느냐와 직결됩니다.

 

아무쪼록 좋은 철학 공부 많이 하여 훌륭한 사람이 되시길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쓰신 것을 보니 독서를 위한 독서를 하는 것 같습니다.

 

실제 그것이 자신의 상식과 지식을 넓히는 데에는 거의 도움을 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책들은 모두 원론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그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내용들로 구성된 교과서적인 책들입니다. 그런 건 정말 대학 교양 시간에 듣게 되는 거의 의무적으로 숙지해야하는 상식 정도입니다.

 

진정 말씀하신 것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대해 지식을 쌓고 고민을 하고 싶다면 가벼운 책들부터 읽기 시작하길 권합니다.


심리학과 철학은 다르나 본래 모든 학문의 뿌리가 철학이며 더구나 심리학은 철학에 매우 가까운 학문입니다.

 

프로이트, 니체, 플라톤의 저서들에 대한 설명을 해주는 책 또는 그들의 생애에 대한 책을 먼저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그럼 철학과 심리학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 다음 서양철학의 발전에 대한 책을 읽고 관심이 가는 사상에 대해 조금 더 깊이 들어가 읽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렇게 되면 자연 심리학과도 연결이 되며 그 다음 단계에서는 조금 더 전문적인 심리학 관련 책을 읽을 수 있을 겁니다.

 

또 서양철학의 역사를 읽다 보면 경제학과도 연결이 됩니다. 근대 역사와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는 맑스(마르크스) 역시 철학적 사유와 역사 발전에 대한 고민을 했으며 그의 학문은 철학에 기본해 있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맑스의 저서들은 어려우나 그의 생애나 저서에 대한 설명을 해주는 책은 읽을만 할 것입니다. 맑스에 대한 책을 읽다보면 자연 인류 사회의 발전과 경제의 개념 및 현대 경제학의 발전상을 짚어 볼 수 있습니다.

 

경제 신문을 보며 경제를 읽는 다는 것은 다방면에 걸친 기초적인 지식과 이를 통해 어떤 문제에 대한 분석과 판단이 가능할 때 비로소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경제를 읽는 다는게 말이 쉽지 경제학자나 전문가들 역시 경제를 읽기란 매우 힘든 일입니다. 다만 그런 사람들은 자기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게 할 수는 있겠죠. 그들에게는 그게 더 쉬운 일일 겁니다.

 

그리고 주식투자같은 것은 이런 것과는 별도로 따로 공부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만 기본 개념을 공부하고 싶은 거라면 관련된 책 한권 정도 읽고 마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논리학은 질문하신 분께는 불 필요합니다. 질문하신 분이 고등학교 2학년이라면 논리를 별도의 학문으로 접할만한게 못되며 필요도 없습니다.

 

 어떤 문제에 대해 분석 판단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표현해 내는 방법은 철학에 대한 공부를 한다면 논리적 사유와 표현은 하기 싫어도 할 수 있게 됩니다. 제 생각에는 그 정도면 충분하지 논리학을 전공하여 학자가 될 것이 아니라면 굳이 따로 공부할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논리가 없는 철학은 없고 철학이 없이 논리라는 단어 자체가 나올 수 없기에 철학을 공부하면 자연 논리는 따라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처음엔 지식이나 기술관련 서적보다 스토리북을 보시기 바랍니다.

시중엔 주식관련 수많은 서적이 넘쳐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식을 처음 접하시는 분이라면 얄팍한 지식이나 테크닉을 전하는 책보다는 투자명인들의 스토리북을 먼저 읽으셔야 합니다.

그 이유는 주식투자의 세계가 커다란 기회만큼이나 위험을 함께 내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투자란 것이 현대사회를 살면서 하루이틀 할 것이 아니고 평생 해야만 할 삶의 수단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워렌버핏을 다룬 마이다스의 손, 조지소로스의 금융의 연금술, 거래의 신 혼마, 피터린치의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그리고 제시 리버모어의 책은 모두 좋습니다.

이러한 책들을 통해 주식투자의 세계를 일별하고 꿈을 정립한 후에 시술이나 지식관련 서적들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제 블로그나 카페 그리고 홈피에 들르셔도 잘 정리된 좋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내공50]철학,논리학,심리학,경제학...

... 철학 논리학 심리학 경제학에 평소에도 관심이 지대했었는데 마음을먹고 독학을 시작하려합니다. 기본적인... 그리고 주식투자같은 것은 이런 것과는 별도로 따로...

주식에 대해서

... 중간에 독학을 열심히 한다던가~ 그리고 많은 서적을 읽으면서 상상하거나 목표의식을 가지고 나름대로 투자철학을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지식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