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사상

장자의 사상

작성일 2008.05.2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장자와 장자의 사상에 대하여 자세히 가르쳐주세요.


#장자의 사상 #장자의 주요 사상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장자는..

중국 고대의 사상가, 제자백가() 중 도가()의 대표자. 도()를 천지만물의 근본원리라고 보았다. 이는 도는 어떤 대상을 욕구하거나 사유하지 않으며(), 스스로 자기존재를 성립시키며 절로 움직인다()고 보는 일종의 범신론()이다

 

장자의사상입니다...

* 안명론(安命論)
장자의 생활태도 중 기본원칙은 안명무위(安命無爲)이다.

어찌할 수 없음을 알고, 命 같은 데 편안히 하는 것은 德이 있는 자만이 그것을 할 수 있다.

무심'무정하여 편안히 命을 따르는 것은 도덕 수양의 가장 높은 단계로, 지극한 德을 갖춘 사람만이 이러한 생활 원칙에 도달할 수 있다. 인간의 힘으로는 자연을 변화시키지 못하고, 인간의 의지로는 운명을 변화시키지 못한다. 그 때문에 命 중의 어찌할 수 없는 일은 추구하지 않는다.

무릇 대지는 나에게 형체를 주어 싣고, 나에게 生을 주어 수고롭게 하며, 늙음을 주어 나를 편안하게 하며, 죽음을 주어 나를 쉬게 한다. 그러므로 내가 삶을 좋다고 한다면 죽음도 좋다고 해야 한다.

소위 안명무위(安命無爲)는 사실 피동적인 생활 방식의 일종이다. 즉, 부득이한데서 맡겨서 순순히 그냥 外物에 따르는 것이다. 예를 들어, 궁궐 안에서 노닐지만 명예나 지위, 이득, 복록에 마음을 두지 않으며, 애써 다투지 않고 억지로 간하지 않는등 모든 것에 피동적인 태도를 취한다. 장자는 이것을 生을 온전히 하고, 우환을 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식하였다. 장자가 말하는 무위의 형식은 편안히 命을 따르는 것이고, 그 내용은 마음이 동요하지 않으며 무엇을 추구하지 않는 것이다. 그 목적은 자득자적(自得自適)하고 소요자재(逍遙自在)하는 것이다. 장자에게서 無爲는 安命과 통하여 하나가 된다. 그 특징은 절대무위이고, 무심히 명을 따르는 것이다.

* 진지론(眞知論)
장자 사상은 정신적인 경지를 창조하는 것이어서, 사실상 인식의 관계는 넘어서 있다. 감각적 경험은 정신활동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장자는 內觀的 지식의 실재성을 주장한다. 내관적인 지식에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그것은 언어를 초월하는 특징이 있으며, 자각에 의해 파악된다. 그의 인식체계에서 언어나 문자 및 개념 분석의 방법은 항상 무시된다. 선가(禪家)에서 주장하는 '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도 장자의 이러한 사상과 관련이 있음직하다. 서적을 고인의 찌꺼기라고 혹평하는 '편륜'의 비유는 체험의 고귀함을 말하는 것이다. 기술에 빗대어서, 도를 터득하는 길은 지식이 아니라 체험이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우화에서는 우리가 언어나 문자를 통하여 이전 사람들의 정신을 파악할 수 있는지를 묻고 있다. 만일,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우리가 음미하는 이전 사람들의 문자라는 것은 찌꺼기에 불과ㅤㅎㅏㄷ. 사실, 인간의 마음은 문자로 표현할 수 없고, 정신적인 경지는 왕왕 고정적인 방식으로 전수할 수 없다. 단지, 개인적인 체험을 통해 검증할 수 있을 뿐이다.
언어나 문자에는 늘 사용자의 기교가 잇기 때문에, 장자는 사람들에게 言無言, 즉 주관적인 편견이 들어 있지 않은 말을 하자고 주장한다. 장자의 앎은 주체의 정신적인 체득을 중시한다. 그가 보기에 앎은 반드시 구체적인 삶의 단계로 내려와, 정신을 편안하게 해주는 작용을 해야 한다. 장자는,

眞人이 있은 후에 眞知가 있다.

라고 하는데, 진지(眞知)는 세계와 인생에 대한 인식 주체의 깊은 체험을 통해서 나온다. 진인은 이러한 진지를 획득하는 필요조건이다. 즉, 열린 마음과 열린 시야, 그리고 넓은 마음이 있어야 眞知를 획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장자 제 1편, 소요유에서 거대한 물고기와 새를 가지고 광막한 세계를 보이고, 인간의 시야를 넓혀준다. 끝없이 넓은 이런 세계에서 인간의 마음은 자연히 넓어지고 정신은 호방해진다. 장자가 말하는 眞知와 大知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진지는 자연계에서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관계를 이해하며, 관조하는 태도를 취하는 것이다. 이러한 천인합일 사상은 인간과 자연을 융화하는 것으로 보는 관점에서 비롯된다. 둘째, 眞知는 변화가 만물의 본래 모습임을 이해하는 것이다. 만물은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의 변화뿐만 아니라, 객관의 변화를 통찰해야 한다. 변화는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갑에서 을로 바뀌어가는 것이다. 죽고 사는 것 역시 이러하다. 삶과 죽음이란 氣가 모였다가 흩어지는 과정임을 이해하고, 이런 변화를 편안한 마음으로 대해야 한다. 셋째, 眞知는 지식의 범위는 무한하고 생명은 유한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유한한 생명 속에서 얻은 지식을 어떻게 운용하여 인생을 평안하게 할 것인가를 아는 것이다. 만일, 능력을 벗어나 맹목적으로 지식을 추구한다면 몸과 마음이 상해 편안할 수가 없다. 즉, 인간의 인식능력과 지식의 범위를 성찰하라는 것이다.(비판적/반성적 인식론) 그래서 지식의 탐구가 일정 범위를 넘어, 道가 지나치면 적당한 곳에서 멈춰야 한다. 총괄하면, 眞知는 사람들로 하여금 자연과 인간의 관계 및 생명의 관계를 이해하게 한다. 또한, 변화하는 자연 속에서 자신의 생명을 편안하게 할 방법을 찾게 한다.

 

사상】인간의 마음은 일정한 시대 ·지역 ·교육에 의하여 형성되고 환경에 의해 좌우된다. 이 마음이 외부 사물들과 접촉하여 지식이 생긴다. 이러한 지식은 시대 ·지역, 그리고 사람들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보편타당한 객관성을 보장할 수 없다. 장자는 이러한 지식에 입각한 행위를 인위()라고 한다. 물오리의 다리가 짧다고 하여 그것을 이어주거나 학의 다리가 길다고 하여 그것을 잘라주면 그들을 해치게 되듯이 인위는 자연을 훼손할 수 있다.

장자는 노자()와 마찬가지로 도()를 천지만물의 근본원리라고 본다. 도는 일()이며 대전()이므로 그의 대상이 없다. 도는 어떤 대상을 욕구하거나 사유하지 않으므로 무위()하다. 도는 스스로 자기존재를 성립시키며 절로 움직인다. 그러므로 자연()하다. 도는 있지 않은 곳이 없다. 거미 ·가라지 ·기왓장 ·똥 ·오줌 속에도 있다. 이는 일종의 범신론()이다.

도가 개별적 사물들에 전개된 것을 덕()이라고 한다. 도가 천지만물의 공통된 본성이라면 덕은 개별적인 사물들의 본성이다. 인간의 본성도 덕이다. 이러한 덕을 회복하려면 습성에 의하여 물들은 심성()을 닦아야 한다. 이를 성수반덕()이라고 한다. 장자는 그 방법으로 심재()와 좌망()을 들었다. 덕을 회복하게 되면 도와 간격 없이 만날 수 있다.

도와 일체가 되면 도의 관점에서 사물들을 볼 수 있다. 이를 이도관지()라고 한다. 물()의 관점에서 사물들을 보면 자기는 귀하고 상대방은 천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도의 관점에서 사물들을 보면 만물을 평등하게 볼 수 있다. 인간은 도와 하나가 됨으로써 자연에 따라 살아갈 수 있으며 자유를 누릴 수 있다. 이러한 자유는 천지만물과 자아사이의 구별이 사라진 지인()이라야 누릴 수 있다. 이 지인은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고 천지만물들과도 사이좋게 살아갈 수 있다. 장자의 사상은 대부분 우언()으로 풀이되었으며, 그 근본은 노자()의 무위사상()을 계승하는 것이지만, 현세와의 타협을 배제하는 점에서는 더욱 철저하여, 바로 그와 같은 면에서 장자의 분방한 세계가 펼쳐진다.

【영향】이러한 장자사상은 위진현학()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남북조 시대에 성행한 반야학()과 당나라 때 융성한 선종()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현종()은 그에게 남화진인()이라는 호를 추증하였으므로, 《장자》는 《남화진경()》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읽혔다. 송() ·명() 이학()은 유학을 위주로 하면서도 내면적으로는 장자철학을 수용하였다. 장자의 이러한 초탈사상은 자연주의 경향이 있는 문학 예술에도 영향을 주었다. 한국에서는 조선 전기에 이단()으로 배척받기도 하였으나 산림()의 선비들과 문인들이 그 문장을 애독하였다.

장자의 사상 비판

장자의 사상에 대해 비판하는부분이 뭔가요??너무 길지 않게 적당한 길이로 적어주세요..ㅠ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장자의 사상을 비판하는 부분은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날...

이거 장자 사상인가요?

사회적 지위에 따른 예의와 규범을 준수를 통해 고통을 다스려야한다 이거 장자의 사상인가요? 네, 그 문장은 중국의 고대 철학가 중 한 명인 장자(莊子)의 사상과 연관되어...

장자의 사상

... 【영향】이러한 장자사상은 위진현학(魏晉玄學)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남북조 시대에 성행한 반야학(般若學)과 당나라 때 융성한 선종(禪宗)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현종...

장자의 사상

장자가 외면보다 내면을 중시했나요? 무용지용 같은 내용을 보면 내면을 중시한 것처럼... 개인적인 생각으로 장자는 중용이나 균형을 중시했다고 생각해요... 보들레르의 악의...

장자의 사상

1.장자의 사상이 현대인에게끼친영향 2.장자의 사상이 현대사회에 적용되고있는 사례 3.현대사회윤리문제중 그윤리문제해결에 장자의사상을 어떻게활용가능한가??...

장자의사상

현대예술이나 사상속에 구현되거나 영향을 미친 장자의 사상을 찾아 그내용을 서술하고 감상을 써보시오.A4 두매 여기에서 예술과 맞닿는 장자의 사상을 찾아볼 수 있다. 하나는...

장자의 사상

장자는 일체의 얽매임에서 벗어나 자기자신마저 잊으라고 주장한게 맞나요?? 날씨경영컨설턴트 단비입니다. 장자는 자기 자신을 잊으라고 주장한 것은 아닙니다. 장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