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군 전쟁(원정)의 의의

십자군 전쟁(원정)의 의의

작성일 2008.04.13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중2인데요 십자군 전쟁이 뭐죠?

 

그리고 교황권 약화과정(왕권 강화과정)좀 써주세요

 

예) 십자군전쟁 → 아비뇽유수 등등,,,

 

 

정말 제대로 자세히  써주세요 ㅎㅎ..

 

 

추신) 내공냠냠같은거 하면 에디터님들 신고 부탁드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십자군전쟁(CRUSADE) 

 

1.개요

서기11세기부터 14세기에 걸친 회교도에 빼앗긴 성지 엘루살렘을 탈환하기위하여 유럽그리스도 교회가 주도한 수차레의 원정 전쟁   (1095년 시작되었던 십자군 전쟁은 1456년까지 약361년 동안 계속)

 

2. 원인

1071년동로마 제국이 이슬람에게 침략을 당하자 동로마의 황제 로마노스 디오게네스가 Manzikert 전쟁에서 패배하고, 투옥당함.  1081년 알렉시우스 콤네우스기 황제가 되어서 1086년 안티오크 베데스다등의 도시가 이슬람에 빼앗기자 서방에 원군을 요청 하여 교황이 민중과 그리스도교회를 선동하여 전쟁 발발.

 

3.경과

이 전쟁은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종교와 문명의 충돌로써 서양의 중세사에 가장큰 의미를 가진 전쟁이며  이 전쟁의 배경에는 교황과유럽영주들의 잇속과 이해타산이 엉켜 원래목적인 성지탈환은  뒷전이고 전리품 노획과 약탈이 우선된 전쟁이였음십자군은 예루살렘을 점령하자마자 이슬람교도도들을 무참하게 학살했고, 포로의학대 행위로 인해 이슬람을 뭉치게  했고 결과 는 결국 성지회복은 실패했고십자군은 타락하여 중세 상인들의 돈을 받고 싸우는 용병으로 전락그러나 십자군 전쟁은 교황의 독단적인 의도가 강해 이루어진 전쟁이며이를통해 교황의 권위 신분사회의 후퇴등 중세 영주들이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고,이는 중세사회 봉건영주의 몰락을  초래하게되었음.

 

십자군전쟁 주창자

1) 우르반2: 십자군을 정식으로 선포한 사람이었다. 
2) 베드로: 성지순례를 갔다가 꿈에 크리스도가 나타나서 성지를 정화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열정적으로 십자군을 일으켜야 한다는 설교.
3) 풀처: 십자군에 참여하는 사람은 십자군에 참여해서죽으면 즉각적으로 모든 죄가 사하여지고바로 천국에 갈 수 있다.고 기독교인에 호소.
4) 로베로: 이교도들에 대한 적개심, 경제적인 동기, 등 적개심유발연설로 전쟁 참여유도한 사람
5) 레오4: 프랑스군에게 이슬람교와 전쟁에서 순교하면 모든 죄를 용서받는다고 설교하였다.

 

4 전쟁과정

1차 십자군 전쟁 (1095-1099) 십자군 전쟁참가 병력은 60만명, 기사만 10만명 10975  

니케아를 점령, 10986월 안디오크 점령 1099 7월 엘루살렘 탈환

2차 십자군 전쟁(1145-1149)    이슬람의 반격으로 재차 전쟁

3차 십자군 전쟁(1189-1192)   성지를 점령했으나 다시 패배하여서 예루살렘과 성지의 대부분상실

4차 십자군 전쟁(1201 – 1204)  성지를 공격하기 위해서 먼저이집트원정 베니스 상인과 결탁한보복전쟁     

왕위계승전쟁 개입 (1209):알렉시우스왕위계승싸움에 개입 보상을 바라고한 전쟁.

소년 십자군 전쟁 (1212):15세미만의 소년들이 성인의 유혹과 전쟁의 환상에 빠저 개입한 원정대

5차 십자군전쟁 (1217 – 1221) 

6차 십자군전쟁 (1228 – 1229) 

7차 십자군전쟁 (1248 – 1254) 

8차 십자군전쟁 (1270-)

9차 십자군전쟁 (1271-1272)  

1238-1240: 발틱연안 북십자군 전쟁 독일 북부지역과 성전   

1284-1285:아라곤십자군전쟁교황마틴4세에 대항한 아라곤왕 피터3세와의 성전

1365:알렉산드리아 십자군전쟁       

1420-1434:후시트 십자군전쟁 일명보헤미안 전사와의 성전

1398-1399:타타르십자군전쟁 몰다비아 리투아니아 몽고족 루마니아 트러크족과의 성전

1444-1456:발칸지역십자군전쟁 헝가리 니코폴리스 폴랜드지역 성전

                                                                                                                                                                                                                                     

                                                                                                                                                                                                            

5.십자군전쟁의 역사적관점 

성전 미명하에 이루어진 중세사를 100년정도 후퇴시킨 전쟁

문명의 극심한 파괴 이교도간의 반목질시 인종적 차별감 급증

지역간 갈등으로 비기독교민족의 기독교문명의 수탈과 파괴행위 급증

종교간 갈등 격차 심화

           

6.십자군전쟁의 유산 (결과)

귀족및 영주체계 붕괴 귀족사회의 권위 추락    

교황의 권위추락과 각국의 왕권 신장 절대왕권체제 확립 

봉건영주와 장원의 급속한 발전  

서민경제와 시장경제체제 확립 

상업도시 발전    

시민사회의 기틀 마련   

동서양 교류 시작

교회의 대부분 분열  

종교혁명의 원인 제공 

문예부흥 (르네상스) 가속화

 

7. 지역간 현상

  

서유럽권: 1453년 비잔티 제국의 몰락 

이슬람권: 유럽의 중동개입의 전초를 마련

유대지역:  반유대주의 사상 발생시작 

코카사스: 이지역을중심으로 동서교류나 분열이종교전쟁을 통하여 구분되기시작하였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십자군전쟁

 

배경: 사회의안정을위해

직접원인 : 셀주크 투르크족이 성지순례를방해

경과 ; 성지탈환 , 교황의십자군파견

 

 

결과

 

교황권의쇠퇴

봉건영주와기사의몰락 ㅡ 왕권강화

동방무역 발달 ㅡ 상공업과 도시성장 , 장원해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십자군전쟁 때문에

 

교황이 약화되고 왕권이 강화되었죠

그때부터 교황이 망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기서 우르바누스 2세는 로마교황이고 알렉시우스는 비진탄의 황제입니다.

그리고 우느바누스와 성직서임권투쟁을 벌인 하인리히 4세는 신성로마제국 황제이지요

님께서 궁금해하신게 비잔틴(동로마제국)과 로마 교황, 신성로마제국 이 세 단어에

모두 로마라는 단어가 들어가있어서 헷갈리시는 거 같은데

여기서 로마라는 단어의 기원은 '고대로마제국'입니다. 이 고대로마제국이 콘스탄틴누스대제때 동서로

분열되고 이후 동로마제국은 비잔틴제국으로 계속남았고 서로마제국은 멸망하게 됩니다.

그리고 세속적권력을 대표하던 서로마제국의 황제의 맥이 끊어졌으므로 유럽엔 로마교황과 왕들만 남게

되죠 간단히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냥 유럽에서는 교황의 권위가 가장 강했습니다.

그리고 고대로마제국의 적법한 후예라 할 수 있는 건 신성로마제국이 아닙니다. 동로마제국밖에 없죠

신성로마제국은 그냥 이름에 자기들 멋대로 로마라는 이름을 붙인겁니다.

교황과 신성로마제국황제가 서임권투쟁을 한것은 당시 모든 나라의 성직자를 임명하는 권한은

로마교황에게 있었는데 하인리히4세가 이에 반기를 든 것입니다. 자기가 신성로마제국내의 성직자들을

임명하겠다는 것이었죠 로마교황은 당연히 어떤 나라의 성직자든지 성직자임명권한은 자기에게 있다고

서로 투닥거리는 겁니다. 즉 십자군전쟁을 일으킨 교황의 속셈은 십자군전쟁을 통해 성지를 회복하면

자신의 권위가 아주 높아져 더이상 신성로마제국황제나 다른 왕들이 자신에게 반항하지 못할 거라고

기대한 겁니다. 그래서 십자군전쟁을 적극적으로 밀어붙인 겁니다. 그리고 또 이 십자군전쟁을 통해

로마교회에서 떨어져나간 그리스정교회를 다시 복속시키고 싶은 목적도 있었죠

 

십자군 전쟁(원정)의 의의

... 소년 십자군 전쟁 (1212년):15세미만의 소년들이 성인의 유혹과 전쟁의 환상에 빠저 개입한 원정대 제5차 십자군전쟁 (1217년 – 1221년) 제6차 십자군전쟁 (1228년 – 1229년)...

십자군전쟁 의의

십자군전쟁의 의의가 뭔가요?? 서기11세기부터 14세기에 걸친 회교도에 빼앗긴 성지... 수차레의 원정 전쟁 (1095년 시작되었던 십자군 전쟁은 1456년까지 약361년 동안 계속)1...

십자군 전쟁의 원인,경과,영향 및 의의

... 및 의의좀 알려주세요 간단히좀;;; 요점만-_ㅠ 십자군 전쟁은 여덟차례에 걸쳐 벌어진 전쟁으로... 1096년(성전기사단을 시초로 봅니다.)부터 1291년 마지막 8차원정이 실패로...

십자군전쟁(원인-과정-결과)

... 전개(과정)- 제1차 십자군 원정 (1096∼1099년) 1095년 삐아첸자(piacenza)와 끌레르몽... 이어진 의의입니다 십자군전쟁의 역사적관점 1)성전 미명하에 이루어진 중세사를...

십자군 전쟁의 원인,경과,영향 및 의의

십자군 전쟁의 원인,경과,영향 및 의의좀 알려주세요'ㅠ'ㅋ 십자군[ 十字軍, crusades]... 대원정. 본문 이에 참가한 기사들이 가슴과 어깨에 십자가 표시를 했기 때문에 이 원정을...

십자군 전쟁에 대해

... 결과 십자군 전쟁의 의의 좀 알려주세요 1. 십자군 전쟁의 원인 1071년동로마... 제4차 십자군 전쟁(1201년 – 1204년) 성지를 공격하기 위해서 먼저이집트원정 베니스...

십자군 전쟁에 대해.. 빨리요~~

... 이로 인해 십자군 원정은 더 이상 지속되지 않았다. 4. 십자군 전쟁의 의의·결과 ① 왕권의 강화 맣은 수의 귀족들이 전사를 하게 된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왕권신장의...

십자군 전쟁

전쟁 결과나 의의같은 것들은 필요없구요 십자군 전쟁이 목적은 예루살렘 탈환... 군사 원정을 가리킨다. 넓은 의미로는 직접적으로 성지와는 관계없는 레콩키스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