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군 전쟁에 대해.. 빨리요~~

십자군 전쟁에 대해.. 빨리요~~

작성일 2003.05.1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쓰는 그대로 될수 있는한 빨리 답변해 주세요(오늘안에..)
십자군 전쟁(1096~1270)
1) 배경(동기) - 교황
- 봉건영주
- 상인
세가지의 입장으로 왜 전쟁을 했는지 하고..
2) 경과 : 7차례 원정
- 원정한 경로, 3가지(언제 어디서 왜)를 써서..
3)결과 및 전쟁 후 유럽사회의 변화

제가 질문한 것 3개를 오늘 안에 해주시면
바로 고급으로 채택


#십자군 전쟁에 참여한 이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십자군 전쟁의 원인

① 정치적 원인

1)이슬람의 동로마 침입
동로마 제국이 이슬람에게 침략을 당했다. 서방에 원병을 요청했다. 1071년 동로마의 황제 로마노스 디오게네스가 전쟁에서 패배하고, 투옥당했다. 다음 황제 미가엘7세가 교황 그레고리7세에게 원병을 요청했다. 1081년 알렉시우스 콤네우스라는 사람이 황제가 되어서 1086년 안디옥, 베데사와 같은 전통적인 기독교 도시를 빼앗겼다. 그래서 서방에 원군을 요청했다. 그레고리7세는 헨리4세와 서임권 논쟁을 하느라고 성공을 시키지 못했으나 다음 교황이 성공을 시켰다.

2)이슬람 세계의 분열
스페인 지역에서 1034년 회교 족장들의 싸움으로 코르도바를 중심으로 하던 칼리프 왕국이 멸망했다. 그래서 기독교가 스페인 지역을 탈환했다. 1060년 이후 시칠리 섬 탈환, 기독교인이 이슬람과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질수 있었다.

② 경제적 원인

1)당시 영주의 장남이외의 아들들은 상속을 받지 못했다. 그래서 미지의 땅에 대한 욕구가 강했다.

2)도시 상인들의 시장개척의 노력

③ 종교적 원인
1076년 부터 성지가 셀주크 투르크에게 점령당했다. 이들이 성지 순례를 방해했고, 교회는 클루니 개혁운동으로 교황권이 강화되어서 동방교회까지 지배하고 개혁하려는 의지가 있었다. 십자군전쟁은 한마디로 클루니 개혁운동으로 교회가 개혁되고 신앙의 열정으로 일어날 수 있는 운동이었다.



2. 십자군 전쟁

① 제1차 십자군 원정 (1096∼1099년)
1095년 클레르몽 교회 회의에서 교황 우르바노 2세는 동로마제국의 알레시오 황제가 파견한 자들로부터 동로마제국의 위급한 상황을 전해듣고 그리스도의 무덤을 되찾고 동방의 그리스도인들을 구출하기 위해 원정군을 보내자고 호소하여 제1차 십자군 원정(1096∼1099년)이 시작되었다.
그리스도께서 사시고 돌아가시어 우리에게 구원을 가져다준 이스라엘 성지순례에 대한 열망, 동방과의 무역을 원하는 이탈리아 상인들의 상업적인 야심등의 요인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십자군이 결성되었다. 특히 십자군에 참가하여 대사를 받고 전사할 경우 순교자가 된다는 것도 열성적인 신자들을 원정군에 쉽게 참가하게 하였다. 그러나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제1차 원정에서는 비조직적이고 계몽되지 않은 농부들도 많이 참가하여 교회 역사에 커다란 오점을 남기는 일들이 일어났다.
그들이 라인 지방을 지날 때, 흥분한 나머지 유태인들에 대한 박해로 유혈 참사가 일어났는데 발칸 지역을 지날때에도 지휘자의 통솔을 제대로 받지 않은 이들은 지방 주미들에게도 방화와 학살로 참극을 일으켰다. 전투경험이 전혀 없는 많은 원정군들이 예루살렘에 도달하기도 전에 셀주크족의 공격을 받아 전멸하였다. 그러나 나머지 원정군들이 악전고투 끝에 1098년 안티오키아를 함락하고 1099년 7월 예루살렘을 정복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도 부녀자와 유아와 노인들까지 무차별적으로 참살하는 비 그리스도교적인 만행을 저질렀다. 서유럽에서 이곳까지 도달하는 전투에서 이슬람군들의 매복병들의 습격을 받아 매일 매일 수많은 동료들이 전사하는 가운데 겨우 살아 남은 이들의 보복심리와 이슬람 군들의 항전의 악순환이 서로를 살육의 참상으로 몰고 갔다.
이런 악순환의 결과는 생사의 기로에서 양측 모두 이성적인 자제력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신들의 신앙의 가르침과는 전혀 무관하게 생존의 본능만이 절대 기준이었다고 볼 수 있다.

② 제2차 십자군 원정 (1147∼1149년)
제2차 원정은 이슬람 세력의 반격으로 에뎃사가 함락(1144년)되면서 시작되었는데(1147∼1149), 베르나르도 성인의 설교로 추진되었지만 투르크인들과의 여러번의 전투에서 전멸되어 결국 예루살렘에까지 이르지 못하고 실패하였다.

③ 제3차 십자군 원정 (1188∼1192년)
제3차 원정(1188∼1192)은 프리드리히황제가 인솔한 잘 조직된 십자군들이 이코니움에서 투르크인들과 싸워 승리를 거두었지만, 황제가 1190년 살레프에서 익사함으로써 지휘자를 잃은 군대는 더 이상 진군할 수 없었다.
영국의 왕 리차드 1세, 프랑스의 필립 2세등이 참가하여 예루살렘을 재탈환하려다 실패하였지만 십자군들이 성지의 새로운 지역을 정복하고 살라딘 술탄과 화해하여 그리스도교인들에게 평화로운 예루살렘 순례의 자유가 보장되었다.

④ 제4차 십자군 원정 (1202∼1204년)
제4차 원정(1202∼1204)은 교황 인노첸시오 3세 교황의 호소로 시작되어 서방 그리스도교 세계의 모두가 마지막으로 이 원정에 참가하였다. 그러나 십자군들은 완전히 교황의 의사를 거스르고, 이기적이고 상업적인 이해관계에서 베네치아의 상인들에 의해 콘스탄티노플을 함락하고 라틴 제국이 그곳에 설립되는 엉뚱한 결과를 낳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 도시는 심하게 약탈되고 황폐하였으며, 이러한 난폭하고 비 이성적인 행동은 동서교회의 분열을 더욱 심화시키고 이슬람 세력에 대한 동방세계의 방위력이 결정적으로 약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⑤ 제5차 십자군 원정 (1217∼1221년)
제 5차 원정(1217∼1221년)은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십자군 원정이 결정되어 1217년에 실행되었다. 프리드리히 2세가 십자군 파견을 약속했으나 이행하지 않아 파문을 받았다. 원정군은 동유럽의 신흥 그리스도 국가의 약소한 군사력으로 편성되어 이집트를 공격하여 다미에타를 공격하는 적은 성과를 거두었을 뿐이었다.
아씨시의 프란치스코 성인은 성지 재탈환을 복음 정신에 따라 평화로운 포교로 해야 한다는 본래의정신에 따라 무방비 상태로 성지에 가서 술탄을 설득시키려 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포로가 되었다. 그러나 술탄이 성인을 너그럽게 대우하여 풀려났고, 이것을 계기로 프란치스코회의 평화로운 선교활동이 성지에서 시작되었다.



⑥ 제6차 십자군 원정 (1228∼1229년)
제 6차 원정(1228∼1229년)은 교회 당국과는 무관하게 파문중에 있는 프리드리히 2세 황제의 개인적인 원정이었다. 그는 에집트 술탄과의 담판을 통해 예루살렘을 그리스도인들에게 반환시키는데 성공하였지만, 그후 1224년 결정적으로 다시 잃게 되었다.

⑦ 제7·8차 십자군 원정 (1248∼1254년)
제 7차 원정(1248∼1254년) 및 8차 원정(1270년)이 모두 실패함으로써 실제적인 원정은 모두 끝났다. 프랑스의 성왕 루이 9세는 우선 에집트를 정복한 후에 성지를 점령하려 하였으나 1205년 4월 카이로에서 완패당해 후퇴했는데 그의 군대에 전염병이 돌아 전의를 상실하고 포로가 되었고 그의 부하를 위해서는 거액의 몸값을 지불하고 그 자신은 이슬람에게 다미에타를 넘겨주는 조건으로 풀려났다.
서방에서는 차츰 십자군 원정에 반대하는 여론이 조성되고 비폭력적인 설교를 통해 이 지역에 복음을 전파하려는 운동이 일어났으며 유럽 자체내에서는 이교도 문제, 즉 스페인의 무어인, 이교 슬라브인, 프랑스 남부의 알비파 이단등 더 현실적인 문제들이 다가왔다. 이로 인해 십자군 원정은 더 이상 지속되지 않았다.

4. 십자군 전쟁의 의의·결과

① 왕권의 강화
맣은 수의 귀족들이 전사를 하게 된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왕권신장의 결과를 가져왔다. 왕권이 강력해지는 밑바탕이 되었다.

② 교황권의 약화
교황의 권위가 실축되었다. 십자군전쟁은 클루니개혁운동으로 교황권이 절정에 올랐을때 시작되었으나 십자군전쟁의 실패로 교황의 권위가 도전을 받게 되었다. 교황청은 남프랑스의 아비뇽으로 옮겨가서 프랑스왕의 지배를 받게 된다.

③ 동방 무역 발달
십자군 전쟁은 이미 일어나고 있었던 상업의 발전 및 도시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④ 봉건사회가 무너지는 원인
유럽 사회가 봉건 사회에서 시민사회로 발전하는데 공헌하였다. 또한 유럽 사람들의 정신적 지평을 확장시켜주었다.

⑤ 유럽인의 시야 확대
4차 십자군 전쟁때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되면서 콘스타티노플에 있는 동방의 서적들과 학자들이 서방으로 유입되었다.

5. 십자군 전쟁에 관한 나의 생각.
십자군 전쟁은 그 동기부터 시작해서 과정, 결말까지 타락해버린 교회를 느끼게 해 준다. 또 지휘자들이 서로 제각각 전쟁을 지휘해 나가서 결국은 패배해 버리고, 또다시 전쟁을 일으키는 모습을 보면서 씁쓸해지기도 했다.
어쨌든 200년에 걸친, 신의 이름을 걸고 한 전쟁치고는... 굉장히 타락화된 모습이 엿보이는 그런 전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거 다 교과서에 나와 있습니다.

교과서 잘 보시고;

십자군전쟁 내용 쉽던데;

십자군 전쟁에 대해.. 빨리요~~

제가 쓰는 그대로 될수 있는한 빨리 답변해 주세요(오늘안에..) 십자군 전쟁(1096~1270) 1) 배경(동기) - 교황 - 봉건영주 - 상인 세가지의 입장으로 왜 전쟁을 했는지 하고.. 2)...

십자군전쟁에 대해.

... 에 대해 알려주세요!! 빨리요 1.십자군 전쟁의 원인 ① 정치적 원인 1)이슬람의 동로마 침입 동로마 제국이 이슬람에게 침략을 당했다. 서방에 원병을 요청했다. 1071년...

십자군전쟁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십자군 전쟁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근데요 뭐 백과사전에 나온 그렇게 많은 내용은... 한 빨리 해협 너머로 배로 보냈다. 그들은 소아시아에서 서로 싸웠고, 기독교...

십자군 전쟁...

십자군 전쟁에 대해 질문이 있는데... 1. 상인들은 동방 무역을 위해서 십자군 전쟁에... 추신 :::: 빨리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상인들이 십자군 전쟁을 지지한 이유는...

십자군전쟁에 대해 질문이욧!!!(빨리좀...

... 십자군전쟁에대한 백성들의 분위기는 어땠을까? 2. 십자군전쟁이 7차인가?정도 까지 했잖아요 그 과정을 써주세요 (1차 @$#% 2차 @%*^@ 이런식으로요) 3. 십자군 전쟁의 결과와...

십자군 전쟁에대해~!

... 빨리점 부탁요~!@@ ㅋㅋ 일단 십자군 전쟁의 원인은 안정기를 거친 중세사회의 인구포화와 자원부족을 타파하기 위해서입니다. 별다른 전쟁 없이 안정적으로 발전해온 중세는...

십자군전쟁에대해(세계사)

... 십자군 전쟁이 중세 역사에 끼친 영향에 대해 좀 알려주세욤>ㅡ< 한 3~5줄정도면 충분하고요 가능한한 빨리욤>ㅡ< 추가내공 10이구욤 내공냠냠신고욤 십자군 전쟁으로 인해...

십자군전쟁대해 5장정도...

십자군전쟁에 대해서 3장 프린트 한거와 겹치지 않게 알려주세요 ~~~~~~~~~ 십자군 전쟁 - 성지 탈환을 앞세운 팽창 정책 동기 : 성지 예루살렘을 이슬람 세력의 지배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