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도시국가 아테네의 민주정치 변천 질문.

고대 도시국가 아테네의 민주정치 변천 질문.

작성일 2008.02.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고대 그리스 사회와 문화를 공부하다가 엉키는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아테네의 민주정치는 '왕정-귀족정-금권정-참주정-민주정' 으로 변천해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변천과정 중 '금권정-참주정' 사이에서 의문 점이 생깁니다.

 

제가 아는 바로는 솔론의 금권정 이후 클레이스테네스가 제안한 도편 추방제로 진행 된 것으로 압니다.

 

그런데 도편 추방제는 독재자의 출현 방지를 위한 것인데, 금권정 후에 왜 참주정이 나오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그 부분 후에, 페르시아 전쟁 후 귀족의 권력 약화로 평민들의 발언권이 강화 되어

 

민주주의의 황금기가 열려 민주정으로 바뀐 부분은 이해가 가는데..

 

'참주정-민주정' 부분만 유독 이해가 가질 않네요.

 

생각해보면 도편 추방제는 금권정의 일부이었던 것 같기도 한데.. 정확히 알고 싶네요.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고대 도시국가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의 광장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도 배운지 오래되서; 정확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참주정을 만든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군대를 이용하여 권력을 잡은 사람입니다.

 

거의 독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토지 분배 등을 통해 시민의 지지도 받고 있었구요.

 

하지만,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죽은 이후에 그 아들들에 의해 정치가 이루어졌고,

 

그게 시원치 않았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클레이스테네스는 독재자의 부활을 막기 위해 도편추방제를 실시한 것입니다.

 

도편추방제 역시 나중에 중우정치로 가면 갈수록 정적을 제거한다거나,

 

훌륭한 정치인을 시기하는 사람들의 담합 등으로 악용되었습니다.

고대 아테네 민주 정치 관련

만약 고대 아테네 민주 정치 관련 문제가 나왔을 때, '모든 시민이 정치에 직접 참여할 수... 다른 도시 출신은 참정권이 없었습니다. 또한 아테네국가에 해를 끼칠 것으로...

고대 아테네 민주 정치 한계

... 고대 아테네의 민주 정치에서는 여성, 노예, 그리고 외국인은 시민권을 가지지 못했기... 각 국가의 법률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국적이 없는 외국인은 투표권을 갖지...

고대 아테네 민주정치

시험에서 고대 아테네 민주정치의 특징으로 누구나 정치에 참여할수있다가 답이라고... 직접 민주 정치 모든 시민이 참여하여 국가의 중요한 일을 직접 토의하여 결정하였다....

고대아테네 민주정치

고대아테네정치를 어떤방식으로했나요 급합니다 내공70걸죠 고대 아테네의 민주 정치 배경 * 아테네는 영토가 작고 인구가 적은 소규모의 도시 국가(폴리스)였음 * 생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