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세계대전중 히틀러의 잘못된 판단의 이유는?

2차 세계대전중 히틀러의 잘못된 판단의 이유는?

작성일 2004.07.0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히틀러는 왜 소련과의 독소불가침 조약을 깼을까?
제 생각에는 영국을 어느정도 끝낸다음 소련과 전쟁을 일으켜도 좋지 않았을까요?

2. 동부전선에서 소련과의 전쟁은 빨리 끝낼수 있는 기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스크바로 진격하지않고 남쪽으로 군대를 돌린이유는?
이것때문에 몇주에 끝낼 전쟁은 3년이 되게 하고 결국 소련에게 패배를..

3, 1944년 종전에 다가왔을때 동부전선에 있는 군대를 전부 서부쪽으로 투입한 이유는???? 이게 히틀러의 마지막 큰 실수라고 하더군요

3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알고 싶고요,
또 제가아는건 위3개 착오인데 그외에도 다른게 뭐가 있을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히틀러가 군부의 전략에 개입했기 때문입니다. 전쟁 초기에 히틀러는
1차대전 당시 황제가 군부의 작전에 개입하지 않았던 전통을 지키려고 했지만
영국전투가 길어지면서 그가 개입하게 됩니다. 2천대 이상의 항공기를
상실하게 되면서 영국공군을 파멸 직전으로 몰아가기도 하지만 그걸 몰랐던
히틀러는 너무 손실이 크다고 판단해서 이정도면 충분하다는 생각에
전략적인 시야를 돌렸습니다.

2.애시당초 히틀러의 전략이 아주 나쁜건 아니었습니다. 산업력이 집중된
동부를 공략함과 동시에 세갈래로 군사,정치의 목표를 공략한다는게 아주
나쁜 생각은 아니었죠. 하지만 스탈린은 예상외로 전쟁기간 내내 모스크바를
사수하면서 버티고 결국 이 공세는 스탈린그라그 전투로 이어집니다.
스탈린이 쉽게 굴복하리라고 생각했던 히틀러의 실수였죠. 그래서 히틀러는
쿠르스크의 유전과 동시에 스탈린그라드를 함락시키는것으로 작전의 방향을
바꿉니다.

3.실수고 자시고도 없습니다. 발지 전투는 이미 승패가 확실해진 상황에서
서부에서 연합군의 헛점을 찔러 전쟁을 좀 더 길게 끌어서 연합군과 강화협상을
유리하게 벌이려는 의도에서 계획된 작전이었습니다.
물론 그럴듯한 생각이었지만 현실은 이미 그러한 작전도 무의미하게 만들고
있었습니다. 제공권 상실에 서부전선에서의 패배, 이탈리아 파시즘의 몰락..
실수라기보다는 이미 그러한 일로 전황이 더 나빠질게 없으니 절망적인
상황에서 저항한 셈이죠.

다른 전략적 오판으로는 북아프리카 전선에서의 경우를 들 수 있겠네요.
우선 롬멜이 아프리카 군단을 이끌고 상륙한 이후 카이로 공략을 히틀러에게
건의하지만 히틀러는 이를 거부합니다. 이 일은 매우 중요한 2차대전의
분기점이었죠. 만약 롬멜이 이집트를 제압했다면 수에즈 운하의 장악으로
영국 해군의 보급, 나아가 중동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여 석유를 획득하고
중동을 장악했다면 뒷날 일어나는 소련과의 전쟁에서 소련은 남쪽에서도
독일군의 진격을 막아야 하는, 개전에서 아주 불리한 조건을 얻게되는
셈입니다만 역사는 그걸 허락지 않았습니다.

다른 사례로는 됭케르크에서 영국,프랑스군 30여만명이 고립된 상태에서
수송선단만을 기다리는 가운데 히틀러가 독일군에게 진격 정지명령을 내립니다.
히틀러로서는 지나치게 빠른 진격을 염려함과 동시에 기갑부대를 아끼려는
의도였지만 결국 이들은 몇년 안되서 다시 상륙하게 됩니다.

히틀러는 군수물자 생산에까지 관여하면서 정작 위력을 발휘한 4호 전차같은
주력들보다는 타이거, 후기에는 킹타이거나 열차포, 생쥐(100t)같은
신무기에만 치중했고 그 결과과 전쟁 후기에는 실질적인 전력 증강이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원래 히틀러는 자신의 저서에서 자신이 가장 증오하는 사람들을 유태인과 슬라브민족, 공산주의자들이었습니다. 그래서 일단 히틀러는 서쪽을 점령한 뒤에는 동쪽의 소련을 공격해 넓은 소련의 영토에 게르만 민족을 이주시킬 생각을 가지고 있었죠. 그래서 당시 사람들은 위의 조약은 언젠가는 깨질거라는 생각을 막연히 가지고 있었답니다.

그리고 히틀러는 신사적이며 냉정하고 침착한 영국을 아주 높이 평가해서 프랑스 점령후에는 영국과 평화협정을 할 생각까지 가지고 있엇죠. 그래서 영국이 평화를 제의할때까지 기다릴 의향으로 시간을 끌다가 영국의 전쟁준비후에 끝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사항에서 전투를 벌이게 된것이죠.

또한 히틀러의 변덕이 한몫했지요. 전챙초반 히틀러는 자신의 즉흥적인 전략배치로 인해 승리를 거두자 승리에 도취되어 장군에 대한 임명권을 자신이 쥐고 흔들게 되었죠. 그것이 세계대전이 오래끌게 되는 원인이 된것이죠.

2. 이 역시 히틀러의 변덕이 있었습니다. 휘하 장군들은 수도 모스크바에 대한 최후의 공격을 가해야 한다고 했지만, 지리하게 끌고가는 전투에 싫증을 느낀 히틀러는 남부 우크라이나와 카자흐에 있는 석유유전과 자원을 얻고자 남쪽으로 눈을 돌린것이죠.

3. 그 전투가 바로 아르웬 대공세..연합군측에서는 발지대전투로 기록되었는데, 당시 히틀러는 패전이 확실시 되었는데도 인정하지 않고, 동부의 전력을 빼내어 서부에서 몰려오는 연합군을 일단 격퇴하여 연합군의 진격을 분쇄한 다음 다시 동쪽으로 전력을 다시 투입하여 소련을 상대하겠다는 생각이었습니다. 물론 휘하 장군들은 반대했지만 히틀러는 밀고 나갔지요.

히틀러의 잘못된 판단의 이유는?

... 투입한 이유는???? 이게 히틀러의 마지막 큰 실수라고 하더군요 3가지 질문에 대한... 몰랐던 히틀러는 너무 손실이 크다고 판단해서 이정도면 충분하다는 생각에 전략적인...

2차 세계대전

2차 세계대전중 헝가리아와 루마니아는 추축국에 가담했는데 어떤과정이 있었나요?... 하지만 잘못된 판단였죠. 히틀러는 헝가리,루마니아군을 총동원시켜서...

2차세계대전히틀러가 딴나라랑...

... 궁금한게 왜 일본은 궃이 독일 히틀러가 딴 나라를 공격할때... 시작해서 2차세계대전까지 상하이, 등 여러 지역을 공격합니다. 바로 그러한 이유는 대동아건설권 이기...

2차세계대전당시 독일이 패한이유!!!!!...

... 당한 이유가 뭐죠? 3.2차세계대전에 만약 이렇다 하고... 입대하였고, 히틀러는 사실 600만의 유대인을 죽이지않고... 많은 판단착오를 하기도 했지만 프랑스의 지나치게...

히틀러가 유대인을 죽인 이유....(이야기...

우리들은 보통 제 2차세계대전히틀러가 유태인들을 죽인 이유가.... 여러가지 설들이... 만일 그런 행위가 있었다 해도 근거가 확실하지 않다면 죽을 짓이라고 판단내릴 수...

2차 세계대전때의 주요전투를 가르쳐...

... 걸겠습니다 히틀러와 스탈린의 판단착오 등에 대해서는... 독일군 상당수가 발이 묶였고, 소련 침공 첫해에 "모스크바 공략에 실패하였다는 이유로" 그 다음해에는...

히틀러 키에대해

... 160cm는 잘못된 자료로 보인다. 히틀러(1889년 4월 20일... 2차세계대전 전투상황 제2차 세계 대전... 청소’라는 이유로 수백만 명 이상의 유대인과 집시를 학살하였다....

히틀러가 소련인 (슬라브족)을 열등...

히틀러가 소련의(러시아인들)을 열등한 인종으로 본 이유가 뭘까요? 독소전쟁사에선 티거 에이스나 다른 독일... 독일의 근본적인 2차세계대전 목표는 솔직히 사실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