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전국 지명 나열 되어있는 사이트나 나열해서좀 알려주세요

우리나라전국 지명 나열 되어있는 사이트나 나열해서좀 알려주세요

작성일 2004.03.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200개 정도 댄다는데..

내공 50드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하늘[天]과 관련된 지명


※ 하늘의 의미 : 높다. 멀고 무한하다.

① 전남의 順天 : 하늘의 이치를 따른다는 의미

② 전북 장수의 天川 : 산지에서 발원하는 물줄기가 하늘을 찌르는 듯한 형국

③ 서울 관악구 奉天洞 : 하늘을 받든다는 의미

④ 지리산의 天王峰 : 깍은 듯이 높이 솟은 산

⑤ 백두산 天池 : 높은 곳에 위치한 연못


2) 해·달[日·月]과 관련된 지명


동해는 일출의 장소이며 서해(황해)는 낙조와 일몰의 장소이기 때문에 동해에는 日出과 迎日 등 해맞이와 관련된 지명이, 황해에는 落月과 月尾 등 달과 관련된 지명이 많다.

① 경북 迎日郡 : 바다 위로 해가 솟는 모습을 가장 잘 바라볼 수 있는 곳. 해맞이의 장소.

② 금강산과 제주 성산포의 日出峰 : 해 돋는 봉우리

③ 전남 여천 돌산도의 向日庵 : 해를 향한다는 의미

④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日迎 : 해맞이의 의미

⑤ 경주의 半月城 : 성곽의 모양이 반달과 같다는 骕

※ 반달 : 무한한 가능성, 미래지향성 ☞ 보름달 보다 선호

⑥ 전남 영광군 落月面, 충북 제원군 月落山 : 달이 기우는 곳

⑦ 전남 영암군 月出山 : 달이 떠오르는 곳


※ 각도의 명칭 : 경상도 ☜ 경주와 상주, 전라도 ☜ 전주와 나주, 충청도 ☜ 충주와 청주, 경기도 ☜ 서울의 근처, 강원도 ☜ 강릉과 원주, 평안도 ☜ 평양과 안주, 함경도 ☜ 함흥과 경성, 황해도 ☜ 황주와 해주

※ 1896년 8도가 남북으로 분활되어 13도로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종전의 통합 통치 거점이 분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3) 별[星·辰]과 관련된 지명


① 경북 星州 : 성주와 고령 사이의 별터 고개에서 유래

② 충남 금산군 남이면 星谷里 : 별이 쏟아지는 골짜기

③ 서울 관악구 봉천동 落星臺 :

④ 전남 해남군 계곡면 星津里 : 별나루를 한자화


4) 빛·그림자[光·影]와 관련된 지명


① 경남 양산군 日光面 : 햇빛을 잘 받음.

② 전남 光陽郡 : 정오와 같이 햇볕이 잘 드는 남쪽의 양지

③ 光州, 光山 : 빛 고을

④ 부산 영도 ☜ 絶影島 : 금정산 줄기가 바다에 의해 끊김

⑤ 경북 울진군 근남면 佛影寺 : 부처의 그림자


5) 밝고 어두움[明·暗]과 관련된 지명


① 경기도 光明市 : 대낮같이 밝은 도시

② 함남의 明川郡 : 밝고 빛나는 들판 明源에서 유래

③ 제주 북제주군 한림읍 明月마을 : 밝은 달을 의미

④ 경북 경주시 暗谷洞 : 햇빛이 들지 않는 어두운 곳


6) 아침·저녁[朝·夕]과 관련된 지명


① 朝鮮 : 조용한 아침의 나라

② 제주도 북제주군 朝天邑 : 해돋는 아침

③ 제주도 북제주군 우도면 朝日里 : 가장 먼저 해를 볼 수 있는 장소

※ 夕陽과 斜陽은 기피의 대상이 되므로 이런 땅 이름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7) 응달·양지[陰·陽]와 관련된 지명


① 충북 陰城 : 능선의 북쪽에 자리함으로써 그늘진 땅의 표본

② 경남 山淸 : 山陰(원래 山北이며 응달진 곳)에서 음의 지명이 기피의 대상이어서 고쳐진 이름

③ 황해도 평산의 江陰 : 강을 낀 응달.

※ 수세가 빨라 저탄, 마탄 등으로 표현되는 빠른 물줄기가 곳곳에 있는 예성강 유역

④ 경북 문경군의 山北面과 山陽面 : 산북이 응달지고 산양이 햇볕이 드는 남쪽이므로 후자가 사람이 살기에 알맞으며 선호하는 지역

⑤ 양촌, 양지마을, 양지뜸 : 우리 나라 마을 이름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

※ 경기도 김포군의 陽村面, 화성군의 南陽面, 충북 영동군의 陽山面, 충남 논산군의 양촌면, 경남 하동군의 岳陽面, 경남 통영군의 山陽面, 경남 삼천포시의 南陽, 경남 陽山郡, 충북 괴산의 華陽溪谷, 경북 영양군 석보면 朝陽里 등

충남 靑陽 : 따스한 봄볕에서 유래


8) 봄·여름·가을·겨울[春·夏·秋·冬]과 관련된 지명


① 강원도 春川 : 염원적 의미가 함축된 봄의 고향. 한양의 동쪽에 있으므로 해가 돋는 동방의 의미까지 포함, 고려 태조 때의 春州에서 기원

② 경북 봉화군 春陽 : 봄볕을 염원하여 붙여진 이름.

※ 전남 화순군의 春陽面 :부춘면과 단양면에서 한 글자씩 모아 단순 합성한 지명

③ 충북 제원군 덕산면 夏雪山 : 여름에도 눈이 내릴 듯한 차가운 산

④ 秋風嶺 : 충북 영동군 황금면과 경북 금릉군 봉산면 사이. 秋豊(가을의 풍족함)에서 유래






2. 방위·위치·순서와 관련된 지명


1) 가운데[中央]의 의미를 지닌 지명


① 서울·부산·대구·인천·울산·경기 부천의 中區 -도시의 심장부.

② 중앙청 - 국가의 심장부

③ 中央洞 : 핵심 업무 지구

※ 부산과 인천의 중구, 경기도 송탄·과천·오산, 강원도의 춘천·속초, 전북의 전주·익산·군산, 전남의 여수·순천, 경북의 포항·경주·영천·상주·점촌·경산, 경남의 마산·창원·충무, 제주의 서귀포시 등에 있음.

④ 경기도 광주의 中部面 : 중간 지대의 의미

⑤ 서울 광진구 中谷洞 : 용마봉과 중랑천 사이에 자리한 가운데의 골짜기


2) 동쪽·서쪽[東·西]과 관련된 지명


※ 경희궁의 배치에서 동문은 봄을 상징해서 여춘문, 서문은 가을을 상징해서 선추문. 즉 동쪽은 봄, 서쪽은 가을을 의미

① 동녘의 나라 - 東國 (☞ 동국대)

② 동쪽의 바다 - 東海 (↔ 서해)

③ 동쪽의 행정구역 - 서울의 東大門區 (↔ 서대문구), 강동구 (↔강서구), 부산·대구·광주·대전의 동구/서구, 동광양,

④ 동해에 면한 도시 - 東海市 : 북평과 묵호를 통합하여 1980년에 새로운 명칭으로 탄생

⑤ 서쪽의 뫼 - 西山, 西界/東界, 西京(평양)/東京, 關西(평안도)/關東

⑥ 서쪽으로 돌아간 포구 - 西歸浦 : 진시황의 명령을 받은 서시 일행이 이곳에 머물다가 서쪽으로 돌아갔다는 전설에서 유래

⑦ 서쪽의 행정구역 - 서울 서대문구·강서구, 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의 西區, 청주의 西原大學, 평남의 강서군, 충북 청원군 강서면, 嶺西(강원도 대관령 서쪽)/嶺東, 陽西(김포 일대, 한양의 서쪽), 서울 종로의 苑西洞(비원의 서쪽)/苑南洞, 울릉도의 西面(섬의 서쪽)


3) 남쪽·북쪽[南·北]과 관련된 지명


① 제주도 南濟州/北濟州郡 : 한라산의 남쪽/북쪽

② 嶺南 : 조령의 남쪽(문경새재를 경계로 남쪽에 있는 땅)

③ 경기도 城南市 : 남한산성 남쪽.

※ 강원도 강릉시 城南洞, 충남 천원군 성남면(흑산성 남쪽), 서울 용산구 漢南洞(한양성의 남쪽)

④ 서울 용산구 南營洞 : 일본군 병영의 남쪽

⑤ 부산시 중구 南浦洞 : 부산 남쪽의 포구 - 자갈치 시장으로 유명

※ 부산시 영도구 南港洞 : 남안에 세워진 항구, 경북 울릉도 南陽洞 : 남쪽의 양지바른 곳, 경남 ⑥ 산청 南沙里 : 남쪽의 모랫벌

⑦ 서울의 南山 : 통치 거점 즉 도성에서 보았을 때 남쪽 산

※ 북방은 기피의 대상이기 때문에 지명에도 잘 반영되지 않음.

⑧ 關北 : 철령의 북쪽. cf) 관동 : 철령 동쪽의 강릉을 비롯한 여러 고을

⑨ 郡北·縣北 : 군현 통치 거점의 북쪽 : 충남 옥천군과 금산군과 경남 함안의 郡北面, 경남 밀양의 府北面, 강원 양양의 縣北面

⑩ 전남 담양의 水北面 : 영산강의 북쪽, 경북 월성의 川北面 : 소항천의 북쪽

서울 성북구·경북 달성군(☜ 城北) : 성채의 북쪽에 위치


4) 왼쪽·오른쪽[左·右]과 관련된 지명


① 부산 동래구의 水營洞

② 전남 여수 : 左水營(동쪽). 전남 해남 : 右水營(서쪽). 부산 동래 : 좌수영. 경남 충무 : 우수영

③ 경남 김해 左部面과 右部面 : 김해의 읍성을 중심으로 동쪽에 좌부면, 서쪽에 우부면


5) 안·밖[內·外]과 관련된 지명


① 서울 은평구의 津寬內洞과 津寬外洞 : 마을의 안팎을 內洞과 外洞으로 구분

※ 서울을 중심으로 구분한 것이 아니라 과거 신도읍을 중심으로 구분했기 때문에 밖에 있는 동이 진관내동임.

② 서울 강서구의 內鉢山洞과 외발산동

③ 州內, 府內, 郡內, 縣內 : 주부군현의 통치 중심지

※ 경기도 장단·파주군의 군내면,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경남 밀양의 부내면

④ 전북 정읍군 산내면/산외면 : 노령산맥 내외부. 산지의 안팎 - 山內, 山外面

⑤ 경북 김천시와 영천시의 城內洞

※ 성밖은 넓어서 한 지명으로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성외동이라는 지명은 찾기 힘들다.

⑥ 설악산의 內雪岳(오색약수 쪽)과 外雪岳(울산바위 쪽)


6) 위·아래[上·下]와 관련된 지명


① 경기도 가평군 上面과 下面 : 고도차이에 따라 구분

② 전북 부안군 上西面/下西面. 경남 함양군 西上面/西下面, 강원도 영월군 上東/下東, 경남 거창군 南上/南下, 경남 양산군 上北/下北

③ 전남 진도군 조도면의 上鳥島, 下鳥島 : 북쪽이 위, 남쪽이 아래


7) 머리·꼬리[頭·尾]와 관련된 지명


① 龍頭 : 용의 머리 -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부산 용두산/용미산, 제주도 龍頭巖

② 白頭山 - 산의 색깔에 따라 붙여진 이름.

※ 산 형태에 따라 붙여진 이름 : 평남 안주 馬頭山, 전남 곡성 鳳頭山, 강원도 춘천 牛頭山

③ 경북 의성군 봉양면 龜尾洞, 경북 구미시 - 거북의 꼬리

④ 경남 통영군 욕지면 頭尾島 : 머리와 꼬리 부분이 모두 하나의 섬 속에 포함되었다는 의미

⑤ 경기도 벽제의 龍尾里 : 공원묘지로 유명


8) 앞·뒤, 시작·끝[前·後, 始·末]과 관련된 지명


① 충북 충주시 驛前洞 : 철도 역사의 앞 동네

② 경북 안동군 임하면의 川前里

③ 경기도 始興市 - 새로운 출발을 의미. 번영과 흥륭을 지향하는 곳

④ 전남 해남군 송지면 土末里 : 땅끝 마을


9) 좁은 곳·돌출 부위[項·串]와 관련된 지명


① 전남 진도 울돌목[鬱陶項] : 유리병의 목처럼 갑자기 좁아진 해로

② 경북 浦項 : 장기곶에서 영일만으로 들어가는 길목

③ 충남 서천군 長項邑 : 금강 하류에 돌출한 황금봉의 길목

④ 경북 영일의 장기곶[長嗜串], 황해도 장연군의 장산곶[長山串] : 육지의 돌출부

⑤ 서울 성북구 石串洞 : 천장산 암맥의 솟은 모습이 돌곶과 같아서 붙여진 이름

※ 石溪驛은 석관동과 월계동의 이름을 따서 합성


10) 숫자·순서와 관련된 지명


① 경기도 남양주시 一牌·이패·삼패동 : 역마의 연결 순서에 따라

※왕숙천 : 북쪽으로 멀지 않은 진접에 있으며 "왕이 머물던 곳"에서 유래

② 경기도 안성군 一竹面과 이죽면 (竹山에서 파생)

③ 경기도 포천군의 一東과 二東, 전북 장성의 北一과 北二面


11) 어귀[入口]와 관련된 지명


※ 海口, 江口, 浦口, 港口, 洞口, 谷口

① 항만의 어귀 - 경북 포항시 港口洞

② 강의 어귀 - 경북 영덕군의 江口面, 강릉시의 江門

③ 물의 어귀 - 서울 광희문과 홍인문 사이의 水口門

④ 버들 벌판의 입구 - 강원도 楊口



3. 지형과 관련된 지명


1) 뫼(山)와 관련된 지명


① 경남 밀양군 산내면(山內面) - 산지의 안

② 경남 山淸郡 : 산 높고 물 맑은 곳 (원래에는 山北(↔山南), 山陰(↔山陽)을 의미했었음)

③ 제주 남제주군 城山邑 : 성을 세운 듯 높이 솟은 산

※ 평북 雲山, 황해 장연의 雪山, 전남 장흥의 霞山, 전북 群山

④ 서울 구로구 禿山洞 : 대머리처럼 벌거벗은 산

⑤ 서울 서초구 牛眠山 : 누워 잠자는 소와 같은 형상

※ 臥牛山, 馬山, 兎山, 鹿山

⑥ 서울 龍山區, 경남 사천군 臥龍山

⑦ 산의 색깔에 따라 : 白山, 黃山, 黑山, 丹山


2) 봉우리(峰)와 관련된 지명


① 전북 남원군 雲峰 : 구름 덮힌 봉우리

② 충남 서산군과 전북 익산시의 八峰面(洞)

③ 서울 마포구 절두산 ☜ 蠶頭峰(누에머리 봉우리)


3) 홀로 솟은 큰 산(嶽·岳)과 관련된 지명


① 강원도 원주의 雉岳山

※ 강원도 속초의 雪嶽山, 충북 제천의 月岳山, 경북 금릉의 黃岳山,

② 전북 김제의 母岳山

③ 제주도 城板岳 : 판자로 세운 성널처럼 급하게 치솟았기 때문

④ 서울 관악구의 冠岳山 : 갓 모양으로 높이 솟은 산

⑤ 황해도 安岳郡 : 벌판 위로 솟은 산

⑥ 충남 아산군 松嶽面 : 송림이 우거진 높은 산


4) 언덕(丘·坡)과 관련된 지명


① 大邱 ☜ 大丘 : 평지 위로 솟은 언덕

② 서울 용산구 靑坡洞 : 푸른 언덕. cf) 서울 성동구 靑丘洞


5) 재(嶺)와 관련된 지명


① 嶺南 : 조령 이남을 의미

② 嶺東 : 대관령의 동쪽 (↔嶺西)

※ 조령(문경 새재), 죽령, 추풍령, 대관령, 한계령, 진부령


6) 우뚝 솟은 산·고개(屹·峙·峴·岑)와 관련된 지명


① 경북 주흘산(主屹山) : 우뚝 솟은 산

② 충남 청양군 大峙面 : 우뚝 솟은 고개

③ 서울 충무로 진고개 : 泥峴

④ 서울 은평구 葛峴洞 : 칡덩굴이 무성한 고개

⑤ 전북 익산시 朱峴洞 : 적색토로 이루어진 고개

⑥ 대전시 유성구의 진잠동(鎭岑洞) : 높이 솟은 땅


7) 평평한 땅·벌판(平·坪)과 관련된 지명


① 平壤 : 평평한 땅

② 강원도 동해시의 北坪

③ 전남 나주군의 南平

④ 황해도의 平山

⑤ 경기도 파주군의 坡坪面


8) 들판(原·野)과 관련된 지명

① 충북 中原郡 : 가운데의 벌판. 통일신라 5소경의 하나. 중원경

② 전북 南原郡 : 통일신라 5소경의 하나. 남원경

③ 강원도 原州市 : 벌판의 고을

④ 강원도 鐵原郡 : 푸른 산이 둘러싸인 벌판. 현무암 지대로서 토양색이 검다.

⑤ 전북 옥구군 大野面 : 넓은 들판을 의미


9) 골짜기(谷·澗)와 관련된 지명

① 경북 漆谷郡 ☜ 七谷 : 골짜기가 많은 고을

② 경남 창녕군 釜谷面 : 가마솥 모양의 골짜기. 부곡 온천으로 유명.

③ 경남 함양군 甁谷面 : 병 모양의 골짜기.

④ 충북 영동군 황간면(黃澗面) : 물이 채워진 산골짜기라는 의미.


10) 흙·모래·돌(土·砂·沙·石)과 관련된 지명

① 서울 송파구 石村洞 : 돌무더기 마을을 의미.

② 서울 동작구 黑石洞 : 돌의 색이 검기 때문.

③ 서울 서대문구 모래내 : 하천에 모래가 많이 퇴적되어 붙여진 이름.

④ 경기도 구리시 土坪洞 : 황토가 퇴적되어 이루어진 광활한 땅.


11) 바위·낭떠러지(巖·崖)와 관련된 지명

① 강원도 속초시 울산바위 : 금강산 1만 2천봉과 관련된 전설이 서려있음.

② 경북 월성군 감포 앞바다의 大王岩 : 문무대왕의 전설과 관련.

③ 전남 靈巖郡 : 신비한 바위. 염험있는 바위라는 의미.

④ 전북 군산시 龜巖洞 : 거북바위

⑤ 전북 정읍군 笠岩面 : 바위가 폐립처럼 솟아있는 형상

※ 서울 성북구 鐘岩洞, 종로구 付岩洞, 강동구 岩寺洞

⑥ 강원도 양구군 大巖山 : 천연기념물 보호지구

⑦ 제주도 북제주군 涯月邑 : 해안 절벽. 해식애가 잘 발달되어 있음.


4. 기상·기후와 관련된 지명


1) 구름(雲)과 관련된 지명


① 부산 海雲臺區 : 최치원이 지은 이름

② 전북 남원 雲峰 : 구름에 덮이는 날이 많아 구름의 고을

※ 구름의 색깔에 따라 : 전북 진안군 白雲面, 경기도 양평군 靑雲面

③ 경북 청도군 雲門山 : 구름의 문턱


2) 바람(風)과 관련된 지명


① 충북 제원군 淸風面 : 맑은 바람을 의미

② 서울 강동구 風納洞 : 바람들이. 바람이 잦은 지역.


3) 비·이슬(雨·露)과 관련된 지명


① 경기도 화성군 雨汀面 : 비가 많은 해안

② 전북 정읍군 淨雨面 : 비가 순조롭게 내리기를 기원하는 의미.(☜ 雨順面)

③ 서울 동작구 鷺梁津洞 : 백로가 노닐던 노들강의 노들나루를 한자화

※ 안개가 잦고 이슬이 잘 맺혀 원래 露津이었다는 설도 있음.

④ 경남 남해군 설천면 露梁 : 노량대첩 전승지


4) 눈·서리·얼음(雪·霜·氷)과 관련된 지명


① 강원도 雪嶽山 : 눈이 많이 내리는 산악 환경과 관련

② 경기도 가평군 雪嶽面 : 분지상의 지형과 북한강의 영향으로 눈이 자주 내림.

③ 경기도 포천군 상면 霜洞

④ 서울 용산구 東(西)氷庫洞 : 옛 얼음창고(氷庫)가 있었던 곳

⑤ 경북 의성군 춘산면 氷溪里 : 여름에도 개울에 얼음이 얼 정도로 시원함.


5) 노을·안개(霞·霧)와 관련된 지명


① 경기도 김포군 霞城面 : 노을진 성채에서 유래

② 경북 월성군 안강읍 霞谷 : 노을진 골짜기

③ 강원도 평창군 雲霧山 : 구름과 안개가 많기로 유명함.


6) 따뜻함(溫)과 관련된 지명


① 충남 溫陽市 : 온천으로 유명

② 경북 울진군 온정면 溫井里 : 백암온천으로 유명

③ 인천 강화군 길상면 溫水里 : 온천 개발 진행중


7) 서늘함·차가움(冷·寒)과 관련된 지명


① 경기도 연천군 관인면 冷井里

② 전남 구례군 마천면 冷泉里

③ 전남 화순군 寒泉面

④ 충북 제원군 寒水面

⑤ 강원도 寒溪嶺

※ 따뜻한 지역에 차가움과 관련된 지명이 많은 것은 더위를 식히기에 좋아서 ?


5. 물·바다(水·海)와 관련된 지명


1) 물(水)과 관련된 지명


① 경기도 수원시 : 물가의 성채(水城) ☞ 물골의 벌판(水原)

② 평북 삭주군 水豊面 : 물이 풍족한 곳

③ 전북 長水郡 : 긴 개울, 큰 물의 의미를 지님.

④ 전남 麗水市 : 아름다운 물줄기를 의미

⑤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兩水里 : 두물머리(북한강과 남한강이 합류하는 곳)


2) 우물·샘(井·泉)과 관련된 지명


① 전북 井州市 : 우물 고을의 의미

② 전북 옥구군 開井面 : 마을에는 우물이 필수적인데 새로 마을을 건설하면서 우물을 굴착해서 붙여진 이름.

③ 충북 청원군 남일면 方井洞 : 네모 반듯한 우물

④ 경북 醴泉郡 : 물이 감주처럼 달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3) 개울·시내(溪·川)와 관련된 지명


① 서울 종로구(중구) 淸溪川 : 지금은 복개도로이지만 예전에는 맑은 물이 흘렀음.

② 강원도 명주군 玉溪面 : 옥같이 맑은 물이 흐르기 때문

③ 충북 沃川郡 : 맑고 기름진 시내

④ 전북 무주군 雪川面 : 눈 덮인 시내

⑤ 경북 경주시 乾川邑 : 평상시에는 하천에 물이 흐르지 않기 때문

⑥ 경기도 남양주군 退溪院 : 길을 내기 위해 하천 바닥을 메꿔 하천이 물러났다는 의미


4) 강·하천(江·河)과 관련된 지명


① 서울 江南區·江西區·江東區

② 평남 江東郡·江西郡

③ 경기도 河南市

④ 경남 河東郡

⑤ 경기도 양평군 江上面·江下面

⑥ 강원도 명주군 옥계면 川南里

⑦ 전북 장수군 溪南面·溪北面


5) 호수·소택(湖·澤·潭·沼)과 관련된 지명


① 湖西地方 : 제천 의림지를 기준으로 서쪽 지방. 이설이 있음.

② 湖南地方 : 호서지방의 남쪽. 이설이 있음.

③ 강원도 춘천시 湖畔洞 : 호숫가의 마을

④ 경기도 平澤시 : 평지의 연못을 의미

⑤ 제주도 제주시 龍潭동 : 용이 노닐던 연못

⑥ 전남 潭陽군 : 潭州 + 祈陽

⑦ 경기도 남양주군 와부읍 德沼동 : 크고 깊은 못에서 유래


6) 바다(海·洋)와 관련된 지명


① 경남 南海군 : 남쪽의 바닷가

② 경남 鎭海시 : 바다를 진압한다는 의미

③ 전북 군산시 海望동 : 바다를 바라볼 수 있는 곳.

④ 경북 울진군 기성면 望洋리 : 예전에 망양정이 있었음.

⑤ 황해도 海州시 : 큰 바다에 면한 고을.

⑥ 충남 서산시 海美읍 : 貞海현 + 餘美縣


6. 식물·동물과 관련된 지명


1) 솔·대나무(松·竹)와 관련된 지명


① 고려의 수도 松嶽 : 푸른 소나무 언덕. ☞ 개성

② 인천시 동구 松林동 : 소나무 숲을 의미. 주변에 松峴동도 있음.

③ 경북 靑松군 : 푸른 솔밭을 의미

④ 경기도 화성군 松山면 : 솔밭이 우거진 동산. 충남 당진군에도 송산면이 있음.

⑤ 서울 松坡구 : 소나무가 우거진 언덕. 송파나루에서 유래.

⑥ 인천시 남구 옥련동 松島 : 솔섬. 경북 포항시에도 송도동이 있음.

⑦ 경기도 안성군 竹山면 : 현재는 일죽면과 이죽면으로 분리.

※ 원래 죽일면, 죽이면으로 분리했으나 워낙 어감이 좋지 않아서 개명.

⑧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 : 검은 대나무(烏竹)가 우거진 집(軒) 즉 오죽헌에서 유래

⑨ 경북 울진군 竹邊항 : 대나무 숲 가장자리를 의미

⑩ 경남 삼천포시 竹林동 : 대나무 숲

※ 전남 목포시 竹동, 竹橋동


2) 매화·난초(梅·蘭)와 관련된 지명


① 전남 순천시 梅谷동 : 매화 골짜기

② 경기도 수원시 梅山동 : 매화의 꽃동산

③ 충북 단양군 梅浦읍 : 원래 물건을 사고 파는 상행위가 발달하여 買浦였음.

④ 서울 마포구 상암동 蘭芝島 : 난초 비슷한 수초가 무성했던 곳. 대형 쓰레기매립장(반입종료).

⑤ 서울 관악구 蘭谷동 : 난초가 우거진 골짜기


3) 꽃·버들(花·柳)과 관련된 지명


① 경기도 고양시 花田동 : 지금도 화원이 즐비함.

② 경북 영천군 花山면. 전남 해남군에도 花山면이 있음.

③ 전남 해남군 花源반도 : 동백나무 군락

④ 경남 하동군 花開면 : 화개장터로 유명.

⑤ 충남 부여군 落花巖 : 3천 궁녀가 꽃잎처럼 떨어져 죽은 곳.

⑥ 경북 예천군 柳川면 : 버드내에서 유래

⑦ 서울 영등포구 楊坪동 : 노들벌. 노들나루 ☞ 楊花津

⑧ 경기도 楊州군 : 버들고울


4) 수풀·나무(林·木)와 관련된 지명


① 제주도 북제주군 翰林읍 : 많은 수풀, 큰 수풀을 의미. 한 숲의 이두식 한자 표현.

② 경북 경주시 교동 鷄林 : 김알지 탄생 설화와 관련. 이 숲속에서 닭이 울었다고 함.

③ 전남 장성군 森溪면 : 삼림이 울창한 시내

④ 전남 木浦시 : 통로가 바다로 들어가는 외나무다리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5) 풀·갈대(草·蘆)와 관련된 지명


① 충북 진천군 草坪면 : 풀이 무성한 넓은 벌판

② 부산시 동구 草梁동 : 풀밭의 길목이라는 의미. 육로와 수상 교통의 요지

③ 강원도 束草시 : 풀이 무성한 해안 환경과 관련

④ 인천시 강화군 길상면 草芝리 : 갈대, 완초 등 풀이 무성함. 초지진이 있음.

⑤ 전남북의 경계 蘆嶺산맥 : 갈재의 한자화.

⑥ 강원도 삼척군 蘆谷면 : 갈대가 우거진 골짜기


6) 소·말(牛·馬)과 관련된 지명


① 제주도 북제주군 牛島면 : 섬 전체의 모습이 소가 누워있는 것 같은 형상.

② 경남 의창군 진전면 臥牛山. 서울 마포구 창전동에도 와우산이 있음.

③ 서울 도봉구 牛耳동 : 이곳에서 보면 백운대와 인수봉이 소의 귀처럼 보임.

④ 전북 진안군 馬耳山 : 쌍봉의 형태가 말의 귀와 같음.

⑤ 서울 성동구 馬場동 : 말을 사육하던 곳.

⑥ 서울 강남구 말죽거리 : 말을 먹이던 거리. ☞ 역삼동.(세 마을의 역촌을 묶어서 형성됨)

※ 역원제 : 역은 교통 기능이고 원은 숙박 기능. 역촌에는 관리의 출장시 편의를 제공하는 숙박시설 이외에 말을 먹이는 거리(말죽거리)와 말을 잠재우는 장소(마방)가 있었음.


7) 날짐승(飛禽類)과 관련된 지명


① 전북 완주군 飛鳳면 : 날아가는 봉황을 의미하는 비봉산이 있음.

② 전남 영암군 鶴山면 : 풍수지리상 학이 날아가는 듯한 형국.

③ 전북 김제군 白鷗면 : 흰 갈매기가 많았었음.

④ 서울 강남구 狎鷗亭동 : 한명회(압구정은 그의 호)가 이곳에 정자를 세움.

⑤ 전북 옥구군 飛雁島 : 하늘을 나는 기러기의 형국

⑥ 경북 구미시 金烏山 : 금빛 까마귀의 의미. 전설과 관련

⑦ 경북 영풍군 풍기읍 金鷄리 : 금계포란(金鷄抱卵) 형국. 풍수지리상 10승지.

⑧ 전남 강진군 鵲川면 : 까치가 노니는 시내


8) 용·거북(龍·龜)과 관련된 지명


① 서울의 龍山구 : 이곳의 산세가 용의 형상.

② 경기도 양평군 龍門寺 : 용곡의 문턱

③ 제주도 龍頭巖 : 용머리를 닮은 화산지형

④ 충남 鷄龍山 : 닭의 벼슬 용의 비늘. 현재 계룡대가 위치

⑤ 경남 의창군 龜山면 : 거북이가 엎드려 있는 듯한 형국

⑥ 부산시 북구 龜浦동


9) 곰·범·사슴·낙타(熊·虎·鹿·駝)와 관련된 내용


① 충남 공주 ☜ 熊津

② 경북 문경군 虎溪면 : 맹호출림(猛虎出林)의 계곡

③ 경북 예천군 虎鳴면 : 범울이에서 유래

④ 제주도 한라산 白鹿潭 : 흰 사슴이 산신령과 노닐던 연못.

⑤ 강원도 麟蹄군 : 기린의 굽과 같이 강이 합류하는 곳. 소양강과 내린천이 합류.

⑥ 서울 종로구 동숭동 駱山 : 낙타를 닮은 산.


7. 산업·경제와 관련된 지명


1) 경지(田·畓)와 관련된 지명


① 제주 서귀포시 하논 : 제주 방언으로 하다는 많다는 의미이므로 하논은 많은 논을 의미.

※ 제주에는 기생화산이 많은데 외륜산으로 둘러싸인 화구원을 논으로 사용.

② 경남 양산군 하북면 畓谷리 : 논이 많은 골짜기. 통도사 입구.

③ 경북 영양군 석보면 畓谷

④ 전북 沃溝군 : 비옥한 도랑을 의미. 간척사업후 관개수로 건설과 관련.

⑤ 大田 : 한밭이 한자화됨.

⑥ 경북 영양군 입암면 方田동 : 네모난 형태의 밭

⑦ 제주 북제주군 애월읍 長田리 : 긴 밭. 등고선 경작과 관련.

⑧ 경북 영풍군 안정면 新田 : 새기실. 새로 만든 밭. ↔ 舊田, 古田

※ 충적지가 나중에 개간되어 천변이 신전이다..

⑨ 경북 예천군 지보면 麻田동 : 삼밭과 관련

⑩ 경북 영천군 元竹田 : 대나무가 우거진 동네.


2) 농·임·수산업(農·林·水産業)과 관련된 지명


① 경북 금릉군 農所면 : 농막이 있던 곳.

② 전남 영광군 弘農면 : 큰 농사를 지을 땅. 영광 원자력 발전소가 있음.

③ 전북 옥구군 米面 : 쌀의 주산지. 일제 강점기에 간척. 열촌. 현재 米星면

④ 전북 군산시 藏米동 : 군산이 쌀 수출항이었기 때문에 쌀을 저장하는 창고가 있었음.

※ 주변에는 이와 관련하여 米原동, 米場동 등이 있음.

⑤ 서울 송파구 蠶室동 : 東蠶室이 있던 곳.

⑥ 서울 관악구 新林동 : 나무들이 울창하였음.

⑦ 경기도 果川시 ☜ 果州(밤나무가 많았었다)

⑧ 서울 종로구 梨花동 : 배나무 고개

⑨ 대구시 중구 桃源동 : 무릉도원과 관련. 복숭아 꽃. 서울 용산구 桃園동

⑩ 경남 통영군 한산면 漁遊島 : 물고기가 노닌다는 의미

※ 황해북도 과일군 : 북한의 사과 주산지


3) 광공업(鑛工業)과 관련된 지명


① 서울의 炭川 ☜ 숯내

② 경기도 松炭시 : 탄현 ☜ 숯고개

③ 전북 김제군 金溝면 : 사금을 채취했었음.

④ 충북 음성군 金旺읍 : 무극 금광산이 있음.

⑤ 서울 銅雀구 : 동재기 나루에서 유래

⑥ 강원도 태백시 鐵岩동 : 쇠바위를 한자화

⑦ 경북 구미시 工團동 : 섬유·전자 산업 발달

⑧ 경북 포항시 製鐵동 : 포항제철과 관련


4) 교통·통신·상업(交通·通信·商業)과 관련된 지명


① 서울 은평구 驛村동 : 조선조에 迎曙驛이 있었던 곳

② 서울 은평구 舊擺撥동 : 騎撥이 교대해야 되는 곳에 站과 擺撥幕을 설치.

※ 渡津聚落 : 예성강 동안의 碧瀾渡. 예성강의 도하지점

③ 경기도 성남시 板橋동 : 널다리(널판으로 세운 다리)

④ 전남 보성군 筏橋읍 : 통나무 뗏목 다리

※ 살꽂이 다리 : 돌을 땅에 박아 만든 다리

⑤ 전남 함평군 鶴橋면 : 학다리라는 의미. 이 다리는 鶴野와 연결되어 있음.

⑥ 충북 음성군 감곡면 旺場리 : 사람이 붐비는 왕성한 시장. 장호원과 마주보고 있음.

※ 立場 : 장이 선다는 의미. 豊場 : 물건이 풍부하다는 의미. 新場 : 새로운 시장

⑦ 부산 영도구 南港동, 부산 중구 南浦동 : 항구와 관련된 지명

⑧ 서울 강서구 空港동 : 김포공항과 관련

⑨ 충남 연기군 鳥致院 : 조천변의 쉼터. 객사가 있던 곳. cf) 사리원, 가수원, 고막원


8. 역사·문화와 관련된 지명


1) 신구(新舊)와 관련된 지명


① 서울 서대문구 新村동 : 새로 조성된 마을( 그 당시로 봐서 )

② 제주도 제주시 연동 : 新濟州

③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 新鐵原

④ 서울 용산구 新龍山역 : 일본인들이 집중 거주하면서 새로 생겨남.

⑤ 서울 동대문구 新設洞 : 새로 세운 마을

⑥ 경기도 용인군 기흥면 新葛 : 갈천변에 새로 생긴 마을 ⇔ 구갈. 원래 역말로 시작

⑦ 서울 강남구 新沙洞 : 모래 벌판 위에 새로 생긴 동네

⑧ 경북 칠곡군 倭館읍 : 구왜관과 신왜관. 왜관 - 일본인들이 유숙하던 시설이 있었음.


2) 성(城)과 관련된 지명


① 제주도 남제주군 성산읍 古城리 : 옛 성이 있던 마을

② 제주도 남제주군 표선면 城邑 : 읍성이 있던 마을

③ 경남 固城군 : 무쇠로 만든 단단한 성. 원래 鐵城

④ 전남 화순군 능주면 ☜ 綾城

⑤ 전남 나주시 ☜ 錦城시(나주와 영산포를 합치면서 금성시로 일시 개명)

⑥ 경기도 安城군 : 위태롭지 않고 편안하며 탈 없는 성을 의미


3) 궁궐(宮闕)·관아(官衙)와 관련된 지명


① 전북 익산시 王宮면 : 마한과 백제의 궁궐터로 추정. 왕궁탑. 궁평 마을

※ 왕궁은 집사람의 고향이고 금마는 본인의 고향이며 두 면은 붙어 있음.

② 전북 익산시 金馬면 東(西)古都里 : 옛 도읍지였음을 의미.

③ 경기도 하남시 春宮동 : 전형적인 분지로서 백제의 도읍지로 추정. 북쪽에 이성산성이 있음.

④ 서울 종로구 宮井동 : 일곱 후궁의 신위를 모신 7궁이 있었음. 1914년 毓祥宮동 + 溫井동

⑤ 충남 계룡산 新都內(신도안) : 정감록에 새 왕조의 도읍지로 거론되었음. 현재 계룡대가 위치

⑥ 충남 부여시 舊衙동 : 옛 관아가 있던 마을

⑦ 서울 종로구 內需동 : 조선조의 내수사가 있던 자리.

⑧ 서울 종로구 內資동 : 조선조의 내자사가 있던 자리.

※ 내수사 : 쌀·면·포·잡물·노비 등 왕실에 필요한 물자와 사람을 공급하는 사무를 관장

※ 내자사 : 술·기름·꿀·간장·과일·야채 등을 왕실에 공급하는 기관

⑨ 서울 중구 舟橋동 : 조선조에 주교사가 있던 자리.

※ 주교사 : 정조가 부왕의 능을 참배하러 한강을 건널 때 부교를 설치하던 기관

⑩ 서울 중구 鑄字동 : 조선조에 주물로 금속활자를 만드는 주자서가 있던 자리.

※ 인쇄하기 위해서는 종이(紙)가 필요하고 글을 쓰는 데는 붓(筆)과 먹(墨)이 필요한데 이와 관련된 지명이 필동, 묵정동이다.


4) 종묘(宗廟)·사직(社稷)과 관련된 지명


① 서울 종로구 明倫동 : 인륜을 밝히는 전당인 성균관의 명륜당이 자리한 곳. 현 성균관대 자리

※ 경북 안동시에도 명륜동이 있음. 이곳에는 옛 향교가 있음.

② 서울 종로구 廟洞 : 조선조 역대 임금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종묘가 있는 곳.

③ 서울 종로구 社稷洞 : 사직단이 자리한 곳.

④ 전남 함평군 대동면 鄕校리 : 향교가 있던 곳.

※ 주·부·군·현의 행정 단위별로 하나씩 세워지는 향교는 지방 인재 양성의 요람.

⑤ 충북 충주시 校峴洞 : 향교가 있었던 언덕.

⑥ 강원도 강릉시 校洞 : 향교가 있던 마을.


5) 병영(兵營)·창원(倉院)과 관련된 지명


① 전남 강진군 兵營면 : 병마절도사가 주재하는 병영이 있었던 곳

② 전남 해남군 문내면 右水營 : 전라우도 수군절제사가 주재하는 병영이 있었던 곳

③ 충남 논산군 鍊武읍 : 현대식 병영이 세워지면서 새롭게 등장한 지명. 육군제2훈련소

④ 충북 중원군 가금면 倉洞 : 가흥창(可興倉)이란 조창이 있던 곳.

⑤ 경북 안동군 풍산읍 신양리 倉村 : 창고가 있었던 곳

⑥ 서울 마포구 倉前洞 : 경흥창(慶興倉)이란 큰 창고의 앞에 자리한 마을

⑦ 경남 統營시 : 3도 수군통제사가 주재하던 곳.


6) 사당(舍堂)·사원(寺院)과 관련된 지명


① 서울 동작구 舍堂洞 : 옛 집이 많았던 곳

② 서울 영등포구 堂山洞 : 堂山祠라는 사당이 있었던 곳

③ 충북 보은군 회남면 舍音리 : 옛날에 지주의 명을 받아 소작인을 부리고 땅을 관리하는 마름(사음 舍音)이 살았던 곳

④ 강원도 정선군 舍北邑 : 사음대(마름의 집)의 북쪽에 있는 동네

⑤ 경북 청송군 안덕면 明堂리 : 명당 자리 ☞ 훌륭한 집터

⑥ 충남 공주시 寺谷면 : 마곡사라는 절이 있는 골짜기

※ 麻谷 : 삼베풀이 자라는 골짜기

⑦ 충북 중원군 상모면 寺門里 : 절로 들어가는 입구.

※ 주변에 있는 미륵리, 관음리 등도 절과 관계 있는 지명


7) 능묘(陵墓)와 관련된 지명


① 서울 광진구 陵洞 : 유릉이 있던 마을. 어린이 대공원 소재

※ 홍릉과 유릉은 현재 남양주시 금곡에 있음. 홍릉은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있었으며 홍릉 갈비가 유명. 주변에 임업연구원, 국방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농업경제연구소 등이 있음.

② 경기도 여주군 陵西면 : 세종대왕의 영릉 서쪽에 위치

③ 서울 성북구 貞陵동 : 조선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의 묘인 정릉이 있는 곳.

※ 서울 중구 貞동 : 원래 이곳에 정릉이 있었으나 태종이 현 정릉으로 이장해 버림.

④ 서울 노원구 孔陵동 : 孔德里 + 泰陵. 육군사관학교, 서울여대, 서울산업대 소재

⑤ 경북 안동군 도산면 선양리 侍墓谷 : 시묘살이 했던 곳. 안동댐 건설로 수몰.

※ 시묘살이 : 옛날에 부모상을 당할 경우 묘지에 초막을 지어 3년간 기거하며 하루에 3차례씩 상식을 올리고 저녁에는 잠자리를 봐 드렸음.

⑥ 경북 鬱陵군 : 종상화산으로서 수평선 위에 무덤처럼 솟아있기 때문



9. 도덕·신앙과 관련된 지명


1) 사덕(四德)·오상(五常)과 관련된 지명

※ 유교에서는 사람이 갖추어야 할 도리로서 오상(仁·義·禮·智·信)을 매우 중시했다. 이중 믿음(信)을 뺀 나머지를 사덕이라 한다. 서울의 4대문과 보신각의 이름도 오상을 따서 지었다. 그래서 동쪽은 興仁之門이고, 서쪽은 敦義門, 남쪽은 崇禮門, 북서쪽은 弘智門이다.


① 전북 정읍군 泰仁면 : 큰 고을(泰山)과 어질고 의로운 고을(仁義)이 합쳐져서 된 마을

② 경북 義城군 : 고려 태조가 성주 김홍술의 충절에 대한 보답으로 의성이란 지명을 하사

③ 서울 종로구 仁義洞, 禮智洞 : 둘 다 성균관의 건학이념과 관련

④ 충남 禮山군 : 예도의 고장

⑤ 충남 예산군 德山면 : 덕을 우러러 본다는 德崇山에서 유래. 이곳에 修德寺도 있음.

⑥ 황해도 信川郡 : 믿음의 고을 信州에서 유래


2) 충효(忠孝)와 관련된 지명


① 경남 통영시 ☜ 忠武시 : 이순신 장군의 활동 거점이었기 때문에 그 호를 따서 지음.

② 경북 경주시 忠孝동 : 충성과 효도의 마을. 김유신 장군의 묘와 관련.

③ 서울 종로구 孝悌동 :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하라는 의미

④ 서울 종로구 孝子동, 강원도 춘천시 孝子동


3) 진선미(眞善美)와 관련된 지명


① 경북 청송군 진보면 眞安 : 참으로 안전한 지대.

② 서울 종로구 積善동 : 역경의 내용중 "積善之家必有餘慶"과 관련

③ 경남 진양군 미천면 美谷천 : 아름다운 골짜기


4) 안빈낙도(安貧樂道)와 관련된 지명


① 서울 종로구 安國洞 : 나라의 평안을 염원

② 경기도 安養시 : 편안한 마음의 쉼터

③ 충남 태안군 안면도 앞 安興梁 : 안전 운행을 열망. 원래 難行梁

④ 전남 승주군 樂安면 : 즐겁고 편안한 고을. 낙안읍성

⑤ 강원도 양구군 亥安면 : 돼지의 안식처라는 의미이므로 사람이 살기 좋은 곳.

※ 전형적인 침식분지이며 펀치보울(punch bowl)이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


5) 수복강녕(壽福康寧)과 관련된 지명


① 충남 금산군 福壽면 : 多福 + 壽永. - 복을 누리면서 오래 산다는 의미

② 전남 보성군 福內면 : 행복이 깃들어 있는 곳

③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福井동 : 복우물.

※ 물이 귀한 곳이기 때문에 우물은 존재 그 자체로 복 받은 것으로 여겨짐.

④ 경북 경주군 安康읍 : 편안함과 건강함을 추구할 수 있는 곳


6) 불교(佛敎)와 관련된 지명


① 서울 은평구 佛光동 : 옛날 불광사가 있던 곳. 불광은 부처님의 광명이란 의미

② 전남 영광군 法聖浦 : 동진의 고승 마라난타가 백제에 불교를 전파하면서 붙은 이름.

③ 경북 울진군 근남면 聖留窟 : 임진왜란 당시 불상을 구하기 위하여 잠시 안치했던 곳.

④ 전북 남원군 산내면 般若峯 : 슬기와 지혜를 의미하는 불교 용어.

⑤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佛堂리



10. 형상·색채와 관련된 지명


1) 대소(大小)와 관련된 지명


① 전북 남원군 大山면 : 충남 서산시에도 대산면이 있음.

② 충남 大川시

③ 경남 진양군 大谷면

④ 전북 옥구군 大野면

⑤ 대전시 大德구 : 大田 + 懷德

⑥ 인천시 옹진군 大靑島·小靑島

⑦ 경북 봉화군 小川면

⑧ 서울 중구 小公동 ☜ 공주골 : 조선 태종의 작은 공주인 경정공주의 궁궐이 있었음.


2) 고저(高低)와 관련된 지명


① 함경남도 高原군 : 高州(지대가 높은 고을) + 洪原(넓은 들)

② 전북 완주군 高山면

③ 서울 서대문구 峴底동 : 무악재 밑 동네

④ 충북 영동군 용산면 山底리


3) 좁고 넓음(廣狹)과 관련된 지명


① 서울 종로구 廣橋 : 청계천을 건너던 넓은 다리가 광교.

② 전북 김제시 廣活면 :일제 강점기에 간척한 곳. 정말 광활하다는 느낌이 든다.

③ 경기도 파주군 廣灘면 : 넓은 여울을 의미. 쉼터의 하나인 광탄원이 있었음.

④ 충남 洪城군 ☜ 洪州 : 넓은 고을

⑤ 경남 합천군(陜川郡) : 합(陜) =협(陜). 좁은 내를 의미


4) 색(黑白赤靑)과 관련된 지명


① 전남 신안군 黑山면 : 대흑산도, 소흑산도. 암석이 검은색 화산암류

② 전북 김제시 白山면 : 화강암이 풍화된 흰색의 구릉성 산지

※ 경기도 양주준 白石면, 경남 삼천포시 白川면, 충북 제원군 白雲면, 인천시 옹진군 白翎島

③ 충북 단양군 赤城면 : 석회암 풍화토와 관련. cf) 경북 영풍군 丹山면 : 두 곳은 인접 지역

④ 경북 산청군 丹城면 : 고령토와 관련. 적색토

⑤ 전남 신안군 흑산면 紅島 : 적색 사암과 관련

⑥ 경기도 포천군 靑山면, 전남 완도군 靑山島

⑦ 충남 보령군 靑蘿면 : "푸른 담쟁이"가 우거진 곳

⑧ 경남 하동

우리나라전국 지명 나열 되어있는...

... 관련된 지명이 많다. ① 경북 迎日郡 : 바다 위로 해가 솟는 모습을 가장 잘 바라볼 수 있는 곳. 해맞이의 장소. ② 금강산과 제주 성산포의 日出峰 : 해 돋는 봉우리 ③ 전남...

우리나라 속담좀 여러개 알려주세요

우리나라 속담좀 여러개 알려주세요 [속담 200개] 1. 물을... 권세가 있는 사람들의 도움에 헛된 욕심을 두지 말고... 팔도를 무른 메주 밟듯 전국 방방곡곡을 두루 돌아다님을...

우리나라 전국중에 있는 도깨비 도로좀...

우리나라있는 도깨비도로 위치좀 알려주세요. 참고 하세요... 2000년도에 발견돼 전국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도깨비도로 체험을 하기에도 딱 좋다. 출처...전 사이트

학과 나열있는 사이트좀 알려주세요.

대학교 학과 나열있는 사이트좀 알려주세요. 아님 학과 전부다 소개 주세요 ! www.jinhak.co.kr 진학사 라는 곳 홈페이지 입니다. 이곳에 가면 우리나라 전체 전문대...

우리나라 전국있는 호텔 특 1,2급좀...

... 우리나라 전국 ! 전국있는 호텔 특 1급과 2급좀 알려주세요 ㅠㅠ.. 내공걸어요 !!!!!!!!!!! 전국 특1급, 2급, 1급, 2급 미정 까지 전부 조사해놓은 자료가 있습니다. PDF...

이런걸 알 수 있는 사이트 좀 알려주세요.

... 나오는 사이트 알고 있음 알려주세요. 정사로는 흔히... 구성되어 있는데, 고대 우리나라의 역사·신앙·풍습... 세조가 전국에 수집 명령을 내린 〈삼성기〉와 책명이...

우리나라있는 종교들좀 알려주세요

그냥 궁금해서인데 우리나라있는 종교들좀 알려주세요 제가 알고있는게 불교 원불교... 증산도는 전국의 각 중소도시에 상제님의 개벽진리를 배우고,수도하는 수많은...

우리나라가 보유하고있는세계유산좀...

우리나라가 보유하고있는 세계유산 좀 알려주세요 (7가지중3가지)라고 숙제가... 그 후에도 여러 번 화재가 있었으며, 1917년에 대조전·희정당 일곽이 소실되어 1920년에...

우리나라전국 방언좀 알려주세요

우리나라의 방언분포좀 알려주세요 그리고... 지위에 있는, 그만큼 세련되지 못하고 격을 갖추지 못한 열등... 대상이 되어 오기는 하였다. 인도에서의카스트에 의해 분화된...

알수 있는 사이트 좀 알려주세요

우리문화유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ㅡ 공부할 수 잇는 사이트 추천해 주세요. 2곳만.. ㄳ - 창덕궁... 소실되어 1920년에 경복궁의 교태전·강녕전 등 많은 건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