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에 남인계열의 실학자 일부가 천주교를 신앙으로 수용한 이유가...

조선후기에 남인계열의 실학자 일부가 천주교를 신앙으로 수용한 이유가...

작성일 2005.11.24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조선후기에 이익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하는 남인계열의 실학자 일부가 천주교를 신앙으로 수용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그리고 천주교와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시기가 다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조선에 천주교가 처음 전해진 것은 17세기초에 '서학'이라는 학문으로서 전해진 것입니다.

 

청나라를 통해 전해진 서양의 문물에 대해 실학자들은 처음에는 순수하게 학문적, 사상적 호기심을 갖고 접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들 중 일부는 천주실의 등의 천주교 서적을 통해 천주교 사상에 심취하게 되었습니다.(당시에는 천주교가 아니라 천주학이라고 했습니다.)

 

특히 남인들은 서인 벽파에 의해 관직 길이 거의 막혀 있어서 과거 공부보다는 좀 더 다른 학문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런 것이 남인들에게 천주학이 퍼지게 된 요인 중 하나입니다.

 

조선의 천주교는 이들에 의해 자생적으로 퍼져나가기 시작합니다.

 

이벽의 권유로 천주학을 접하게 된 이승훈이 북경에 갔다오면서 세례를 받아 최초의 영세교인이 되었고 남인을 중심으로 퍼져나가게 되었으며 차차 몰락한 양반, 중인, 상민, 부녀자들에게 전파되게 됩니다.

 

 

개신교는 19세기 후반에 조선에 들어온 선교사들에 의해 전파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조선의 종교

실학

실학의 뜻 : 현실에 쓸모 있는 학문을 연구하며 사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진리를 탐구하는 것.


2. 실학연구의 출발

1890년대의 애국계몽운동가, 개화 사상가들에 의해 주목되기 시작함.

정약용의 사상에 연구 집중→1929년 정인보(학문적, 사상적 연구)→조선후기 신학풍→실학.

본격적인 실학 연구: 1934년 민족문화의 건설 '조선학운동' , '조선 문화 부흥운동'.


3. 실학연구의 본격화

① 8.15 광복 전 : 청나라 문화, 서구문화의 영향에 중점.

② 8.15 광복 후 : 실학파들이 주장한 내용의 본질파악.

③ 천관우 : 실학의 발전과정 : 준비기, 맹아기, 전성기.

실학의 성격 : 자유성, 현실성, 과학성.


4. 실학의 발생배경

① 내재적 배경: 정권에서 소외될 사상가들을 중심으로 사회현상에 대한 농민의 어려움을 대변하는 사상을 내세워 경제 변화에 대처하는 발전적 개혁방안을 제시하게 되었는데 당시의 사회상황을 해결하여 전통 질서의 붕괴를 막고 국가체제를 강화 하려는 정진적 개혁.


② 외부적인 요인: 17세기 이후 조선의 들은 외부의 새로운 사상과 기술 문명을 접함으로써 18세기 들의 개혁이념과 조선후기 실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5. 실학의 흐름


태동기 :정주학적 세계에 대한 회의를 나타내며 새로운 자아각성의 시대로 접어들기 시작하는 시기.


성숙기 :사상적 측면보다는 자유롭고 다양한 현실적 분야에 관심을 기울여정치.경제.사회.역사.지리.사상.어문 등 각 분야에 걸쳐 많은 업적 이룩.


전성기 :영조, 정조의 탕평책과 문운 흥기책으로 실학은 크게 고무받아 국가사업에 반영 되던 시기, 구체적 내용을 담은 이용 후 생론을 추구함.


쇠퇴기 :실학이 쇠퇴의 기미를 보이며 세력도 크게 약화되면서 이용후생학파는 문체반정의 탄압을 당하고 경세치용파는 천주교 교란에 휘말린 뒤 실학은 더 이상 적극적 개혁의지를 나타내지 않게 됨. 실학사상의 경향.


① 경세치용학파 : 17세기 전반∼18세기 전반의 시기로 반계에서 이익까지 포괄함. 이익에 의해 주도되어서 '성호학파' 라고도 함. 여러가지 국가적 수탈이 계속된 때와 화폐유통과 더불어 도시의 상업 고리대 자본이 농촌에 침입해서 농민을 토지로부터 이탈시켜 농촌은 파탄에 빠지게 된 것을 기존학설인 예학, 성리학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면서 비생산적이며 관념론적 학문에 반발하여 당시의 학문을 정치, 경제적 현실관계로 방향을 돌리게 했다.


② 이용후생의 학파: 이용후생이란 말은 서경에서 유래된 것.


이용 :기구를 만들고 재화를 잘 유통시켜 백성들의 쓰임을 이롭게 한다는 뜻.


후생 : 백성이 비단옷 입고 고기 먹으며 배고프지 않고 춥지 않도록 하라는 뜻.


주장한점 : 선진제국의 발전된 새지식과 기술을 도입할 것과 당시 대명 의리의 분위기를 무릅쓰고 청나라의 발전한 문물제도와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수용하자는 북학사상을 주창했다.



북학파 :연암 박지원을 중심으로 한 이용후생의 학파를 말한다. 이들 북학파는 직접 중국을 여행하여 견골을 넓히고 상공업 및 모든 산업의 진흥을 위한 제도개선과 기술혁신을 이룩하여 경국제민을 하자고 주장했다.


③ 실사구시 학파 : 반계에서 시작하는 후기 신학풍의 총칭으로서의 실학인데 축소된 협의의 개념으로는 19세기 전반의 고증학파로 한정된다. 이전 실학자들이 연구방법을 계승하면서 학문 자체를 목적으로 삼아 엄격한 객관적 태도를 확립하고 순수한 학문적 차원에서 실학을 발전시키자는 모습으로 전환했다.

※ 추사(秋史, 김정희)에 의해 발전된 고증학에서는 한대의 훈고학에 기초한 연구에 몰입해야 경전의 뜻을 제대로 밝힐 수 있다는 것을 말함.


결과 : 근대적, 실증적 과학연구태도를 확립하는데 공헌.


6.실학사상의 의의

① 의의: 실학은 실용에 대한 관심, 현실비판정신, 실증적 방법론, 개방적 태도, 주체적 입장을 가진 학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민족의식과 근대지향 의식을 가진 것이라고 규정지었다.

② 성격: 봉건사회의 여러 현상에 대한 회의와 반항의 성격 유교를 근거로 한 봉건사회의 규범 안에서 형성됨. 실천에 있어서도 보수적인 태도가 보인다.

③ 의미: 정체된 봉건사회를 극복하고 근대정신을 잉태하는 태반의 역할을 담당한 것.

④ 결론: 실학은 민족과 민족문화에 대한 주체적 인식을 전제로 한 조선 후기의 근대 지향적 과도기 사상이다


동학

1860년(철종 11) 경주(慶州) 사람 최제우(崔濟愚)에 의하여 창도된 조선 후기의 대표적 신종교이다.


최제우는 서학에 대처하여 민족의 주체성과 도덕관을 바로 세우고, 국권을 튼튼하게 다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도(道)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구세제민(救世濟民)의 큰 뜻을 품고 양산(梁山) 천수산(千壽山)의 암굴 속에서 수도하면서 도를 갈구(渴求)한 지 수년 만에 ‘한울님(上帝)’의 계시를 받아 ‘동학’이라는 대도(大道)를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동학은 서학에 대응할 만한 동토(東土) 한국의 종교라는 뜻으로, 그 사상의 기본은 종래의 풍수사상과 유(儒)·불(佛)·선(仙:道敎)의 교리를 토대로 하여, ‘인내천(人乃天) 천심즉인심(天心卽人心)’의 사상에 두고 있다. ‘인내천’의 사상은 인간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지상천국(地上天國)의 이념과 만민평등의 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기에는 종래의 유교적 윤리와 퇴폐한 양반사회의 질서를 부정하는 반봉건적이며 혁명적인 성격이 내포되어 있었다.


한편, 동학은 신분·적서(嫡庶)제도 등에도 반기를 들어 이를 비판하였으므로, 그 대중적이고 현실적인 교리는 당시사회적 불안과 질병이 크게 유행하던삼남지방에서 신속히 전파되었다. 포교를 시작한 지 불과 3,4년 사이에 교세는 경상도·충청도·전라도지방으로 확산되었으며, 이같은 추세를 지켜보던 조정에서는 동학도 서학과 마찬가지로 불온한 사상적 집단이며 민심을 현혹시키는 또 하나의 사교(邪敎)라고 단정하고 탄압을 가하기 시작하였고, 마침내 1863년에는 최제우를 비롯한 20여 명의 동학교도들이 혹세무민(惑世誣民)의 죄로 체포되어, 최제우는 이듬해 대구에서 사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최제우를 비롯한 많은 교인들이 순교한 후에도 조정의 탄압이 계속되자 교인들은 지하로 숨어들어가 신앙생활을 계속하게 되었고, 한편 최제우의 뒤를 이은 2세 교조최시형(崔時亨:海月)은태백산소백산지역에서 은밀히 교세를 정비·강화하였다. 전부터 내려오던 접주(接主)제도를 확대 개편하여, 교인들의 일단(一團)을 ‘포(包)’라 하고 여기에 포주(包主)를 두었다.


포주 위에는 접주·대접주, 그 위에 도주(道主)·대도주를 두는 한편, 포주·접주 밑에는 ‘육임(六任)’이라 하여 교장(敎長)·교수(敎授)·교집(敎執)·교강(敎綱)·대중(大中)·중정(中正)을 두었다. 이와 같이 대중 속에 조직된 동학은 1894년(고종 31)에 발생한 동학농민전쟁의 주체가 되었고, 이 때 사형을 당한 최시형의 뒤를 이은 3세 교주손병희(孫秉熙)는 동학을천도교(天道敎)로 개칭하여 계속 교세확장에 힘쓰게 되었다. 한편 동학은 이 때 시천교(侍天敎)라는 또 하나의 교파가 분리되었다.

천주교

18세기 후반에 이익의 문인들을 중심으로 한 일부 학자들은 서학(西學)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넓혔는데, 그 중의 일부는 신앙의 차원에서 천주교를 믿기 시작하였다. 이벽(李檗)·이가환(李家煥) ·이승훈(李承薰) 등은 천주교를 신봉한 대표적인 학자들이었다. 그들은 유교의 근본원리인 충효(忠孝)를 바탕으로 하여 천주교의 구세복음사상(救世福音思想)을 받아들임으로써 새로운 윤리체계를 수립하려고 노력하는 한편, 중인(中人) ·상민을 대상으로 포교활동을 전개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이리하여 천주교는 서양의 선교사가 들어오기도 전에 주체적으로 수용되어 신앙의 터전을 닦았으나, 신자가 늘어갈수록 유교적 전례문제와 기존 가치관과의 갈등을 보였다.

또한, 만민평등을 주장하여 양반 중심의 신분질서에도 위협을 주게 되어, 마침내 조정에서는 사교로 규정하여 금령을 내리고, 순조 때의 신유교난(辛酉敎難), 헌종 때의 기해교난(己亥敎難), 고종 때의 병인교난(丙寅敎難) 등 세 차례의 큰 박해를 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세는 갈수록 번성하여, 1831년에는 조선교구(朝鮮敎區)가 독립되었고, 1845년에는 한국 최초로 김대건(金大建)이 신부가 되었다.


<천주교>


천주교는 천주실의가 들어오면서 학자들 사이에서 서학이란 이름으로 연구가 됐습니다. 원래 천주교가 먼저 성행한 것은 하나의 학문이라고 양반부터 성행했는데, 천주교가 인간평등사상과 제사를 거부하자, 양반은 그것을 반대하고 서민들이 많이 믿게 된 것이죠. 또 그때 쯤 부터 '천주교'라는 종교로 바뀌게 된것이고요.

정조 때에는 이승훈이 베이징에서 영세를 받고 돌아와 신앙활동이 더 두드러졌습니다.



이후 천주교 신자들이 급속도로 늘어나서 철종 때에는 천주교신자의 수가 2만 명에 이르렀습니다. 그리고 천주교의 세력이 자꾸만 세지자, 순조 때에는 법으로 천주교를 금하였습니다.



천주교는 로마가톨릭의 한국 칭호이며, 그리스도교 중에 하나입니다.

천주교(가톨릭)가 한국에 공식적으로 전파된 것은 1784년 이승훈이 북경에서 선교사들을 만나 믿고 세례를 받은 후 전래되었습니다.

그 후 학자였던 정약종. 정약전. 정약용 삼형제와 이덕조. 권일신 등이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중국에 역관으로 가있던 김범우가 세례를 받고 왔습니다.

이들은 후에 핍박으로 인하여 순교를 당하게 되었습니다.

천주교는 일반에서 서학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서양학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실학자와 업적


1. 농업 연구


유형원 (柳馨遠 1622∼1673)  조선 중기 실학자. 자는 덕부(德夫), 호는 반계(磻溪).

 - 토지제도를 개혁하여 농민에게 농사지을 땅을 줄 것을 주장함.  '반계수록' 저술


이익 (李瀷 1681∼1763)  조선 후기 실학자. 자는 자신(子新), 호는 성호(星湖).

 - 농민의 입장에서 자급자족적인 농업사회의 이상을 성취하고자하는 개혁 방법을 제시함. '성호사설' 저술


2. 상공업 연구


유수원 (柳壽垣 1694∼1755) 조선 후기 문신·실학자. 자는 남로(南老), 호는 농암(聾庵).

 - 상공업을 통해 농업 중심의 경제 구조의 개혁을 주장함. '우서' 저술


박제가 (朴齊家 1750∼1805)  조선 후기의 실학자. 자는 차수(次修), 호는 초정(楚亭)·위항도인(葦杭道人).

 - 상공업을 발달시키고 중국의 새로운 기술과 문물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함. '북학의' 저술


박지원 (朴趾源 1737∼1805)  조선 후기 문신·실학자. 자는 중미(仲美), 호는 연암(燕巖). 

 - 상업기술 익히기를 권장하고, 화폐 사용을 강조함. '열하일기' 저술


3. 과학과 기술 연구


홍대용 (洪大容 1731∼1783) 조선 후기 실학자. 자는 덕보(德保), 호는 홍지(弘之).

- 서양의 근대적 천문학에 관심을 가짐[지동설 주장], '의산문답', '담현서' 저술


4. 역사, 지리, 언어 연구


유득공 (柳得恭 1749∼?) 조선 후기 실학자. 자는 혜보(惠甫)·혜풍(惠風), 호는 영재·영암·고운당(古芸堂). 

- 발해의 역사를 우리나라의 역사로 다룸. '발해고'저술


김정호 (金正浩 ?∼?) 조선 후기 실학자·지리학자. 자는 백원(伯元)·백온(伯溫)·백지(伯之), 호는 고산자(古山子).

- 직접 해안을 걸어다니고 높은 산에 오르며 '대동여지도'를 완성함.


유희 (柳僖 1773∼1837) 조선 후기 실학자·음운학자. 자는 계신(戒伸), 호는 서파(西陂).

 - 한글의 우수성을 중국 글자와 비교해서 강조함. '언문지' 저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천주학(서학)이란?

<전래>

정조 때 명나라에서 이수광이 <천주실의>라는 책을 가져오면서 전파되기 시작했으며 서학이라는 이름으로 연구되다가 신앙으로 받아들여졌고 상민과 부녀자들에게 퍼졌습니다.

<박해>

당시의 유교 사회 질서인 남녀 차별과 제사 의식을 금지하는 등 성리학 중심의 사회 질서를 부정하였습니다.

정조 때에는 박해가 심하지 않았으나 순조 때에는 황사영이 프랑스에 군대 동원을 요구하는 편지를 보내려다 발각되는 사건이 벌어지고 천주교를 믿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나라에서는 천주교를 금지하는 포고령을 내려 천주교를 믿고 있던 수백 명의 신도들을

처형하거나 유배시켰습니다.

<영향>

신분 제도의 모순을 알게 되었고, 서양 기술과 학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조선후기에 남인계열의 실학자 일부가...

조선후기에 이익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하는 남인계열의 실학자 일부가 천주교를 신앙으로 수용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그리고 천주교와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시기가...

조선후기 민간신앙천주교, 동학에...

... 조선후기 민간신앙천주교, 동학에 대하여 좀 갈켜... 조선 후기 우리 나라에 서양문물이 전해지면서 일부... 못한 남인 학자나 중인들이 천주교를 많이 믿었으나 점차...

조선후기 민간신앙 천주교 동학에 대해...

... 민간신앙.천주교.동학에 대해 알려주세요 [천주교] 조선 후기 우리 나라에 서양문물이 전해지면서 일부 학자들이... 못한 남인 학자나 중인들이 천주교를 많이 믿었으나. 점차...

조선후기의 사회 모습변화원인과 변화...

... * 신앙 신앙의 변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양반에 대한 측면과 서민에 대한 측면이죠. 일단 양반들은 조선 후기에 '서학(천주교)' 를 일부 수용하기 시작합니다. 물론...

조선 후기 실학자에 대해~

... 1.조선후기실학자 박제가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2.... 북학파 계열로, 상공업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중상주의를... 후에 성호학파는 천주교 문제를 놓고.공서파(功西派)와...

조선후기의 민간 신앙이 성행한 이유

조선시대후기에 민간신앙이 성행했던 이유는 그 시기에 돈으로 양반이라는 지위를 살... 들어오게되자, 일부 학자들이 천주교를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조선에 알려지게...

조선 후기의 종교 간단히 정리..(천주교...

조선후기의 종교 간단히 정리해 주세요 1.천주교 2.동학 3.민간신앙 6학년 사회책보고 배껴서라도 최대한 빨리... 그러다가 점차 일부 학자들이 천주교를 신앙으로 받아 드리게...

조선후기 실학자!!!

학교 숙제인데 조선후기 실학자 누구있고 그 실학자가... 18c전반 중농학파·경세치용(서울·경기농촌 남인) 지주제... 형성·천주교 비판·폐전론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