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실학자에 대해~

조선 후기 실학자에 대해~

작성일 2011.11.17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내일 학교에서 뭘 해야하는데..

조선 후기의 실학자를 쌤이 조사해오래요 ㅠㅠ

그래서말인데용!!

1.조선후기의 실학자 박제가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2.조선후기의 실학자 유득공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3.조선후기의 실학자 박지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4.조선후기의 실학자 정약용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5.내가 실학자라면??에대해서 생각해오라네요;; 생각하기싫으니까 알려주세여;;

 

내공35~~~~

 

내공냠냠 죽어요 ㅎㅎ

 

오늘안에!! 최대한 빨리욧!!!!!


#조선 후기 #조선 후기 연도 #조선 후기 기준 #조선 후기 사회 모습 #조선 후기 미술 특징 #조선 후기 양반 몰락 #조선 후기 한복 #조선 후기 경제 #조선 후기 사회 문제점 #조선 후기 농업의 발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실학주요관점1

 

실학: 조선후기에 백성들이 잘살고 나라가 튼튼해지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사실을 바탕으로 진리를 탐구하는 실사구시의 학문이다.

사람들이 실제 생활에 활용할 수있는 학문이다.

백성들의 생활을 향상시키는 학문이다.

 

 

실학자 주요주장과이론

 

 

1. 농업 연구

유형원: 토지 제도를 바로잡아 농사를 짓는 사람만이 토지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반계수록 지음.

정약용(실학의 아버지): 실학 연구를 집대성하고, 관리들은 백성을 위한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목민심서, 경세유표, 여유당전서 지음.

 

 

2. 상공업 연구

박지원: 상업기술을 익히고, 화폐를 사용할 것을 주장. 열하일기 지음.

박제가: 상공업을 발달시키고, 중국의 새로운 기술과 문물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북학의 지음.

 

 

3. 과학 기술 연구

홍대용: 지동설을 주장하는 등 서양의 근대적인 천문학에 관심을 가짐. 의산문답 지음.

정약용: 화성을 설계하고, 거중기를 만들어 성을 쌓는 기간과 경비를 크게 절감함.

 

 

4. 지리, 역사, 국어 연구

김정호: 대동여지도: 산맥, 하천, 도로망 등이 자세히 표시 

이중환: 우리나라의 지리적 환경과 각 지역의 경제, 생활, 풍속을 자세히 조사하여 택지리를 지음

유득공: 발해의 역사를 우리 역사로 다룸발해고 지음.

유희: 한글의 우수성을 강조. 언문지 지음.

 

 

 

득공(柳得恭)

1748~1807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시인이며, 사상가이자 역사학자이다. 조선 정조때의 실학자이다.

1779(정조 3) 규장각검서(奎章閣檢書)가 되었으며 포천, 제천, 양근 등의 군수를 거쳐 풍천부사에 이르렀다. 외직에 있으면서도 검서를 겸임하여 이덕무(李德懋박제가(朴齊家서이수(徐理修) 등과 함께 4검서라고 불렸다. 서얼출신 학자로 실학사상가이면서 역사가, 발해고의 저자였다. 발해사를 한국사로 인식하기 시작한 학자이기도 하다.

 

 

업적

한국사연구

국사의 독자적인 발전과 체계화를 위해 역사연구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는 단군조선에서 고려에 이르기까지 한민족이 세운 21개 국가의 도읍지를 답사하여 역대 국가들의 도읍지돌의 전도(奠都) 및 번영을 읊은 43편의 회고시로서 역사의 전개과정에서 민족의 주체의식을 되새겨보려는 역사의식이 잘 나타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발해사 연구

그는 최초로 발해사에 관심을 갖고, 발해사가 고구려의 유민들에 의해 건국되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그는 발해를 고구려의 계승자로 봤고,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를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이를 조선 역사의 체계 안에 포함시켜야 함을 주장했다. 또한 기존의 통일신라설에 이의를 제기하고 신라와 발해가 병존했던 시기를 남북국시대(南北國時代)로 규정했다.

 

주요저서

 

경도잡지(京都雜誌)

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

발해고(渤海考)

사군지(四郡志)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영재집》

《앙엽기(盎葉記)  

화이관 [華夷觀]이란 중화사상(中華思想)을 말합니다

 

 

박지원(朴趾源, 1737 ~ 1805 음력 2 5)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소설가이다.

홍대용, 박제가 등과 함께 청나라의 우수한 점을 배워야 한다는 북학파 계열로, 상공업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중상주의를 주장하였다. 그의 제자로는 박제가, 유득공, 이덕무 등이 있다.

 

박제가(朴齊家, 1750~1805/1815) 조선 후기 정치,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다. 자는 재선(在先), 차수(次修), 수기(修其), 호는 초정(楚亭), 정유(貞否), 위항도인(葦杭道人)이며,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청나라의 선진 문물 수용과 중상주의 경제 정책을 주장했다.

 

 

이덕무(李德懋, 1741 ~ 1793) 조선 후기의 실학 북학자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무관(懋官)이며 호는 형암(炯庵), 아정(雅亭), 청장관(靑莊館)이다.

 

홍대용(洪大容, 1731 ~ 1783)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과학 사상가이다. 자는 덕보(德保), 호는 담헌(湛軒)과 홍지(弘之)이며,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북학파(北學派)의 학자인 박지원, 박제가 등과 우정을 쌓았으며, 학풍은 유학보다도 군국과 경제장려에 치중하였다.

 

유득공(柳得恭, 1748 음력 11 5(양력 1749 1 3)~1807 음력 9 1(양력 10 1) 조선 정조 때의 실학자이다. 본관은 문화[1], 자는 혜보(惠甫혜풍(惠風), 호는 영재(泠齋), 영암(泠菴), 가상루(歌商樓), 고운거사 (古芸居士), 고운당(古芸堂), 은휘당(恩暉堂)이다.

 

이익

본관 우봉(牛峰). 자 계우(季羽). 호 농재(農齋). 시호 문정(文貞). 1652(효종 3) 진사에 합격, 1657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세자시강원에 들어가 설서(說書)를 거쳐 사서(司書)가 되었다. 1659년 정언(正言), 1660(현종 1) 사간이 되어 송시열(宋時烈)을 무고하는 유세철(柳世哲) 등을 탄핵하였다. 그 후 승정원동부승지 ·대사간 ·이조참의 ·원양도(原襄道) 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홍문관부수찬 때 송시열이 귀양가게 되자 양덕(陽德)에 유배되었다.

이듬해 경신대출척(일명 경신환국)으로 풀려나 동부승지로 복관, 대사헌 ·홍문관부제학 ·경상도관찰사 ·형조판서를 거쳐 이조판서로 있을 때 서인이 노론(老論) ·소론(少論)으로 분열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갔다. 그 후 강화부유수(江華府留守) ·경기도관찰사 등을 거쳐 1688(숙종 14) 다시 이조판서가 되었으나 이듬해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장흥부(長興府)에 귀양가 죽었다. 청렴강직하고 문장에 능하여 《수교집록(受敎輯錄)》을 편찬하였다.

 

이익의사상

나라가발전하지않는이유로

1.노비제도

2.과거제도

3.양반제도

4.미신

5.승려

6.나태

 

특히 봉건적 계급 관계의 표현인..
반상(班常) 차별, 문벌, 적서(嫡庶) 차별, 노비 제도를 철저히 비판하고..
이를 개혁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그의 이러한 개혁 사상은이후의 실학자들에게 새로운 시야를 열어주게 됩니다.
후에 성호학파는 천주교 문제를 놓고.공서파(功西派)와 신서파(信西派)로 나누어져 각각 발전하는 계기가 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름

실학자들의 주장과 펴낸 책

유형원

농민에게 토지를 나누어 줄 것을 주장하였음.

→≪반계수록

이익

농가에 사고파는 것이 불가능한 토지를 줄 것을 주장하였음.

→≪성호사설

정약용

토지 제도와 세금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음.

→≪경세유표,목민심서

박지원

상업을 권장하고 화폐 사용을 강조하였음.

→≪열하일기

박제가

상공업발달과 청나라의 선진 문물을 받아 들여야 한다고 주장하였음.

→≪북학의

홍대용

지동설을 주장하는 등 서양의 근대적인 천문학에도 관심을 가졌음.

→≪의신문답

유득공

발새의 역사를 우리나라의 역사로 다룸.

→≪발해고

김정호

직접 우리나라를 돌아다니며 지도를 제작함.

→≪대동여지도제작

유희

한글의 우수성을 한자와 비교해 강조함.

→≪언문지

정약전

유배지 흑산도에서 흑산도 주변 물고기와 바다생물을 관찰함.

→≪자선어보

 

학 운동에 힘쓴 학자들

1. 유형원, 이익, 정약용, 유수원, 박제가, 박지원, 홍대용 등이 있습니다.

2. 실학자들은 사회를 개혁하기 위해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개혁을 주장하였습니다.

 

실학자들의 주장(간단하게)

1. 정치 분야: 지방관은 백성을 위해 일을 해야 합니다.

2. 경제 분야: 직접 농사를 짓는 사람만 토지를 가져야 하고, 화물을 싣고 나를 때에는

 배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는 산이 많고 길이 좁기 때문입니다. )

3. 사회 분야: 신분 차별을 없애고 노비를 해방시켜야 합니다.

4. 학문 분야: 학문은 이용후생에 도움이 되어야 합니다.

 

 

실학자들의 주장  

 실학자들은 사회를 개혁하기 위해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1) 직접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토지를 가지게 하고 농사를 짓지 않는 사람들은 토지를 갖지 못하게 하여야 한다.

(2) 우리나라의 지형에 대하여 잘 알아야 하며 우리나라는 산이 많고 길이 좁으므로 화물을 말에 싣고 다니는 것보다 배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3) 많은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도 신분이 좋지 않으면 그의 능력을 발휘할 기회조차 갖지 못한다. 그러므로 누구나 자신의 능력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도록 신분 차별을 없애고 노비를 없애야 한다.

(4) 백성들이 지방관을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라 지방관이 백성을 위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방의 관리들은 백성들을 위한 정치를 해야 한다.

(5) 학문은 나라를 부강하게 하는 데에 도움을 주어야 하고, 백성들의 실생활에서의 쓰임과  생활을 풍족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박제가
★주장: 상공업을 발달시키고 중국의 새로운 기술과 문물을 받아들여야
나라가 발전한다고 주장함.
★업적: 북학의를 저술하였고 나라의 발전을 위해 기여를 함.
북학의는 정치.사회 제도의 모순점과 개혁 방안뿐만 아니라 생활 도구의 개선을 다룸.

2.신숙

★주장: 모내기와 이모작을 권장하고 주장.

★업적: 농사에 관한 책을 지어 농서 보급에 힘씀.

 

3. 정약용

★주장: 관리들은 백성을 위해 바른 정치를 해야 한다고 주장함.

★업적: 실학연구를 집대성 했고 화성을 설계하고 거중기를 만듦.

           '목민심서','여유당전서','흠흠신서','경세유표' 등을 저술함

 

4.홍대용

★주장: 지동설 및 지구 자전설을 주장하였고 서양의 근대적인 천문학에 관심을 가짐.

★업적: 중국에서 천문 기술을 배워 와서 혼천의를 만듦.

           (※여기서 말하는 혼천의는 장영실이 만든 혼천의가 아님.)

 

 

5.유형원

★주장: 정치, 경제,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기울여 국가 체제 전반에 대한 개혁안을 제시하고 사실을 중시하는 학문 태도를 주장

★업적: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조선 후기 실학 발전의 토대를 쌓은 인물이다. 그가 지은 '반계수록'에는 토지 제도, 조세 제도, 교육 제도, 과거 제도, 관리 임용 제도, 군사 제도 등 다방면에 걸친 개혁안이 담겨 있었다. 특히 농민들에게 땅을 고루 나누어 주자는 균전제는 이후 실학자들의 토지 제도 개혁안의 출발점이 되었다.

6.이익

★주장:노비 제도, 과거 제도, 양반 문벌 제도, 미신, 승려, 게으름을 국가 발전을 해치는 6가지 원인이라고 말했으며, 농업을 향상시키고 농민을 보호하자고 주장하였다

★업적: 유형원의 학풍을 이어 실학의 대가가 되었으며, 정약용을 비롯한 후대 실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이익은 경제, 제도, 군사, 천문, 지리, 역사, 풍속 등 광범한 분야에서 학문을 깊이 연구하여 많은 업적을 남겼다.
.

실학자들의 주장.

 

정치면:지방관은 백성을 위해 일을 해야함

 

사회면:신분 차별을 없애고 노비를 해방시켜야 함.

 

경제면:직접 농사를 짓는 사람이 토지를 가지게 해야 하고  우리 나라는 산이 많고 길이 좁으므로 화물을 말에 싣고 다니는 것보다 배를 이용  하 는 것이 유리함

 

 

출처 :태양신  musul  님

 

사진

 

 박제가 님

 

 신숙 님

 

 정약용 님

 

 

 

 

 

 

 

 

 

 홍대용 님

 

 

 

 

유형원님의 묘입니다. 에 유형원님의 사진 이없어서 대신에 올립니다. ↑

 

 이익 님

조선 후기 실학자에 대해~

... 1.조선후기실학자 박제가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2.조선후기실학자 유득공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3.조선후기실학자 박지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4.조선후기의...

조선후기 실학자이자 소설가 박지원

조선후기 실학자이자 소설가인 박지원에 대해 가상 인터뷰를 해야 하는데요 박지원에게 물어볼만한 질문 거리가 무엇이 있을 까요? 조선 후기실학자이자 소설가인 박지원에...

조선후기 실학자에 대해서,,

조선후기 실학자에 대하여 알아오라고 하던데요..정약용.이익.박제가에 대해서 간단하게 5줄~10줄 안으로 하세요.. 내공 걸어요..빨리 해주면 조쿠요.. 요약 꼭~! 해주세요....

급구!! 조선후기 실학자

... 조선후기 실학자 3명 이름 그가 한일에 대해 조사해오라네요...ㅠ 급구요!!오늘안에 해주시면 감사요 내공은 팍팍!!드림 유형원 (1622∼1673) 조선 중기 실학자. 자는 덕부...

조선후기 실학자

... 안해가면 혼나요 내공 40드립니다 김정호 조선 후기 실학자·지리학자. 황해도 출생.... 저서로는 조선의 문자·역사·지리·문화 등에 대해 독특한 견해를 밝힌 《주영편...

조선 후기실학자들의 주장과 활동

... 밖에 (조선 후기실학자 이름)에 대해 알아두면 좋은 점 : 사진 자료 등 추가(안 해도 됨) -------------------------------------------------------------------------------------------- 여기서...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주장과 활동

... ㅠ 제가 부탁할것은요 ,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주장과 활동 을 한 사람의 이름과... 저서로는 조선의 문자·역사·지리·문화 등에 대해 독특한 견해를 밝힌 《주영편(晝永篇)...

조선후기 실학자

조선후기 실학자(혁론자)의 개혁방안에 관해 논술해 주세요...!!! 조선후기 실학자... 점에 대해 비판한 바 있습니다. 또한, 수레, 배, 벽돌로 만든 성, 다리 등 청나라의...

조선후기 실학자에 대해 만화로 나타내야...

어떤 실학자를 하고 어떤 부분에 대해서 나타내야할까요? 8컷으로 해야하는데 차라리~ 한컷에 여러명의 실학자들을 그려서 그 실학자들의 업적을 실학자들이 직접 소개하는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