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을 빛낸 위인중 안용복이 있나요..? 궁금한데요, 숙제를 잘못한것 같...

부산을 빛낸 위인중 안용복이 있나요..? 궁금한데요, 숙제를 잘못한것 같...

작성일 2007.04.19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십니까? monster1047이랍니다. 반가워요~ ^^

 

그런데 부산을 빛낸 위인 중 안용복이라는 사람이 있나요?

 

궁금하기도하고 학교 숙제를 잘못해 간것 같아서...요..  맞나요?

 

내일까지 입니다.( 4월 20일까지.. ) 빠른 답변 부탁드려요 ^^

 

 


#부산을 빛낸 인물 #부산을 빛낸 역사적 인물 #부산을 빛낸 위인 #부산을 빛낸 #20세기 부산을 빛낸 인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저는 부산에 살고있습니다.

자주적으로 선생님께서 부산을 빛낸 위인을 조사하라고 하시는데요..시험에 꼭 나온다고...

안용복은 일본어부들을 내쫓고 독도를 지킨 부산을 빛낸 위인입니다.

위에분은 뭔가 잘못알고있는것 같은데요.

부산을 빛낸 유명한 위인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안용복 (安龍福, ?~?)

 

조선 때의 민간 외교가. 울릉도에 일본인들이 들어와 고기를 잡고 나무를 함부로 베어가자, 1693년(숙종 19년)에 울릉도로 건너가 일본인들을 모두 몰아 냈다.

 

1696년(숙종 22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스스로 울릉도, 우도의 감세관이라 일컫고, 울릉도와 독도가 우리의 땅임을 주장한 후 그들의 잘못을 엄하게 따져 끝내 사과를 받고 돌아왔다. 이듬해 일본 막부는 쓰시마 도주를 통하여 다시는 일본인이 울릉도와 독도에 침범하지 않겠다는 통지를 공식으로 보내 왔다.

 

2. 우장춘(禹長春, 1898~1959)

 

농학자. 일본에서 한국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났으며, 4세 때에 아버지를 여의고 고아원에서 자랐다. 온갖 고생을 하면서도 1919년에 도쿄 제국 대학 농학실과를 졸업하였다.

 

그 뒤, 1936년에 다윈의 진화론을 수정 내지는 보완한 ‘종의 합성설’이라고 하는 유명한 논문으로 농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피튜니아의 겹꽃 종자의 육종 방법을 밝힌 논문도 유명하다. 1950년에 귀국하여 한국 농업 연구소장 및 학술원 추천 회원이 되었다. 귀국 후 채소 우량 종자 및 무균 씨감자의 생산 체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또 ‘씨 없는 수박’의 국내 실험에 성공하였으며, 벼의 1식 2수작 연구에도 힘을 기울였다. 1959년에 대한 민국 문화 표창을 받았다.

 

3. 윤흥신(尹興信, ?~1592)

 

조선 중기의 문신인 윤흥신은 1582년( 15년)에 진천 현감이 되었으나, 문자를 해독하지 못한다고 하여 파직되었다.

 

그 뒤 변방으로 전출되어 1592년 다대포 첨사에 부임하였는데, 때마침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윤흥신 첨사는 왜군과 맞서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부산시 사하구 다대포에는 임진왜란 때 순국한 다대포 첨사 윤흥신과 전몰 장병을 위한 제단인 윤공단(부산 광역시 지정 기념물 제 9호)이 있고, 수영에도 25 의용단(부산 광역시 문화재 기념물 제 12호)이 있다.

 

4. 장영실(蔣英實, ?~?)

 

조선 시대 때의 과학자. 본디 관노로 농기구, 무기 등을 고치거나 만드는 솜씨가 뛰어났다. 1423년(세종 5년)에 왕의 특명으로 상의원 별좌가 되면서 노예의 신분에서 벗어나, 을 도와 천문의의 제작을 감독했다.

 

1434년에 우리 나라 최초의 물시계인 자격루를 완성하고, 1437년에는 소간의와 대간의를 비롯하여 해시계인 현주일귀, 앙부일귀, 정남일귀 등을 만들었다. 그리고 1441년에는 세계 최초의 우량계인 측우기를 발명하는 등 기계, 건축, 과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1442년에 직접 감독 제작한 왕의 가마가 부서져 불경죄로 벼슬에서 쫓겨났다.

 

5.송상현 [宋象賢, 1551~1592]

 

본관 여산. 자 덕구. 호 천곡·한천. 시호 충렬. 1570년(선조 3) 진사에, 1576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경성판관 따위를 지냈다.

 

1584년 종계변무사의 질정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 뒤 호조·예조·공조의 정랑 등을 거쳐 동래부사가 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적이 동래성에 육박하자 항전했으나 함락되게 되자 조복을 갈아입고 단정히 앉은 채 적병에게 살해되었다.

 

충절에 탄복한 적장은 시를 지어 제사지내 주었다. 이조판서·찬성이 추증되고, 동래 안락서원에 제향되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용복은 울릉도를 지킨 위인입니다..

부산을 빛낸 위인은 아닌것같은데요...

짧지만답변확정바람니다

부산을 빛낸 위인중 안용복이 있나요..?...

... 반가워요~ ^^ 그런데 부산을 빛낸 위인 중 안용복이라는 사람이 있나요? 궁금하기도하고 학교 숙제를 잘못해 간것 같아서...요.. 맞나요? 내일까지 입니다.( 4월 20일까지.....

부산을 빛낸위인,누가 있나요?

전 초딩3인데여 사회 숙제거든여 그래서 말인데 부산을 빛낸 위인중 누가있나요? 장영실,문시환등등....... (부산을 빛낸 위인) 1. 안용복 (?~?) 조선 때의 민간 외교가....

부산빛낸 위인들 누가 있나요??

... 사회숙제여서 찾아볼려고 합니다. 빨리 답변부탁합니다. 내일 까지여서 오늘 답변해주세요! (부산을 빛낸 위인들) 1. 안용복 (?~?) 조선 때의 민간 외교가. 울릉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