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림왕은 왜 불교를 수용했나요?

소수림왕은 왜 불교를 수용했나요?

작성일 2006.06.11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소수림왕이 왜 불교를 수용했나요?
또 태학 설립과 율령반포이유에 대해서

알고싶어요

국사수행평가인데요

저가 기자가되어서

소수림왕을 인터뷰하는거예요

저가 읽기 쉽게

간단하게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소수림왕(小獸林王)은 다른이름으로 소해주류왕 또는 해미류왕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구부이며 제16대 고국원왕의 아들로 355년(고국원왕 25) 정월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371년 10월에 부왕이 평양성(지금의 평양 대성산성)까지 진격해온 백제군을 맞아 싸우다 전사하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하였습니다.

소수림왕이 왜 불교를 수용했나?
소수림왕은 국제정세에 밝았을 뿐 아니라 정치감각도 뛰어난 인물이었습니다. 대네적으로는 아버지인 고국원왕의 대외진출기도의 실패 등으로 말미암은 고구려 사회의 동요를 막기위해서 대외적으로는 신흥강국으로 성장하고 있던 중국대륙의 부견의 전진과 화친을 맺는 것이 급선무라고 보았고, 또 한편으론 강남의 동진과도 돈독한 관계를 맺어둘 필요가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었습니다.이를 위해 소수림왕은 먼저 전진과 동진에서 크게 부흥하고 있던 불교를 적극 수용하여 종교적 일체감을 꾀하고 백제가 동진과 친하려하는것을 막아 백제를 고립시키려고 불교를 수용한것 입니다.


태학 설립과 율령반포이유에 대해서
소수림왕은 내부적으로는 중앙집권화를 꾀하고 왕권을 강화하려 하였습니다.그래서 문치주의를 표방하였습니다.태학을 세워 교육제도를 체계화하였습니다. 또한 율령을 반포하여 관습법에 의존하던 종래의 통치 형태를 극복하고 법치국가로서의 면모를 일신하였습니다.

이것은 부족국가시대 이래의 관습법체계를 일원적인 공법체계로 재구성하고 성문화함으로써 왕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적 국가체제의 정비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태학설립과 율령발표는 일련의 체제정비를 위한 시책으로 고구려가 4세기말∼5세기의 전성기를 맞이하는 데 기틀을 마련 해주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대국가에서의 불교수용은 사상의 통일과 왕권의 강화로 이어져 습니다. 고구려의 소수림왕은 동진에서 온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각 귀족들 마다 가지고 있는 조상신에 대한 사상을 하나로 통일을 할 수가 있어고 왕실의 권위를 높이며 왕권을 강화할 수가 있어 습니다. 이 것은 신라 법흥왕의 불교를 수용하는 데에서도 알 수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선 왕권강화에 있는데 왕권강화는

1. 영토확장

2. 불교수용

3. 부자상속

4. 율령반포 및 공복제정 등이 있습니다.

왕권의 힘을 강화하기 위해 종교로 하나로 묶는다고 해야할까요?

태학설립은 현재 우리나라로 치면 대학으로 분류 합니다.

나라를 세우면 거기에 공신들이 있죠? 그 공신들은 자식도 관직을 받게 됩니다.

그러면 벼슬하는 사람들은 공신들이 많겠죠.

그 공신들을 견재하기 위해 대학을 세워 인재를 양성하는겁니다.

율령반포도 역시 사회가 혼란하니까 법을 만들어(율령은 법입니다.) 통제하려는것이기도 하구요.

 

이상 답변 마치겠습니다.

소수림왕은 왜 불교를 수용했나요?

소수림왕왜 불교를 수용했나요? 또 태학 설립과 율령반포이유에 대해서 알고싶어요 국사수행평가인데요 저가 기자가되어서 소수림왕을 인터뷰하는거예요 저가 읽기 쉽게...

소수림왕은 왜 불교를 수용했나요?

고구려 시대의 소수림왕불교를 수용한 이유와 율령반포 태학 설립 등 소수림왕의 업적까지 알고싶어요 자세히 말고요 저가 읽고 정리해서 인터뷰 형식으로 쓰는건데요 읽기...

고구려 소수림왕

... 소수림왕은 왜 불교 수용을 하였는지 알려주세요!!! 최대한 길게 써주세요~!! 내공 드릴게용ㅎㅎ 고구려 소수림왕은 371년에서 384년 사이에 왕위에 오르게 된 고구려의 17대...

소수림왕불교수용 이유

제목대로 소수림왕불교수용을 왜했는지좀 말해주세요 청동기 에서 철기시대로 넘어갈 때 당시 사람들은 애니미즘,토테이즘,샤머니즘의 신앙을 가지고 있어 민중들을...

불교수용 마음통일

... 위반하면서, ? 이렇게 이름을 번역하고 있을 까요? 속임수를 쓰며, 한민족의 착각을 유도하기 위한 것입니다. 불교의 전래 ~ ①고구려~소수림왕 2년(372년) 오호십육국의...

불교 수용

지금 쫌 급행용~~~~~ 불교수용: 누가? ? 이것만 빨리 부탁!!!! 내공 드림!!! 고구려 -수용한왕: 소수림왕 -전한사람: 중국 북조 전진의 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소수림 왕에 대해서

... 소수림왕불교를 수용한 이래 이후의 왕들은 불교의 보호와 육성에 적극적인 정책을 취하였습니다. 고국양왕(故國壤王)은 ‘불교를 받들고 믿어 복을 구하라’는 하명을...

역사 삼국의 불교 수용에 대해

1.고구려 소수림왕불교를 받아드렸는데 소수림 왕불교를 왜받아들이고 어떤 영향인지.....알려주세요 2. 백제 침류왕때 불교를 왜받아 들였는지 어떤 영향인지...

소수림왕의 일화

... 불교의 전래가 하필 소수림왕 때인가. 우리는 그 답을 로마의 기독교 공인과... 3 불교의 정치적인 효용에 눈을 떠, 적극적으로 불교를 수용해 이 시기의 중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