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이셨던 할아버지의 명예를 위해 증거를 찾고 싶습니다.

독립운동가이셨던 할아버지의 명예를 위해 증거를 찾고 싶습니다.

작성일 2023.05.01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는 40대 회사원입니다.
저희 할아버지는 교장 선생님을 하시다가 은퇴를 하시고 몇년전에 돌아가셨습니다.

저희 증조할머니는 장수하셔서 (104세까지 사심), 일제시대 이야기를 자주 들었는데,
일본순사들이 젊은 여자들을 무작위로 잡아가서 위안부로 넘겨버리기 때문에,
남장을 하고 남자 화장실에서 호스로 서서 오줌을 누신 이야기 등 많은 고통을 생생히 들으며 살아 갈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아직 살아게신 제 아버지께서 어느날 할아버지의 일제시대때 어떻게 지냈는지 여쭈어 본 적이 있습니다.
그 때 아버지께서 하시는 말씀이 너무 충격이라 아직 생생히 기억하고 있습니다.

할아버지께서는 아직 10대이셨을때 학교에서 반딧불이라는 반일,독립운동책을 출간하여, 일제에 쭟기게 되어 만주까지 도망갔다가 거기서도 추적을 당해서 마지막에 배를타고 일본으로 도망 (어떻게 보면 역발상이지요, 조선 전체에 현상수배가 되어있어서 있을곳도 없었다고 합니다)가게 되었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일본으로 가는 항구에서도 일제가 할아버지께서 그 항구에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순사들이 신분증을 검사하고 있어서 절대절명의 위기였는데, 그 앞에 서 계시던 일본인 부부가 할아버지의 겁에 질린 얼굴을 보고 , 눈치를 채고 순사한테 내 아들이라면서 아니면 자기들이 책임지겠다고 호통을 쳐서 살아남았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당시 할아버지를 제외한 거의 모든 동지들이 일제에게 결국 잡혀서 죽임을 당했다고 들었습니다.
할아버지께서는 혼자 살아남은 죄책감에 국가유공자같은건 신청 안하고 계시고, 가족들도 이 사건에 대해 함부로 말을 못꺼낸다고 하셨습니다.

그때가 20대 후반이어서, 그뒤로 저도 한동안 잊고 지내다가 티비의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이야기 라는 티비를 보고, 후손이 아버지의 독립운동의증거를 찾아 명예를 회복시켜드린 이야기가 나와서, 저도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먼저, '반딧불'이라는 이름이 너무 생생하게 기억에 남아 검색해 보았습니다. 사실, 저는 그때 한번 들은거 뿐이고해서 실제 있었던 일일까? 아버지께서 그냥 할아버지를 좀 좋게 말할라고 대충 꾸며낸 일일까 반신반의 했습니다.
그런데 검색을 하니,  한국민족문화대백과라는 사이트에 박재민이란 분이 나오면서 '일제강점기 『반딧불』을 발간해 민족의식 고취와 항일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라고 나오면서 , 아래의 글이 나왔습니다.

'대구사범학교에 재학중인 1940년 1월에 비밀 문예작품지 『반딧불』을 발간하였고, 그해 2월에는 교내 비밀결사인 연구회(硏究會)에 가입하여 농업부의 책임을 맡아 활약하였다. 졸업 후 교사로 재직하면서 학생 및 학부모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며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1941년 여름에 『반딧불』이 대전에서 일본경찰의 손에 들어가게 되어 대구사범학교 비밀결사의 전모가 발각됨으로써 그해 7월에 붙잡혔다. 그뒤 일본경찰의 모진 고문으로 인하여 옥사하였다.'

반딧불이란, 실제 있었던 문예지였고, 참가자들이 거의 다 죽었다는 것도 사실이어서,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이때 눈길이 간 부분이 '대구사범학교'였습니다. 왜냐하면 저희 할아버지는 해방후 선생님을 하시다가 나중에 교장선생님까지 올라가신 분이었기 때문입니다.
모든것이 맞아떨어지기 시작하여, 이 사건에 대해 더 조사하고, 또 돌아가신 할아버지가 국가유공자로 등록되어 독립운동을 하셨던 최소한의 명예를 받으셨으면 합니다.

저는 현재 해외에 삶의 기반을 두고 있고, 특별히 국가유공자로서 혜택을 받고자 함이 목적이 아닙니다.
다만, 할아버지께서 하신일을 인정받고, 또 명예롭게 하여 자손들에게 자랑스러운 할아버지를 자세히 알려 해외에 있더라도 대한민국에 대한 사랑을 가르치고 싶은 마음 뿐입니다.

혹시 '반딧불'에 대한 더 자세한 자료와, 독립비밀결사인 연구회(硏究會) 혹은 다혁당(茶革黨), 윤독회(輪讀會)의 회원 명단에 대해 아시는 분이 계시면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이 독립운동에 대해 더 자세히 조사할 만한 방법을 아시는 분이 계시면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저희 할아버지 존함은 '강성무'이십니다.

긴 글을 읽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나름 부족 하지만 독립운동사를 연구 정리 하고있는데

기억에 강성무 翁 함자를 들어 본 전력이있는데 아마 신간회 관련부분인것같은데 신간회 결성이 워낙 전국적이고 시간적으로 얼마 가지 못한 조직이다 보니 흘러 간것 같은데 ---아마 내기억에는 신간회 일본 연락 책으로 보고 있었는데 확실치는 않습니다 워낙 가명이나 별호 를 많이 사용한것때문인데

즉 지역적인 저항운동 하다 신간회회원으로 전국적 활동 전재 일경 탄압으로 피신 이런 시대적 상항입니다

잡지는 그 시기 4종이있었는데

반딧불 잡지

1.함경남도 고원(高原) 출신. 1930년 고원보통학교, 1937년함흥 영생고등보통학교를 졸업 한 강소천 이 출판 한 호박꼿과 반딧불

2,윤동주의 반딧불 잡지 출판

3.허창이란 분이 반딧불 모임회 결성

4.대구사범 출신 윤독회가 만든 반딧불 잡지 ( 일경에의해 강제 폐간)

독립비밀결사인 연구회(硏究會)

1930년대 ~1935년간 독립 비밀 결사 단체는 다음과같습니다 요약분입니다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황해

평남

평북

강원

함남

함북

계 건수

인원

19

317

2

6

1

23

5

117

5

29

5

101

5

105

3

60

4

42

3

44

5

70

4

116

1

3

65

1,033

독립 비밀 결사 단체는 1931년에서 1935년까지 65개 단체와 1065명이 참여한 대단한 참여의식 을 가진분들였습니다

대구사범 출신과 그지역 에서는

독립비밀 결사단체인 백의단 입니다

자료: 1939년 7월 왜관철교(倭館鐵橋) 복선화 작업에 학생들이 동원되는 과정에서 조선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들 사이의 충돌로 발생한 이른바 왜관사건(倭館事件)을 계기로 결성된 비밀결사 백의단(白衣團)에 가입

백의단 출신중 유공자는 아직 다 찾지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권쾌복 , 1921 ~2009 , 독립장 (1963)

유흥수 , 1921 ~2016 , 독립장 (1963)

배학보 , 1920 ~1992 , 애국장 (1991)

1930년대는 운동주체가 대중운동 시기입니다

학생들과 연합하여 신간회가 주도하여

농민운동 노동운동 여성 운동 청년운동 학생운동 을 동시 다발적으로 전개 한것입니다

1929년 광주 학생운동 당시 신간회가 적극 주도합니다

이 운동이 탄압에의해 와해되자 이후 신간회 회원 대부분으 만주 일본으로 분산 피신 하였으며

아마도 지례 짐작 이긴 하는데 강 옹께서도 그시기 쯤으로 보여집니다만

자료 검색이나 기록을 좀더 확인 해보아야 할것 같군요 -------- 워낙 신간회 회원들의 활동이 일본 치안 당국의 핵심 블랙리스트 들이라서 일거에 해산 분산 피난 간 사례가 많아 정리하기에 개인적으로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다혁당은 (독립협회 자료)

1941년 대구에서 조직되었던 학생비밀결사.단체 (가급)

1941년에 들어와 문예부와 연구회의 학생들이 대거 졸업하게 되자, 문예부·연구회를 발전적으로 확대 개편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9회생 유흥수(柳興洙)·문홍의(文洪義)·이동우(李東雨)·이주호(李柱鎬)·박우준(朴祐寯)·권쾌복(權快福)·배학보(裵鶴甫) 등 16명이 2월 15일유흥수의 하숙집에서 집회를 열고 항일비밀결사인 이 단체를 조직---중략

대대적인 검거선풍 끝에 졸업생·재학생·교사·학부모 등 300여 명이 붙들렸다가 6개월 동안 혹독한 취조를 받았다. 이 가운데 35명이 기소되어 예심에 회부되었고, 결국 34명이 대전지방법원에서 최고 8년, 최하 2년6개월의 징역형을 선고

윤독회는

대구사범학교 학생들의 독서회 모임인 윤독회(輪讀會) 이곳 회원중 강두안 옹은 왜관 철교 폭파 한 전력

1939년 11월에는 박효준(朴孝濬) · 강두안(姜斗安) · 이태길(李泰吉) · 문홍의(文洪義) 등과 함께 윤독회(輪讀會)를 조직하고 학생들의 민족의식을 담은 원고를 모아 작품집을 간행하기로 결정하고, 1940년 1월 문예지 『반딧불』을 발간----중략

질문자의 내용을 추리 해본다면 대구 지역 출신임은 확실 하고 윤독회 회원임은 분명 하군요

정리한다면

조부 께사는 백의단 이란 결사 단체 회원이시고

대구사범 윤독회 에서 편찬 한 반딧불 잡지는 맞습니다

백의단 해체이후 신간회 회원자격으로 만주 일본으로 대중운동을 확산 시켜 회원들이 직접 잠입 하여 운동을 주도----중략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저희 할아버지의 독립운동 이야기를 찾기 위해 여러 자료들을 검색하고 조사해보았습니다. 아래는 제가 찾은 정보와 조언입니다.

## '반딧불' 관련 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반딧불』을 발간한 박재민은 독립운동가로 인정되고 있으며, 대구사범학교 비밀결사인 연구회(硏究會)에 가입하여 활동했다고 합니다.

- 지식백과: 『반딧불』은 학생들이 직접 만든 반일, 독립운동 책으로 일제강점기 당시에는 매우 위험했던 출판물 중 하나입니다.

- 역사공부넷: 『반딧불』은 대구사범학교에서 출판되었으며, 당시 학생들 사이에서 큰 반응을 얻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강성무 할아버지의 독립운동 활동

- 뉴스: 강성무 할아버지는 대구사범학교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하였으며, 『반딧불』을 발간한 박재민과 함께 활동했다는 기사가 있습니다.

- 국가기록원: 국가유공자 명단에 강성무 할아버지의 이름이 있는지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 독립운동사 살펴보기: 대한독립협회, 다혁당(茶革黨), 윤독회(輪讀會) 등의 조직에 가입하여 활동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해당 단체들의 회원 명단을 찾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위 자료를 찾아본 결과, 강성무 할아버지의 독립운동 활동과 『반딧불』에 대한 내용은 사실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회원 명단 등 더 자세한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국가기록원 등의 기관에 문의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저희 할아버지의 독립운동 이야기를 조사하면서 많은 감동을 느끼셨을 것입니다. 이런 이야기들은 우리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보물입니다. 저희도 할아버지의 명예를 위해 최선을 다해 조사를 진행할 것이며, 이를 통해 저희 자손들에게 자랑스러운 역사와 문화를 전해주시길 바랍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 독립운동가(20명!)내공은 10!

우리나라 독립운동가 20명 부탁해요! 친절한 답변... 1996년 5월 이화여자고등학교에서 명예졸업장을... 농촌사회운동 농민계몽을 위해 《농민독본(農民讀本)》이란 교재를...

족보 찾고 싶습니다

... 알고 싶습니다 님의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저희집안에... 그 외 독립운동가(獨立運動家)로 33인 중(中)의 한 사람인 지강(芝江) 양한묵(梁漢黙) 등이 있다. 할아버지...

만민공동회와 독립협회

... 아무런 증거도 없이, “아님 말고” “~~카더라”란... 창씨개명한자도 포함된다 : 이것은 당시 독립운동가외에... 고취시키기 위해 노력하며 일본에 대해 반항적인 성향을...

환단고기가 신빙성 있다는 증거를...

... 알고싶습니다. 제 생각에는 단순히 환단고기는... 도시국가라는 증거 http://blog.naver.com/hwandanstory... 그것은 바로 독립 자존을 찾기 위해서 자신들만이...

권기옥 선생님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 평양(平壤) 출신으로 독립운동가 이상정(李相定)의... 조국의 독립위해 노력하다가 광복 후인 1949년... 할아버지 때에는 상당히 부유한 편이었으나 놀기를 좋아하던...

인물의 갈등관계를 알고싶습니다.

... 하기 위해 족보를 사들일 정도로 명분과 형식에 얽매인... 덕기는 할아 버지나 아버지와 정면 충돌하는 경우는... 해외의 독립 운동가인 이우삼과 연계를 가지면서 그를...

친일파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이것들에 대해 어떤 생각을... 여기서 우리는 해외 망명 독립운동가에 대한 멸시와 국내... 부모님 할아버지 할머니 등등 국립묘지에서 파내지길...

파평윤씨 소정공파질문있습니다.

... 친할아버지의 동생인 작은할아버지의 아드님..... 몇대손인지알고싶습니다. 그리고 미래의 저의 자식이... 근대에 와서는 독립운동가로 구국의 일념 속에서 일생을 바친...

안중근 의사의 대한의군 참모중장이라는...

... 알고 싶습니다! 더불어, 대한의군...당시 의병들의... 보호하기 위해서 스스로 몸을 던져 저격자로 가장하고... 최 원장은 1984년 이토 히로부미의 손자로부터 “ 할아버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