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음독 훈독

일본어 음독 훈독

작성일 2023.09.20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일본어 공부중인데요 음독 훈독이 헷갈립니다.
이번에 첫 일어 공부라... 블로그 가봐도 다들 공부법도 달라서 나무위키에 나와있는 내용은 봤고 유튜브에 나와있는 내용은 아직 안 봤어요. 둘 중 뭐가 맞는건지도 모르겠고요..ㅠㅠ

https://youtu.be/qgtoOl_89Ms?si=gQXM02p-hj_0kMOo
이 분도 일본어 공부를 드라마나 뉴스 같은 거 접하셨다고 하셨는데 음악이라던가
https://youtube.com/@nikuchomo?si=fs5Tt--aJlrRPwYn
이런 분야도 도움이 될까요?

기억력이 나빠서요...


#일본어 음독 훈독 #일본어 음독 훈독 차이 #일본어 음독 훈독 규칙 #일본어 음독 훈독 디시 #일본어 음독 번역기 #일본어 음독과 훈독 #일본어 음독 사이트 #일본어 음독 훈독 책 #일본어 음독 훈독 이름 #일본어 음독 외우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이전, 작성자님과 비슷한 질문을 받은 적이 있어 그 때 달아드렸던 답변으로 대체를 하겠습니다!

한 번 읽어보시고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다면 질문 주셔도 됩니다!

되도록 아는 범위에서 제 경험을 가미시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일본어 한자에는 음독과 훈독이 나누어저 있는데 예를들어 水로 예를들어 설명하면

보통 음독이 중국 한자발음을 나타낸것이고 (すい)

훈독( みず)이 한자의 의미를 따서 일본어로 표현한것이라고 아는데 이게 맞나요?

➞ " 훈 " 독은 그 한자가 가지고 있는 ' 고유 ' 한 의미를 뜻합니다.

한국식 한자를 가지고 설명을 드리자면,

水(물 수)의 " 훈 " 독은 고유한 ' 의미 ' 인 물, " 음 " 독 (발음으로 읽힐 때, 단어를 구성할 때) 은 수 입니다.

마찬가지로 일본식으로 접근을 하자면,

水(みず、すい) ' 물 ' 이라는 고유한 의미이자, 명사인 みず는 " 훈 " 독이고,

すい(단어를 이룰 때 발음)는 " 음 " 독입니다.

훈독은 그 고유한 의미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건 어느 나라여도 다 있잖아요~?

그래서 그 고유한 성질로 문장에서 해석되는 경우 대부분은 " 훈 " 독으로 보시면 됩니다!

다만, " 음독 " 의 경우는 주로 어떠한 한자와 함께 단어를 이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어에도 우리가 지금 이렇게 쓰고 있는 단어(単語)들 또한 지금은 한글로 표기를 하오나,

30년 전까지만 해도 한자와 병행해서 썼습니다.

예로, 신문을 보면 단어들이 전부 한자로 적혀있고 나머지 순 우리말이나 조사 같은 경우들은 한글로 적혀져 있죠.

또 고유명사 또한 한글인데, 이런 고유한 아이들은 " 훈 " 독에 해당이 되구요 ^^

2. 음독 훈독을 어떻게 문장에서 구별해서 읽는건가요 음독이 다른 한자와 같이 쓰는것이고 훈독이 한자 1개만 혼자서 쓰인다고 알고 있는데 사진을 보시면 興이 다른한자와 같이 안쓰이고 혼자서 맨앞에 쓰였는데 왜 음독으로 읽히는지 진짜 이해가 안갑니다 만약 훈독으로 읽는법이 다른한자와 같이 쓸수 있는것이라면 읽는방법과 별개의 단어 모든것을 다 외워야 하나요?

➞ 저는 " 훈 " 독을 구별해낼 때 이렇게 얘기를 합니다. (100% 절대적인 답변은 아닙니다!)

※ 훈독 구별

➞ 그 문장에서 한자의 해석을 봐야함! (주로 단독으로 쓰이거나, 뒤에 오쿠리가나가 딸려오는 경우, 다양한 품사 등등...)

①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주로 " 훈 " 독

➞ 日(ひ)、月(つき)、水(みず)

水が 飲みたい。

水(" 물 " 로 해석)➞ " 훈 " 독

飲みたい(飲む라는 동사가 원형 / 동사에서 파생 / " 명사 " 를 제외한 품사 = " 훈 " 독)

★ 훈독에 해당하는 품사들

1) 동사

2) 형용사

3) 명사 (한글자)

동사는 무조건 " 훈 " 독

형용사도 대부분 " 훈 " 독

명사도 緑(녹색)、紫(むらさき, 자색)、色(いろ、색)등 한자 하나로 쓰이는 경우는 주로 고유한 의미로 해석이 되는지 문장의 해석을 보세요!

거의 대부분 고유한 의미로 해석이 될 겁니다!

그러면 훈독이라는 걸 자연스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또, 훈독은 한자 하나로만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 오쿠리 가나 " 라고 해서 뒤에 히라가나가 따라다닙니다.

예)

飲む(のむ、동사)➞ " 훈 " 독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1) 동사

2) 飲(마실 음)이라는 한자 뒤에 동사임을 나타내는 う가 따라옴 (오쿠리 가나)

3) 해석이 " 마시다 " 인 고유한 의미로 되었으니

중요한 건 문법을 확실하게 해 놓고 올라가세요~ 라고 하는 부분은 이런 애들이 원형이 아닌 활용형으로 많이

나오기 때문에 아무리 어려운 활용형이 나와도 " 훈 " 독인 건 알 수 있습니다!

대부분 동사가 많이 문법 활용이 일어나고, 형용사 또한 문법 활용이 잘 일어나니깐요!

" 훈 " 독의 접근법은

대부분 이렇게 한글자 혹은 오쿠리가나를 데리고 나오는 경우는 이렇게 접근하시면 됩니다!

다만, " 음 " 독의 경우가 꽤 골치아픕니다.... (한국식과 접근법이 다르거든요)

1) 한국의 경우는 모든 단어가 " 음 " 독

2) 다만 일본의 경우는 한국에는 " 음 " 독으로 단어가 쓰이는데, 일본에는 " 훈 " 독으로 읽는 것처럼 읽는 법이 다른 것들이 상당수 있음 (이건 외워주셔야 함)

3) " 음 " 독 표기는 대개 2글자 혹은 3글자일 때! (가능성 90%), 또 한국어로 그 단어가 있으면 대부분 " 음" 독

예)

日記(にっき)➞ " 음 " 독

이유

1) 일단, 한자가 2개 (음독 의심)

2) 한국어로 " 일기 " 라는 단어가 있음

3) 실제로 발음을 보자~~ (" 음 " 독이네~)

이렇게 갑니다!

다만, 하나 기초 레벨에서 혼동이 올 법한 부분은

年上(としうえ)、年下(としした)➞ 한국은 " 음 " 독이나, 일본은 " 훈 " 독

이런 것들은 발음을 보시고 무슨 발음 표기인지 보시고 위에서 말씀드린 접근법과 다르면 이런 애들은 따로 노트에 '발음이 달리 읽히는 것들' 이라고 따로 정리를 해 주세요!

실제로 상급 레벨의 경우 jlpt 단어 문제는 훈 + 훈 이런것들이 나올 가능성이 무조건 있거든요!

모든 건 아니지만 적어도 1문제.... 최대는 2문제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3. 한자때문에 매우 골머리를 앓고있어서 특별한 한자 공부법이나 한자를 쉽게 외우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저는 노트에 막 써가며 외우는 편입니다 음독 훈독 1개 씩 외우는 느낌으로)

유학을 준비하시는 분이시라면, 한자는 무조건 쓰시는 편이 좋습니다.

다만, 이게 3급부터 보시면 음독이라고 해서 두글자로 된 단어들이 엄청나게 쏟아지는 걸 보실 겁니다.

그러면 대개 순서대로 정리가 되어있기 때문에

開館(かいかん)

開閉(かいへい)

이런식으로 순서대로 단어가 정리된 " 한 권 시리즈 " 를 고르셔야 합니다.

그래야 일단 딱 봤을 때

힌트1) 음독

힌트2) 저 한자로 돌려먹기 / 음독 하나는 공짜로 터득~

힌트3) 대개 저기에 적혀있는 애들은 한자가 달라도 음독이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게 정렬된 것에 대한 규칙성을 깨닫는 연습을 하셔야해요!

그렇게 하셔야 2급 들어가셔서 이런 노하우로 단어를 공부하시면 짧은 시간에 쓰는 게 아닌 단지 단어를 보고

히라가나로 어떻게 읽는 지 속독이 가능하시거든요 ^^

솔직히 한자 파트는 개인적인 노력이 상당히 많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이런 접근법도 저는 한자를 20년 동안 잡아서 해 온 사람이었고, 저는 현지에서 기초가 없을 때 유학을 했던 사람인지라... 이런 단어를 모르면 현지에서 생활이 불가능해서 정말 죽기살기로 했거든요 ^^;;

또, 어렸을 때 구몬한자로 3급 정도까지 자격증을 취득했어서,

한자를 나이먹고 다시 한다는 게 저는 재밌게 느껴졌어서, 단기간에 어떻게 하면 나만의 방법으로 공부를 할 수 있을까 굉장히 연구를 해 왔습니다 ㅋㅋㅋ

아마, 학생들의 경우는 지금은 한자를 쓰는 세대가 아니기 때문에,

한자로 상당히 고통받고 계시다고 생각을 합니다....!

한자는 마음 잘 추스리시고 하셔야 돼요!

분명 이런 시행착오를 겪으시면서 공부를 하시다 보면, 자기만의 " 색 " 혹은 " 방법 " 을 터득하실 겁니다!

100% 정답이 있으면 참~~~ 좋겠으나,

제가 연구한 바로는 이 부분까지밖에 설명을 못 드리겠네요 ^^;; ㅠㅠ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한자 음독 훈독 너무 어렵죠^^;;

저도 처음 일본어 한자 공부할때 진짜 힘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저는 그래서 음독 훈독 생각하지 말고 그냥 통으로 외웠어요.

그렇게 외우다보면 어느순간 아 이게 음독이구나 아 이게 훈독이구나 알게되더라구요.. 제가 그랬거든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냥 기초 단어 문법 조사를 외우세요

음독 훈독 외워도 그걸로 단어를

읽고 뜻을 알기 어렵습니다

음독 훈독 어느걸로 읽는지 알 수도 없고

음독 훈독 둘 다 아닌 이상한 경우도 나옵니다

한자 따로 공부한다는 생각은 버리세요

어느 정도 높은 수준이 되고

본인이 필요성을 느끼면 하면 됩니다

일본어 숫자 훈독 음독 알려주세요

1부터 10/ 20/ 30/ 40/ 50 음독 훈독 알려주세요 왼쪽 음독 / 오른쪽 훈독 いち ひとつ に ふたつ さん みっつ し よっつ ご いつつ ろく むっつ しち ななつ はち やっつ きゅう...

일본어 음독 훈독

... 일본어 한자에는 음독훈독이 나누어저 있는데 예를들어 水로 예를들어 설명하면 보통 음독이 중국 한자발음을 나타낸것이고 (すい) 훈독( みず)이 한자의 의미를 따서...

일본어 음독 훈독

... 헤는 떼부 라는 뜻인데 네이버 일본어사전에 치면 훈독으로 헤 라는 뜻은 없고 음독으로 부 라는 뜻만 있더라구요. 그리고 헤야의 야 는 집옥이라는 뜻이고? 야는 훈독인데 왜...

일본어 음독, 훈독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가장 쉬운건 우리말에서도 한자어 그대로 쓰는 건 일본에서도 대부분 음독으로 읽고 일본어에서 동사나 형용사같은 것으로 쓰는 한자는 훈독으로 읽는 다고 생각하심 크게...

일본어 한자 음독 훈독 읽는 법

일본어 한자 읽는 법이 음독, 훈독 두 가지가 있잖아요.,, 어떨 때 음독으로 읽어야 하는 거고 어떨 때 훈독으로 읽어야 하는 건가요❓️ 한자 읽는 법은.., 음독, 훈독 두 가지...

일본어 훈독 음독

일본어 훈독 음독이 사용되는 곳이 각각 다른가요? 만약 다르다면 어떤 상황에서 다르게 쓰이는지도 알려주셨으면 해요 네. 歌 에서 훈독은 うたう 음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