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데와,쟈 차이점이 뭐에요?

일본어 데와,쟈 차이점이 뭐에요?

작성일 2019.10.28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말을 사용할 때는 자신과 상대방, 그리고 화제속 등장인물의 관계, 회화냐 문장이냐에 따라서 단어를 선택하게 됩니다.

では、じゃ는 정중한 문장체냐 거친 회화체냐의 차이입니다.

전자가 문장체고 후자가 회화체입니다. 회화인데도 전자를 사용했다면 조금 더 정중하게 표현하려고 했구나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では와 じゃ에는 크게 두 가지 쓰임이 있습니다.

접속사로서의 용법과 부정표현의 구성요소로서의 용법입니다.

접속사로서의 사용례

では、失礼します。그럼 실례합니다.

じゃ、しつれい. 그럼 실례

では、また。그럼 또 만나

じゃ、また. 그럼 또 만나

부정표현 사용례

では、じゃ는 명사의 부정과 な형용사의 부정에 쓰입니다.

⊙명사의 경우

[학생이 아니다]

学生ではない。문장체

学生じゃない、회화체

[학생이 아닙니다]

学生ではないです반문장반회화

学生じゃないです완전회화체

学生ではありません완전문장체

学生じゃありません반회화반문장

⊙な형용사의 경우

静かではない조용하지 않다

静かじゃない

静かではないです조용하지 않습니다. 반문장반회화

静かじゃないです완전회화체!

静かではありません완전문장체

静かじゃありません반회화반문장

처럼사용됩니다.

제일 중요한 사항은 바로 요겁니다.

도대체 음성적으로 では、じゃ는 어떤 관계일까?

では=でわ=dewa

dewa가 회화체에서 모음e가 탈락하면 dwa=dya=ぢゃ=じゃ

의 과정을 거쳐서 じゃ로 된 것입니다.

ては=ちゃ라면

では=ぢゃ=じゃ입니다.

문장체에서는 じゃ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추가1..........

관련지식1...

い형용사, な형용사, 「명사+だ」의 활용비교표

い形容詞

な形容詞

名詞だ

기본형

어간

어간

명사

추측형

-

かろう

(いだろう)

-

だろう

-

だろう

과거형

(たら、たり형)

-

かった

-

だった

-

だった

부정형

-

くない

-

で(は)ない

-

で(は)ない

부사형(동사수식형)

-

く 동사

-

に 동사

-

に 동사

て접속형

-

くて

-

-

종지형

-

い。

-

だ。

-

だ。

연체형(명사수식형)

-

い 명사

-

な 명사

-

の 명사

조건형(ば형)

-

ければ

-

なら(ば)

-

なら(ば)

명령형

x

x

권유형

x

x

x

​관련지식2...

​な형용사관련지식

        

な형용사

기본형

부정+과거

(~지 않았다)

부정+정중

(~지 않습니다)

부정+과거+정중

(~지 않았습니다)

へいきだ

平気だ

태연하다

平気ではなかった

平気ではありません

 平気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

반문장반회화체

平気ではないです

平気ではなかったです

반회화반문장체

平気じゃありません

平気じゃありませんでした

平気じゃなかった

平気じゃないです

平気じゃなかったです

へんだ

変だ

이상하다

変ではなかった

変ではありません

変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

반문장반회화체

変ではないです

変ではなかったです

반회화반문장체

変じゃありません

変じゃありませんでした

変じゃなかった

変じゃないです

変じゃなかったです

にぎやかだ

賑やかだ

북적이다

賑やかではなかった

賑やかではありません

賑やか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

반문장반회화체

賑やかではないです

賑やかではなかったです

반회화반문장체

賑やかじゃありません

賑やかじゃありませんでした

賑やかじゃなかった

賑やかじゃないです

賑やかじゃなかったです

ほんとうだ

本当だ

정말이다, 사실이다

本当ではなかった

本当ではありません

本当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

반문장반회화체

本当ではないです

本当ではなかったです

반회화반문장체

本当じゃありません

本当じゃありませんでした

本当じゃなかった

本当じゃないです

本当じゃなかったです

   

          

   

일본어의 부정표현

い형용사의 정중체 현재부정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1.~くありません

2.~くないです

ないです는 입말적인 표현으로 글말적인 표현에 비해 거칠지만 친밀감이 있으며 ありません은 글말적인 표현으로 입말표현에 비해 다소 정중한 맛이 있습니다.

참고로 원래 ありません과 ないです는 둘 다 '없습니다'라는 뜻인데 부정문 아래에 쓰이면 '~지 않습니다'라는 뜻으로 바뀝니다.

명사문과 な형용사문의 정중체 현재부정형에는 네 가지가 있습니다.

1.~ではありません 일반적 문장체

2.~じゃありません 딱딱한 회화체

3.~ではないです 부드러운 문장체,

4.~じゃないです 부드러운 회화체

では의 축약형이 じゃ인데 약간의 뉘앙스가 다를 뿐 큰 차이는 없습니다.

네 가지 모두 "~이/가/은/는 아닙니다"라는 뜻으로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뉘앙스적으로 じゃ와 ないです는 입말적인 표현으로 글말적인 표현에 비해 거칠지만 친밀감이 있으며 ~では와 ありません은 글말적인 표현으로 입말표현에 비해 다소 정중한 맛이 있습니다.

정중함과 친밀감의 측면에서 위의 네 가지를 나열하면

1번이 가장 정중하고

2,3번은 중간적이고

4번이 가장 정중하지 않습니다.

친밀감은 반대가 되겠죠.

참고로 원래 ありません과 ないです는 둘 다 '없습니다'라는 뜻인데 부정문 아래에 쓰이면 '~지 않습니다'라는 뜻으로 바뀝니다.

じゃ와 では의 관계

じゃ는 ぢゃ였는데 일본어의 표기법(よつがな규칙)에 의해 じゃ로 변신한 것입니다.

ては→ちゃ では→ぢゃ→じゃ이렇게 변한 것이고요.

아직도 일부 복합어에는 ぢゃ가 남아 있습니다.

夫婦(めおと)+茶碗(ちゃわん)→めおとぢゃわん

ありません과 ないです의 상관관계

1.ある있다..............→부정→ ...............ない없다

↓정중 ...................................................... ↓정중

↓.............................................. 4.ないです 없습니다→6.なかったです없었습니다

3.あります있습니다 →부정→   5.ありません 없습니다→7.ありませんでした없었습니다

   

1의 부정어가 2이고,

1의 정중형이 3입니다.

3의 부정형이 5이고,

2의 정중형이 4입니다.

1을 정중형으로 한 다음 부정형으로 한 것이 5이고,

1을 부정형으로 한 다음 정중형으로 한 것이 4입니다.

여기서 1을 부정하고 정중으로 만든 것이나 정중형으로 한 다음 부정형으로 만든 것이나 뜻은 같아야 되겠죠.

따라서 4와 5는 같은 뜻이 되는 것입니다. 

4의 과거형이 6이고

5의 과거형이 7입니다.

그리고,

~じゃないです는 정중체인데 보통체는~じゃない입니다.

이상을 정리하면,

A: 変・じゃ・ない(이상하지 않다) 

    보통체(반말), 가장 회화체적인 표현, 문장에서도 사용은 하나 권할 것은 없음.

B: 変・では・ない(이상하지 않다)  

     보통체(반말), 회화에서도 사용하나 딱딱한 느낌을 줌. 기본은 문장체임.

C: 変・じゃ・ないです(이상하지 않습니다) 

정중체, 완전 회화체에서 사용함.

D: 変・じゃ・ありません(이상하지 않습니다)  

       정중체, 반회화체 반문장체로 양족 모두 사용. 완전문장체에 비해서는 부드러운 느낌이고 완전 회화체에 비해서는 조금 딱딱한 느낌임.

E: 変・では・ないです (이상하지 않습니다) 

정중체. 반문장체 반회화체로 양족 모두 사용. 완전회화체에 비해서는 조금 딱딱한 느낌이고 완전 문장체에 비해서는 조금 부드러운 느낌임.

F: 変・では・ありません(이상하지 않습니다) 

   정중체로 완전 문장체에서 사용하며 가장 딱딱한 느낌을 줌.

공손함을 나타내면 A=B→C=D=E=F가 되며 F가 가장 딱딱하고 공손한 표현형식입니다.

참고로, 정중체 과거 부정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変・じゃ・なかった・です 완전회화체

変・では・なかった・です 반문장체 반회화체

変・じゃ・ありません・でした 반회화체 반문장체

変・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 완전문장체

뜻은 모두 “이상하지 않았습니다”인데

아래쪽일수록 딱딱한 표현이 됩니다. 

좋은 내용입니다.

음미하면서 읽어주세요.

과거형을 만드는 요소는 조동사 입니다.

동사, い형용사, な형용사, 명사だ를 과거형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た를 붙여야 하는 것입니다.

부정형을 만드는 요소는 조동사 ない 또는 입니다.

동사, い형용사, な형용사, 명사だ를 부정형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ない나 ん을 붙여야 하는 것입니다.

정중체를 만드는 요소는 조동사 ます 또는 です 입니다.

동사, い형용사, な형용사, 명사だ를 정중형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ます나 です를 붙여야 하는 것입니다.

い형용사와 な형용사의 과거형, 부정형, 과거부정형을 보통체(반말)와 정중체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

[보통체]

い형용사 부정형

기본형의 어미 い를 く로 고친 다음 ない 를 붙인다.

예) さむい(춥다) →→ さむくない (춥지 않다)

おいしい(맛있다)→→ おいしくない (맛있지 않다)

よい、いい(좋다)→→よくない (좋지 않다)

い형용사 과거형

기본형의 어미 い를 かっ으로 고친 다음 를 붙인다.

예)

さむい(춥다) →→ さむかっ(추웠다)

おいしい(맛있다)→→おいしかっ (맛있었다)

よい、いい(좋다)→→よかっ(좋았다)

い형용사 과거부정형

부정형의 어미 い를 かっ으로 고친 다음 를 붙인다.

예)

さむくない(춥지 않다)→→さむくなかっ(춥지 않았다)

おいしくない(맛있지 않다)→→おいしくなかっ(맛있지 않았다)

よくない(좋지 않다)→→よくなかっ(좋지 않았다)

な형용사 부정형

기본형의 어미 だ를 では로 고친 다음 ない 를 붙인다.

예)

しずかだ(조용하다)→→ しずかではない(조용하지 않다)

まじめだ(성실하다)→→ まじめではない(성실하지 않다)

きれいだ(깨끗하다)→→ きれいではない(깨끗하지 않다)

な형용사 과거형

기본형의 어미 だ를 だっ으로 고친 다음 를 붙인다.

예)

しずかだ(조용하다)→→ しずかだっ(조용했다)

まじめだ(성실하다)→→ まじめだっ(성실했다)

きれいだ(깨끗하다)→→ きれいだっ(깨끗했다)

な형용사 과거부정형

부정형의 어미 い를 かっ으로 고친 다음 를 붙인다.

예)

しずかではない(조용하지 않다)→→しずかではなかっ(조용하지 않았다)

まじめではない(성실하지 않다)→→まじめではなかっ(성실하지 않았다)

きれいではない(깨끗하지 않다)→→きれいではなかっ(깨끗하지 않았다)

명사だ의 부정형

だ를 では로 고친 다음 ない 를 붙인다.

예)

学生だ(학생이다)→→ 学生ではない(학생이 아니다)

韓国だ(한국이다)→→ 韓国ではない(한국이 아니다)

명사だ의 과거형

だ를 だっ으로 고친 다음 를 붙인다.

예)

学生だ(학생이다)→→ 学生だっ(학생이었다)

韓国だ(한국이다)→→ 韓国だっ(한국이었다)

명사だ의 과거부정형

부정형의 어미 い를 かっ으로 고친 다음 를 붙인다.

예)

学生ではない(학생이 아니다)→→学生ではなかっ(학생이 아니었다)

韓国ではない(한국이 아니다)→→ 韓国ではなかっ(한국이 아니었다)

[정중체]

정중체를 만드는 요소는 です 또는 ます 입니다.

い형용사 정중체부정형

부정형에 です 를 붙인다.

예)

さむくない(춥지 않다)→→さむくないです(춥지 않습니다) 

おいしくない(맛있지 않다)→→おいしくないです(맛있지 않습니다)

よくない(좋지 않다)→→よくないです(좋지 않습니다)

*ないです 대신에 ありません을 넣으면 글말체의 조금 더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い형용사 정중체과거형

과거형에 です 를 붙인다.

예)

さむかった(추웠다)→→さむかったです(추웠습니다)

おいしかった(맛있다)→→おいしかったです (맛있었습니다)

よかった(좋았다)→→よかったです(좋았습니다)

い형용사 정중체과거부정형

과거부정형에 です 를 붙인다.

예)

さむくなかった(춥지 않았다)→→さむくなかったです(춥지 않았습니다)

おいしくなかった(맛있지 않았다)→→おいしくなかったです(맛있지 않았습니다)

よくなかった(좋지 않았다)→→よくなかったです(좋지 않았습니다)

*なかったです 대신에 ありませんでした를 넣으면 글말체의 조금 더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な형용사 정중체부정형

부정형에 です 를 붙인다.

예)

しずかではない(조용하지 않다)→→しずかではないです(조용하지 않다)

まじめではない(성실하지 않다)→→まじめではないです(성실하지 않다)

きれいではない(깨끗하지 않다)→→きれいではないです(깨끗하지 않다)

*ないです 대신에 ありません을 넣으면 글말체의 조금 더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な형용사 정중체과거형

기본형의 어간에 でした 를 붙인다.

예)

しずかだ(조용하다)→→ しずかでした(조용했습니다)

まじめだ(성실하다)→→ まじめでした(성실했습니다)

きれいだ(깨끗하다)→→ きれいでした(깨끗했습니다)

な형용사의 정중체과거부정형

과거부정형에 です 를 붙인다.

예)

しずかではなかった(조용하지 않았다)→→しずかではなかったです(조용하지 않았습니다)

まじめではなかった(성실하지 않았다)→→まじめではなかったです(성실하지 않았습니다)

きれいではなかった(깨끗하지 않았다)→→きれいではなかったです(깨끗하지 않았습니다)

*なかったです 대신에 ありませんでした를 넣으면 글말체의 조금 더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명사だ의 정중체부정형

부정형에 です 를 붙인다.

예)

学生ではない(학생이 아니다)→→学生ではないです(학생이 아닙니다)

韓国ではない(한국이 아니다)→→韓国ではないです(한국이 아닙니다)

*ないです 대신에 ありません을 넣으면 글말체의 조금 더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명사だ의 정중체과거형

だ를 소거하고 でした 를 붙인다.

예)

学生だ(학생이다)→→ 学生でした(학생이었습니다)

韓国だ(한국이다)→→ 韓国でした(한국이었습니다)

명사だ의 정중체과거부정형

과거부정형에 です 를 붙인다.

예)

学生ではなかった(학생이 아니었다)→→学生ではなかったです(학생이 아니었습니다)

韓国ではなかった(한국이 아니었다)→→韓国ではなかったです(한국이 아니었습니다)

*なかったです 대신에 ありませんでした를 넣으면 글말체의 조금 더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布施39(일본어문법, 한자 전공)

>>답변사례<<

3. 예: 이 계란은 새것입니까?

...아니오, (오래된 것)입니다.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새것입니까?”의 부정표현은 “새것이 아닙니다”이지만 부정표현을 쓰지 않고 반댓말로 표현하면 “오래된 것입니다”인데 이렇게 반댓말로 표현하라는 지시입니다.

3.

1)당신의 집은 역에서 가깝습니까?...아니오, 멉니다.

近い의 반댓말은 遠(とお)い이므로 →いいえ、 (遠い)です。

​2)일요일은 차가 많습니까?...아니오, 적습니다.

多(おお)い의 반댓말은  少(すく)ない이므로 →いいえ、 (少ない)です。

​3)그 카메라는 가볍습니까?...아니오, 무겁습니다.

軽(かる)い의 반댓말은  重(おも)い이므로 →いいえ、 (重い)です。

​4)야구를 좋아합니까?...아니오, 싫어합니다.

好(す)きだ 의 반댓말은  嫌(きら)いだ이므로 →いいえ、 (嫌い)です。

4. 예: 바다는 깨끗했습니까?

...아니오, 그렇게 (깨끗하지 않았습니다).

예에서 알 수 있듯이 “깨끗했습니까?”의 부정표현은 “깨끗하지 않았습니다”이므로 제시된 말그자체를 부정표현으로 고치라는 지시입니다.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전지식이 필요합니다.

な형용사의 부정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형

보통체:きれいだ→きれいではない。

공손체:きれいです→きれい(では/じゃ)ないです=きれい(では/じゃ)ありません

과거형

​보통체:きれいだった→きれいではなかった

공손체:きれいでした→きれい(では/じゃ)なかったです=きれい(では/じゃ)ありませんでした。

い형용사의 부정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형

보통체:おもしろい→おもしろくない。

공손체:おもしろいです→おもしろくないです=おもしろくありません

과거형

보통체:おもしろかった→おもしろくなかった。

공손체:おもしろかったです→おもしろくなかったです=おもしろくありませんでした

명사だ(명사이다)의 부정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형

보통체:雨だ→雨ではない。

공손체:雨です→雨(では/じゃ)ないです=雨(では/じゃ)ありません

과거형

​보통체:雨だった→雨ではなかった

공손체:雨でした→雨(では/じゃ)なかったです=雨(では/じゃ)ありませんでした。

4.​

1)날씨는 좋았습니까?...아니오, 좋지 않았습니다.

よい(좋다)의 부정형은 よくない이고 이것의 과거형은 よくなかった이고 이것의 공손체는

よくなかったです=よくありませんでした이므로 →いいえ、 (よくありませんでした)。

2)​어제는 비였습니까?(비가 왔습니까?)...아니오, 비가 아니었습니다.

雨(あめ)だ의 부정형은 あめじゃない이고 이것의 과거형은 あめじゃなかった이고 이것의 공손체는 あめじゃなかったです=あめじゃありませんでした이므로 →いいえ、 (あめじゃありませんでした)。

3)영화는 재미있었습니까?...아니오, 그렇게 재미있지 않았습니다.

おもしろい(재미있다)의 부정형은 おもしろくない이고 이것의 과거형은 おもしろくなかった이고 이것의 공손체는 おもしろくなかったです=おもしろくありませんでした이므로 →いいえ、あまり (おもしろくありませんでした)。

4)시험은 간단했습니까?...아니오,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습니다.

簡単(かんたん)だ의 부정형은 簡単じゃない이고 이것의 과거형은 簡単じゃなかった이고 이것의 공손체는 簡単じゃなかったです=簡単じゃありませんでした이므로 →いいえ、あまり (簡単じゃありませんでした)。

5)지난주는 바빴습니까?...아니오, 바쁘지 않았습니다.

忙(いそが)しい(바쁘다)의 부정형은 忙しくない이고 이것의 과거형은 忙しくなかった이고 이것의 공손체는 忙しくなかったです=忙しくありませんでした이므로 →いいえ、 (忙しくありませんでした)。

5. 예: 저 사람은 (누구)입니까?

...미라입니다.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미라입니다”라는 대답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사람을 가리키는 의문사 “누구”가 질문에 들어가야 하지요. 대답에 관련된 의문사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 어떻게, 왜” 등의 의문사를 넣는 문제입니다.

1) 여름과 겨울 중 (어느 쪽)을 좋아합니까? ...겨울을 더 좋아합니다.

두 가지 중에서 하나를 택하는 경우에는 どちら입니다.

*どっち는 どちら의 거친 표현으로 뜻은 같으나 문제의 질문에서는 “입니까?”라는 공손체이므로 どっち는 부자연스럽습니다. 만약 “입니까?”가 아니고 “이냐?”라고 보통체로 물었으면 どっち가 어울립니다.

쉬운 예로

아버지 “진지 드세요” 라고 해야지 “진지 먹어요”라고 하는 것과 같습니다.

2)가족 중에서 (누가) 가장 요리를 잘합니까?...아버지가 가장 잘합니다.

가족 여러명 중에서 누군가를 선택해야 하므로 사람을 가리키는 의문사“누구”에 해당하는 것은 だれ입니다.​

3) 스포츠 중에서 (무엇)이 가장 재미있습니까?...축구가 가장 재미있습니다.

여러 가지 스포츠종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하므로 의문사“무엇”에 해당하는 것은 何(なに)입니다.​

4) 일본에서 (어디)가 가장 사람이 많습니까? ...도쿄가 가장 많습니다.

도쿄라는 지명이 대답이 되기 위해서는 장소를 가리키는 의문사“어디”라고 물어야 하므로 どこ가 됩니다.

5) 일주일 중에서 (언제)가 가장 바쁩니까? ...월요일이 가장 바쁩니다.

월요일이라는 시간을 나타내는 대답이 나오기 위해서는 시간과 관련된 의문사“언제”로 물어야 하므로 いつ가 답이 되겠습니다. 업격히 말하면 대답에 “월요일”이라는 요일이 나와 있어서 何曜日(なんようび)도 답이 될 수 있습니다.

布施39(일본어문법, 한자 전공)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똑같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では를 쓰는 곳에 じゃ를 써도 되고, 반대로도 가능한 완전 똑같은 표현입니다만,

では가 조금 더 상냥한 표현입니다.

일본어 데와,쟈 차이점이 뭐에요?

일본어 데와,쟈 차이점이 뭐에요? 말을 사용할 때는 자신과 상대방, 그리고 화제속 등장인물의 관계, 회화냐 문장이냐에 따라서 단어를 선택하게 됩니다. では、じゃ는 정중한...

나이데스와 나이데스 차이점이 뭐죠?

... (1) 나이데스가 부정어로 아니에요 이뜻으로 알고 있는데 나이데스만 써도 아니에요 않습니다 였나? 같은 뜻 아닌가요? (2)쟈가 무슨 뜻이죠? 일본어에서 “있다”라는...

아리마셍 , 나캇타 차이점이뭐죠?

... 차이점이 뭔가요 ではない의 회화체가 じゃない이고 じゃない의 과거형이 じゃなかった이고 じゃない의 공손체가 じゃないです 또는 じゃありません입니다. 일본어의...

일본어 쟈아리마셍 = 나이데스 인가요?

일본어 독학하는 중인데요 "~가 아닙니다 " 가 나오는데 제가 익숙한건 나이데스인데 책에는 쟈아리마셍만 나오더라구요 둘의 차이점이 뭔가요? じゃありません(~이 아닙니다)...

일본어 괜찮습니까?의 차이점

이번에 일본 여행을 다녀오면서 세 표현의 차이점에 대한... 주문해도 되냐는 의미로 썼다면 이해는 가지만 올바른 일본어가 아닙니다. 3. 가게의 자리가 좁은 상황에서...

일본어 질문입니다!

... /~입니다도 ~데스 대신 ~ 고자이마스 라고 하는걸 본거 같은데; 3.아루/이루의 구분 4.~한다면은 일본어로 뭔가요? 5. 사스가/얍빠리(야하리)의 차이점 w 6.나루호도는 정확히...

일본어 "~데와 아리마셍"과...

일본어에서 보면 "데와 아리마셍"이라고도 하고 데와나이 라고도 하는데.. 둘다 "아닙니다. 또는 없습니다."라는 뜻이잖아요..; 그런데 도대체 두문장의 차이점이 뭔가요?...

기초 일본어 질문

... 여기서 で 와 を 는 한국어로 무슨뜻인지 차이점이 뭔지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저기서, を로 들어간다면, を 이 신청서 주소는 히라가나를 써도 되나요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