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교육진흥연구소 영어Ⅱ(고3) 본문해석이요~ㅠ ㅠ(1,2과 7,8과)

중앙교육진흥연구소 영어Ⅱ(고3) 본문해석이요~ㅠ ㅠ(1,2과 7,8과)

작성일 2006.04.2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최대한 빨리 올려주세요~ㅠㅠㅠㅠㅠㅠ

 

2과

<!--StartFragment-->

As the demands of individuals are varied, there are often cases of actions happening solely for the profit of a single individual. Also, individual selfishness can appear in groups as well. This happens when people pursue only their own benefits. It is called mass selfishness or regional selfishness, or NIMBY and PIMFY.

NIMBY(Not In My Back Yard) refers to opposing facilities that either pollute the environment or are distasteful, and PIMFY(Please In My Front Yard) refers to attracting beneficial facilities for one's own region. These social problems commonly arise in foreign countries as well, but in our case regional selfishness has been surging with the advent of regional autonomy. Some people oppose building garbage landfills and others protest establishing schools for the handicapped. On the other hand, the PIMFY phenomenon occurs when community residents promote facilities that benefit the community or their region. These are good examples of mass selfishness.

In order to work out a compromise, the authorities seek to turn distasteful facilities into areas enjoyed by the residents. Actually, some regional governments have created resident relaxation areas such as nature study centers and environmental parks with distasteful facilities, and have harvested lots of unpolluted foods. These are good examples of how to avoid the NIMBY phenomena.

Here's a method that became commonplace a long time ago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Japan. One example is building distasteful public facilities underground, such as garbage recycling centers and centers for changing food waste into animal feed. In 1999, a district in Seoul created the first underground recycling center in Korea. As a consequence, it was aesthetically pleasing as the garbage previously on the ground disappeared, and the streets become cleaner with less noise and bad smells. Most of all, fewer social problems arose as tension with the residents was reduced.

In Danyang-gun, Chungcheongbuk-do, five villages applied to attract a garbage landfill that the county was proposing to build. This was a great surprise. The conditions the villages desired were normal things such as paving the streets, constructing better sewage disposal systems, and establishing welfare facilities. There must have been a great change in the way that the residents thought.

In 1998, the city of Miryang surprised many people, when the city dwellers competed strongly to attract a garbage landfill to their district. Such a landfill had been previously avoided as a distasteful facility. Twenty-five towns applied for this open competition. This was because the finances of many regional governments were in trouble after the IMF crisis of 1997 in Korea. Moreover, it was also because they were offered exceptionally good compensations on regional development. This kind of open application would be a good example to other regional governments that are facing problems with the NIMBY phenomena.

Along with these alternatives, however, what we all should realize is that we cannot live without such facilities, and that these facilities must exist somewhere. We should realize the simple fact that if it is not in one's backyard, then it has to be in someone else's. We should always keep in mind the old saying that we cannot have our cake and eat it, too. Wouldn't it be better not to simply disagree but to accept the decisions from fair procedures? It is high time we learned how to negotiate with our counterparts on many controversial issues and come up with compromises.


7과

<!--StartFragment-->

Lesson 7

Can Arts Cure Us?

1) Curing Disease through Music?

Perhaps almost everyone has an experience of having felt better after listening to good music or singing joyfully. This effect of music is being widely acknowledged and a variety of music is being recommended for stabilizing the psychological states of people. For instance, music such as Spring from Vivaldi's The Four Seasons seems to relieve fatigue, while Handel's  Music for the Royal Fireworks appears to lessen anxiety. Furthermore, there has been research indicating that listening to music is a very effective way of curing many types of illnesses.

Music therapy is literally therapy through music. Many people believe that merely listening to music serves as the main form of music therapy. However, music therapy means not only listening passively to music but also getting actively involved in such activities as singing, playing instruments, and writing songs. Music not only affects the physiological aspects of people such as blood pressure, heartbeat, and brain waves, but also improves the immune system of cancer patients.

Music has been proven to have a very positive effect on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According to a music therapist, a second grader in elementary school started music therapy in 1994. At the time he started, he couldn't manage even very short eye contact with his mother, much less with his teacher. His restlessness prevented him from settling down in class. He has received music therapy twice a week for three years and as a result, he is settling in well both in school and at home. This music therapy has enabled him to pursue new fields of study which he was not able to attempt before.

Music therapy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curing those who suffer from mental disorders, as well as treating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Music therapy is being conducted in many other areas of life. Examples include rehabilitating the physically disabled, relieving patients of their pain, soothing ordinary people's emotions and stress, and much more. Many have been experiencing such contributions from music therapy.


2) My Son Recovered from His Illness by Drawing and Painting

"My six-year-old son used to be very restless. He had trouble settling down in his playroom and at kindergarten. His impatience kept him from getting along with other kids. Since he received art therapy, however,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range of his vocabulary. His constant restlessness has also been reduced a lot. Art therapy has made it possible for him to be patient enough to wait for his turn in everything," said his mother.

Art therapy is no more simply passive than music therapy is. Art activities include completely freestyle drawing and creating some works of art using ordinary objects like threads, clay, even tree leaves, and the like. All such art activities contribute to emotional composure, mental development, and the ability to express oneself.

Art therapy is also used to diagnose a child's psychological state from the pictures drawn by the child and the information is consequently used to treat the child. For instance, the Institute of Human Development and Child Education states that when a child acts abnormally, one can analyze the child's psychological state through pictures. Hence, art therapy is used for curing emotional instability, testing personality, diagnosing psychological problems in people of all ages, and so forth.


8과

<!--StartFragment-->

Lesson 8

Sharing and Caring

1) Rockefeller was a famous American oil tycoon. He was born in a house stricken with poverty in 1839. Soon after finishing elementary school, he focused all his attention on earning money. In other words, he was determined to be a millionaire. His perseverance paid off and by the age of 33, he became a millionaire. When he was 43 years old, he owned the biggest company in the world. At the age of 54, he found himself a billionaire, the richest man in the world.

However, he met with the most unexpected misfortune of his life. He got a terminal illness. The illness was such that it made him lose all his hair and eyebrows, and his body started degenerating more and more. Worse still, he also suffered immensely from severe insomnia at night. His doctor predicted that he would be lucky to live more than a year.

As he continued to suffer from insomnia night after night, for the first time in his life he came to reflect on the fifty-four years he had lived. Through his reflection, he came to realize that all his hard-earned money should never be his real goal in life.

Ever since discovering the true meaning of life through his terminal illness, Rockefeller's way of living took a completely new turn. He started to use his possessions for the good of society and he gained pleasure from such acts. Rockefeller spent his immense fortune in establishing the Rockefeller Foundation, which helped people in poverty. Amidst all this, a miracle happened. The insomnia he suffered from became completely cured and what was even more incredible was that he regained his health. The man who was diagnosed to live merely a year lived to the age of 98.

When faced with the prospect of dying at the age of 98, Rockefeller admitted that "it would be a shame to die a millionaire." He therefore donated 6 billion dollars to society. He left the following will before he died: "When I die, place my body in a special coffin that will expose my empty hands. I want to let people know that we cannot take anything from this world once we die." Many people were impressed by his will. Had it not been for his great donations, our modern culture of sharing and caring would not be the same as it is today.

Those who have become the slaves of materialism are easily led to believe that money can do anything for them and they act in accordance with this belief. They do not know that money has worth only when spent meaningfully.


2) Sharing is not just about giving when things are in abundance but rather, it is about giving even when things are scarce. Sharing is a simple act of pleasure that comes from giving itself. Hence those who love giving are spiritually and physically healthy. Is such happiness of sharing common in Korea? Unfortunately, that's not the case. It is rather sad that such a charitable culture has not yet flourished in Korea despite the nation being a member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d its Gross National Product (GNP) being the 13th in the world.

According to one survey, Korea's annual charitable donations in 2000 totaled as much as 260 billion won. However, the average annual donation made per person was merely 5,800 won. Also, 70% of the donated amount came from companies during the Charity for the Poor Program held at the end of the year. In the US, the total amount of donations given to charities was about 190 billion dollars in 2000, hence, an average of 717 dollars per person. One out of five American people participate in voluntary work for an average of 2.2 hours per month.

Our society has launched a new experiment in the hope of encouraging charitable donations. The institution responsible for this is the Beautiful Foundation, established at the end of 1999. The Beautiful Foundation aims not only to help the socially deprived but also to support public interest such as the civilian campaign. Everyone of us is expected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is sharing movement in order to bring about a culture of charity and voluntary work.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2과
개인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종종 개인의 이익만을 위해 일어나는 행위의 사례들이 있다. 또한, 개인의 이기심은 집단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이는 사람들이 단지 그들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할 때 발생한다. 그것은 종종 지단 이기주의나 지역 이기주의, 즉 님비(NIMBY)와 핌비(PIMFY)라고 불린다.
님비는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불쾌감을 주는 시설을 반대하는 것을 가리키며, 핌피는 자신의 지역에 혜택이 되는 시설을 유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들은 흔히 외국에서도 일어나지만, 우리의 경우는 지역 이기주의가 지방자치의 도래와 함께 밀어닥치고 있다. 쓰레기 매립지 건설을 반대하는 사람도 있고 장애인 학교 설립에 항의하는 사람들도 있다. 반면에, 핌피 현상은 지역 주민이 그 공동체 혹은 그들 지역에 혜택 되는 시설을 끌어들이려 할 때 일어난다. 이런 것들은 집단 이기주의의 좋은 예이다.
타협을 이끌어 내기 위해 당국은 혐오 시설을 주민들이 즐길 수 있는 지역으로 변화시키려고 노력한다. 실제로 일부 지방 자치 단체는 혐오 시설과 함께 자연 학습장이나 환경 공원과 같은 주민 휴양 지역을 만들어 왔으며, 많은 무공해 식품을 수확해 왔다. 이런 것들은 님비 현상을 피하는 방법의 좋은 예에 해당된다.
다음은 일본과 같은 외국에서 오래 전부터 자주 쓰이는 방법이다. 한 예는 쓰레기 재활용 센터나 음식물 쓰레기를 동물의 사료로 바꾸는 처리장과 같은 공공 혐오 시설을 지하에 건설하는 것이다. 1999년 서울의 한 구는 한국 최초의 지하에 재활용 센터를 건설했다. 그 결과, 지상에 있었던 쓰레기가 사라짐으로 인해 미관상으로 쾌적할 뿐만 아니라, 소음과 냄새가 줄어들면서 거리도 깨끗해졌다. 무엇보다도, 주민들과의 마찰이 감소함에 따라 사회적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충청북도 단양군에서는, 그 군에서 건설을 추진 중이던 쓰레기 매립지를 유치하기 위해 다섯 마을이 지원했다. 이것은 굉장히 놀라운 일이었다. 그 마을들이 바라는 조건들은 도로 포장이나, 개선된 하수도 처리 시설 건설, 복지 시설 건립 등과 같은 평범한 것들이었다. 주민들이 생각하는 방식에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
1998년, 밀양시에서 주민들이 쓰레기 매립지를 그들 지역으로 유치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놀랐다. 그러한 매립지는 이전에는 혐오 시설로 기피되었기 때문이다. 이 공개 경쟁에 25개 마을이 지원했다. 이런 현상은 많은 지방 정부가 재정이 한국의 1997년 IMF위기 이후 곤란을 겪었기 때문이었다. 더구나, 그 마을들은 지역 발전에 대한 특별히 좋은 보상을 제안 받았기 때문이기도 했다. 이러한 종류의 공개 지원은 님비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겪는 다른 지방 정부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대안과 함께 우리 모두가 깨달아야 할 것은 우리는 그러한 시설들 없이는 살 수 없으며 이러한 시설들은 어딘가 에는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시설이 어느 누군가의 뒷마당에 없으면, 그것은 다른 누군가의 뒷마당에 있어야 한다는 단순한 사실을 우리는 깨달아야 한다. 케이크를 가지면서 동시에 먹기도 할 수 없다는 옛말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무조건적인 반대보다는 공정한 절차에서 나온 결정을 받아들이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이제는 많은 논쟁거리에 대해 우리의 상대방과 협상을 하는 법과 타협을 이끌어 내는 법을 배워야 할 때이다.

7과
아마도 거의 모든 사람들이 좋은 음악을 듣거나 즐겁게 노래를 부른 후에 기분이 좋아졌던 경험을 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음악이 효과는 현재도 널리 인정받고 있으며, 사람들의 심리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음악이 추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비발디의 [사계] 중 [봄]과 같은 음악은 피로를 덜어 주는 것 같고, 헨델의 [왕궁의 불꽃놀이]는 근심을 덜어 주는 것처럼 보인다. 더욱이, 음악을 듣는 것이 여러 종류의 질병 치료에 있어 대단히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하는 연구가 계속되었다.
음악 치료법은 문자 그대로 음악을 통한 치료법이다. 많은 사람들은 음악 치료법의 주된 형태가 단순히 음악을 듣는 활동이라고 믿고 있다. 하지만, 음악 치료법은 수동적으로 음악을 듣는 것뿐만 아니라 노래하고, 악기를 연주하고, 작곡을 하는 것과 같은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음악은 혈압, 맥박, 뇌파와 같은 사람들이 생리학적인 면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암 환자의 면역 체계를 증진시키기도 한다.
음악은 정서적으로 장애가 있는 아동들에게 대단히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한 음악 치료사에 따르면, 1994년에 한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이 음악 치료를 시작하였다. 그가 (음악 치료를) 시작할 당시에 그는 선생님은 물로 엄마와도 잠깐 동안의 시선조차 마주칠 수가 없었다. 안절부절못하는 불안감 때문에 그는 수업 시간에 차분히 있지 못했다. 그는 3년 동안 일주일에 두 번씩 음악 치료를 받았고, 그 결과 학교에서나 집에서 잘 지내고 있다. 그는 이러한 음악 치료법 덕택에 예전에는 시도하지 못했던 새로운 학업 분야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음악 치료법은 정서적으로 장애가 있는 아동들에 대한 치료뿐만 아니라 정신 질환으로 고통을 받는 사람들을 치료하는 데에도 상당한 공헌을 하고 있다. 음악 치료법은 삶의 아주 다양한 분야에서 시해오디고 있다. 예로는 신체 장애자들의 재활, 환자들의 고통을 경감시켜 주는 일, 보통 사람들의 감정과 스트레스를 덜어 주는 일 그리고 그밖에 많은 것들이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음악 치료법이 그러한 공헌을 하고 있는 것을 경험해 오고 있다.0star

“제 여섯 살 난 아들은 예전에는 매우 불안해하였습니다. 놀이 방이나 유치원에서 마음을 편안히 가지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조바심 때문에 다른 아이들과 잘 지낼 수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미술 치료를 받은 이후로 어휘 사용의 범위가 상당히 향상되었습니다. 지속적인 불안감 또한 많이 감소하였습니다. 아들은 미술 치료법 덕택에 모든 일에서 자신의 차례를 기다릴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참을성을 갖게 되었습니다.”라고 아이의 어머니가 말했다.

미술 치료법은 음악 치료법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수동적이지만은 않다. 미술 치료 활동으로는 완전히 자유로운 양식의 그리기, 실, 점토, 심지어 나뭇잎 등과 같은 보통의 물건들을 이용하여 미술 작품을 만드는 일 등이 있다. 그러한 모든 미술 활동은 감정의 평정, 정신 발달과 자기 표현 능력에 공헌한다.
미술 치료법은 또한 어린 아이가 그린 그림으로부터 그 아이의 심리 상태를 진단하는 데에 이용이 되며, 그 정보는 결과적으로 그 어린이를 치료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인간 발달 및 아동 교육 협회는 어린이가 비정상적으로 행동할 때, 어린이의 심리 상태를 (어린이가 그린) 그림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미술 치료법은 모든 세대의 사람들에 대한 정서 불안을 치유하고, 성격을 검사하며, 심리적 문제를 진단하는 등의 일에 사용된다.

8과
록펠러는 미국의 유명한 석유 회사 재벌이었다. 그는 1839년에 가난에 지든 집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를 마치자마자 그는 모든 관심을 돈을 버는 데 집중했다. 바꾸어 말하면, 그는 백만장자가 되기로 결심한 것이었다. 그의 인내는 결실을 맺어서 33세에 그는 백만장자가 되었다. 43세가 되었을 때 그는 세계에서 가장 큰 회사를 소유하게 되었다. 54세 때 그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이 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는 인생에서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불행과 마주쳤다. 그는 그만 불치병에 걸린 것이다. 그의 병은 너무 심해서 머리카락과 눈썹이 모두 빠질 정도였고, 그의 신체는 점점 더 쇠약해지기 시작했다. 설상가상으로 그는 밤에 심한 불면증으로 큰 고통을 겪었다. 그의 주치의는, 그가 일 년 이상 살 수 있다면 행운이라고 예견했다.
매일 밤이면 밤마다 계속되는 불면증으로 고통을 겪으면서, 그는 생애 처음으로 그가 살아온 54년을 되돌아보게 되었다. 그는 인생에 대한 회고를 통해 자신이 힘들게 번 돈이 그의 인생의 목표가 되어서는 결코 안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불치병을 통해 인생의 참된 의미를 발견하고 난 이후, 록펠러의 삶의 방식은 완전히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는 사회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재산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그러한 행위를 통해 기쁨을 얻었다. 록펠러는 막대한 돈을 들여 빈곤한 사람들을 도와 주는 록펠러 재단을 설립했다. 이 모든 일을 하는 가운데 기적이 일어났다. 그가 시달리던 불면증이 완전히 치유되었고, 더더욱 믿지 못할 일은 그가 건강을 회복한 것이다. 일 년밖에 살지 못할 것으로 진단을 받은 사람이 98세까지 살았다.
98세에 이르러 자신이 죽으리라고 예견했을 때 록펠러는 “백만장자로 죽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될 것이다.”라고 고백했다. 그리하여 그는 60억 달러를 사회에 기부하였다. 그는 죽기 전에 다음과 같은 유언을 남겼다. “내가 죽으면 내 빈 손들이 밖으로 보이도록 특별한 관을 만들어 내 시신을 안치시키시오. 나는 우리가 일단 죽으면 이 세상에서 아무것도 가지고 갈 수 없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알려 주고 싶소.”많은 사람들은 그의 유언에 감명 받았다. 그의 위대한 기부가 없었더라면, 오늘날 우리의 나눔과 보살핌의 문화는 현재와 같지 않을 것이다.
물질 만능주의의 노예가 되어 버린 사람들은 돈만 있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쉽게 믿어 버리고, 이러한 믿음에 따라 행동을 한다. 그들은 돈이 의미 있게 쓰일 때에만 가치를 가진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나눔은 풍족할 때 주는 것만이 아니라 오히려 부족할 때 주는 것이다. 나눔은 남에게 주는 행위가 자체에서 즐거움을 얻는 간단한 행위이다. 그러므로 주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나 건강하다. 그러한 나눔의 행복이 한국에서 흔한 일인가? 불행히도 그렇지 못하다. 한국이 경제 협력 개발 기구 (OECD)의 회원국이고, 한국의 국민 총생산(GNP)이 세계 13위인데도 그러한 자선의 문화가 한국에서 번성하지 못한 것은 슬픈 일이다.
한 조사에 따르면, 2000년의 한국의 연간 자선 기부금의 합계는 2,600억 원이다. 그러나 일인당 연평균 기부금은 단지 5,800원에 불과하다. 도한 기부 금액의 70%는 연말에 개최된 불우 이웃 돕기 모금 운동 때 각 기업에서 기부한 것이다. 2000년에 미국에서 자선 단체에 기부된 금액이 약 1,900억 달러에 달했고, 다라서 일인당 평균 717달러가 된다. 미국 사람 다섯 명 중 한 명은 한 달에 평균 2.2시간의 자원 봉사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0star
우리 사회는 자선 단체에 대한 기부를 촉진하려는 희망을 가지고 새로운 실험을 전개하고 있다. 이것을 담당하는 기관이 바로 1999년 말에 설립된 ‘아름다운 재단’이다. 아름다운 재단은 사회적으로 곤궁한 사람들을 도와주는 것뿐만 아니라, 시민 운동과 같은 공공의 관심사를 지원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자선과 자원 봉사의 문화를 진작시키기 위하여 우리 모두는 이 나눔의 운동에 적극 동참하여야 할 것이다.
- 이상은 Exam4you의 자료를 올린것입니다.

영어교과서 7과,8과 본문해석이요.,...

... 해석해주세요.. 제발요~ 시험공부해야하는데 해석이 필요해요..-ㅇㅠ 빠른시일내에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본문 제목은 '7. How to get a great idea' 랑 '8. The Roman Times...

두산김 실용영어2 6,7,8과 본문 해석

... footprint 7. communication - how to make a good search - seize the day, seize the moment 8. winter sports - the origine of the winter olympics - exciting winter games ※혹시 이상한 본문해석해 주실까 미리...

영어 (금성출판사) 8,9,10과 본문 해석...

고1 영어 (금성출판사) 8,9,10과 본문 해석좀 부탁드려요ㅠ... 부탁드려요ㅠㅠ ( 내공겁니다ㅠㅠ ) 8 단원. DNA 시대 1... 2 국제적인 과학자 팀이 인체의 정보를 순서대로 맞추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