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지다의 뜻을 가진 한자가 있나요

빠지다의 뜻을 가진 한자가 있나요

작성일 2008.03.2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빠지다 의 뜻을 가진 한자랑요

깊다 의 뜻을 가진 한자좀

있는대로 많이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사전 검색 결과입니다 . 도움이 되시길

2
 
들 입  ㉠들다 ㉡들이다 ㉢들어오다 ㉣들어가다 ㉤빠지다 ㉥담그다 ㉦수입 ㉧입성(四聲의 하나)
[등급]중학용 [한자검정]7급 [부수]들입部 [자원]지사문자
入(입)은 토담집 따위에 들어가는 것, 나중에 대궐 같은 건물(建物)에 들어가는 것을 內(내)라 일컫지만 본디 入(입)ㆍ內(내)ㆍ納(납)은 음도 뜻도 관계(關係)가 깊은 말이었음
10
 
이지러질 결  ㉠이지러지다 ㉡없다 ㉢없어지다 ㉣모자라다 ㉤부족하다 ㉥(할 일을) 빠뜨리다 ㉦비다 ㉧아니 하다 ㉨나오지 않다 ㉩빠지다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4급 [부수]장군부部 [자원]형성문자
欠의 본자(本字). 뜻을 나타내는 장군부(缶☞항아리, 질그릇)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결(☞깨진다)의 합자(合字). 독이 깨짐의 뜻
11
 
벗을 탈, 기뻐할 태  ㉠벗다 ㉡벗어나다 ㉢벗기다 ㉣사면하다 ㉤풀다 ㉥나오다 ㉦빠지다 ㉧떨어지다 ㉨거칠다 ㉩소홀하다 ㉪잃다 ㉫혹시 ㉬만일 ㉭매우 ㉭전부 ⓐ기뻐하다 (태) ⓑ허물을 벗다(=蜕) (태) ⓒ느리다 (태)
[등급]중학용 [한자검정]4급 [부수]육달월部 [자원]형성문자
脱의 본자(本字). 娧(태)와 동자(同字). 뜻을 나타내는 육달월(月(=肉)☞살, 몸)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제거한다는 뜻을 나타내는 兌(태→탈은 변음(變音))로 이루어짐. 살에서 뼈를 제거하다의 뜻, 전(轉)하여 빠지다, 벗다의 뜻
7
 
빠질 몰  ㉠빠지다 ㉡다하다 ㉢죽다 ㉣빼앗다 ㉤마치다 ㉥지나치다 ㉦숨다 ㉧탐하다(貪--) ㉨없다 ㉩들어가다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몰(☞없어지다의 뜻)의 합자(合字). 물속에 가라앉아 없어지다의 뜻
13
 
꺼질 멸/멸할 멸  ㉠(불이)꺼지다 ㉡끄다 ㉢멸하다(滅--) ㉣멸망하다(滅亡--) ㉤없어지다 ㉥다하다 ㉦빠지다 ㉧빠뜨리다 ㉨숨기다 ㉩죽다 ㉪잠기다 ㉫열반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없어지다의 뜻을 가진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烕(멸)로 이루어짐. 물이 다하여 없어지다의 뜻. 멸망하다의 뜻
11
 
음란할 음, 요수 요, 강 이름 염  ㉠음란하다(淫亂--) ㉡탐하다, 욕심내다 ㉢과하다, 지나치다 ㉣간사하다(奸邪--), 사악하다 ㉤도리에 어긋나다 ㉥어지럽다 ㉦어지럽히다, 미혹시키다 ㉧빠지다 ㉨깊다, 심하다 ㉩크다, 대단하다 ㉪사치하다 ㉫윤택하다 ㉬오래다, 머무르다 ㉭장마 ㉭제멋대로 하다 ㉭진실하지 못하다 ⓐ요수(淫水) (요) ⓑ강 이름 (염)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물속에 담그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㸒(음)으로 이루어짐. 물에 축축하게 적시다의 뜻. 전(轉)하여 물에 담그다, 度(도)를 지나치다의 뜻
15
 
취할 취  ㉠취하다 ㉡취하게 하다 ㉢술에 담그다 ㉣빠지다 ㉤지나치게 좋아하다 ㉥탐닉하다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닭유部 [자원]형성문자
酔의 본자(本字). 뜻을 나타내는 닭유(酉☞술, 닭)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없어질 때까지 하다의 뜻을 가지는 卒(졸→취는 변음(變音))로 이루어짐. 술을 없어질 때까지 마셔 취하다의 뜻
7
 
잠길 침, 성 심  ㉠잠기다 ㉡가라앉다 ㉢빠지다 ㉣(원기를)잃다 ㉤오래다 ㉥오래되다 ㉦침울하다 ㉧막히다 ㉨무겁다 ㉩숨다 ㉪늪 ㉫진흙 ㉬호수 ⓐ성(姓)의 하나 (심) ⓑ즙(汁) (심)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湛이 고자(古字). 瀋의 간체자(簡體字).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깊이 아래로 늘어뜨리다의 뜻을 가진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冘(유→침은 변음(變音))로 이루어짐. 水中(수중)에 가라앉다의 뜻
11
 
빠질 함  ㉠빠지다 ㉡빠뜨리다 ㉢움푹 패이다 ㉣날조하다(捏造--) ㉤모함하다(謀陷--) ㉥점령당하다 ㉦함락당하다 ㉧함정 ㉨결함 ㉩결점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좌부변部 [자원]형성문자
陥의 본자(本字). 埳과 동자(同字). 뜻을 나타내는 좌부변(阝(=阜)☞언덕)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떨어지다의 뜻을 가지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臽(함)으로 이루어짐. 높은곳으로부터 떨어지다의 뜻
10
 
거칠 황  ㉠거칠다 ㉡흉년 들다 ㉢덮다 ㉣버리다, 폐기하다 ㉤멸망시키다 ㉥차지하다 ㉦넓히다 ㉧허황하다, 황당무계하다 ㉨(주색에)빠지다 ㉩모자라다 ㉪어둡다 ㉫흐릿하다, 모호하다 ㉬흉년(凶年) ㉭변방(邊方)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초두머리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초두머리(艹(=艸)☞풀, 풀의 싹)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풀이 무성하게 자란 뜻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巟(황)으로 이루어져 풀이 땅을 덮고 매우 荒廢(황폐)해지다의 뜻
15
 
떨어질 타, 무너뜨릴 휴  ㉠떨어지다 ㉡떨어뜨리다 ㉢낙하하다 ⓐ무너뜨리다 (휴) ⓑ무너지다 (휴) ⓒ빠지다 (휴)
[등급]고등용 [한자검정]3급 [부수]흙토部 [자원]형성문자
隳와 동자(同字). 뜻을 나타내는 土(토☞흙)와 음(音)을 나타내며 동시(同時)에 무너뜨리다의 뜻을 가지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隋(수)를 합친 글자. 흙을 무너뜨리다의 뜻에서 무너지다, 떨어지다의 뜻으로 쓰임
13
 
빠질 닉(익), 오줌 뇨(요)  ㉠빠지다 ㉡빠뜨리다 ⓐ오줌 (뇨)
[등급]상용 [한자검정]2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弱(약)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7
 
물 이름 면/빠질 면  ㉠물 이름 ㉡물 흐르다 ㉢빠지다
[등급]상용 [한자검정]2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丏(면)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4
 
싫어할 염, 누를 엽, 빠질 암  ㉠싫어하다 ㉡물리다 ㉢조용하다 ㉣가리다 ㉤막다 ㉥가위 눌리다 ⓐ누르다 (엽) ⓑ따르다 (엽) ⓒ마음에 들다 (엽) ⓓ젖다 (엽) ⓔ빠지다 (암)
[등급]상용 [한자검정]2급 [부수]민엄호밑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민엄호밑(厂☞굴바위, 언덕)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猒(염)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0
 
즐길 탐  ㉠즐기다 ㉡빠지다 ㉢처지다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2급 [부수]귀이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귀이(耳☞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유(☞탐으로 바뀜)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11
 
빠질 륜(윤)  ㉠빠지다 ㉡빠져들다 ㉢잠기다 ㉣물놀이 ㉤잔물결
[등급]상용 [한자검정]1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侖(륜)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2
 
묻힐 인, 막힐 연  ㉠묻히다 ㉡잠기다 ㉢빠지다 ㉣스미다 ㉤통하지 않다 ⓐ막히다 (연)
[등급]상용 [한자검정]1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인(부수(部首)를 뺀 나머지 글자)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4
 
구덩이 참, 낮을 점  ㉠구덩이 ㉡해자(垓子: 성 밖을 둘러싼 못) ㉢(땅을)파다 ㉣(해자에)빠지다 ⓐ낮다 (점) ⓑ평평하다 (점)
[등급]상용 [한자검정]1급 [부수]흙토部 [자원]형성문자
壍과 동자(同字). 뜻을 나타내는 흙토(土☞흙)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斬(참)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2
 
빠질 면  ㉠빠지다 ㉡술에 빠지다 ㉢변천하다 ㉣흘러 옮기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面(면)이 음(音)을 나타냄
15
 
물 빨리 흐르는 소리 흡, 웅덩이에 빠질 압  ㉠물 빨리 흐르는 소리 ⓐ웅덩이에 빠지다 (압)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翕(흡)이 음(音)을 나타냄
11
 
주정할 후  ㉠주정하다(酒酊--) ㉡술에 빠지다 ㉢탐닉하다(耽溺--)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닭유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닭유(酉☞술, 닭)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凶(흉)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7
 
잠길 침, 성 심  ㉠잠기다 ㉡가라앉다 ㉢빠지다 ㉣(원기를)잃다 ㉤오래다 ㉥오래되다 ㉦침울하다 ㉧막히다 ㉨무겁다 ㉩숨다 ㉪늪 ㉫진흙 ㉬호수 ⓐ성(姓)의 하나 (심) ⓑ즙(汁) (심)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沈(침)의 속자(俗字).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冗(용)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13
 
빠질 익(닉), 오줌 뇨(요)  ㉠빠지다 ㉡빠뜨리다 ⓐ오줌 (뇨)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弱(약)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4
 
빠질 점  ㉠빠지다 ㉡물 속이나 깊숙한 곳에 떨어져 잠기다 ㉢괴로워하다 ㉣땅이 낮다 ㉤꺾이다 ㉥파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흙토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흙토(土☞흙)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執(집)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12
 
빠질 외, 흐릴 위  ㉠빠지다 ㉡물결 일다 ⓐ흐리다 (위)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畏(외)가 음(音)을 나타냄
11
 
즐길 탐, 짐새 짐  ㉠즐기다 ㉡빠지다 ⓐ짐새(鴆-: 광동성에 사는 독조(毒鳥). 그 깃을 담근 술을 마시면 죽게 됨) (짐)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닭유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닭유(酉☞술, 닭)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冘(유)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22
 
이 솟아날 곤  ㉠이 솟아나다 ㉡이 빠지다 ㉢물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이치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이치(齒☞이, 나이)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困(곤)이 음(音)을 나타냄
9
 
빠질 인, 막힐 연  ㉠빠지다 ⓐ막히다 (연)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因(인)이 음(音)을 나타냄
18
 
무너뜨릴 휴, 떨어질 타  ㉠무너뜨리다 ㉡무너지다 ㉢빠지다 ⓐ떨어지다 (타) ⓑ떨어뜨리다 (타) ⓒ낙하하다 (타)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좌부변部 [자원]형성문자
墮(타)와 동자(同字)
12
 
성지 황  ㉠성지(城池) ㉡해자(垓子: 성 밖을 둘러싼 못) ㉢우묵한 땅 ㉣물에 빠지다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皇(황)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1
 
구덩이 감, 빠질 함  ㉠구덩이 ⓐ빠지다 (함) ⓑ빠뜨리다 (함) ⓒ움푹 패이다 (함) ⓓ날조하다(捏造--) (함) ⓔ모함하다(謀陷--) (함) ⓕ점령당하다 (함) ⓖ함락당하다 (함) ⓗ함정 (함) ⓘ결함 (함) ⓙ결점 (함)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흙토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흙토(土☞흙)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臽(감)이 음(音)을 나타냄
11
 
진흙 뇨(요), 얌전할 작  ㉠진흙 ㉡진창(땅이 질어서 질퍽질퍽하게 된 곳) ㉢젖다 ㉣온화하다 ㉤보드랍다 ㉥빠지다 ⓐ얌전하다 (작)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卓(탁)으로 이루어짐
12
 
괼 담, 잠길 침, 맑을 잠, 담글 점, 장마 임  ㉠괴다 ㉡즐기다 ㉢술에 빠지다 ㉣탐닉하다 ㉤더디다 ㉥느릿하다 ⓐ잠기다(=沈) (침) ⓑ가라앉히다 (침) ⓒ없애다 (침) ⓓ미혹되다 (침) ⓔ깊이 빠지다 (침) ⓕ깊이, 깊게 (침) ⓖ맑다 (잠) ⓗ편안하다 (잠) ⓘ깊다 (잠) ⓙ이슬이 많이 맺힌 모양 (잠) ⓚ담그다 (점) ⓛ적시다 (점) ⓜ장마 (임) ⓝ넘치다 (임) ⓞ파도 치다 (임)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沈의 고자(古字). 㴴가 고자(古字). 妉과 동자(同字).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甚(심)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1
 
빠질 윤(륜)  ㉠빠지다 ㉡빠져들다 ㉢잠기다 ㉣물놀이 ㉤잔물결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淪(윤)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0
 
늙은이 모  ㉠늙은이 ㉡늙어 빠지다 ㉢혼몽하다 ㉣늙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늙을로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늙을로(老(=耂)☞노인, 늙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毛(모)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7
 
성 심, 가라앉을 침  ㉠성(姓)의 하나 ㉡즙 ⓐ가라앉다 (침) ⓑ가라앉히다 (침) ⓒ빠지다 (침) ⓓ잠기다 (침) ⓔ호수 (침) ⓕ진흙 (침)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깊이 아래로 '늘어뜨리다'의 뜻을 가진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유(☞침은 변음(變音))로 이루어짐
9
 
골 동, 밝을 통  ㉠골 ㉡고을 ㉢마을 ㉣동네 ㉤구렁 ㉥굴 ㉦골짜기 ㉧깊다 ㉨비다 ㉩공허하다 ⓐ밝다 (통) ⓑ꿰뚫다 (통) ⓒ통하다 (통) ⓓ통달하다 (통)
[등급]중학용 [한자검정]7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음(音)을 나타내는 同(동)과 물(水)이 있는 곳에 마을이 있다는 데서 '마을'을 뜻함
14
 
멀 원  ㉠멀다 ㉡심오하다 ㉢깊다 ㉣멀리하다 ㉤먼데
[등급]중학용 [한자검정]6급 [부수]책받침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책받침(辶(=辵)☞쉬엄쉬엄 가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袁(원)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袁(원)은 衣(의)자 속에 ○을 쓴 낙낙한 긴 옷, 책받침(辶(=辵)☞쉬엄쉬엄 가다)部는 움직이는 일, 나아가는 일, 즉 길게 하다→길다→멀어지다→멀다
10
 
높을 고  ㉠높다 ㉡뛰어나다 ㉢크다 ㉣고상하다 ㉤존경하다 ㉥멀다 ㉦깊다 ㉧비싸다 ㉨뽐내다 ㉩높이, 고도 ㉪위 ㉫높은 곳 ㉬높은 자리 ㉭위엄(威嚴)
[등급]중학용 [한자검정]6급 [부수]높을고部 [자원]상형문자
성의 망루의 모양. 높은 건물(建物)의 뜻. 후에 단순히 높음의 뜻이 됨
5
 
길 영  ㉠길다 ㉡오래다 ㉢깊다 ㉣길이
[등급]중학용 [한자검정]6급 [부수]물수部 [자원]상형문자
여러 갈래로 흐르는 물의 줄기를 본뜬 글자로 물줄기가 합쳐지고 갈라지며 멀리 흘러간다는 데서 '길다'를 뜻함
11
 
깊을 심  ㉠깊다 ㉡짙다 ㉢매우 ㉣깊이
[등급]중학용 [한자검정]준4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심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음(音)을 나타내는 심은 又(우)와 火(화)를 합한 모양의 글자에 穴(혈☞구멍→사람의 住居(주거))를 더하여 이루어진 글자. 불을 손에 들고 속 깊숙이 사람이 들어가는 모습. 물수(水(氵, 氺)☞물)部를 더하여 물의 밑바닥이 깊은 것을 일컬음
6
 
이를 지  ㉠이르다 ㉡지극하다 ㉢힘쓰다 ㉣깊다 ㉤많다 ㉥좋다 ㉦맞다 ㉧이루다 ㉨얻다 ㉩표하다 ㉪진실 ㉫지극히 ㉬동지 ㉭크게
[등급]중학용 [한자검정]준4급 [부수]이를지部 [자원]상형문자
화살이 이르는 모양→이르다, 후세의 사람은 새가 땅을 향하여 내려앉는 모양이라 하여 '이르다'를 뜻함
4
 
구멍 공  ㉠구멍 ㉡성(姓)의 하나 ㉢매우 ㉣심히 ㉤비다 ㉥깊다
[등급]고등용 [한자검정]4급 [부수]아들자部 [자원]회의문자
어린 아이가(子) 젖통에서 젖을 빠는 모양(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으로 젖이 나오는 '구멍'을 뜻함
9
 
그윽할 유  ㉠그윽하다 ㉡깊다 ㉢어둡다 ㉣숨다 ㉤가두다 ㉥갇히다 ㉦조용하다 ㉧검다 ㉨귀신 ㉩저승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작을요部 [자원]형성문자
음(音)을 나타내는 유(작을요(幺☞작다)部+작을요(幺☞작다)部☞검다)와 불의 모양을 본뜬 山이 변한 모양의 글자로 이루어짐. 불에 그을려 검게 되다, 전(轉)하여 어둡다, 희미하다의 뜻이됨
11
 
음란할 음, 요수 요, 강 이름 염  ㉠음란하다(淫亂--) ㉡탐하다, 욕심내다 ㉢과하다, 지나치다 ㉣간사하다(奸邪--), 사악하다 ㉤도리에 어긋나다 ㉥어지럽다 ㉦어지럽히다, 미혹시키다 ㉧빠지다 ㉨깊다, 심하다 ㉩크다, 대단하다 ㉪사치하다 ㉫윤택하다 ㉬오래다, 머무르다 ㉭장마 ㉭제멋대로 하다 ㉭진실하지 못하다 ⓐ요수(淫水) (요) ⓑ강 이름 (염)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물속에 담그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㸒(음)으로 이루어짐. 물에 축축하게 적시다의 뜻. 전(轉)하여 물에 담그다, 度(도)를 지나치다의 뜻
5
 
어릴 유  ㉠어리다 ㉡깊다 ㉢사랑하다 ㉣어린아이
[등급]중학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작을요部 [자원]형성문자
음(音)을 나타내는 작을요(幺☞작다)部(누에의 고치에서 갓나온 가느다란 실)와 力(력☞팔의 모양→일)의 합자(合字). 즉 꼬아서 실을 만드는 일이다. 이 뜻으로는 나중에 拗(요)로 쓰고 幼(유)자는 어리다는 뜻으로 쓰여짐
15
 
찌를 충  ㉠찌르다 ㉡부딪치다 ㉢온화하다 ㉣높이 날다 ㉤깊다 ㉥빌다 ㉦용솟음치다 ㉧어리다 ㉨목 ㉩요긴한 곳 ㉪거리 ㉫성(姓)의 하나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다닐행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다닐행(行☞다니다, 길의 모양)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꿰뚫다의 뜻을 갖는 重(중→충은 변음(變音))으로 이루어짐. 마을을 꿰뚫고 있는 길의 뜻, 음을 빌어 부딪치다의 뜻으로 쓰임
10
 
잠길 침  ㉠잠기다 ㉡담그다 ㉢번지다 ㉣(물에)적시다 ㉤스며들다 ㉥젖게 하다 ㉦씻다, 헹구다 ㉧깊다 ㉨나아가다 ㉩물을 대다 ㉪자세히 보다 ㉫(친하게)따르다 ㉬범하다(犯--) ㉭연못 ㉭점점 ㉭차츰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담그다ㆍ적시다의 뜻을 가진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침)으로 이루어짐. 물에 적시다의 뜻, 전(轉)하여 배어들어가다의 뜻
17
 
고개 령(영)  ㉠고개, 재 ㉡산맥 이름 ㉢산봉우리 ㉣연속한 산 ㉤산마루의 고개 ㉥잇닿아 뻗어 있는 산줄기 ㉦오령의 약칭 ㉧산이 깊다 ㉨산이 깊숙하다 ㉩산이 으슥하다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메산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메산(山☞산봉우리)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稜線(능선)의 뜻을 가진 領(령)으로 이루어짐. 잇닿는 산의 능선의 뜻
15
 
잠길 잠  ㉠잠기다 ㉡감추다 ㉢숨기다 ㉣자맥질하다(물속에서 팔다리를 놀리며 떴다 잠겼다 하는 짓) ㉤가라앉다 ㉥마음을 가라앉히다 ㉦깊다 ㉧물 이름(漢水의 異稱) ㉨몰래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꿰뚫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朁(참→잠은 변음(變音))으로 이루어짐. 물속을 꿰뚫고 간다는 뜻. 전(轉)하여 물속에 들어가다, 잠기다의 뜻
5
 
검을 현  ㉠검다 ㉡오묘하다 ㉢깊다 ㉣하늘 ㉤현손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검을현部 [자원]회의문자
작을요(幺☞작다)部와 돼지해머리(亠☞머리 부분, 위)部의 합자(合字). 幽遠(유원)의 뜻을 나타냄. 전(轉)하여, 검은 빛ㆍ하늘 등의 뜻으로 쓰임
10
 
깊게 할 준  ㉠깊게 하다 ㉡깊다 ㉢치다 ㉣재물을 약탈하다(掠奪--) ㉤빼앗다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2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夋(준)으로 이루어짐. 본디 강의 이름
13
 
깊을 황  ㉠깊다 ㉡물이 깊고 넓다 ㉢물이 깊고 넓은 모양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2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晃(황)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7
 
깊을 준  ㉠깊다 ㉡심오하다 ㉢치다(파내다) ㉣물길을 통하다
[등급]상용 [한자검정]2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회의문자
강의 뜻인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산골짜기를 파는 뜻에서, 강줄을 파는 뜻을 나타내는 睿(예)로 이루어지며, 강을 파서 깊게 하는 뜻
7
 
화할 충  ㉠온화하다 ㉡빌다 ㉢어리다 ㉣깊다 ㉤높이 날다 ㉥부딪치다 ㉦비다 ㉧공허하다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2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中(중☞충)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6
 
종족 이름 예, 그물 던지는 소리 활  ㉠종족 이름 ㉡물이 깊고 넓은 모양 ㉢깊다 ㉣더럽다 ㉤흐리다 ⓐ그물을 던지는 소리 (활)
[등급]상용 [한자검정]2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歲(세)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5
 
못 담, 물가 심  ㉠못(물이 괸 깊은 곳) ㉡소 ㉢물결따라 떠도는 모양 ㉣북소리의 형용 ㉤깊다 ⓐ물가(水涯의 깊은 곳) (심) ⓑ강가 (심)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2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깊다는 뜻을 가진 覃(담)으로 이루어짐. 깊은 물을 가득히 채운 곳이란 뜻
12
 
못 연  ㉠못 ㉡소, 웅덩이 ㉢모이는 곳 ㉣근원, 근본 ㉤출처 ㉥북소리 ㉦깊다 ㉧조용하다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2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깊은 못에서 물이 돌고 있는 모양을 본뜬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연)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8
 
물 깊을 홍  ㉠물이 깊다 ㉡물이 맑고 깊은 모양 ㉢소 ㉣연지(硯池) ㉤웅덩이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2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弘(홍)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6
 
짙을 농  ㉠(색이)짙다 ㉡(음식이)진하고 맛이 좋다 ㉢(안개 등이)깊다 ㉣(정의가)두텁다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2급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農(농)으로 이루어짐. 본디 이슬이 많이 내린다는 뜻. 농(酉+農☞진한 술)과 통하여 맛이 진하다는 뜻. 전(轉)하여 진하다는 뜻으로 쓰였음
19
 
클 담/말씀 담  ㉠크다 ㉡편안하다(便安--) ㉢붙(이)다 ㉣깊다 ㉤말씀 ㉥이야기 ㉦나라 이름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1급 [부수]말씀언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말씀언(言☞말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覃(담)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3
 
깊을 오, 따뜻할 욱  ㉠깊다 ㉡깊숙하다 ㉢그윽하다 ㉣흐려지다 ㉤흐리다 ㉥쌓다 ㉦속 ㉧깊숙한 안쪽 ㉨구석 ㉩아랫목 ㉪나라의 안 ⓐ따뜻하다(=燠) (욱) ⓑ덥다 (욱) ⓒ절이다 (욱) ⓓ물굽이 (욱)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1급 [부수]큰대部 [자원]형성문자
奥의 본자(本字). 집을 뜻하는 갓머리(宀☞집, 집 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불을 때마다 뜻을 나타내기 위한 권(悉에선 心대신 卄를 쓴 자☞오ㆍ욱은 변음(變音))으로 이루어짐. 집안에서 불을 때는 곳, 옛날 중국(中國)에서는 서남(西南)쪽 구석에 아궁이를 두었기 때문에 전(轉)하여 깊숙한 곳, 깊숙한 구석진 곳을 뜻함
15
 
전국술 순  ㉠전국술(全-: 군물을 타지 아니한 진국의 술) ㉡진한 술 ㉢진하다 ㉣순수하다 ㉤도탑다(사랑이나 인정이 많고 깊다) ㉥순박하다 ㉦질박하다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1급 [부수]닭유部 [자원]형성문자
옛 글자는 뜻을 나타내는 닭유(酉☞술, 닭)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잘 익다'의 뜻을 나타내는 순(醇에서 酉를 제외(除外)한 부분)으로 이루어짐. 잘 익은, 물 타지 않은 술☞'섞인 것이 없다'의 뜻. 또 淳(순)의 음을 빌어 '도탑다'의 뜻으로 씀
15
 
잠길 잠  ㉠잠기다 ㉡감추다 ㉢숨기다 ㉣자맥질하다(물속에서 팔다리를 놀리며 떴다 잠겼다 하는 짓) ㉤가라앉다 ㉥마음을 가라앉히다 ㉦깊다 ㉧물 이름(漢水의 異稱) ㉨몰래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潛(잠)의 속자(俗字).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替(체)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9
 
침침할 요  ㉠침침하다 ㉡깊다 ㉢아름답다 ㉣동남우(東南隅) ㉤문동개소리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구멍혈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구멍혈(穴☞구멍)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夭(요)로 이루어짐
17
 
고개 영(령)  ㉠고개, 재 ㉡산맥 이름 ㉢산봉우리 ㉣연속한 산 ㉤산마루의 고개 ㉥잇닿아 뻗어 있는 산줄기 ㉦오령의 약칭 ㉧산이 깊다 ㉨산이 깊숙하다 ㉩산이 으슥하다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메산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메산(山☞산봉우리)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領(영)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7
 
산골 휑할 하  ㉠산골 휑하다 ㉡깊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메산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메산(山☞산봉우리)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牙(아)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8
 
깊을 앙, 구름 일 영  ㉠깊다 ㉡넓다 ⓐ구름 일다 (영)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央(앙)이 음(音)을 나타냄
11
 
그러모을 부  ㉠그러모으다 ㉡헤치다 ㉢깊다 ㉣가르다 ㉤자랑하다 ㉥가르다 ㉦치다 ㉧넘어뜨리다 ㉨거두다 ㉩엎드러지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재방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재방변(扌(=手)☞손)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咅(부)가 음(音)을 나타냄
21
 
실 마디 뢰(뇌)  ㉠실 마디 ㉡맺힌 실 ㉢흠 ㉣잘못 ㉤꽃봉오리 ㉥어그러지다 ㉦치우치다 ㉧깊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실사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실사(糸☞실, 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頪(뢰)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18
 
깊을 왕, 물깊고 넓은 모양 황  ㉠깊다 ㉡물깊고 넓은 모양 ⓐ물깊고 넓은 모양 (황)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廣(광)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6
 
더듬을 알  ㉠더듬다 ㉡빌다 ㉢구멍 뚫다 ㉣깊다 ㉤큰 구멍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구멍혈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구멍혈(穴☞구멍)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乙(을)로 이루어짐
7
 
못 연  ㉠못 ㉡소, 웅덩이 ㉢모이는 곳 ㉣근원, 근본 ㉤출처 ㉥북소리 ㉦깊다 ㉧조용하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큰입구몸部 [자원]형성문자
淵(연)의 고자(古字). 뜻을 나타내는 큰입구몸(囗☞에워싼 모양)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水(수)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14
 
웅덩이 와  ㉠웅덩이 ㉡맑은 물 ㉢깊다 ㉣우묵하다 ㉤낮다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구멍혈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구멍혈(穴☞구멍)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규(삼수변(氵(=水, 氺)☞물)部를 제외(除外)한 글자)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9
 
씻을 세, 뿌릴 쇄, 엄숙할 선, 험할 최  ㉠씻다 ⓐ뿌리다 (쇄) ⓑ시원하다 (쇄) ⓒ엄숙하다 (선) ⓓ깊다 (선) ⓔ뿌리다 (선) ⓕ떨다 (선) ⓖ놀라다 (선) ⓗ험하다(險--) (최)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灑의 간체자(簡體字).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西(서)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19
 
무자맥질할 잠  ㉠무자맥질하다(물속에서 팔다리를 놀리며 떴다 잠겼다 하는 짓) ㉡숨다 ㉢숨기다 ㉣몰래 ㉤가라앉다 ㉥깊다 ㉦섶 ㉧물 이름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潛(잠)의 와자(訛字).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㬱(체)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14
 
깊을 최  ㉠깊다 ㉡곱다 ㉢눈물흘리다 ㉣무너지다 ㉤꺾이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崔(최)가 음(音)을 나타냄
8
 
먼 형  ㉠멀다 ㉡깊다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冋(경)의 전음(轉音)으로 이루어짐
13
 
문 닫을 비  ㉠문을 닫다 ㉡닫다 ㉢닫히다 ㉣멎다 ㉤끝나다 ㉥숨기다 ㉦깊다 ㉧으슥하다 ㉨삼가다 ㉩마치다 ㉩변비증이 있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문문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문문(門☞두 짝의 문, 문중ㆍ일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必(필)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5
 
웅덩이 황  ㉠웅덩이 ㉡못 ㉢저수지 ㉣깊다 ㉤책을 꾸미다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黃(황)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5
 
길 인  ㉠길다 ㉡재다 ㉢깊다 ㉣높다 ㉤차다 ㉥채우다 ㉦알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사람인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사람)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刃(인)이 음(音)을 나타냄
12
 
움 교, 부엌 조  ㉠움 ㉡구멍 ㉢깊다 ㉣간직하다 ⓐ부엌 (조)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구멍혈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구멍혈(穴☞구멍)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告(고)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9
 
성낼 광, 깊을 황  ㉠성내다 ㉡용감하다 ⓐ깊다 (황)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光(광)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8
 
깊을 수  ㉠깊다 ㉡학문의 깊이가 심오하다 ㉢멀다 ㉣시간이 오래다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책받침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책받침(辶(=辵)☞쉬엄쉬엄 가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穴(혈)을 바탕으로 하여 遂(수)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8
 
고개 령(영)  ㉠고개, 재 ㉡산맥 이름 ㉢산봉우리 ㉣연속한 산 ㉤산마루의 고개 ㉥잇닿아 뻗어 있는 산줄기 ㉦오령의 약칭 ㉧산이 깊다 ㉨산이 깊숙하다 ㉩산이 으슥하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메산部 [자원]형성문자
嶺의 간체자(簡體字). 뜻을 나타내는 메산(山☞산봉우리)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令(령)이 음(音)을 나타냄
20
 
물 넓을 미  ㉠물이 넓다 ㉡세차게 흐르다 ㉢물이 깊다 ㉣치런치런하다 ㉤흐르다 ㉥아득하다 ㉦물이 꽉 찬 모양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彌(미)가 음(音)을 나타냄
16
 
깊을 오, 후미 욱  ㉠깊다 ⓐ후미 (욱) ⓑ굽이 (욱)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奧(오)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6
 
찌를 충  ㉠찌르다 ㉡부딪치다 ㉢온화하다 ㉣높이 날다 ㉤깊다 ㉥빌다 ㉦용솟음치다 ㉧어리다 ㉨목 ㉩요긴한 곳 ㉪거리 ㉫성(姓)의 하나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이수변部 [자원]형성문자
衝의 간체자(簡體字). 뜻을 나타내는 이수변(冫☞고드름, 얼음)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中(중)이 음(音)을 나타냄
12
 
괼 담, 잠길 침, 맑을 잠, 담글 점, 장마 임  ㉠괴다 ㉡즐기다 ㉢술에 빠지다 ㉣탐닉하다 ㉤더디다 ㉥느릿하다 ⓐ잠기다(=沈) (침) ⓑ가라앉히다 (침) ⓒ없애다 (침) ⓓ미혹되다 (침) ⓔ깊이 빠지다 (침) ⓕ깊이, 깊게 (침) ⓖ맑다 (잠) ⓗ편안하다 (잠) ⓘ깊다 (잠) ⓙ이슬이 많이 맺힌 모양 (잠) ⓚ담그다 (점) ⓛ적시다 (점) ⓜ장마 (임) ⓝ넘치다 (임) ⓞ파도 치다 (임)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沈의 고자(古字). 㴴가 고자(古字). 妉과 동자(同字).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甚(심)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12
 
깊을 담, 날이 설 염  ㉠깊다 ㉡깊고 넓다 ㉢미치다 ㉣퍼지다 ㉤뻗다 ⓐ날이 서다 (염)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 [부수]덮을아部 [자원]회의문자
본디 글자는 鹵(로)+曰(왈)+子(자)임. 짠맛을 나타내는 鹵(로)와 삶는다는 뜻의 '돼지해머리(亠☞머리 부분, 위)部+口+曰'과의 합자(合字). 짠맛이 나는 삶은 음식의 뜻
19
 
물 깊고 넓은 모양 융  ㉠물이 깊고 넓은 모양 ㉡물 깊다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融(융)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8
 
재빠를 순  ㉠재빠르다 ㉡깊다 ㉢외치다 ㉣따라 죽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사람인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사람)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旬(순)이 음(音)을 나타냄
7
 
돌아흐를 운  ㉠돌아흐르다 ㉡깊다 ㉢넓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云(운)이 음(音)을 나타냄
9
 
웅덩이 와, 물 이름 왜, 구울 외, 성 규  ㉠웅덩이 ㉡웅덩이 깊다 ⓐ물 이름 (왜) ⓑ굽다 (외) ⓒ성(姓)의 하나 (규)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窪의 간체자(簡體字).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圭(규)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24
 
넓을 호  ㉠넓다(=浩) ㉡깊다 ㉢밝고 맑다 ㉣희다(=皓) ㉤콩물 ㉥하늘의 청명한 기운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顥(호)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9
 
사람 이름 감, 덮을 엄  ㉠사람 이름 ⓐ덮다 (엄) ⓑ깊다 (엄) ⓒ안으로 향하다 (엄) ⓓ좁은 길 (엄)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밑스물입部 [자원]회의문자
合(합) + 밑스물입(廾☞맞잡다)部가 합자(合字)됨
18
 
꽃나무 무성할 농  ㉠꽃나무 무성하다(茂盛--) ㉡짙다 ㉢깊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벼화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벼화(禾☞곡식)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農(농)이 음(音)을 나타냄

빠지다의 뜻을 가진 한자가 있나요

빠지다 의 뜻을 가진 한자랑요 깊다 의 뜻을 가진 한자좀 있는대로 많이 알려주세요... 독이 깨짐의 脫 총 11획 벗을 탈, 기뻐할 태 ㉠벗다 ㉡벗어나다 ㉢벗기다 ㉣사면하다...

이런 뜻을 가진 한자를 찾아주세요

... 치유하다 이런 따스한 분위기의 뜻을 가진 한자가 있나요? 3개 정도 얘기 해주세요! 급합니다ㅠ 覽 볼 람(남) 1. 보다 2. 두루 보다 3. 바라보다 4. 전망하다(展望--) 5. 받다...

끝까지 라는 뜻을 가진 한자가 있나요??

... ‘ 끝까지 ’ 라는 뜻을 가진 한자가 있나용?? 있으면 어떤 건지 알려주세요!! 끝 ( 활용형: 끝까지 ) 1. 最后 ,最終 ,終 ,終期 ,末 ,末端 ,末尾 。 最後, 2.先端, 尖端 3....

내리다 한자

내리다의 뜻을 가진 한자가 있나요? 최대한 많이 알려 주시면 좋겠습니다 降 내릴 강 綏 내릴 타 洚 내릴 강 杀 내릴 쇄 䨚 내릴 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