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신화에 드러난 유교,불교,도교적

금오신화에 드러난 유교,불교,도교적

작성일 2020.12.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금오신화에 드러난 유교,불교,도교적 세계관을 각각 정리해주세요 빨리
내일까지 해야해요... 내공70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금오신화에는 몇가지 단편에서 유교, 불교, 도교적 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김시습은 천재의 자질을 타고나서 3세에는 보리를 맷돌에 가는 것을 보고

"비는 아니 오는데 천둥소리 어디서 나는가, 누른 구름 조각조각 사방으로 흩어지네"라는 시를 읊었다고 한다.

또한 5세 때는『중용』과『대학』도 통달했다고 해요. 이 소문을 듣고 세종대왕께서 그의 재주를 시험해 본 다음, 상을 내리고 장차 크게 쓰겠노라며 독려하셨다. 그 뒤로 사람들이 그를 '오세(5세)'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왕의 부르심을 받고 자신의 천재성을 세상에 일조하고자 했던 김시습의 뜻은 그가 살아있던 당대에는 결코 이룰 수가 없었다.

그는 작은 키에 뚱뚱한 편이었으며, 성격이 괴팍하고 날카로워 세상 사람들에게도 제대로 인정을 받지 못 했다.

그러나 배운 바를 실천으로 옮긴 지성인이었으므로, 율곡 이이는 그를 '백세의 스승'이라고 칭하였다.

또한 그는 우주 만물의 본질과 현상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하려고 한 최초의 철학자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유교적 민본의 이념에 입각한 애민·인정의 정치학은 민주주의 사상의 싹을 엿볼 수 있게 한다.

「만복사저포기 - '만복사에서 저포놀이를 하다'」

남원의 만복사에서 외롭게 살던 양생은 부처님에게 배필을 구해 달라는 조건으로 저포 내기를 한다.

그리고 만복사에서 만난 아가씨 집에 머무르면서 사흘 동안 사랑을 나눈다.

양생은 보련사에서 다시 아가씨를 만나 같이 하룻밤을 보내고,

날이 밝자 아가씨는 서로 살아가는 장소가 다르기 때문에 헤어질 수밖에 없다고 양생에게 말한다.

(원귀의 존재를 잠정적으로만 인정하는 김시습의 귀신론이 드러나는 부분)

양생은 아가씨가 좋은 곳에서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기를 빌면서 재를 올린다.

그러자 아가씨가 다시 양생에게 나타나 남자로 다시 태어났다고 말한다.

그리고 양생에게는 도를 닦아 행복을 찾으라고 한다.

위에서는 불교적 윤회를 볼 수 있습니다.

「취유부벽정기 - '부벽정에서 취하여 놀다'」

송도의 부잣집 아들 홍생이 유람 겸 장사를 위해 친구들과 평양에 와서 대동강에서 뱃놀이를 한다.

홍생은 정숙한 미인을 만난다. 미인은 기자의 후예로서,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정절을 지켜 죽기를 기다리다가,

신선이 된 선조(先祖)가 준 불사약을 먹고 신선이 되며, 월궁 항아(선녀)의 도움으로 향안을 받드는 시녀가 된다.

홍생은 미인과 지나간 역사에 대한 감회와 한가위 달밤의 정서를 담은 시를 주고받는다.

날이 새자 미인은 하늘로 올라가 버린다.

홍생은 집에 돌아와 미인을 그리워하다가 몸져 눕고, 이때 꿈에 미인의 시녀가 나타나

상제가 홍생을 견우성 막하의 종사로 삼았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이에 사람들은 그가 신선이 되었다고 말한다.

위의 이야기에서 불사약과 신선이 언급되었으니 도교의 세계관이 잘 들어나있다

「남염부주지 - '남염부주에 가다'」

경주에 사는 박생이라는 젊은 유학자가 한 번도 과거 급제도 못하고 사회에 불만을 품고 지낸다.

(김시습 자신의 현실 상황 투영)

원래 순박하고 온후한 성격의 소유자인 그는 일찍이 불교, 무당, 귀신 등에 대해 의문을 갖는다.

그리고 천하의 이치는 하나뿐이라는 '일리론'을 주장하며 뜻을 굳게 다져 나간다.

어느 날 박생은『주역』을 읽다가 잠들었는데, 깨어 보니 남해 한가운데 있는 섬나라 남염부주였다.

이 곳에서 박생은 나라가 처한 비통한 처지와 운명에 대하여 이야기하며 폭군과 간신들의 죄를 밝힌다.

그러자 왕은 박생의 참된 지식을 칭찬하고 그 능력을 인정하여 왕위를 물려주기로 한다.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탄 수레가 몹시 흔들리는 바람에 깨어난 박생은 죽음을 예감하고 집안일을 정리한다.

그리고는 병으로 앓아누웠다가 두어 달 만에 숨을 거둔다.

이 편에서 유학자를 비유로 자신의 처지와 유교적 국가체제를 생각하게한다

출처 : https://blog.naver.com/byul8888/220243674450

금오신화 대해서 알고 싶어요...

김시습에 금오신화는 한문소설이면서 모두5편으로 구성... 보통이나 도교적 초월로 보기도 한다. 죽은 여자는 민간... 유교·불교·미신·우주·정치 등 다방면에 걸친 문답을...

금오신화 줄거리

금오신화 줄거리 30줄이상 50줄 이하좀,,!! 가능하시면 ...... 보통이나 도교적 초월로 보기도 한다. 죽은 여자는 민간... 유교·불교·미신·우주·정치 등 다방면에 걸친 문답을...

금오신화

국어 숙제인데요 금오신화의 줄거리, 홍길동전의 줄거리... 보통이나 도교적 초월로 보기도 한다. 죽은 여자는 민간... 유교·불교·미신·우주·정치 등 다방면에 걸친 문답을...

금오신화 줄거리좀 알려 주세요!!!!

금오신화를 읽고 독서기록표를 정리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보통이나 도교적 초월로 보기도 한다. 죽은 여자는 민간... 유교·불교·미신·우주·정치 등 다방면에 걸친 문답을...

삼국유사, 구운몽, 금오신화

삼국유사, 구운몽, 금오신화에 대해 조사해야하는데요. 이... 보통이나 도교적 초월로 보기도 한다. 죽은 여자는 민간... 유교·불교·미신·우주·정치 등 다방면에 걸친 문답을...

고전 김시습의 '금오신화'

고전 김시습의 '금오신화' 의 줄거리 좀 부탁드립니다.... 보통이나 도교적 초월로 보기도 한다. 죽은 여자는 민간... 유교·불교·미신·우주·정치 등 다방면에 걸친 문답을...

상록수 / 금오신화 / 오발탄 / 홍염 / 날개...

... 김시습, 금오신화 ① 만복사 저포기 갈래 : 단편 소설. 명혼(冥婚) 소설, 시애 소설... 것은 불교적인 무상관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재 : 남녀간의 사랑 주제 : 죽음을...

도교, 유교, 한국의 사상에 대해서...

... 고려말까지 불교 전통이 강했던 한국은 100년 동안의 조선 초기에 놀랄 만큼 빠른... 끝으로 한국유교 연구 백년을 돌아보면서 드러난 쟁점 몇 가지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1....

불교사상이 나타나 있는 작품 하나...

... 배경 ■ 유교적 바탕 - 입신양명, 부귀공명 (당시 양반 사회의 이상적 인생관) ■ 도교적 바탕 - 작품의 비현실적 내용을 이루는 신선 사상 ■ 불교적 바탕 - 핵심적 주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