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질문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질문

작성일 2024.05.1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의 원리를 알고싶어서요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아니면 수정 부탁드려요! 모음이 한개가 있어야 1음절이라는 것이 이루어진다
우리가 한 글자를 발음할 때에는 반드시 모음이 하나씩 존재할 것이고 한글자는 1음절로만 발음해야한다 그러므로 숲 같은 경우는 한글자니 1음절로발음해야하는데 그대로 발음하게 되면 [수프]이런 식으로 발음 되버린다 그러므로 우리는 1음절 안에서 끊어줄 수 있는 자음을 찾아야하고 그것이 ㄱㄴㄷㄹㅁㅂㅇ 이다 이정도로 이해해도 될까용?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국어 음절의 구조 #국어 음절의 구성 #국어 음절의 경계 #국어 문법 음절의 끝소리 규칙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리말 자음이 종성에서 파열이 일어나지 않는 특성 때문입니다. 그래서 대표음이나 중화란 용어로 설명합니다. ㅍ의 대표음은 ㅍ, ㅋㄲ의 대표음은 ㄱ, ㅅㅆㅈㅊㅌㅎ 등의 대표음은 ㄷ입니다. 파열이 일어나지 않아 각자의 고유한 음운자질을 잃어버리고 대표음으로 바뀌는 거죠.

따라서 수프 설명은 맞지 않습니다. /p/ 발음이 음절말에서 살아 있는 영어의 'soup'도 1음절입니다. 음절수를 조절하기 위해 음절끝소리규칙이 일어나는 게 아닌 거죠. 그리고 '숲'은 [숩]으로밖에 발음할 수 없습니다. 다른 발음이 아예 불가능합니다.

마치 질문하신 내용은 발음이 가능하지만 어떤 의도된 선택에 의해서 [숩]으로 발음하는 것처럼 잘못 읽힐 수 있습니다.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질문

... 음절수를 조절하기 위해 음절끝소리규칙이 일어나는 게 아닌 거죠. 그리고 '숲'은... 마치 질문하신 내용은 발음이 가능하지만 어떤 의도된 선택에 의해서 [숩]으로 발음하는...

음절의 끝소리규칙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어디서 일어나나요? 음절의 끝에 오는 자음에서 일어납니다. 국어의 경우 음절은 모음, 모음+자음, 자음+모음, 자음+모음+자음의 네 가지 음절 구조를...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연음현상

... ‘절음법칙’은 받침 뒤에 ‘아, 어, 오, 우, 위‘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가 오면 받침이 음절끝소리 규칙에 의해 대표음으로 바뀐 후 연음되는 것을 말합니다. ‘헛-웃음’의...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실질 형태소에서만 쓰이나요? 질문의 의도를 잘 모르겠지만 '덧신, 짓밟-, 엇나가-, 엿듣-' 등 '덧-, 짓-, 엇-, 엿-'이 접사(형식형태소)이지만 음절 끝소리...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얽혀’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인가요? 맞다면 이유가 무엇인가요? (링크/제12항/붙임1/ 참고) - 겹받침 ‘ㄺ’이 뒤 음절 첫소리 ‘ㅎ’과 결합되면, 두...

고1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질문

... 그다음이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이용해서 ㄷ이 왜 ㄴ으로 바뀌는 것인지 이해가 안되요ㅠ 그렇다면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무엇인가요?ㅠ ㅌ이 ㄷ으로 바뀌는 것까지는...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질문이요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질문이요 사진에서 1)모음으로 시작허는 실질형태소 앞 /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앞이라는 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모르겠어요..ㅠㅠ 예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