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작성일 2024.05.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얽혀’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인가요? 맞다면 이유가 무엇인가요?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국어 음절의 구조 #국어 음절의 구성 #국어 음절의 경계 #국어 문법 음절의 끝소리 규칙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질문

... 음절수를 조절하기 위해 음절끝소리규칙이 일어나는 게 아닌 거죠. 그리고 '숲'은 [숩]으로밖에 발음할 수 없습니다. 다른 발음이 아예 불가능합니다. 마치 질문하신 내용은...

음절의 끝소리규칙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어디서 일어나나요? 음절의 끝에 오는 자음에서 일어납니다. 국어의 경우 음절은 모음, 모음+자음, 자음+모음, 자음+모음+자음의 네 가지 음절 구조를...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연음현상

... ‘절음법칙’은 받침 뒤에 ‘아, 어, 오, 우, 위‘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가 오면 받침이 음절끝소리 규칙에 의해 대표음으로 바뀐 후 연음되는 것을 말합니다. ‘헛-웃음’의...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질문의 의도를 잘 모르겠지만 '덧신, 짓밟-, 엇나가-, 엿듣-' 등 '덧-, 짓-, 엇-, 엿-'이 접사(형식형태소)이지만 음절 끝소리 규칙이 일어납니다.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얽혀’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인가요? 맞다면 이유가 무엇인가요? (링크/제12항/붙임1/ 참고) - 겹받침 ‘ㄺ’이 뒤 음절 첫소리 ‘ㅎ’과 결합되면, 두...

고1 국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질문

... 그다음이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이용해서 ㄷ이 왜 ㄴ으로 바뀌는 것인지 이해가 안되요ㅠ 그렇다면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무엇인가요?ㅠ ㅌ이 ㄷ으로 바뀌는 것까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