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요 에요 맞춤법

예요 에요 맞춤법

작성일 2023.07.07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맞춤법

문과예요
문과에요

둘 중에 뭐가 맞나요?


#예요 에요 #예요 에요 맞춤법 #예요 에요 구분 #예요 에요 difference #예요 에요 grammar #예요 에요 이름 #예요 에요 差別 #이에요 예요 에요 #이름 뒤 예요 에요 #韓国語 예요 에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다른답들 있기에 그냥 지나가려다가,

다른 답들이 다 이상해서 답합니다.

일단 답은 '예요'가 맞습니다.

에요 / 예요 앞에 오는 체언(명사/대명사/수사)을 보세요.

마지막 글자의 받침이 있냐없냐가 관건입니다.

받침이 있으면 = 이에요

받침이 없으면 = 예요

입니다.

딸이에요. 아들이에요.

학생이에요.

엄마예요. 아빠예요.

교사예요.

'이에요'에서 '이에'가 줄어서 '예'가 된 형태입니다.

따라서 그냥 '에요'만 홀로 돌아다닐 일은 없고, 꼭 '이에요'형태가 되어야합니다.

그러니 '문과예요'는 있지만 '문과에요'는 없습니다.

다만 주의할 점은, 명사 자체가 '이'로 끝나는 것들입니다.

고양이예요. 먹이예요. 같은 것들은 주의하시고.

'사람이름+이' 형태도 거기까지를 한 단어로 보기 때문에, '예요'를 붙입니다.

춘향이예요. 길동이예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예요 에요 맞춤법

맞춤법

문과예요

문과에요

둘 중에 뭐가 맞나요?

[답변]

주어진 형태만으로 판단한다면 둘 다 맞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문과'라는 말에 서술격조사 '이다'를 붙이는 상황이라면 '문과예요'가 맞고, 부사격조사 '에'를 붙이는 상황이라면 '문과에요'가 맞기 때문입니다.

아래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예시)

* 서술격조사

제 적성에 맞는 건 아무래도 문과예요. (O)

* 부사격조사

('어디에 지원할 거야?'라는 물음에 답하는 상황)

문과요. (O)

아래 반말법을 소개해 드립니다.

먼저 반말로 해보면 모든 게 술술 풀립니다.

아래 내용은 굳이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이해만 하시면 됩니다. '반말'로 해보면 모든 게 자연스럽게 풀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억하실 것은 '반말로 해보기'뿐입니다.

[반말법]

우리는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에서 신호에 따라 행동합니다. 예를 들어, 녹색 불이 들어오면 횡단보도를 건넙니다. 에요, 예요 등에도 신호가 있습니다. 그 신호는 반말로 했을 때 나타납니다.

신호: 이야 --- 바꿔주기: 에요

신호: --- 바꿔주기:

신호: --- 바꿔주기:

가령, 반말로 했을 때 ''가 나타나면 '에요'로 바꿔 주는 식입니다.

예 1

네가 동생이니?

(반말) 어, 내가 동생야​.

(바꿔주기) 예, 제가 동생에요. (O)

반말의 '이야'를 보고 '에요'로 바꿔 주면 됩니다.

예 2

너희 둘은 형제니?

(반말) 어, 우린 형제.

(바꿔주기) 예, 저흰 형제. (O)

반말의 ''를 보고 ''로 바꿔 주면 됩니다.

예 3

이 늦은 시간에 어디 가는데?

(반말) 공원.

(바꿔주기) 공원. (O)

반말의 ''를 보고 ''로 바꿔 주면 됩니다.

~~~~~~~~~~

예 4

어디 갔었어? (많이 찾았는데...)

(반말) 집.

(바꿔주기) 집. (O)

예 5

집에 가도 된다고 한 사람이 누구야?

(반말) 담임 선생님.

(바꿔주기) 담임 선생님에요. (O)

예 6

몇 시에 갔었는데?

(반말) 다섯 시.

(바꿔주기) 다섯 시. (O)

~~~~~~~~~~

예 7

내가 먹던 라면 어디다 뒀지?

(반말) 냉장고 안. (라면이 불을까 봐)

(바꿔주기) 냉장고 안. (O)

​​

[문법 정리]

​'이에요', '예요'는 서술격 조사 '이다'의 활용 형태 중 일부입니다. '요'는 '이에요'의 준말입니다. '이에요'의 '이에'가 줄어 '예'로 되는 것이죠. 서술격 조사의 앞말(→보통 체언이 옴)이 모음으로 끝났을 경우 (본말 '이에요'를 붙여도 틀린 것은 아니지만) 준말 형태인 '예요'를 씁니다(100%). 즉 서술격 조사의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면 무조건 '예요'를 붙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동생이다/동생입니다 .... 동생이에요 (O)

형제(이)다/형제입니다 .... 형제예요 (O)

한편 '에요'는 부사격 조사 '에'에 높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요'가 결합한 것입니다. 그러니까 '에요'는 두 단어가 결합된 것입니다. 조사와 조사의 결합인데 앞엣것은 부사격 조사, 뒤엣것은 보조사입니다. '요'를 붙이면 높임말('해요체')이 되고 '요'를 붙이지 않으면 반말('해체')이 됩니다. 이 부사격 조사는 (앞서 본 서술격조사와 달리) 앞말에 받침이 있든 없든 한결같이 '에(요)' 형태를 붙입니다.

학교(앞말이 모음으로 끝남)...학교에요 (O)

학원(앞말이 받침으로 끝남)...학원에요 (O)

* ​다시 말씀드리지만 위 문법을 알아야 '에요, 예요' 등을 바르게 쓸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그냥 먼저 반말로 해보기만 하면, 무엇을 붙여야 하는지 저절로 알게 됩니다. 반말법은 서술격 조사는 물론 부사격 조사도 자연스럽게 구별하면서 올바른 형태를 쓸 수 있게 해 줍니다. 반말에서는 '이야', '야', ''가 명확히 구별되기 때문에 헷갈릴 일이 없습니다. 이것이 '반말법'의 원리입니다.

앞의 예시에 반말법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예시)

* 서술격조사

(반말) 내 적성에 맞는 건 아무래도 문과.

(바꿔주기) 제 적성에 맞는 건 아무래도 문과예요. (O)

* 부사격조사

('어디에 지원할 거야?'라는 물음에 답하는 상황)

(반말) 문과.

(바꿔주기) 문과에요. (O)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오늘의 전문 상담사 - 댄스부장 - 입니다.

정성 스럽게 작성하여 도움될수 있는 수기 답변 드리겠습니다.^^

정성스런 답변:

"예요"는 맞춤법 규칙에 따른 존칭 대명사 뒤에 사용되는 형태이고, "에요"는 일반적인 문장 부정사 뒤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문과예요"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답변에 만족하셨다면 답변확정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시고 행복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문과예요(문과이에요)

문과(명사)이(서술격조사 어간)에요(종결어미)

예요 에요 맞춤법

... 예요 에요 맞춤법 맞춤법 문과예요 문과에요 둘 중에 뭐가 맞나요? [답변] 주어진 형태만으로 판단한다면 둘 다 맞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문과'라는 말에 서술격조사...

예요 에요 맞춤법 질문

... '누구예요'는 '누구이에요'를, '뭐예요'는 '뭐이에요'를 줄여서 쓴 것입니다. 즉 '누구, 뭐'라는 말에 '이에요'라는 서술격 조사가 붙은 것입니다. 서술격 조사는 '이다'인데...

예요 에요 이름 맞춤법

... 우리말 바로쓰기 어미 '-에요'와 '-예요'의 쓰임 질문 '아니다' 빼고는 다 받침의 유무로 '에요/예요'를 구분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아니다'처럼 용언인 건 전부 '-에요'인가요?...

맞춤법 예요 에요

크리스마스예요 크리스마스에요 뭐가 맞나요?? 만약에 "너 언제 선물을 줄 거야?"와 같은 질문을 한다면 "크리스마스에요."라 할 수 있고 "지금이 무슨 날이야?"와 같은 질문을...

맞춤법 에요 예요

일부러에요가 맞나요 일부러예요가 맞나요? ▶'일부러예요'가 바른 표기입니다. '이에요'는 '이다'의 어간 '이-'에 종결 어미 '-에요'를 붙여 쓴 것으로, 받침이 없는 말 뒤에서는...

예요 에요 맞춤법

... (O) '야'로 끝난 반말은 '예요'로 바꿔 주어 '거예요'로 적어야 하잖아요. 이건 이해가 되는데요. 그런데 사람들은 전부 [거에요]로 발음하지 않나요? 한글 맞춤법은 소리 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