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양론에 대한 공자,맹자,순자의 입장

수양론에 대한 공자,맹자,순자의 입장

작성일 2023.05.07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공자,맹자,순자가 존천리거인욕,존양성찰,거경궁리,격물치지에서 각각 어느것에 해당하는지 또는 어느 쪽에 제일 가까운 입장인지 좀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수양론은 중국의 전통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각각의 사상가들이 이 개념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공자는 인간의 성격에 대한 개념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인간이 선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 그에 따라 행동하게 된다고 봅니다. 따라서, 공자는 존양성찰과 격물치지 쪽에 가까운 입장입니다.

맹자는 인간이 기본적으로 선한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학습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따라서, 맹자는 존천리거인욕과 격물치지 모두를 수용하는 입장입니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봅니다. 그러나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학습과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천명(天命)에 따라 행동하게 된다고 봅니다. 따라서, 순자는 존천리거인욕과 격물치지 쪽에 가까운 입장입니다.

결론적으로, 각각의 사상가들은 수양론에 대해서는 비슷한 방향에서 바라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모두 인간의 본성이나 성격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수양론

거경궁리

거경 : 주일무적, 정제엄숙, 상성성

궁리 : 사물의 이치를 끝까지 탐구

격물치지 : 사물에 나아가 끝까지 앎

존양성찰 : 양심을 보존하고 본성을 함양함

존천리거인욕 :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제거함

2. 존천리 거인욕

存天理去人欲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버리라.

천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지켜야 할 공동의 규칙이고 인욕은 개인의 이익을 이루기 위해 다른 사람의 바람을 무시하는 욕망을 말한다.

12세기 남송의 주희(朱熹, 1130~1200)가 집대성한 성리학(性理學)에서 추구한 가르침으로,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천리를 보존[存天理]하고 인욕을 버리라[去人欲]'는 의미이다. 천리(天理)는 하늘의 이치를 가리키며, 인간은 이를 하늘로부터 부여받았기 때문에 인간이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는 선한 본성으로 간주하였다. 반면 인욕(人欲)은 개인의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의 이익을 무시하는 욕망으로서, 천리의 실현을 방해하는 기질을 말한다. 따라서 주희는 천리와 인욕은 병립할 수 없다고 보았다.

주희는 천리와 인욕의 관계에 대해 《주자전서(朱子全書)》에서 "사람이 먹고 마시는 일은 천리이고 더 맛있는 요리를 계속 찾는 것은 인욕이다[飮食者, 天理也. 要求美味, 人欲也]"라고 하였다. 즉, 천리란 사람이 배가 고플 때 먹을 만큼 먹는 것이라고 봄으로써,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망까지 부정하는 것이 아니며, 인욕이란 내가 남보다 더 먹겠다고 욕심을 부리는 것으로, 필요 이상으로 왜곡된 욕망을 가지는 것이라고 보았다.

성리학에서는 또한 천리를 보존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거경궁리(居敬窮理)와 존양성찰(存養省察)을 제시하였다. 거경(居敬)은 천리의 본성을 지키기 위해 항상 깨어 있으려고 마음을 집중하는 것이며, 궁리(窮理)는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여 궁극적인 지식에 이르려는 격물치지(格物致知)를 뜻한다. 한편 존양(存養)은 순선한 마음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보존하는 것이며, 성찰(省察)은 나쁜 마음이 들지 않도록 반성하며 살피는 것을 뜻한다.

공자의 인仁으로 시작된 인간 본성에 대한 논증은 묵자, 장자, 맹자에 이르러서 형이상의 이상론으로 발전합니다. 묵자는 겸애兼愛, 장자는 소요유逍遙遊, 맹자는 인의예지仁義禮智등의 가치로 인간을 설명했습니다.

공자에서 자사(공자의 손자), 그리고 맹자로 이어지는 유가의 흐름이 있다면, 공자에서 자공(공자의 제자), 그리고 순자로 이어지는 흐름이 있습니다. 후에 송대에 주희는 공자-증자-자사-맹자의 유가를 확립하고 순자를 이단으로 배격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유가는 맹자의 형이상학적 유가입니다.

반면, 공자-자공-순자로 이어지는 유가는 실천적 유가입니다. 자공은 공자의 제자로 실천적 공자로 평가되는 인물입니다.

"그러므로 자공이 한 번 나서자 노나라를 존속시키고 제나라를 혼란에 빠트리고 오나라를 격파하고 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월나라를 패자로 만들었다. 자공이 한 번 외교 사절로 나서면 국제정세에 균열이 생겨 10년 동안 다섯 나라에 각각 변동이 생겼다.", "일찍이 노나라와 위나라의 재상을 지냈으며 집안에 천금을 쌓아두기도 했다." <사기>, <중니제자열전>

사마천은 자공에 대해서 실용적이고, 실천적이었던 자공을 후하게 평가했습니다. 이러한 자공을 계승하려는 순자는 맹자의 형이상학적 이상론을 배격합니다.

맹자는 사람의 마음이 곧 하늘이라는 천인합일天人合一설으로 사상을 발전시킵니다. 이는 하늘의 도道를 사람에게로 가져온 혁명적 발상이었습니다. 그러나 유가의 정치적 삶(공자-자공)을 철학적 삶(공자-자사)으로 전환시켜버립니다. 이는 후대에 성리학으로 이어져, 인간의 심성과 불변의 진리를 탐구하는 형이상학적 철학으로 흐르게 됩니다.

반면 맹자를 비판한 순자는 천인각분天人各分설에 근거하여, 하늘의 도道와 사람의 마음을 분리했습니다. 그리고 사람의 역사에 주목하게 됩니다. 하늘은 하늘일 뿐, 천도天道가 아닌 인도人道를 따라야 함을 역설합니다. 공자가 주장했던 치국평천하治国平天下를 현실에서 만들기 위한 각 사람들의 노력과 방법에 대해서 주목하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가 오해하는 성악설의 개념이 등장합니다. 예禮를 통한 교육으로 전 사회 구성원이 군자가 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입니다. 인간 자체가 악하다고 단정 짓기보단, 악한 마음을 다스릴 수 있는 제도적, 구조적 대안으로 '예禮를 통한 교육'을 제시한 것입니다.

맹자가 수신修身을 통해서 자신을 다스리면 하늘의 뜻을 수용할 수 있고, 그러면 곧 왕도王道가 펼쳐질 것이라는 것은 치세治世에는 가능하겠으나, 난세亂世에는 적절치 못합니다. 하루아침에 왕조가 바뀌는 난세亂世에서 도를 닦듯이 수신修身만 한다고 세상이 바뀌겠습니까. 순자는 이점을 지적한 것입니다. 난세亂世에는 난세亂世의 법도를 따라야 하듯이 수신修身으로만은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맹자의 수신修身이 소수의 엘리트들이 할 수 있는 수양론, 치세治世의 방법이라면, 순자의 예禮는 전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제도적 대안입니다. 이렇게 맹자와 순자는 갈립니다. 형이상학의 개념과 실천적 방법론, 소수의 기득권과 다수의 민중들. 이상적 치세治世와 현실적 난세亂世.

어쩌면 공자의 사상을 정립하는데서 맹자와 순자 모두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인仁을 알아가는데서 치밀한 논리와 추성적 개념이 필요하겠고, 인仁을 실현하는데서 실천적 방법론과 구조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니까요. 성리학을 발전시킨 주희에 이르러서, 격물치지格物致知(사물을 깊게 탐구함)를 통한 수신修身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형이상학으로 치우친 유가, 어쩌면 순자를 배격함으로 합리성, 실천성, 과학성이 배격된 유교사회가 된 것 아닐까 생각합니다.

수양론에 대한 공자,맹자,순자의 입장

공자,맹자,순자가 존천리거인욕,존양성찰,거경궁리... 가까운 입장인지 좀 알려주세요! 수양론 거경궁리 거경... 공자의 인仁으로 시작된 인간 본성에 대한 논증은 묵자, 장자...

공자 맹자 순자의 사상에 대한 공통점과...

공자 맹자 순자 이 세분의 사상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고 시퍼요. 내공 20이요. 대치동... 보는 입장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기 때문에 선해지기 위해서는...

순자 묵자 질문드립니다

공자맹자(유교)=성선설이고 순자는 유교인데 성악설... 도가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분류하기... 특정한 입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묵자는 전통적인 유교...

공자, 맹자, 장자의 사상을 정리해 주세요.

공자, 맹자, 장자의 사상과 저서에 대한 설명을 각각... 전국시대 말에는 성악설의 순자(筍子), 법가 사상의... 착하다는 입장은 유교의 기본적 입장이다. 특히, 맹자는 인간의...

윤사 수행평가 좀 도와주세요.....

가족 내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에 대한 방임 문제라는 윤리적 쟁점을 주제로 공자, 맹자, 순자,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의 입장과 근거를 글자 수가 좀 많게 적어야 하는데.....

유교

유교의 사상가(공자 맹자 순자 주희 왕수인 등)들은 자연을... 제가 말한 철학자들 입장이 각각 다르다면 어떻게... 관계에 대한 강조는 다를 수 있었습니다. 궁금한 점이...

공자 맹자 순ㅈ ㅏ 같은사람들은...

... 그는 ‘敎人不倦’이라고 술회했던 것처럼, 이상을 미래에 건 위대한 교육자였다.... 내면적·주관적인 입장만이 강화되었으므로 순자는 이에 반대하여 공자의 예(禮)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