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불복종, 저항권 / 혁명, 쿠데타

시민 불복종, 저항권 / 혁명, 쿠데타

작성일 2021.09.2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시민 불복종과 저항권은 합법적
혁명과 쿠데타는 비합법적
맞나요?

2. 쿠데타는 무조건 정권 교체에 성공해야 쿠데타라고 할 수 있나요? 아님 성공 못하고 시도로 끝나도 쿠데타인 건가요?

3. 시민 불복종과 저항권의 차이를 알려주세요

4. 저항권은 비폭력적으로 행해져야 하나요?


고1 수준으로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시민 불복종 사례 #시민 불복종 소로 #시민 불복종 사례 기사 #시민 불복종 4가지 #시민 불복종 조건 #시민 불복종의 정당화 조건 #시민 불복종 사례 마틴 루터 킹 #시민 불복종 롤스 #시민 불복종 최후의 수단 #시민 불복종 간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생윤은 사상가에 따라 합법적/비합법적, 폭력적/비폭력적 등의 여부가 크게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사상가를 언급 안 한 상태에서 고1 수준에서 정확하게 모든 사상가를 비교하며 설명해드리긴 좀 어렵습니다

1. 시민 불복종과 저항권은 합법적

혁명과 쿠데타는 비합법적

맞나요?

- 우선 롤스와 노직 모두 시민불복종은 각 사상가의 시민불복종 조건에 충족한다는 조건 하에 합법적일 후 있으며, 저항권은 홉스, 루소는 인정하지 않고 로크만 저항권을 인정합니다.

그리고 혁명과 저항권의 차이를 아셔야 할 것 같아요. 혁명은 체제의 변혁을 가하기 위한 것인데 롤스는 체제의 합법성을 인정하는 사람에 한해서만 시민불복종을 인정하기 때문에 롤스 입장에서는 혁명을 인정하지 않고 노직은 양심에 입각하여 어떠한 방식을 동원하든 상관없다 주장하기 때문에 인정합니다.

저항권은 무력으로 정권을 뺏는 것이기 때문에 롤스,노직 모두 비합법적인 건 물론이고 안된다고 주장합니다.

2. 쿠데타는 무조건 정권 교체에 성공하야 쿠데타라고 할 수 있나요? 아님 성공 못하고 시도로 끝나도 쿠데타인 건가요?

- 시도부터가 일단 쿠데타입니다

3. 시민 불복종과 저항권의 차이를 알려주세요

- 시민불복종은 법률이나 정책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한 것입니다. 저항권은 사회계약설에서 국가가 개인의 기본권을 침해할 때 저항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합니다

4. 저항권은 비폭력적으로 행해져야 하나요?

- 저항권을 인정하는 사상가별로 의견이 다를 수 있어 어떤 사상가인지 분명하지 않은 질문이기때문에 정확한 답변은 어려울 것 같네요

5.18 민주화 운동이 시민 불복종이 아닌...

... 5.18민주화운동은 쿠데타로 정권을 탈취한 신군부란 불의한 권력에 전면적으로 맞서는 저항권이 적용되는 사례입니다. 시민 불복종은 비폭력성을 원칙으로 하지만...

518민주화 운동

... 5.18민주화운동은 쿠데타로 정권을 탈취한 신군부란 불의한 권력에 전면적으로 맞서는 저항권이 적용되는 사례입니다. 시민 불복종은 비폭력성을 원칙으로 하지만...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

... 5.18민주화운동은 쿠데타로 정권을 탈취한 신군부란 불의한 권력에 전면적으로 맞서는 저항권이 적용되는 사례입니다. 시민 불복종은 비폭력성을 원칙으로 하지만...

내공100)진지하게 왜...

... 독재나 쿠데타 를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침투 설에... 운동이 폭력적이기도 했지만 국민의 저항권 행사는 폭력적으로도 나타날수 있고 이것은 단순한 시민 불복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