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각선 논법에 대하여

대각선 논법에 대하여

작성일 2022.02.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유튜버 'ray수학'님께서 올리신 영상이 하나 있는데


(제가 하고싶은 질문은 맨 아래 문단에 적어놓았으며
아래 지문은 대략 윗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면 보실 수 있는 
2분정도 되는 분량의 영상을 요약해놓은 글입니다
가능하시면 영상을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f(x)=tanㅠ(x-1/2)이란 함수가 주어졌을 때 정의역을 (0 ,1)이라 하면
주기가 1 x축으로 1/2만큼 평행이동 했기에
f(x)는 정의역은 (0,1) 치역은 실수 전체인 일대일 대응 함수가 됩니다
여기서 열린구간 (0,1)= I 를 셀 수 있다고 가정하고
모든 자연수에서 I로 가는 일대일 대응 함수 f : N -> I 가 있다고 가정한다면
열린구간 (0, 1)에서의 모든 수는 유리수 무리수 상관 없이
1/4같은 유한소수는 0.25=0.249999....으로
1/3같은 순환하는 무한소수는 0.33333...으로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도 마찬가지로
0.x(1)x(2)x(3)... 형태인 소수 꼴로 나타낼 수 있다 하였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일대일 대응을 시켜
f(1) = 0.x(11)x(12)x(13)....
f(2) = 0.x(21)x(22)x(23)....
f(3) = 0.x(31)x(32)x(33)....
.
.
f(n) =0.x(n1)x(n2)x(n3)...x(nn)...
라고 나타내고
위에 밑줄친 '아래첨자가 서로 같은 수'가 1이면 2로
1이 아니라면 1로 대응시켜
b(n) = 2  [ x(nn) ==1 ]
        1  [ x(nn) =/=1 ]
새로운 수
b = 0.b(1)b(2)b(3)...b(n)...을 만든다 하였습니다
여기서 b(n)의 배열에 따라 b는 유리수도 무리수도 될 수 있다 하여
b는 무조건 실수이기에 b는 I에는 포함되지만 N에는 포함이 되지 않아
즉 공역에는 있지만 치역에는 존재하지 않아 모순이 발생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는 I는 셀 수 없는 집합이 되어
이와 농도가 같은 R도 셀 수 없다 합니다





그래서 질문은 왜 b가 I에는 포함되지만 N에는 포함되어있지 않아
모순이 발생하는 것인지 입니다

그리고 이와 다른 방법에서는 위에서 밑줄친 아래첨자가 같은 숫자들을
각자 하나씩 원래의 소수점 자리에 대응시켜 새로운 숫자 c를 만든다 하고
모든 소수점 자릿수에 1을 더하여 (9+1은 다음 자릿수에 1을 더하지 않고 0으로 표기)
( 대략 c+0.1111.... 이라 표현하면 되려나요..?)
또 다른 수 d를 만든다 하였을 때
이 수 d는 기존 집합의 다른 숫자들과는 달라 무한히 기존 집합에 있던 숫자와 다른 숫자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하였습니다
여기서 기존의 실수 집합에서 새로 만들어진 수 d와 같은 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부분이 이해되지 않습니다
같은 수가 있을 수도 있는게 아닌가요?

하나 더 여쭙자면 위의 방법이 있었다면 왜 영상에서는 x(nn)의 값에 따라
새로운 수 b를 정의하는지에 대한 의문입니다

제가 수학을 잘하지는 못하는 이제 막 고3이 된 학생이라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을만한 수준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ㅎㅎ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각선 논법의 핵심은 너와 적어도 하나의 숫자가 다른 새로운 숫자가 실수에 있다는 겁니다. 첫번째 소수와는 적어도 첫 번째 자리가 다르고, 두 번째 소수와는 두 번째 자리가 다르고… 그러니까 N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초월수집합 비가부번 증명

... 참고로 실수의 집합이 비가부번집합임은 칸토르의 대각선논법에 의한 것이죠 구간... 임의의 자연수 i에 대하여, 를 만족하는 z_i를 정의하고, 새로운 수 z를...

칸토어의 생애에 대해 알려 주서요ㅠㅠ

... 수학적업적에 대하여한 적어도 1,2개라도... 감사합니다^^ 잘부탁드려요 내공냠냠... 이 증명에서 그는 그 유명한 대각선 논법(diagonal argument)을 사용했다. 말년에...

유명한 수학자...

... 해에 대하여> 라는 논문을 학술원에 또 제출하였으나... 섭동에 대하여 매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천체에 대하여 그 궤도요소를 구하고 운동상태를 결정하는...

수학자 가우스

... 역학적인 논법을 사용했다. <연구> 현존하는 9권의... 〈원뿔곡선체와 회전타원체에 대하여 On Conoids and... 길이와 대각선 길이의 약분 불가능성 및 직각3각형의...

수학 질문 [내공30]

... 칸토어 대각선논법에 대하여.. 자영수의 공리론적 정리 → 페아노 공리 숫자 0의 발견과 역사 이런 것들 좀 답해주세요. 되도록 간단하게 자세히 이렇게 따로 따로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