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ror: INSERT INTO `kin_11_1113` (subject, seo_subject, content, page, description, og_image, time) VALUES ('대각선 논법, 실수가 countable 한지 증명하는 부분 질문', '%EB%8C%80%EA%B0%81%EC%84%A0+%EB%85%BC%EB%B2%95%2C+%EC%8B%A4%EC%88%98%EA%B0%80+countable+%ED%95%9C%EC%A7%80+%EC%A6%9D%EB%AA%85%ED%95%98%EB%8A%94+%EB%B6%80%EB%B6%84+%EC%A7%88%EB%AC%B8', '
\n \n \n
https://namu.wiki/w/%EB%8C%80%EA%B0%81%EC%84%A0%20%EB%85%BC%EB%B2%95
\n
나무위키 \"대각선 논법\" 페이지 발췌
\n

가정에 따라 모든 00과 11 사이의 실수들이 f로 인해 하나의 양의 정수에 빠짐 없이 대응된다고 했다. 즉, 00과 11 사이에 어떤 실수를 고르든 어떤 �(�)f(n) 중 하나와 같아야 한다. 하지만 어떠한 �(�)f(n)과도 같지 않은 00과 11 사이의 어떤 실수를 제시할 수 있다.

00과 11 사이의 다음과 같은 실수 x를 생각할 수 있다. x의 소수 i번째 자리의 수 ��b는, ���a가 00이거나 99보다 작은 자연수일 때는 ���+1a+1이고, 99일 때는 00이다. 즉 �=0.�1�2�3⋯x=0.bbb라고 하자. 예를 들어 ���a이 다음과 같다면

�(1)=0.  3    �12�13�14�15⋯f(1)=0.3aaaa
�(2)=0.�21  1    �23�24�25⋯f(2)=0.a1aaa
�(3)=0.�31�32  9    �34�35⋯f(3)=0.aa9aa
�(4)=0.�41�42�43  8    �45⋯f(4)=0.aaa8a
�(5)=0.�51�52�53�54  5    ⋯f(5)=0.aaaa5
,

즉 �11=3,�22=1,�33=9,�44=8,�55=5,⋯a=3,a=1,a=9,a=8,a=5,이면, x는 정의에 따라 다음과 같다.

�=0.42096⋯x=0.42096

그렇다면 모든 양의 정수 n에 대하여 �(�)f(n)과 x의 n번째 자리 수는 다르게 되고, 따라서 x는 모든 �(�)f(n)과 적어도 한 자리에서 다르다. 위의 소수 표현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x가 모든 �(�)f(n)와 다르다는 것이 따라 나오고 이는 위에 강조 처리한 문장 바로 전의 말과 모순이다. 결국 처음에 했던 가정은 거짓이 된다. 즉, �+Z과 R 간에는 일대일 대응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반면 �+Z은 R의 부분집합이므로 R의 크기는 �+Z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다. 따라서 R의 크기는 �+Z보다 크다.

------------------------------------------------------------------------------------------

\n
위는 대각선 논법에 대해 찾아보다가 나무위키에서 정리한 자료를 발췌한 부분입니다.
\n

\n
질문할 내용은 \"대각선의 각 원소의 값을 바꿔 새로 만든 수  x = 0.b1b2b3b4... 또한 기존의 f(n) 의 일부가 아닌가?\" 입니다.
\n

\n
애초에 f(n)이 모든 실수에 대해 나열한 것이라면, b(m) {m 은 임의의 자연수} 또한 f(n)의 무한한 가짓수 중 일부이지 않나요?
\n

\n
어째서 대각선 원소만 하나씩 바꿨다고 해서 모든 실수에 대해 일치하는 게 없는, 포함되지 않는 새로운 실수라고 하는 건지 이해가 안되네요.
\n \n\n \n \n \n \n\n \n \n\n \n \n \n
', '11_1113_447343083', ' https://namu.wiki/w/%EB%8C%80%EA%B0%81%EC%84%A0%20%EB%85%BC%EB%B2%95 나무위키 \"대각선 논법\" 페이지 발췌 가정에 따라 모든 00과 11 사이의 실수들이 �f로 인해 하나의 양의 정수에 빠짐 없이 대응된다고 했다. 즉, 00과 11 사이에 어떤 실수를 고르든 어떤 �(�)f(n) 중 하나와 같아야 한다. 하지만 어떠한 �(�)f(n)과도 같지 않은 00과 11 사이의 어떤 실수를 제시할 수 있다.00과 11 사이의 다음과 같은 실수 �x를 생각할 수 있다. �x의 소수 �i번째 자리의 수 ��b​는, ���a​가 00이거나 99보다 작은 자연수일 때는 ���+1a​+1이고, 99일 때는 00이다. 즉 �=0.�1�2�3⋯x=0.b​b​b​⋯라고 하자. 예를 들어 ���a​이 다음과 같다면�(1)=0.  3    �12�13�14�15⋯f(1)=0.3a​a​a​a​⋯�(2)=0.�21  1    �23�24�25⋯f(2)=0.a​1a​a​a​⋯�(3)=0.�31�32  9    �34�35⋯f(3)=0.a​a​9a​a​⋯�(4)=0.�41�42�43  8    �45⋯f(4)=0.a​a​a​8a​⋯�(5)=0.�51�52�53�54  5    ⋯f(5)=0.a​a​a​a​5⋯⋯⋯,즉 �11=3,�22=1,�33=9,�44=8,�55=5,⋯a​=3,a​=1,a​=9,a​=8,a​=5,⋯이면, �x는 정의에 따라 다음과 같다.�=0.42096⋯x=0.42096⋯그렇다면 모든 양의 정수 �n에 대하여 �(�)f(n)과 �x의 �n번째 자리 수는 다르게 되고, 따라서 �x는 모든 �(�)f(n)과 적어도 한 자리에서 다르다. 위의 소수 표현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x가 모든 �(�)f(n)와 다르다는 것이 따라 나오고 이는 위에 강조 처리한 문장 바로 전의 말과 모순이다. 결국 처음에 했던 가정은 거짓이 된다. 즉, �+Z과 �R 간에는 일대일 대응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반면 �+Z은 �R의 부분집합이므로 �R의 크기는 �+Z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다. 따라서 �R의 크기는 �+Z보다 크다.------------------------------------------------------------------------------------------ 위는 대각선 논법에 대해 찾아보다가 나무위키에서 정리한 자료를 발췌한 부분입니다. 질문할 내용은 \"대각선의 각 원소의 값을 바꿔 새로 만든 수  x = 0.b1b2b3b4... 또한 기존의 f(n) 의 일부가 아닌가?\" 입니다. 애초에 f(n)이 모든 실수에 대해 나열한 것이라면, b(m) {m 은 임의의 자연수} 또한 f(n)의 무한한 가짓수 중 일부이지 않나요? 어째서 대각선 원소만 하나씩 바꿨다고 해서 모든 실수에 대해 일치하는 게 없는, 포함되지 않는 새로운 실수라고 하는 건지 이해가 안되네요. ', 'https://cboard.net/sitemap/og_image.php?text=대각선 논법, 실수가 countable 한지 증명하는 부분 질문&link=https://cboard.net/k/11_1113_447343083', '2023.06.05')
Data too long for column 'content' at row 1 대각선 논법, 실수가 countable 한지 증명하는 부분 질문

대각선 논법, 실수가 countable 한지 증명하는 부분 질문

대각선 논법, 실수가 countable 한지 증명하는 부분 질문

작성일 2023.06.0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https://namu.wiki/w/%EB%8C%80%EA%B0%81%EC%84%A0%20%EB%85%BC%EB%B2%95
나무위키 "대각선 논법" 페이지 발췌

가정에 따라 모든 0과 1 사이의 실수들이 로 인해 하나의 양의 정수에 빠짐 없이 대응된다고 했다. 즉, 0과 1 사이에 어떤 실수를 고르든 어떤 �(�) 중 하나와 같아야 한다. 하지만 어떠한 �(�)과도 같지 않은 0과 1 사이의 어떤 실수를 제시할 수 있다.

0과 1 사이의 다음과 같은 실수 를 생각할 수 있다. 의 소수 번째 자리의 수 ��는, ���가 0이거나 9보다 작은 자연수일 때는 ���+1이고, 9일 때는 0이다. 즉 �=0.�1�2�3⋯라고 하자. 예를 들어 ���이 다음과 같다면

�(1)=0.  3    �12�13�14�15⋯
�(2)=0.�21  1    �23�24�25⋯
�(3)=0.�31�32  9    �34�35⋯
�(4)=0.�41�42�43  8    �45⋯
�(5)=0.�51�52�53�54  5    ⋯
,

즉 �11=3,�22=1,�33=9,�44=8,�55=5,⋯이면, 는 정의에 따라 다음과 같다.

�=0.42096⋯

그렇다면 모든 양의 정수 에 대하여 �(�)과 의 번째 자리 수는 다르게 되고, 따라서 는 모든 �(�)과 적어도 한 자리에서 다르다. 위의 소수 표현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가 모든 �(�)와 다르다는 것이 따라 나오고 이는 위에 강조 처리한 문장 바로 전의 말과 모순이다. 결국 처음에 했던 가정은 거짓이 된다. 즉, �+과  간에는 일대일 대응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반면 �+은 의 부분집합이므로 의 크기는 �+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다. 따라서 의 크기는 �+보다 크다.

------------------------------------------------------------------------------------------

위는 대각선 논법에 대해 찾아보다가 나무위키에서 정리한 자료를 발췌한 부분입니다.

질문할 내용은 "대각선의 각 원소의 값을 바꿔 새로 만든 수  x = 0.b1b2b3b4... 또한 기존의 f(n) 의 일부가 아닌가?" 입니다.

애초에 f(n)이 모든 실수에 대해 나열한 것이라면, b(m) {m 은 임의의 자연수} 또한 f(n)의 무한한 가짓수 중 일부이지 않나요?

어째서 대각선 원소만 하나씩 바꿨다고 해서 모든 실수에 대해 일치하는 게 없는, 포함되지 않는 새로운 실수라고 하는 건지 이해가 안되네요.


#대각선 논법 쉽게 설명 #대각선 논법 증명 #대각선 논법 논문 #대각선 논법 정의 #대각선 논법 의의 #대각선 논법 영어 #대각선 논법 책 #대각선 논법 멱집합 #대각선 논법 집합론 #실수 대각선 논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귀류법의 논증 구조를 고려해야 합니다.

1. 함수 f가 모든 실수를 나열한다고 가정합니다.

2. f를 바탕으로 새로운 실수 b를 정의했을 때, 모든 n에 대해 f(n)/=b입니다.

이는 모든 n에 대해 f(n)(n)/=b(n)이고,

따라서 모든 n에 대해 어떤 m이 존재해서 f(n)(m)=b(m)이기 때문입니다.

3. 따라서, 함수 f는 모든 실수를 나열하지 않습니다.

4. 1, 3이 모순이므로, 가정 1은 거짓입니다.

대각선 논법 질문

칸토어의 대각선 논법에서 저 노란색으로 표시한 부분은 왜 거치는 건가요? 거치지... 집합보다 크다'는 것을 보이면 '실수 전체 집합이 자연수 집합보다 크다'는게 증명되죠.

칸토어의 대각선 논법

칸토어의 대각선 논법으로 실수의 개수가 유리수의 개수보다 많다는 것을 증명하자나요,,, 그런데 거기서 실수가 왜... A1.가산집합들의 모든 부분집합들은 가산집합이다. A2....

칸토어 대각선 논법

칸토어 대각선 논법 중에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0,1) 구간이 셀 수 없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고... 위에서 대각요소를 꺼내와 새로운 실수 x를 만들면 위의...

자연수 멱집합과 실수의 기수

자연수 멱집합과 실수의 기수가 같다는 증명을 칸토어 대각선 논법으로 할 수... 각 집합 갯수를 구하는 증명 제외하고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연수의 부분집합...

입실론델타논법을 통해 증명한것??

... 입실론델타논법으로 증명한게 무엇인가요? 제가... 2~3일동안 더 생각해보고 교수님한테 질문할거니까요..... (칸토르가 증명) 실수는 오직 셀 수 있는 수들 정수나...

countable 문제 질문!!!

... X가 countable 인지 uncountable인지 보이라는... 되는 부분이라도 조금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를 [0,1] 사이의 실수라고 합시다. 그러면 R...

엡실론 델타 논법에서요

... 이 부분이 잘 이해가 안가는데요, 엡실론은 f(x)와 관련된... 모든 실수에서 불연속인 함수인데 왜 그런지를 엡실론 델타 논법을 다루지 않으면 증명하지 못하지요 즉...

가산집합,비가산집합 증명

... 중에서 '실수 집합과 자연수 집합의 크기(칸토어 대각선 논법 이용)는 비가산집합', '가산집합의 부분집합... most countable set), 뒤의 경우를 가산무한 집합(counta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