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함수, 우함수 질문

기함수, 우함수 질문

작성일 2023.10.21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기함수와 우함수 모두 원점을 지나는 건가요? 평행이동한 것은 기함수나 우함수가 될 수 없나요?


#기함수 우함수 #기함수 우함수 곱 #기함수 우함수 합성 #기함수 우함수 판별 #기함수 우함수 적분 #기함수 우함수 미분 #기함수 우함수 합 #기함수 우함수 차이 #기함수 우함수 나누기 #기함수 우함수 정적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기함수와 우함수는 각각 홀수함수와 짝수함수라고도 불리며, 함수의 대칭성에 관련된 특성을 나타냅니다.

기함수는 f(x) = f(-x)를 만족하는 함수로, x=0에서 대칭입니다. 따라서 원점을 지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f(x) = x^2은 기함수입니다. f(1) = 1^2 = 1이고, f(-1) = (-1)^2 = 1로 동일한 값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우함수는 f(x) = -f(-x)를 만족하는 함수로, y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입니다. 따라서 원점을 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x) = x^3은 우함수입니다. f(1) = 1^3 = 1이지만, f(-1) = (-1)^3 = -1로 다른 값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기함수와 우함수는 평행이동에 대해서도 유지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x) = x^2 + 2는 x축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기함수입니다. f(1) = 1^2 + 2 = 3이고, f(-1) = (-1)^2 + 2 = 3으로 여전히 대칭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기함수와 우함수는 원점을 지나는지 여부와는 별개로 대칭성에 관한 특성을 나타내므로, 평행이동한 함수도 기함수나 우함수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기함수와 우함수는 함수의 대칭성에 관련된 개념입니다.

기함수는 함수의 값이 입력값의 반대쪽에 대응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f(x) = f(-x)인 함수를 기함수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f(x) = x^2은 기함수입니다. 이러한 기함수는 원점 (0, 0)을 지나게 됩니다. 왜냐하면 f(0) = f(-0) = 0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우함수는 함수의 값이 입력값의 반대쪽에 대응되는 성질을 가지면서도 원점을 지나지 않는 함수입니다. 즉, f(x) = -f(-x)인 함수를 우함수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f(x) = x^3은 우함수입니다. 이러한 우함수는 원점을 지나지 않는데, 왜냐하면 f(0) = 0이지만 f(-0) = -f(0) = 0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평행이동은 함수의 그래프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평행이동된 함수는 기함수나 우함수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x) = x^2의 그래프를 오른쪽으로 2만큼 평행이동시키면 f(x-2)는 기함수가 됩니다. 마찬가지로, f(x) = x^3의 그래프를 아래로 3만큼 평행이동시키면 f(x) - 3는 우함수가 됩니다.

결론적으로, 기함수와 우함수는 원점을 지나는 것과는 별개의 개념이며, 평행이동된 함수는 기함수나 우함수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함수 기함수 모두

반드시 원점을 지나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www.gajok.co.kr/math.html

여기에 들어가서

'우함수와 기함수'를 보시면

아주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평행이동한 함수의 표현식은

'함수 (7)'을 참고해 주세요~

기함수, 우함수 질문

... 우함수 기함수 모두 반드시 원점을 지나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www.gajok.co.kr/math.html 여기에 들어가서 '우함수기함수'를 보시면 아주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

기함수 우함수 질문

Sin가 짝수차승일 때, 홀수차승일 때 기함수 우함수 Cos가 짝수차승일때, 홀수차승일 때 기함수 우함수 Tan가 짝수차승일때, 홀수차승일 때 기함수 우함수 알려주세요...

우함수 기함수 질문

우함수+우함수=우함수 기함수 +기함수 =기함수 성립하나요? 다항함수, 초월함수 관계없이..궁금합니다 f를 우함수, g를 기함수라 합시다. 우함수, 기함수의 정의를 잘...

기함수 우함수 질문 급해요 ㅠㅠ

사인과 탄젠트가 기함수(x축대칭)이고 코사인이 우함수(y축대칭)이잖아요 제가 그래프를 그려보니가 코사인 그래프는 y축으로 반을 접었을때 딱 겹치는데 사인 그래프와...

우함수 기함수 질문

... 2.우함수기함수에는 5나 -3같은 상수가 있으면 안되나요? 사실 이 질문이 서로 연관성이 깊네요 1. 우함수는 아니어도 됩니다. y=x^2+1는 우함수이고, (0,0)을 안 지나죠...

기함수 우함수 판단 방법 질문!!

... 0이건 뭐건 상관없이 f(x)= f(-x)면 우함수 f(x)= - f(-x)면 기함수기함수이니까 f(0)= - f(0)으로 2f(0)=0이니 f(0)=0입니다. 기함수는 원점대칭이기에 모든 기함수는 f(0)...

우함수 기함수 질문

우함수인지 기함수인지 구할 때 cosx에 -x를 넣으면 왜 cosx으로 나오는거에요? y=cosx는 y축에 대칭인 함수입니다 cosx=cos(-x)

기함수 우함수 질문

... 외워야하나요 외워야한다면 그 식좀 정리해서 써주세요 ㅜㅜ 미분쪽에서 우함수기함수나오면 식을 세워서 미분을 해야해서요 우함수 기함수는 직접 외우시는게 빠릅니다....

기함수 우함수 질문입니다

기함수일 때는 f(-x) = -f(x) 가 성립하잖아요 우함수일땐 어떻게 되나요? 저런 구조의 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f(-x) = f(x) 입니다.